KR20100002758A -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58A
KR20100002758A KR1020080062778A KR20080062778A KR20100002758A KR 20100002758 A KR20100002758 A KR 20100002758A KR 1020080062778 A KR1020080062778 A KR 1020080062778A KR 20080062778 A KR20080062778 A KR 20080062778A KR 20100002758 A KR20100002758 A KR 2010000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rea
history
touch
touche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호
고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758A/ko
Publication of KR2010000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키의 사용자의 터치 이력에 기초하여 정해진 유효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이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에 관련한 키의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를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키에 대한 유효 터치로 간주하여 상기 임의의 키에 할당된 이벤트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정확하게 터치하지 못하여 여러 번 터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Method of detecting effective touch of key i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들(예컨대, 온라인 게임, 채팅, 사진 촬영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키 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만으로는 상기와 같이 다양화 되어 가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즉 상기 키 패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키 패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어가는 휴대용 단말기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어렵다.
한편 화면상의 한 점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_스크린(Touch Screen), 터치_패드(Touch Pad) 등)의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휴대 단말기의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래 생산되는 전세계 휴대 단말기의 상당수가 상기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상의 한 점이 눌려질 경우 그 접촉면의 좌표 값을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 감지기에는 압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러한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눈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 또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눈보다 더 높은 위치 또는 더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키가 터치되는 지점들의 좌표들은 사용자의 눈이 휴대 단말기를 바라보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키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키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으면 키 영역을 터치하기 위해 여러 번 키를 터치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정확하게 키 영역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키에 관련한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는 키의 유 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키의 사용자의 터치 이력에 기초하여 정해진 유효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이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에 관련한 키의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기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된 지점을 히스토리 좌표로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 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키의 유효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히스토리 영역 이내이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에 관련한 키의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된 지점을 히스토리 좌표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여기에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키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 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키에 대한 유효 터치로 간주하여 상기 임의의 키에 할당된 이벤트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정확하게 터치하지 못하여 여러 번 터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기는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든 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102) 및 터치스크린 패널(10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02)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후 LCD라고도 칭함),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이후 OLED 라고도 칭함) 패널 등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04)은 터치에 감응하며, 그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이면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의 화면 상에는 5개의 키들(1,3,5,7 및 9)이 표시되어 있다. 각 키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소정의 영역이 할당되어 있으며, 사용자 가 소정 영역을 터치하면 각 키들에 대응한 이벤트들이 수행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 상에서 구현되는 메뉴에 관련한 이벤트들이 증가함에 따라 한번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키들도 증가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작은 사이즈를 갖는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여러 키들을 선택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키가 터치스크린 화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소정 키를 터치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눈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 또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눈보다 더 높은 위치 또는 더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키가 터치되는 지점들의 좌표들은 사용자의 눈이 휴대 단말기를 바라보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에 의해 지시된 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1)에 인접한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키(1)를 선택하기 위해 참조부호 11 내지 14에 지시된 지점들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1)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 지점은 키(1) 영역 이내가 아니기 때문에 무시된다. 이와 같이, 키 영역 이외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는 무시된다. 본 발명은 소정 키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 지점들을 무시하지 않고 소정 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이력을 반영하여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인접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 들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도 2에서는 터치된 지점들(11 내지 14)은 키(1)의 인접 영역(10) 이내에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이들 터치된 지점들의 좌표를 키(1)에 대한 히스토리 좌표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러한 히스토리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키(1)의 사용자의 터치 이력에 기초하여 정해진 유효 터치 영역인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이 때, 키의 히스토리 영역은 최대 해당 키 영역의 넓이의 최대 2배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이면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즉, 제어부(120)는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임의의 키에 대한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히스토리 영역 내의 지점을 터치하면 키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더라도 제어부(120)는 임의의 키에 대한 유효 터치로 간주하여 상기 임의의 키에 할당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정확하게 터치하지 못하여 여러 번 터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 키에 대응하여 히스토리 좌표들 및 키의 유효 터치 영역인 히스토리 영역을 저장하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2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의 터치 감응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있으면 단계 220으로 진행하여 터치된 지점이 키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이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230에서 해당 키에 관련한 이벤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즉,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밖의 영역이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240에서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이 인접 영역은 다른 키 영역과 중첩하지 않으면서 임의의 키에 인접하게 위치한 영역을 의미한다. 인접 영역은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할 수 있는 지점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키(1)의 인접 영역은 참조부호 10에 의해 지시된 영역이며, 키(3)의 인접 영역은 참조부호 30에 의해 지시된 영역이며, 키(7)의 인접 영역은 참조부호 20에 의해 지시된 영역이다.
휴대 단말기는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이면 단계 250에서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히스토리 좌표로 저장하고, 이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근거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한다. 이 경우, 히스토리 좌표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히스토리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히스토리 좌표에 기초해서 히스토리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히스토리 영역은 히스토리 좌표 및 그 주변의 영역들을 결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키의 인접 영역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스토리 영역은 참조부호 50에 의해 지시된 영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키(7)을 선택하기 위해 지점들(21 내지 24)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20) 내에서 터치된 경우, 이 지점들의 좌표들이 히스토리 좌표들이다. 이들 히스토리 좌표들에 기초하여 히스토리 영역(50)이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스토리 영역은 히스토리 좌표 및 그 주변의 영역들을 결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설정된 히스토리 영역을 이용하여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3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있으면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터치된 지점이 키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이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230에서 해당 키에 관련한 이벤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즉, 터치된 지점이 소 정 키 영역 밖의 영역이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340에서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는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이면, 임의의 키에 관련한 이벤트를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 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터치스크린 102: 디스플레이
104: 터치스크린 패널 120: 제어부
130: 메모리

Claims (10)

  1.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키의 사용자의 터치 이력에 기초하여 정해 유효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이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에 관련한 키의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된 지점을 히스토리 좌표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키의 사용자의 터치 이력에 기초하여 정해진유효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히스토리 영역 이내이면 상기 히스토리 영역에 관련한 키의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지점이 상기 소정 키 영역 이내가 아니면 상기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의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와 다른 키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지점이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된 지점을 히스토리 좌표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영역은 상기 임의의 키의 인접 영역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KR1020080062778A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0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78A KR20100002758A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78A KR20100002758A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58A true KR20100002758A (ko) 2010-01-07

Family

ID=4181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778A KR20100002758A (ko) 2008-06-30 2008-06-30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7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26A1 (ko) * 2010-07-20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
US8537930B2 (en) 2010-07-20 2013-09-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8667112B2 (en)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US8694686B2 (en) 2010-07-20 2014-04-08 Lg Electronics Inc. User profile based configuration of user experience environment
KR20160103245A (ko) * 2015-02-23 2016-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26A1 (ko) * 2010-07-20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
US8537930B2 (en) 2010-07-20 2013-09-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8611458B2 (en) 2010-07-20 2013-12-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8667112B2 (en)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US8694686B2 (en) 2010-07-20 2014-04-08 Lg Electronics Inc. User profile based configuration of user experience environment
KR20160103245A (ko) * 2015-02-23 2016-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111B1 (ko)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US8619036B2 (en) Virtual keyboard based activation and dismissal
US8421756B2 (en) Two-thumb qwerty keyboard
JP598350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06890B2 (en) Slide based technique for inputting a sequence of numbers for a computing device
EP2332032B1 (en) Multidimensional navigation for touch-sensitive display
KR101217934B1 (ko) 단일 포인터 터치 센시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US9024892B2 (en) Mobile device and gesture determination method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00214239A1 (en) Method and touch panel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US8508476B2 (en) Touch-sensitiv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2011048606A (ja) 入力装置
JP201224285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0915171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50128081A1 (en) Customized Smart Phone Buttons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CN107562263A (zh) 数据输入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594652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キー配置変更方法
KR20100002758A (ko) 휴대 단말기에서 키의 유효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JP5782420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88319A (zh) 一种快捷栏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WO2012144616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2033A (ja) 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