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554U -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 Google Patents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554U
KR20100002554U KR2020080011602U KR20080011602U KR20100002554U KR 20100002554 U KR20100002554 U KR 20100002554U KR 2020080011602 U KR2020080011602 U KR 2020080011602U KR 20080011602 U KR20080011602 U KR 20080011602U KR 20100002554 U KR20100002554 U KR 201000025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ston
cylinder
coffee po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진
Original Assignee
박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진 filed Critical 박윤진
Priority to KR2020080011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554U/ko
Publication of KR20100002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5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정량 커피 포트에 관한 것으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우터의 출력축상에 조절나봉이 착설된 회전 캠을 착설하고 이 조절나봉상에 피스톤을 상부에 유설한 링크를 착설하여 캠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내에서 상하 작동하게 구성하고, 실린더 일단의 유통공상에 흡인, 배출용 첵크밸브를 연통되게 착설하여 약액등과 같은 액체저장통의 액체를 병등과 같은 용기에 연속적으로 정량(定量)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적량, 커피 포트, 주입장치

Description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omitted}
본 고안은 액체 정량 커피 포트에 관한 것으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우터의 출력축상에 조절나봉이 착설된 회전 캠을 착설하고 이 조절나봉상에 피스톤을 상부에 유설한 링크를 착설하여 캠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내에서 상하 작동하게 구성하고, 실린더 일단의 유통공상에 흡인, 배출용 첵크밸브를 연통되게 착설하여 약액등과 같은 액체저장통의 액체를 병등과 같은 용기에 연속적으로 정량(定量)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여 캠에 의한 피스톤 작업으로 액체저장통이나 대형용기내의 액체를 정확하게 정량씩 병등의 용기에 연속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스 상태의 기대(1) 내부에 출력축(2)을 양단에 형성한 감속기(3)를 착설한 모우터(4)를 장설하고, 출력축(2)의 각단에 조절나봉(5)을 착설한 회전캠(6)을 착 설함과 동시 회전캠(6)의 조절나봉(5)상에 캠축(7)을 승강이동 가능하게 착설하고, 캠축(7)의 단부에는 피스톤(8)을 유동자재하게 핀(9)으로 상단부에 유설한 링크(10)을 삽치시켜 유설하고, 피스톤(8)은 직상방에 눈금부(11')가 형성된 실린더(11)내부에 삽치한다. 상기 피스톤(8)이 내부에 삽치되어 승강이동하는 실린더(11)의 유출구(12) 단부에는 내부유통구(13)가 유출구(12)와 연통하는 연결구(14)를 착설하고, 이 유출구(12)의 일단부 양측에 흡인용 첵크밸브(15)와 배출용 첵크밸브(16)을 착설하며, 연결구(14)의 상단부를 기대(1)의 측부에 천설된 액량조절 요홈(17)에 승강 가능하게 착설된 지지대(18) 일단에 요동가능하게 핀(19)으로 유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캠(6) 전면에는 눈금부(6')를 형성하여 액량을 조절하되, 상기 기대(1)의 액량 조절요홈(17)의 지지대(18)와 회전캠(6)의 조절나봉(5)에 착설된 축캠(7)을 이동시켜 실린더(11)내의 피스톤(8)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액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모우터 속도 조절스위치이고, 21은 액체저장통, 22는 병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a)도, 제3(b)도, 제3(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우터(4)와 같속기(3)가 작동하여 회전캠(6)을 회전시키면 회전캠(6)의 조절나봉(5)측에 연설된 캠축(7)및 링크(10)가 회전하여 피스톤(8)을 실린더(11)내부에서 승강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제3(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3(b)도 상태로 회전하면 피스톤(8)이 실린더(11)내부에 압입되어 실린더(11)내부에 주입되어 있던 액체가 실린더(11)의 유출구(12)와 연결구(14)의 유통구(13)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 고, 이 액체는 피스톤(8)의 압압에 의하여 배출용 첵크밸브(16)를 통하여 배출되어 병(22)등과 같은 용기로 배출되게 되고, 흡입용 첵크밸브(15)는 피스톤(8)의 압력에 의하여 폐쇄되게 되어 실린더(11)내의 액체는 배출용 첵크밸브(16)측으로만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이 실린더(11)내에 유입된 정량(定量)의 액체가 배출된 다음, 회전캠(6)이 제3(c)도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피스톤(8)이 실린더(11)외부로 인출되게 되고, 이게 따라 실린더(11)내부에는 진공이 발생하여 흡인력이 발생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용 첵크밸브(15)가 개방되고 배출용 첵크밸브(16)은 폐쇄된 상태로 전환되게 되어 액체 저장통(21)의 액체가 다시 실린더(11)내부에 주입되게 되며, 다시 제3(a)도와 같이 피스톤(8)과 회전캠(6)의 하사점에 도달하면 피스톤(8)이 정지하고 다시 제3(b)도, 제3(c)도와 같은 상태로 계속 반복동작하여 소정의 조정된 정량의 액체를 액체저장통(21)으로 부터 흡인, 병(22)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회전캠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흡인, 배출작동에 의하여 액체의 유실사례 없이 소정의 임의량 만큼 계속하여 주입시킬 수 있게 되어 병등과 같은 용기내의 정량 주입작업을 능률적이며,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저장통이나 대형주입통으로 부터 소량씩 별도의 병이나 용기에 주입시킴에 있어서는 대체로 별도의 용기로 액체를 뜬 다음, 깔대기등을 사용하여 병등과 같은 용기에 투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국자등과 같은 용기로 액체를 떠 병등의 용기에 주입시키는 과정에서 액체가외로 유출되어 유실되는 사례가 혀다하게 발생되는 비경제적인 요인이 발생될 뿐만아니라, 작업장 주위가 유실된 액체등으로 오손되는 비원생적인 결함이 발생되며, 또한 인위적인 수동작(手動作)으로 국자등과 같은 용기로 액체를 떠 병등에 주입시켜야 함으로 작업시간과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작업능률이 저조한 한편, 병등에 소정의 정량(定量)을 주입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운 여러가지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출력축
3 : 감속기 4 : 모우터
5 : 조절나봉 6 : 회전캠
7 : 캠축 8 : 피스톤
10 : 링크 11 : 실린더
12 : 유출구 13 : 유통구
14 : 연결구 15 : 흡인용 첵크밸브
16 : 배출용 첵크밸브

Claims (1)

  1. 감속기(3)가 설치된 모우터(4)의 출력축(2)상에 조절나봉(5)이 착설된 회전캠(6)을 착설하고, 이 조절나봉(5)상에 피스톤(8)을 상단에 유설시킨 링크(10)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한 캠축(7)을 착설하고, 실린더(11)의 유출구(12)상에 착설된 연결구(14)의 연통구(13)양단에 흡인 및 배출용 첵크밸브(15)(16)을 연설하여서 된 액체정량 커피 포트.
KR2020080011602U 2008-08-29 2008-08-29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KR201000025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02U KR20100002554U (ko) 2008-08-29 2008-08-29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02U KR20100002554U (ko) 2008-08-29 2008-08-29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54U true KR20100002554U (ko) 2010-03-10

Family

ID=4419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602U KR20100002554U (ko) 2008-08-29 2008-08-29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5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17B1 (ko) * 2012-09-21 2014-06-26 정휘동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17B1 (ko) * 2012-09-21 2014-06-26 정휘동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526B1 (en) Blender for producing ice-cream and similar
EP2231478B1 (fr) Machine de remplissage de recipients avec deux produits
AT11057U2 (de) Kaffeemaschine
JP2016513636A5 (ko)
CN201158582Y (zh) 气动定容式液体充填装置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JP2001278388A (ja) ロータリー式連続充填装置
KR20100002554U (ko) 적정량을 구분하는 커피 포트
EP1795446B1 (en) Device for delivering paste substances into containers
CN201158583Y (zh) 气动定容回转式液体灌装机
KR20100002753U (ko) 정량 커피포트
KR20100002709U (ko) 적정한 양을 구분하는 주입 장치
KR880000568Y1 (ko) 액체정량 주입기
CN205823377U (zh) 一种用于排空发动机废机油的自动化设备
CN204889677U (zh) 流体物料供给装置及应用其的烹饪机
JP3576456B2 (ja) 粘性物質充填装置
JP4916838B2 (ja) 液体定量充填の制御方法
CN204701818U (zh) 一种防漏料的酱料输送装置
CN105036027A (zh) 一种白酒灌装装置
JP6196529B2 (ja) ピストン式充填機
CN203854957U (zh) 一种方便移动的塑料桶
KR200380118Y1 (ko)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
CN207483344U (zh) 一种可修正液位的计量阀
JP5832835B2 (ja) ピストン式計量装置
KR200380267Y1 (ko) 음료용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