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69U - Water cleaner for aquarium - Google Patents

Water cleaner for aquar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69U
KR20100001769U KR2020080013797U KR20080013797U KR20100001769U KR 20100001769 U KR20100001769 U KR 20100001769U KR 2020080013797 U KR2020080013797 U KR 2020080013797U KR 20080013797 U KR20080013797 U KR 20080013797U KR 20100001769 U KR20100001769 U KR 201000017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water
pump
main body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7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복
Original Assignee
이근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복 filed Critical 이근복
Priority to KR2020080013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69U/en
Publication of KR20100001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6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저면 및 측벽 하부에 각각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본체; 수족관에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측에 안치되는 필터; 및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상기 본체로 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 내의 물을 넣고 빼지 않고도 수족관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cleaner,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in the bottom and lower sidewall, respectively; Fixing means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aquarium; A filter placed inside the main body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aquarium; And a pump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aquarium, and a discharge port for flow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aquarium without putting water in the aquarium.

수족관, 청소기, 펌프, 필터 Aquarium, cleaner, pump, filter

Description

수족관 청소기{WATER CLEANER FOR AQUARIUM}Aquarium Cleaner {WATER CLEANER FOR AQUARIUM}

본 고안은 수족관 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족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관상어의 먹이 및 배설물 등에 의해 생성되어 수족관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족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umulated in an aquar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quarium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generated by feeding and excretion of an ornamental fish and deposited on the bottom of an aquarium.

일반적으로 수족관에는 그 내부에서 생활하는 관상어 등의 서식 환경에 알맞도록 내부 바닥에 모래를 깔고 그 위에 수초 및/또는 다양한 종류의 조형물을 설치하고 있다. In general, the aquarium is sanded on the bottom of the interior to suit the habitat of the aquarium, such as aquarium fish, and plants and / or various kinds of sculptures are installed thereon.

그리고 수족관 내의 물은 정지해 있기 때문에 물속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물고기 등이 편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수족관 내의 물이 썩지 않도록 산소(공기) 공급기에 의하여 수족관의 물속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And because the water in the aquarium is stationary, no oxygen is supplied to the water. Accordingly, the fish and the like are able to breathe comfortably and oxygen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aquarium water by an oxygen (air) feeder so that the water in the aquarium does not decay.

그러나 수족관 내의 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내부에 서식하는 관상어의 배설물과 과공급된 먹이 등에 의해 이물질이 생성되고, 이들이 수족관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모래 속에 섞이거나 위에 누적되는데 이들을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수족관의 물이 오염되거나 썩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그 내부에 서식하는 물고기 등도 죽 게 된다.However, as the water in the aquarium grows over time, foreign substances are generated by the excreta and over-feeding of ornamental fish that live therein, and they sink to the bottom of the aquarium and mix in the sand or accumulate on the aquarium. Water becomes polluted or rots, and eventually the fish that live in it di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수족관을 청소하여 물고기의 배설물과 먹이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족관 내의 물과 모래 및 조형물 등을 수족관으로부터 모두 제거한 다음 모래를 세척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quarium is periodically cleaned to remove fish droppings and food debris. In general, a method of washing sand after removing all water, sand, and sculptures from the aquarium from the aquarium is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래를 세척하는 방법은 수족관 속에 설치된 조형물과 모래를 모두 철거한 다음 수족관을 청소하고, 청소가 끝난 다음에는 모두 다시 설치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뿐 아니라, 물의 온도 등 물고기의 서식 환경이 갑자기 변하게 되어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에 더하여 수족관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족관을 청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method of washing the sand as described above is to remove all the sculptures and sand installed in the aquarium and then to clean the aquarium, and to reinstall all after the cleaning is completed, not only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but also the temperature of the fish The habitat of the fish suddenly changes and the fish is stress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aquarium is large, there is a limit to cleaning the aquarium in the above manner.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흡입관과 펌프로 이루어진 수족관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흡입관으로 모래를 뒤섞으면서 이물질을 떠오르게 한 다음, 떠오른 이물질과 물을 수족관 외부로 배수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n aquarium cleaning device composed of a suction pipe and a pump to mix the sand into the suction pipe to float the foreign matter, it is known to drain the foreign matter an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aquarium.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수족관 내에 설치된 어초나 조형물을 그대로 두고 청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물질과 함께 수족관 내의 물을 수족관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물의 양만큼 다시 새로운 물을 외부에서 공급하여야 하고, 이때 소량의 모래도 이물질 또는 물과 함께 배출되어 나가게 되므로 수족관 내의 서식 환경과 물의 온도 등이 갑자기 달라지게 되며, 이 경우 물의 온도와 서식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열대어 등과 같은 물고기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죽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leaned while leaving the reefs and sculptures installed in the aquarium as it is, but since the water in the aquariu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quarium with foreign matters, new water must be supplied again from the outside as much as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sand is also discharged along with foreign matter or water, so the habitat environment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aquarium are suddenly different.In this case, fish such as tropical fish sensitive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habitat environment are subject to severe stress or death. The problem still exis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족관 내의 물의 온도와 물고기의 서식 환경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수족관 바닥의 모래 위 또는 모래 속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족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aquarium and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fish as it is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and or in the sand of the aquarium bottom. To provide an aquarium cleaner that ca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족관 내의 물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족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quarium cleaner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suspended in water in an aquarium.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족관의 물이 필터에 고르게 통과되게 하여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수족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quarium cleaner that filters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with the water by allowing the water in the aquarium to pass evenly through the filt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수족관 바닥의 모래를 뒤섞으면서 또는 펌프의 흡입구가 물 속에 위치되도록 하여 펌프로 수족관의 물과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필터를 통해 이물질은 거르고, 필터를 통과한 물은 다시 수족관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족관 청소기를 통해 달성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mix the sand of the aquarium bottom or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is placed in the water to inhale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quarium with the pump,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This is accomplished with an aquarium cleaner that allows it to get back into the aquarium.

좀 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목적은 저면 및 측벽 하부에 각각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본체; 수족관에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측에 안치되는 필터; 및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상기 본체로 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로 이루어진 수족관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in the bottom and lower sidewall; Fixing means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aquarium; A filter placed inside the main body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aquarium; And a pump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aquarium,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main body.

이때 수족관 청소기에는, 상기 펌프의 흡입력을 통해 수족관 바닥의 모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하단에 확관 연결되는 확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quari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ipe moun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and an expans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so as to suck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and of the aquarium bottom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또한 수족관 청소기에는, 상기 본체 내로 공급되는 물을 필터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물분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quarium cleaner, water dispers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to evenly distribute the water supplied into the main body throughout the filter.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 내의 물을 넣고 빼지 않고도 수족관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quarium without adding water in the aquarium.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 내의 물을 교환하지 않고 모래를 배출하지 않아 물의 온도와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물의 온도와 서식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물고기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habitat of the fish without changing the water in the aquarium without exchanging sand, thereby protecting fish sensitive to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habitat of the water.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 내의 모래에 포함된 이물질뿐만 아니라, 수족관 내의 물에 부유하는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어 수족관 내의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and in the aquarium,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water in the aquarium has the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fish in the aquarium.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의 물이 필터에 고르게 통과되게 하여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어, 최적의 필터 사용이 가능하고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n the aquarium can be evenly passed through the filter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with the water, it is possible to use the optimum filte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an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본 실시예는 수족관(1) 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및 측벽 하부에 각각 다수의 배수공(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수족관에 본체(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과; 상기 본체(10) 내측에 수납되는 필터(30)와; 흡입구(51)와 토출구(52)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52)에 연결된 배수관(40)을 통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펌프(50)와; 상기 펌프(50)의 흡입구(51)에 장착되는 흡입관(60)과; 상기 흡입관(60)의 하단에 확관 연결되는 확관부(70) 및; 상기 펌프(50)에 형성되는 손잡이(8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 cleaner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aquarium (1), as shown in Figure 1,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 in the bottom and lower sidewalls, respectively; Fixing means (20)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to fix the main body (10) to the aquarium; A filter 30 housed inside the main body 10; A pump (50) having a suction port (51) and a discharge port (52)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a drain pipe (4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2); A suction pipe (60) mounted to the suction port (51) of the pump (50); An expansion pipe unit 7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60; It consists of a handle (80) formed in the pump (50).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가 일체로 형성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로부터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가 안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the upper main body 10A and the lower main body 10B are integrally formed,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therein. The main filter 30 is placed.

상부본체(10A)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으로서 이 상부본체(10A)의 하부에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하부본체(10B)가 형성된다.The upper body 10A has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and a lower main body 10B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under the upper main body 10A.

상부몸체(10A)를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하부본체(10B)에 필터(30)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부본체(10B)로부터 필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By forming the upper body 10A in a shape having a wide upper end and a narrow lower end, the filter 3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lower main body 10B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lt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wer main body 10B.

하부본체(10B)는 필터(30)가 안치되는 곳으로, 대략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통해 내측에 필터(30)가 밀착되게 삽입된다.The lower body 10B is a place where the filter 30 is placed, and the filter 3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wall which is substantially vertical.

이때 하부본체(10B)에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이 그 내부에 안치된 필터(30)를 통과하여 수족관(1) 내로 다시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 및 측벽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11)이 형성된다. 이때 측벽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공(11)의 상단 최대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0)의 상단 높이보다 H만큼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이 먼저 배수공으로 배출되지 않고 반드시 필터(30)를 통과한 다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필터(30)에 의해 걸러지지 않고 수족관 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lower body 10B has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1 at the bottom and sidewalls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can be discharged back into the aquarium 1 through the filter 30 placed therein.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1 formed in the lower side wall is formed as low as H than the upper height of the filter 30, as shown in Figure 3,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is not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first This is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quarium without being filtered by the filter 30 by allowing the filter 30 to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족관(1)으로부터 흡입된 물을 다시 수족관 내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필터(30)가 안치되는 본체(10)의 설치 위치는 수족관에 근접한 곳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족관의 내부 측벽에 본체(10)를 설치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10)를 수족관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20)이 구비된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sucked from the aquarium 1 is introduced into the aquarium aga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filter 30 is placed should be close to the aquarium.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aquarium, and for this purpose, the fixing unit 20 is installed to fix the main body 10 to the aquarium.

상기 고정수단(20)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 상단에 "┓" 형상의 걸림턱(2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21)을 수족관의 상단에 걸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면 외부에 다수의 흡착판(22)을 부착 고정하여 이를 통해 수족관의 내측벽에 흡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fixing means 20 forms a locking jaw 21 having a “┓”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o hang the locking jaw 21 at the upper end of the aquarium,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adsorptive plates 22 ar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reb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aquarium.

하부본체(10B)의 내부에 안치되는 필터(30)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을 걸러 이물질은 포집하고 물은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본체(10B) 에 충전되어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이 반드시 필터(30)를 거치도록 상기 필터는 하부본체(10B)의 내부 형상을 채우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30)는 상기 하부본체(10B)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블록형상으로 제작하고, 그 재질은 가정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필터링 기능이 우수한 솜이나 부직포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lter 30 placed inside the lower body 10B filters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nd to pass water. To this end, the filter is preferably provided to fill the inner shape of the lower body (10B)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lower body (10B) discharged from the pump 50 passes through the filter (30). For example, the filter 30 may be manufactured in a block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lower body 10B, and the material may be easily obtained at home and may be made of a cotton or nonwoven material having excellent filtering function. have.

배수관(40)은 펌프(50)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본체(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수관(40)의 일단은 상부본체(10B)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펌프(50)의 토출구(52)에 연결되어 펌프(50)로부터 토출된 수족관 내의 물이 본체(10)를 통해 흘러나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40)은 청소기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호스 또는 주름 호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ipe 40 is configured such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That is, one end of the drain pipe 4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10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2 of the pump 50 so that the water in the aquarium discharged from the pump 50 to the main body 10 Let it flow through. In addition, the drain pipe 40 preferably uses a hose or a pleated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move the cleaner freely.

이때 상기 배수관(40)의 일단에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을 본체(10)를 향해 분사하는 노즐(92)이 장착되어 상기 배수관(40)이 상기 노즐(92)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10A)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drain pipe 40 is equipped with a nozzle 92 for injec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toward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rain pipe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body by the nozzle 92. It may be fixed to 10A.

펌프(5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51)와 토출구(5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펌프(50)의 용량은 수족관 바닥의 이물질을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정도의 흡입력을 가진 것이면 사용가능하다.1 and 5, the pump 5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51 and a discharge port 52, respectively, the capacity of the pump 50 is enough to suck the foreign matter in the bottom of the aquarium It can be used if it has suction power of.

한편, 흡입관(60)은 물과 이물질이 흡입되는 구간으로서, 그 일단은 펌프(50)의 흡입구(51)에 연결되며, 타단은 후술하는 확관부(7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51)의 길이는, 수족관의 수심에 따라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ipe 60 is a section in which water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51 of the pump 5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ipe 7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51 may be extended or shortened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aquarium.

즉, 흡입관(60)의 길이는 수족관의 수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연결관(100)을 더 구비하여 수심에 따라 직렬로 연결하여 흡입관(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60 is preferably variabl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aquarium.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reflects this,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00 as shown in Figure 5 to be connected in series according to the depth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60).

그리고 상기 흡입관(60)의 하부에는 확관부(7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확관부(70)의 직경은 상부에 부착된 흡입관(6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확관부(70)에 의한 뒤섞음과 펌프(50)의 흡입력에 의해 모래와 이물질이 확관부(70) 내로 떠오른 다음, 확관부(70)의 확관된 내경에 의해 펌프의 흡입력이 감소되어 다소 무게가 있는 모래는 자중에 의해 다시 가라앉도록 하고 가벼운 이물질은 그 상부에 부착된 흡입관(60)으로 흡입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And the expansion pipe part 7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ipe (60).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pipe 7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ction pipe 60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This is caused by the mixing of the expansion unit 70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50, the sand and foreign matter rises into the expansion unit 70, and then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is reduced by the enlarged inner diameter of the expansion unit 70 is somewhat weight This is to allow the sand to sink again by its own weight and light foreign matter to be easily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60) attached to the top.

또한 상기 확관부(70)의 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관부의 하단이 상기 펌프(50)의 흡입력으로 인해 청소 도중에 유리로 이루어진 수족관 바닥의 벽체(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관부(70)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부착방지부(7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ipe 70,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ipe is attached to the wall 2 of the aquarium bottom made of glass during the cleaning 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50. To prevent the attachment portion 71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pipe 70 may be formed.

손잡이(80)는 펌프(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청소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80) 또는 펌프(50)에는 온/오프(ON/OFF) 스위치(S)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펌프(50)의 작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80 is located above the pump 50, whereby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cleaner. At this time, the handle 80 or the pump 50 is preferably installed on / off (ON / OFF) switch (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and stop the pump 50.

여기서 펌프(50)의 상면에 고정되는 손잡이(8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구형의 손잡이이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 길이를 갖는 수직 형의 손잡이(80A)로 실시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handle 8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50 is a hemispherical handle as shown in Figure 5, or may be implemented as a vertical handle 80A having a vertical length as shown in FIG. Can b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수족관 청소기를 사용할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수관(40)으로 본체(10)와 펌프(50)를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본체(10)가 수족관(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본체(10)를 수족관의 벽체(2)에 고정수단(2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 후, 펌프(50) 상면에 부착된 손잡이(80)를 잡고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확관부(70)를 수족관(1) 내 모래(3)에 적정 깊이 삽입하여 모래를 가볍게 뒤섞음으로써 모래와 함께 모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이 떠오르게 한다.When using the aquari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8, first connect the main body 10 and the pump 50 to the drain pipe 40, respectively. And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wall 2 of the aquarium using the fixing means 2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side the aquarium 1. Thereafter, while holding the handle 8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50, while inserting the expansion portion 70 into the sand (3) in the aquarium (1) by a suitable depth while gently moving the sand together with the sand Makes foreign matter accumulated between the sand.

이처럼 모래와 함께 이물질이 떠오르게 되면, 모래는 자중에 의해 다시 가라앉고, 떠오른 이물질만 물과 함께 흡입관(60)으로 흡입되어 펌프(50)에 의해 배수관(40)을 따라 본체(10)로 토출된다.When the foreign matter rises with the sand in this way, the sand sinks again by its own weight, and only the foreign matter risen is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60 together with the water and discharged to the main body 10 along the drain pipe 40 by the pump 50. .

본체(10)에 토출된 물은 필터(30)를 통과하면서 하측의 배수공(11)을 통해 다시 수족관(1) 내로 물이 유입되고 이물질은 필터(30)에 의해 걸러져 수족관 내의 이물질 청소가 이루어진다.The water discharged to the main body 10 passes through the filter 30 and the water flows back into the aquarium 1 through the lower drain 11,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filter 30 to clean the foreign matter in the aquarium.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에 토출된 물이 필터(30) 전체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게 하는 물분산수단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water discharged to the main body 10 to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filter 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에 토출된 물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필터(30)의 한 쪽에만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30)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지 못하므로, 본체(10)에 토출된 물이 필터(30) 전체에 걸쳐 골고루 퍼져 흡수될 수 있도록 물분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water discharged to the main body 10 is biased to either side, foreign matters accumulate on only one side of the filter 30. In this case, since the filter 30 does not effectively filter the foreign matter, water disper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so that water discharged to the main body 10 can be evenly spread and absorbed throughout the filter 30.

이러한 물분산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Such water dispersing means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즉, 물분산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A)의 내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경사판(91)과, 이 경사판(91)에 대하여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을 직각으로 분사하는 노즐(9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수관(40)을 통해 공급된 물이 노즐(92A)에 의해 경사판(91)으로 토출되어 물이 경사판(91)을 따라 상부본체(10A) 내벽을 따라 퍼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물이 필터 전체에 걸쳐 골고루 퍼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water dispersing means includes an inclined plate 91 formed at an inner wall edge of the upper body 10A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plate 91 at a right angle. It may consist of a nozzle 92A for sprayin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40 is discharged to the inclined plate 91 by the nozzle 92A, so that the water is sprea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pper body 10A along the inclined plate 91, whereby water Spread evenly across the filter.

또는 상기 물분산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A)의 상면을 덮는 만곡된 형상의 덮개(93)와, 이 덮개(93)의 저면 만곡면(93A)을 향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9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수관(40)을 통해 토출된 물이 노즐(92B)에 의해 만곡면(93A)을 향하여 상향 분사되고, 분사된 물은 덮개(93) 저면의 만곡면(93A)을 따라 흐르게 되며, 이에 의하여 물이 필터(30) 전체에 걸쳐 골고루 공급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the water dispersing means includes a cover 93 having a curved shap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A, and water toward the bottom curved surface 93A of the cover 93. It may consist of a nozzle 92B to be injected. By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40 is sprayed upward toward the curved surface 93A by the nozzle 92B, and the sprayed water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93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93. Thus, water is evenly supplied throughout the filter 30.

아울러, 상기 물분산수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A)의 상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분사관(9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수관(40)을 통해 토출된 물이 분사관(94)의 상부 양측으로 흘러 넘쳐 필터(30)에 분산 공급된다.In addition, the water dispersing means, as shown in Figure 10, it may be made of a semi-circular injection tube 94 of the upper portion is opened horizontally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A). By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40 flows to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injection pipe 94 and is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filter 30.

이때 분사관(94)에 남아 있는 물을 비울 수 있도록 분사관(94)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본체(10)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회전 손잡이(94A)를 분사관(94)과 일체로 형성하고, 이 회전 손잡이(94A)를 고정하는 고정턱(94B)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고정턱(94B)은 상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하여 분사관(94)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rotating the injection pipe 94 to empty the water remaining in the injection pipe 94. This is achieved by the fixing jaw 94B which integrally forms the rotary handle 94A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injection pipe 94 and fixes the rotary handle 94A.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xing jaw (94B)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cut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30 by allowing the injection pipe 94 to be attached and detached.

여기서 상기 분사관(94)을 따라 유입된 물이 펌프(50)의 압력에 의해 본체(10) 외부로 튈 수 있으므로 덮개(93)로 본체(10) 상부를 덮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water introduced along the injection pipe 9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pressure of the pump 50,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cover 9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물분산수단을 이용하여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필터(30)에 공급함으로써 필터(30)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30 can be effectively used by dispers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evenly by using the water dispersing means to supply the filter 30.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는, 본체(10), 고정수단(20), 필터(30) 및 펌프(50)로 구성되고, 흡입관(60)과 확관부(7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 고정수단(20), 필터(30), 흡입관(60) 및 확관부(7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10, the fixing means 20, the filter 30 and the pump 50,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7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 the fixing means 20, the filter 30,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70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50)의 토출구(53)는, 펌프(50)로부터 토출된 물을 본체(10)를 향해 분사하는 노즐(9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53)가 노즐(92)에 연결되지 않고, 직접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discharge port 53 of the pump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nozzle 92 that spray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50 toward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 53 may not be connected to the nozzle 92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directly.

그리고 상기 토출구(53)가 노즐(92)에 대해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펌프(50)의 흡입구(51)는 임의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51)는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s the discharge port 5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nozzle 92, the suction port 51 of the pump 50 may be disposed to face an arbitrary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suction port 51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or as shown in FIG. 13A, may be disposed to face downward.

이때 상기 흡입구(51)에는 상기 흡입관(60)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101)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101)은 상기 흡입관(60)과 확관부(70)를 수족관(1)의 각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ction port 51 may be equipped with a connection pipe 101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6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ipe 101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portion 70 can be cleaned while moving to each point of the aquarium (1).

또한 상기 흡입구(51)에는, 도 13의 (b) 및 (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상어의 진입이 방지되도록 관상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다수의 관통공(5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51)를 통하여 물의 유입은 가능하지만, 수족관(1)에서 유영하는 관상어의 진입은 불가능하다. 이는 상기 흡입구(51)에 연결관(101)이나 흡입관(60)을 연결하지 않고 수족관(1)의 수중에 배치하여, 상기 흡입구(51)로 수족관(1)의 물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수족관에 떠 다니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and (c) of FIG. 13, the suction port 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a which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ubular shark to prevent entry of the tubular shark. Therefore, although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51, it is impossible to enter the ornamental fish swimming in the aquarium 1. This is arranged in the water of the aquarium 1 without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101 or the suction pipe 60 to the suction port 51, so that the water of the aquarium 1 flows into the suction port 51 to float in the aquarium. This is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that carry.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20)은, 상기 본체(10)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위에 배치되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게 수족관(1)의 벽체(2)와의 고정지점을 변경할 수 있는 흡착판(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은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면 흡착판(22)이 아닌, 다른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0 is disposed on the water surface as shown in Figure 14, or as shown in Figure 15 the aquarium (1) so that a part can be submerged in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late 22 is made of a suction plate 22 which can change the fixed point with the wall 2.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20 can be replaced by a different configuration than the suction plate 22 if the fixing position can be changed.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0)의 흡입구(51)에 연결관(101)과 흡입관(60) 및 확관부(70)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수족관 바닥의 모래(3)를 청소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흡착판(22)에 의해 수면 위에서 수족관(1)의 벽체(2)에 고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51 of the pump 50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101,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70 in order. The sand 3 at the bottom of the aquarium can be clea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ample.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wall 2 of the aquarium 1 by the suction plate 22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수족관(1)의 물에 이물질이 떠 다님으로써 수질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0)의 흡입구(51)만이 물에 잠겨지도록 하여 상기 흡입구(51)의 관통공(51a)을 통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흡입구(51)가 물에 잠기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일부도 물에 잠겨지게 수족관(1)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water purification is necessary because foreign matter floats in the water of the aquarium 1, as shown in FIG. 15, only the suction port 51 of the pump 50 is immersed in water so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suction port 51 The water of the aquarium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51a.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main body 10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aquarium 1 so that the suction port 51 is submerged in water.

이 경우 본체(10)의 위치는 도 14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는 고정수단(20)이 흡착판(22)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흡착판(22)은 물에 잠겨진 상태에서는 흡착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상기 흡착판(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면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착판(22)이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should be change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4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5, which is possible because the fixing means 20 consists of the adsorption plate 22. However, since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22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ate of being submerged in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dsorption plate 22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adsorption plates 22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4실시예에 대해 도 16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 embodiments.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측면에 보조케이스(13)가 장착되고, 상기 보조케이스(13)에는 펌프(5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케이스(13)의 일측은 상기 펌프(50)의 흡입구(5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부 절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51)에는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연결관(101)과 흡입관(60) 및 확관부(60)가 순서대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case 13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pump 5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case (13). And one side of the auxiliary case 13 is partially cut so that the suction port 51 of the pump 50 can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rt 101,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60 as i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51 in order.

또한 상기 펌프(50)의 토출구(52)는 펌프(50)의 상부에 구비되어 길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필터(30)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상기 토출구(52)에는 물분산수단이 마련된다. 이때의 물분산수단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으로 상기 토출구(52)와 절곡관(96)으로 연결되고, 하측으로 다 수의 배수공(95A)이 형성된 분사관(9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관(95)의 타측은 폐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97)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52 of the pump 5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50 extends for a long time. At this time, 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52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2 is evenly sprayed to the filter 3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dispersing means at this time may be any one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2 and the bent pipe 96 to one side, a plurality of drain holes to the lower side It consists of the injection pipe 95 in which 95A wa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injection pipe 95 may be closed, as shown, may be made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topper (97).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물분산수단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유사하고, 펌프(50)가 본체(10)에 고정되고 펌프(50)의 흡입구(51)에 유연한 재질의 연결관(101)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3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관(101)을 이용하여 수족관 내에서 흡입관(60)과 확관부(7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수족관을 청소할 수 있고, 물분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필터(30)에 고르게 물을 분산시켜 필터링할 수 있으며, 펌프(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펌프(50)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펌프(5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필요없게 된다.This embodimen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embodiment, but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water dispersing means, and the pump 5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inlet port of the pump 50 51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flexible connection pipe 101 is mount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pipe 60 and the expansion pipe 70 can be moved freely in the aquarium by using the connecting pipe 101, and the aquarium can be cleaned. 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in the filter 30 is evenly distributed. It can be filtered by dispersing, and because the pump 50 is fixed, not only does not need to work while holding the pump 50, but also does not need a handle for holding the pump 50.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확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제2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form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14 and 1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example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청소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quari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저면 및 측벽 하부에 각각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본체;A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and the sidewalls, respectively; 수족관에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Fixing means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aquarium;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측에 안치되는 필터; 및A filter placed inside the main body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aquarium; And 수족관에 저수된 물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상기 본체로 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nd a pump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aquarium,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펌프로의 관상어의 진입이 방지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suction port, the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prevent entry of the ornamental fish into the pum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프의 흡입력을 통해 수족관 바닥의 모래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하단에 확관 연결되는 확관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pipe moun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and the expans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ipe to suck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and of the aquarium bottom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확관부의 하단에는, 상기 확관부의 하단이 상기 펌프의 흡입력으로 인해 수족관의 벽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관부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부착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ipe, the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expansion pipe is formed by the attachment preventing portion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pipe to prevent it from being attached to the wall of the aquarium 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흡입관 사이에는, 흡입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다수의 연결관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is sel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of the pump.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흡입관 사이에는, 흡입관과 확관부가 수족관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와 흡입관을 연결하는 연성재질의 연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a flexible material connecting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ipe so that the suction pipe and the expansion pipe can be moved freely in the aquariu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펌프에 마련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pump.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손잡이 또는 펌프에는 펌프의 작동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or the pump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ON / OFF) operation of the pum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수단은 수족관의 상단에 걸리도록 본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fixing means is an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to be caught on the top of the aquariu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수단은 수족관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도록 본체의 측면 외부에 부착된 다수의 흡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fixing means is an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body to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aquarium.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본체 내로 공급되는 물을 필터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물분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dispersion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evenly distribute the water supplied into the main body throughout the filt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물분산수단은 상부본체의 내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an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nozzle for injecting water toward the inclined plate formed on the inner wall edge portion of the upper body.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물분산수단은 상부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저면을 향 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an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a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bottom of the cover.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물분산수단은 상부본체의 상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반원형의 분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청소기.The water dispersing means is an aquari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circular injection pipe horizontally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KR2020080013797U 2008-08-08 2008-10-16 Water cleaner for aquarium KR2010000176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97U KR20100001769U (en) 2008-08-08 2008-10-16 Water cleaner for aquar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87 2008-08-08
KR2020080013797U KR20100001769U (en) 2008-08-08 2008-10-16 Water cleaner for aquar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69U true KR20100001769U (en) 2010-02-18

Family

ID=4444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797U KR20100001769U (en) 2008-08-08 2008-10-16 Water cleaner for aquar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6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489B1 (en)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JP2585671Y2 (en) Ornamental fish tank filtration device
JP2004350675A (en) Water tank filter and water tank purifier
KR101068556B1 (en) Apparatus for Claritying Raw Water and An Aquarium using thereof
US5199378A (en) Aquarium filtering system and method
KR100761415B1 (en) Aquatic plant for inhabitation of microbes
KR20100001769U (en) Water cleaner for aquarium
JP2009050249A (en) Aquarium with sloped bottom and provided with drainage system
KR100973773B1 (en) The waste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and aquarium
KR200405810Y1 (en) Pump for Removing an Impurity of Fishing Port
JP6701594B1 (en) Siphon type underwater cleaning equipment
KR200438712Y1 (en) Purification system of seawater for cistern
KR102149691B1 (en) Device For Capturing Impurity In The Aquarium
KR101162249B1 (en) Cleaning apparaus for bottom of an aquarium
KR20180012944A (en) Purifier of saltwater tank
JP3178379U (en) Aquarium purification equipment
WO2010016639A1 (en) Water cleaner for aquarium
JPH04222532A (en) Fish and shellfish-rearing water tank provided with precipitated dust-eleminating function
KR200344519Y1 (en) Ejection removal apparatus of a cistern
JP2541370B2 (en) Aquarium purification equipment
JP2012196166A (en) Siphon pump
CN216452738U (en) Fish tank filter and fish tank
CN216906475U (en) Forced pollution discharge structure of fish tank and fish tank
KR20120118177A (en) Aquatic plant
CN113951207B (en) Fish tank water treatment device and fish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