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003A -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 Google Patents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03A
KR20100002003A KR1020080062194A KR20080062194A KR20100002003A KR 20100002003 A KR20100002003 A KR 20100002003A KR 1020080062194 A KR1020080062194 A KR 1020080062194A KR 20080062194 A KR20080062194 A KR 20080062194A KR 20100002003 A KR20100002003 A KR 2010000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inless
stainless steel
magnetiz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김환홍
Original Assignee
김현용
김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용, 김환홍 filed Critical 김현용
Priority to KR102008006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003A/ko
Publication of KR2010000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 관로를 통해서 대량으로 공급되는 물을 자화수로 변화시키기 위한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로써: 상기 넓은 표면장력 유도장치 충전물(PACKING )을 통과 하는 물은 물방울이 아주 조밀하고 조직화 되면서 관성충돌이 일어나고: 충돌된 물입자는 활성화 되어 흐르면서 10.000∼13.500 가우스 의 네오듐 영구봉자석(2)을 수평으로 설치한곳을 지나면서 육각화를 향상시키며 상기 스테인레스 하우징 중앙 안쪽으로 설치된 스테인레스 링의 영향을 받아 물이 수축, 확장하는 순간 와류현상으로 육각수가 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Description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Animal disease side station magnetization note}
분발명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충전물을 통과 물의표면장력을 넓혀 물을 운동에너지를 활성화하고 네오듐 영구봉자석을 이용하여 물을 육각화 시키며 스테인레스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된 스테인레스 링에 물이 충돌, 수축. 확장으로 와류현상을 이러켜 물의자화를 증대시켜 용수에 포함된 녹. 스케일. 철분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에서는 일반 가정이나 농장, 공장 등지에서 각종 폐기물이나 스레기 들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정 능력이 있는 물도 심하게 오염되어 직접 식수로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강이나 바다등의 생태계를 많이 파손하는 실정임을 이미 주진된 사실이다.
그리고 일단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정수의 공정으로 여러 가지 장치와 방법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금도 더 효율적인 정수를 위한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수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그리고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 리적인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방식에 의해서는 안정적인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에 소요되는 가동비가 많아 정수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즉, 종래의 활성오니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국제 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농도라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오물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고, 알칼리나 산성을 띠고 있는 오폐수의 경우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시간과 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은 물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물학적 처리가 어려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폐수를 처리하기에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너무 고가여서 전술한 생물학적 정수방식의 전처리나 후처리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식은 생물학적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가 곤란한 벤젠 화합물이나 할로겐 화합물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공정에 응용되지만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비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한 수준이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처리장치가 개시되었다. 자화처리장치는 임상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바 있는 자석을 이용하여 인체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자화처리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은 2개의 수소원자와 1개의 산소원자가 결합된 것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5개로 구성된 사슬모양 또는 5각형의 고리모양을 이루고, 온도가 내려갈수록 6각형 고리모양이 증가한다. 이 육각형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를 구성하는 물 즉, 육각수는 열용량이 크고 다른 생체분자들과 잘 어울려 생물체의 생명기능을 향상시키는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물을 자석의 자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칼리성의6각형 구조를 가지는 자화수로 되는데,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자화처리장치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자화수를 얻을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식품공장 및 목욕탕, 축산 및식물재배용 등 여러 분야에서 생활용수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기존의 자화처리장치는 자화수관 외측으로 상부와 하부에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소정의 케이스에 의해 고정하고 있는 것으로, 자석의 양측 측면부를 통해 외측으로 자장이 형성되면서 실질적으로 물이 통과하는 자화수관에 영향을 주는 자력은 미흡하다. 또한 물이 자화수관에서 직선적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유속이 빠르고, 실질적으로 자석의 표면을 거치고 나오는 부분이 와류를 관통하는 끝부분과 소정의 거리가 존재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용수는 자화수로의 변환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화처리장치의 내부에 물의 표면 장력을 넓게하고 물의와류현상을 유도 하는 와류유도체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과하는 용수의 자화를 보다 증대시켜 용수에 포함된 스케일, 녹 등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물 분자에서 떨어져나온 용존 산소량의 증가로 인체의 세포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자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면은 개방되고, 하측에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커버; 이 커버의 공간에 수용되어 공급되는 용수에 와류를 유발하는 와류발생기링이 스테인레스 하우징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본체를 통과하는 용수를 자화시키는 네오튬 영구봉자석; 상기 본체 내에 자석봉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본체 내를 통과하는 용수에 와류가 지속화되도록 안내하는 와류유도체를 포함하는 자화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자화처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능 효과가 있다.
첫째, 자화처리장치를 통과한 용수는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까지도 걸러내는 정수기와 달리 물속에 녹아 있는 미넬은 그대로 유지하고, 물의표면장력 확장 및 와류 형성에 의해 네오듐 영구봉자석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기때문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용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 줌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하다.
둘째,물의표면장력을 넓게하는 스테인레스 충전물(PACKING )과 와류발생장치인 스테인레스 링에 의해 용수가 수축, 확장의 운동으로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용수에 와류를 생성하고, 와류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네오튬 영구봉자석에 의한 자화현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화처리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화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화처리장치는 용수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하는 본체(10), 이본체(10)의 한측에 결합되는 커버(7),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충전물(PACKING)(11,11a)과 네오튬 영구봉자석(2)과: 상기 스테인레스 링(12.12a)을 구비하는 것이 포함된다,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스케일,녹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네오듐 영구봉자석(2)이 수용된다.
이때,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상면은 내부에 장착되는 네오튬 영구봉자석(2) 등의 구성 부품에 대한 유지 보수 등을 위해 개구된다.
그리고 본체의(10)의 하측에는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14)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스테인레스 하우징(10) 상면 테두리에는 볼트 잠굼식(9,17)나사가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끝 상부(18)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 된다.
커버(7)는 대표도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되며, 상측 중앙에는 연결부(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스테인레스 하우징(10)와 커버(7)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오링(8)이 개재되어 상호 간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스테인레스 하우징(10)와 커버a(17)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하기 위해 양자의 연결 부분 : 상기 스테인레스하우징(18)상측에는 나사 결합 방식의 나사(18)가 구비될 수 있다.
나사(18)는 커버a(7)원의 형태로 된 커버a(9)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결합은 커버a(7)커버b(9)의일단은 연결부가 돌출(16)형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나사(6) 체결됨으로써 본체커버b(9)와 커버a(7) 간의 결합을 가능케 하며,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끝 나사(18): 상기 커버b(17)와 연결되므로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것 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네오듐 영구봉자석(2)은 도면1 및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하우징(10) 내부에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하우징(10)를 통과하는 용수에 자화를 유도하여 스케일 또는 녹 등의 불순물의 분자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유해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네오튬 영구봉자석(2)을 지나는 용수에는 스테인레스 충전물(11,11a)와: 상기 스테인레링(12,12a)과: 상기 네오듐영구봉자석(2)에 의해 용수가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수의 와류에 의해 보다 더 전자교류가 활성화된다.
네오튬 영구봉자석(2)은 용수의 반복적인 흐름에 의해 외부 표면에 녹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표면에는 스테인레스로 피복된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네오튬 영구봉자석(2)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스테인레스원형 삼각지지대(4.4a)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테인레스원형 삼각지지대(4.4a)에 의해 네오듐 영구봉자석(2)은 스테인레스 하우징(10) 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수의 자화가 더욱 증대되도록 용수에 표면작용을 넓게하고 와류를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된다. 이는 스테인레스 하우징(10)의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에 장착되는 스테인레스 충정기(11.11a)와 스테인레스링(12.12a)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된다.
즉, 표면장력을 넓게하는 스테인레스 충전기(11,11a)는 스테인레스원형 삼각지지대(4.4a) 외부에 고정되는 내벽면에 고정된다.
표면장력을 넓게하는 스테인레스 충전기(11.11a)는 물의 흐름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의 입자를 분자화를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서는 네오튬영구봉자석(2)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재질로는 인체에 해가 없으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재질로 표면처리를 하게 되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레스 하우징(10)안에서 스테인레스 충전기(11.11a)와: 상기 스테인레스 링(12.12a): 상기 네오튬영구봉자석(2)의 사이에서 와류 현상이 더 개재된다.
따라서, 용수는 스테인레스 하우징(10)안에서 스테인레스 충전기(11.11a)와: 상기 스테인레스링(12.12a): 상기 네오튬영구봉자석(2)의 와류를 형성하여 스테인레스 하우징(10) 내를 통과함과 동시하면서, 네오튬영구봉자석(2)에 의한 자화현상이 극대화되어 보다 완벽한 정수 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처리장치에 의한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상 냉, 온수의 급수 등에 존재하는 광물질 및 염기류(용해 고형물 또는 경토 성분) 등이 냉각이나 가열로 인한 온도 변화에 따라 용해도의 차이로 적출되어 배관(파이프) 내벽에 스케일이 부착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케일은 유체 속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석회질 등의 각종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성분들은 유체 속에 함유되어 있는 반자성체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스케일의 경우 반자성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반자성체의 경우 자장을 통과할 때 유도극성을 띠게 되는데, 배관을 통과하는 용수 또한 반자성체의 성질을 가짐으로써 네오툼영구봉자석(2)을 통과할 때 유도극성을 띠게 되어 다른 반자성체 분자들에 이온화 극성을 유도하고 극화된 분자들은 또 다른 분자의 극화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배관 내에 포함된 스케일은 사슬처럼 연결된 분자들의 유도극성 활동결과로 제거된다. 또한, 배관이 부식함에 따라 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관 부식은 금속의 내적 환경인자에 의하거나 pH영향, 수온의 영향, 물의 유속, 염소 이온의 평형상태의 원인 등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녹 역시 스케일과 마찬가지로 네오튬영구봉자석 (2)이 스테인레스 하우징(10)를 통과하면서 자화현상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즉, 중금속 등의 철성분은 네오튬영구봉자석(2) 표면에 부착되며, 이렇게 부착된 불순물은 커버b(9)를 스테인레스 하우징 상부(18)와 커버b(17)를 분리한 후 네오듐영구봉자석(2)을 스테인레스 하우징(10)로부터 인출한 후 세정함으로써 쉽게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용수는 표면장력을 넓게하는 충정기( PACKING)(11.11a)와: 상기 스테인레스 링의 수축, 확장운동으로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스테인레스 하우징(10) 내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와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네오듐영구봉자석(2)에 의한 자화현상이 최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자화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물 분자는 15∼20개가 모여 클러스터 형태를 나타내는데, 물에 자장을 인가하면 물 분자를 구성하는 수소는 -극 (N극)쪽으로, 산소 분자는 +극(S극) 쪽으로 인력이 작용하며 자력에 의해 물 분자는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물 분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할 때 자장 내에 형성된 무수한 음전하(음이온)와 충돌하여 물 분자의 미세화가 이루어진다.
이후, 미세화된 물 분자들이 다시 재결합하여 활성화하고, 이온화되어 클러스터를 이루는데 이때 재결합 구조가 육각 구조를 이루어 육각수를 형성하게 됨은 물론 용존 산소량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화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자화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2에 적용된 네오듐영구봉자석 분해 사시도.
도 4, 도5는 커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네오튬영구봉자석
2 ; 네오튬영구봉자석 스테인레스커버
3,3α : 너트
4,4a: 스테인레스원형 삼각지지대 커버
5,5a: 피스
6 : 피스
7 : 커버a
8 ; 오링
9 :커버b
11,11a ; 충전물(PACKING)
12.12a : 스테인레스 링
14 : 연결돌출부A
16 ; 연결돌출부B
17 ; 커버b 나사
18 : 스테인레스 상단 연결나사
22 : 스테인레스 하우징 하단고정커버

Claims (2)

  1. 상면은 개방되고, 하측에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측에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커버;
    상기 용수에 표면장력을 넓게하여 물의입자를 미세화하는 표면장력 충전물(PACKING):
    상기 본체내부에 와류를 유발하는 스테인레스 링: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본체를 통과하는 용수를 자화시키는 네오튬영구봉자석;
    상기 네오튬영구봉자석,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원형삼각지지발
    상기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의 표면장력을 넓히는데 사용되는 충전물: 상기 충전물 과 네오튬 영구봉자석을 고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원형삼각지지대: 상기 스테인레스하우징 중앙에 돌출되어 용수의 와류를 유도하는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처리장치.
KR1020080062194A 2008-06-26 2008-06-26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KR20100002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194A KR20100002003A (ko) 2008-06-26 2008-06-26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194A KR20100002003A (ko) 2008-06-26 2008-06-26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03A true KR20100002003A (ko) 2010-01-06

Family

ID=4181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194A KR20100002003A (ko) 2008-06-26 2008-06-26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0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544Y1 (ko) 자화육각수용 자석봉 및 이를 이용한 자화처리기
JPH0518635B2 (ko)
KR100820944B1 (ko) 자화처리장치
WO1981002529A1 (en) Magnetic water conditioner apparatus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Ahmad et al. Removal of xenobiotics from wastewater by electrocoagulation: A mini-review
KR100938441B1 (ko) 자화처리기
KR200422477Y1 (ko) 관로용 자화 정화장치
KR100760618B1 (ko) 관로용 자화 정화장치
KR20100002003A (ko) 동물질병면역 자화수기
KR20110111860A (ko) 기능성 볼을 내장한 자화수 처리장치
RU23328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навозных стоков
JP2007521954A (ja) プロポリスを用いた水処理装置
KR100735812B1 (ko) 다단 자석봉 내장형 자화 정화장치
KR101935009B1 (ko) 자화수 생성장치
KR101256949B1 (ko) 인체에 유익한 n극이 활성화된 자화처리기
KR200447442Y1 (ko) 자화처리기의 와류유도장치
WO20160104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using magnetic field
JPH0216241B2 (ko)
CN108557963B (zh) 电磁静电污水净化装置
CN104512948A (zh) 一种管外永磁式水处理器
KR20180082938A (ko) 자화수 생성장치
KR200199529Y1 (ko) 다극 자장식 원적외선에 의한 수처리 및 청관장치
RU22823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навозных стоков
KR100730342B1 (ko) 수직형 자화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