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489B1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Google Patents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6489B1 KR101416489B1 KR1020120127539A KR20120127539A KR101416489B1 KR 101416489 B1 KR101416489 B1 KR 101416489B1 KR 1020120127539 A KR1020120127539 A KR 1020120127539A KR 20120127539 A KR20120127539 A KR 20120127539A KR 101416489 B1 KR101416489 B1 KR 101416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water
- filtration tank
- inlet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유입구와 배수구를 구비하는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메인 여과조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 침전조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수용된 여과필터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 구비된 배수관과 연결된 펌프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보조 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여과조는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격판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막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빼낼 경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빼냄으로써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 및 소일에 식재된 자연수초의 초기셋팅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조 내부에 물을 채울 경우 상기 침전조에 공급된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에 스며들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 메인 여과조에는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quarium comprising a water tank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main filtration tan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water tank, A main filter installed in the main filtration tank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provided in the main filter, a main filter installed in the main filter, A pump and an auxiliary filtration tan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wherein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let,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along the plate, And a filter positioned above the inlet so as not to block the inlet, so that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taken out, water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tank through the inlet hole, The initial setting of a natural aqueduct planted on the soil and the soi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can be maintained, and whe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water supplied to the settling tank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hrough the inflow hole And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are formed in the main filtration tank,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being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ain filtration tank, respectively, so that dust is not generated from the sludge And the partition walls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iltration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go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연수초로 꾸며진 수족관의 판매 및 이동이 용이하고, 수족관의 내부에서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물갈이 및 여과조를 청소할 수 있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that is easy to sell and move, and that can clean an aquarium and a filtration tank without giving stress to an aquarium that is being raised inside an aquari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capable of absorbing water.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수서생물을 사육하여, 그 상태를 외부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공공장소의 옥내 및 일반 가정의 실내에 설치되어 장식 효과와 함께 관상용으로 활용한다.Generally, an aquarium is a kind of aquarium living creature that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It is installed indoors in a public place and indoor of a general home, and i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with decoration effect.
특히, 수족관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여 실내습도를 일정수준까지 유지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거실이나 안방에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when an aquarium is installed indoors, the indoor humidity can be maintained to a certain level by supplying moisture to the room, and therefore, it is installed in a living room or a public room in most homes.
수족관에서 사육할 수 있는 생물로는 금붕어나 열대어와 같은 관상어를 비롯하여, 청거북이나 자라와 같은 파충류, 새우나 게와 같은 갑각류 등 광범위한 생물의 사육이 가능한데 그 중에서도 관상어를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수족관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영양분이 함유된 소일에 자연수초가 식재되어 있다.Aquarium animals can be reared, such as goldfish, tropical fish, such as aquarium fish, reptiles such as bluebirds and jara, crustaceans such as shrimp and crabs are able to breed a wide range of animals, among them the most are being raised, Natural aquatic plants are planted in the soil containing nutrients on the inner bottom of the aquarium.
그러나, 종래의 수족관은 오랜시간이 지나면, 관상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이들이 먹다 남긴 먹이 등이 수족관 바닥에 쌓이거나 수족관에 담겨진 물위에 부유함에 따라 수족관이 오염되며, 이를 제거할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물갈이를 실시하는데, 이 경우, 바가지와 같은 별도의 용기나 호스를 사용하여 수족관 내부의 오염된 물을 퍼낸 다음 수족관을 청소한 후에 새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수족관 내부에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나 기타 생물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aquarium, after a long time, contaminants discharged from aquarium fish and their food are accumulated on the floor of the aquarium or floated 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arium, so that the aquarium is contaminated. In this case, the contaminated water inside the aquarium is poured using a separate container or hose such as a barb, and then the water is supplied after the aquarium is cleaned. Thus, the operation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gives a lot of stress to other organisms.
또한, 수족관의 내부에 물을 채울 때 소일로부터 많은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water is filled in the aquarium, much dust is generated from the soil.
아울러, 종래의 수족관은 내부에 자연수초가 소일에 식재되어 있는 경우 수족관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빼낼 수 없기 때문에 자연수초가 세팅된 상태로 판매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natural aquatic plant is planted in a soil in a conventional aquarium,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can not be completely remov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atural aquatic plant is set and sold and mov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 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나 기타 생물에게 스트레스트를 주지 않고 손쉽게 수조 내의 물을 교체하거나 여과조를 청소할 수 있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quarium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capable of easily replacing water in a water tank or cleaning a filtration tank without giving stress to an ornamental fish or other creature .
이와 더불어, 물 교체 후 수조의 내부에 물을 채울 때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capable of preventing dust from being generated from the soi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after water replacement.
또한, 자연수초가 세팅된 수족관을 판매 및 이동할 수 있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quarium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capable of selling and moving an aquarium set with a natural aquatic plant.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유입구와 배수구를 구비하는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메인 여과조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 침전조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수용된 여과필터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 구비된 배수관과 연결된 펌프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보조 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여과조는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격판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막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빼낼 경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빼냄으로써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 및 소일에 식재된 자연수초의 초기셋팅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조 내부에 물을 채울 경우 상기 침전조에 공급된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에 스며들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 메인 여과조에는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water tank having an opened top surface; a main filtration tan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water tank and partitioned by a diaphragm having an inlet port and a drain port; A sedimentation tank partitioned by a separation plate installed in the main filtration tank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a filtration filter accommodated in the main filtration tank, and a filte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main filtration tank, A pump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nd an auxiliary filtration tan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wherein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let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lter positioned above the inlet so as not to block the inlet, so that when water is taken out of the water tank,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tank through the inlet hole The initial setting of the natural aqueduct planted in the soil and the soi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can be maintained, and when the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supplied to the settling tank passes through the inflow hole, And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ain filtration tank, so that dust is not generated from the sludge, And the partitio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iltration tank It provides an aquarium compris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claim.
삭제delete
상기 메인 여과조는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iltration tank is formed with a first filtration tank and a second filtration tank which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ain filtration tank and the partition walls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iltration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상기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물통수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of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filtration tank are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holes.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여과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격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space part is formed by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water tank, and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t least one space par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ort .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여과조로부터 여과된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에 공급하는 공급관이 상기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공급관은 일단이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iltered from the main filtration tank to the at least one space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late and one end of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pump by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
상기 보조 여과조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소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ol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ub.
상기 격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유막제거구가 결합되고, 상기 유막제거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개의 홀이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il film removing port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the oil film removing port is formed of a body portion, a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of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조 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나 기타 생물에게 스트레스트를 주지 않고 손쉽게 수조 내의 물을 교체하거나 여과조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or to clean the filtration tank without giving stress to the ornamental fish or other organisms being raised in the water tank.
이와 더불어, 물 교체 후 수조의 내부에 물을 채울 때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du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from the soil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after water replacement.
또한, 자연수초가 세팅된 수족관을 판매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elling and moving an aquarium set with a natural aquatic pl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II-II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용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II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II shown in Fig.
9 is a plan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use state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quarium with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quarium with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lan view of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은 수조(100), 메인 여과조(120), 여과필터(130), 침전조(140), 펌프(150), 보조 여과조(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the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수조(100)는 관상용 어류들이 충분히 생활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정사각형 및 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도를 갖는 플라스틱이나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수조(100)의 바닥면에는 영양분이 함유된 소일과, 소일에 식재되는 자연수초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a soil containing nutrients and a natural aquatic plant cultivated in the soil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메인 여과조(120)는 수조(10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유입구(112)와 배수구(114)를 구비하는 격판(110)에 의해 구획된다.The
또한, 격판(110)의 상부 일측 즉, 유입구(112)의 상측에는 유막제거구(11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유막제거구(118)는 수조(1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표면에 부유하는 기름끼 또는 사료찌꺼기 등이 후술하는 침전조(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n
이러한, 유막제거구(118)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8a)와, 몸체부(118a)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부(118b)로 이루어지고, 결합부(118b)에는 복수개의 홀(118c)이 형성된다.The
유입구(112)는 수조(100) 내부의 물이 메인 여과조(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격판(110)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배수구(114)는 메인 여과조(120)에 여과된 물이 수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격판(110)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The
여기서, 메인 여과조(120)의 내부에는 메인 여과조(12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격벽(120a)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여과조(122)와 제2 여과조(124)가 형성된다.A
이때, 격벽(120a)은 메인 여과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는 제1 여과조(122)에서 여과된 물이 제2 여과조(124)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제1 여과조(122)와 제2 여과조(124)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물통수공(128a)이 형성된 바닥판(128)이 마련되고, 바닥판(128)은 제1 여과조(122)에서 여과된 물이 제1 여과조(1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필터(130)에 의해 제2 여과조(124)로 공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A
여기서, 제1 여과조(122)와 제2 여과조(124)에 수용되는 여과필터(130)는 스폰지, 항균사와 같은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제1 여과조(122)와 제2 여과조(124) 중 어느 하나에는 활성탄이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여과조(122)에는 스폰지, 항균사와 같은 필터가 수용되고, 제2 여과조(124)에는 활성탄이 수용된다.Activated carbon may be contained in any one of the
침전조(140)는 격판(122)에 형성된 유입구(112)와 연통되도록, 메인 여과조(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판(126)에 의해 구획된다.The
이러한, 침전조(140)는 유입구(112)를 통해 침전조(140)로 유입되는 수조(100) 내부의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조의 내부에서 사육되는 관상어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메인 여과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아울러, 수조(100) 내부의 물을 물갈이하고자 할 경우 침전조(140)를 통해 수조(100) 내부의 물을 빼낸 후, 침전조(140)를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써 수조(100)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water inside the
펌프(150)는 메인 여과조(120)의 내부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제2 여과조(124)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제2 여과조(124)에서 여과된 물을 수조(100)로 공급한다.The
이때, 펌프(150)는 격판(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14)에 구비된 배수관(114a)과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배수관(114a)은 종래에 레인바나 벤츄리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오리주둥이가 사용되었으나, 종래의 배수관은 소음이 매우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관(114a)은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배출공(114b)이 형성된다. The
보조 여과조(160)는 유입구(112)와 연통되도록 격판(110)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며, 수조(100)의 내부에서 사육되는 관상어가 유입구(112)를 통해 침전조(14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입구(112)를 통해 침전조(140)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여과한다.The
이러한, 보조 여과조(160)는 격판(110)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유입구(112)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162)와, 플레이트(162)와 격판(110)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필터(164)는 격판(110)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막지 않도록 유입구(112)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플레이트(162)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유입공(162a)이 형성되는데, 이 유입공(162a)은 수조(100)의 물을 물갈이할 때 수조(100) 내부의 물이 유입공(162a)을 통해 침전조(140)로 유입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격판(11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62)는 수조(100)의 바닥면에 소일이 마련되었을 경우에는 격판(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격판(1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이와 반대로, 수조(100)의 바닥면에 소일이 마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격판(110)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II-II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quarium with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quarium with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은 수조(100)의 내부에 사육되는 관상어의 어미가 낳은 새끼가 어미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방지하는 브리딩 수조와 관련된다.Here, the aquarium with th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breeding tank that prevents the mother of the ornamental fish raised in the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과 대동소이하며, 수조(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102)가 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104)에 의해 형성되고, 구획판(104)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102)가 격판(110)에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112)와 연통되도록 격판(11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 여과조(160)가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6 to 10,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he
이때, 보조 여과조(160)의 플레이트(162)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공(162a)은 구획판(10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02)의 대응하여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또한, 격판(110)의 상부에는 메인 여과조(120)로부터 여과된 물을 구획판(104)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10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관(116)이 격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The
이때, 공급관(116)은 일단이 격판(110)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형성된 배수구(114)에 삽입되어 펌프(150)와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quarium having th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수조(100) 내부의 물이 보조 여과조(160)를 통해 여과된 후 유입구(112)를 통해 침전조(140)로 공급된다.First, the water in the
침전조(140)로 공급된 물은 제1 여과조(122)로 공급되어 여과된 후 제2 여과조(124)로 공급되어 최종 여과된 후, 펌프(150)의 구동에 의해 격판(110)에 형성된 배수구(114)에 결합된 배수관(114a)을 통해 수조(100)의 내부로 공급된다.The water supplied to the
아울러, 수족관을 판매 및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이펀(siphon)을 이용하여 침전조(140)로부터 물을 빼내게 되면 수조(1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보조 여과조(160)의 플레이트(162)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공(162a)을 통해 침전조(140)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수조(100)의 채워진 물을 완전히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수조(100)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 및 소일에 식재된 자연수초의 초기 셋팅이 유지된 상태로 판매 및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sires to sell and move the aquarium, when the user drains water from the
이후,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바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침전조(140)에 공급함으로써 침전조(140)에 공급된 물이 보조 여과조(160)의 플레이트(162)에 형성된 유입공(162a)을 통해 수조(100)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에 스며들면서 천천이 수조(100)의 내부에 채워지기 때문에 수조(100)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water is to be filled in the
또한, 수조(1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교체하거나 메인 여과조(120)를 청소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이펀(siphon)을 이용해 침전조(140) 내부의 물을 분리판(126)의 높이까지 빼내게 되면 메인 여과조(120)와 수조(100)의 물이 자연스럽게 분리되기 때문에 수조(100)의 내부에서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 등이 물갈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서 메인 여과조(12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fill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은 수조 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나 기타 생물에게 스트레스트를 주지 않고 손쉽게 수조 내의 물을 교체하거나 여과조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quarium having th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or clean the filtration tank without giving stress to the ornamental fish or other creatures being raised in the water tank.
이와 더불어, 물 교체 후 수조의 내부에 물을 채울 때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du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from the soil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after water replacement.
또한, 자연수초가 세팅된 수족관을 판매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elling and moving an aquarium set with a natural aquatic plan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수조 128a: 물통수공
102: 공간부 130: 여과필터
104: 구획판 140: 침전조
110: 격판 150: 펌프
112: 유입구 160: 보조 여과조
114: 배수구 162: 플레이트
114a: 배수관 162a: 유입공
114b: 배출공 164: 필터
116: 공급관
118: 유막제거구
118a: 몸체부
118b: 결합부
118c: 홀
120: 메인 여과조
120a: 격벽
122: 제1 여과조
124: 제2 여과조
126: 분리판
128: 바닥판100:
102: space part 130: filtration filter
104: partition plate 140: settling tank
110: diaphragm 150: pump
112: inlet port 160: auxiliary filtration tank
114: Drain 162: Plate
114a:
114b: exhaust hole 164: filter
116: Supply pipe
118: Film remover
118a:
118b:
118c: hole
120: main filtration tank
120a:
122: first filtration tank
124: Second filtration tank
126: separation plate
128: bottom plate
Claims (8)
상기 수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유입구와 배수구를 구비하는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메인 여과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 침전조;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에 수용된 여과필터;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 구비된 배수관과 연결된 펌프;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보조 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여과조는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격판 사이에 상기 유입구를 막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빼낼 경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빼냄으로써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 및 소일에 식재된 자연수초의 초기셋팅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조 내부에 물을 채울 경우 상기 침전조에 공급된 물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소일에 스며들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소일로부터 분진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 메인 여과조에는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 여과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A water tank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main filtration tank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water tank and partitioned by a diaphragm having an inlet and a drain;
A sedimentation tank partitioned by a separa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main filtration tank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A filtration filter accommodated in the main filtration tank;
A pump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main filtration tank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provided in the drain pipe; And
And an auxiliary filtration tan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Wherein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has a pl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lower side of the diaphragm and spaced apart from the in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lter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is taken ou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ettling tank through the inflow hole and removed so that the initial setting of the natural aquatic plants planted in the soil and the soi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maintained Whe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supplied to the settling tank permeates through the inflow hole to the soil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o fill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so that dust is not generated from the soil and,
Wherein the main filt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first filtration tank and a second filtration tank which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ain filtration tank,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filtration tan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 여과조와 제2 여과조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물통수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of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filtration tank are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holes.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여과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격판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pace part is formed inside the water tub by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at least one space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let.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여과조로부터 여과된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에 공급하는 공급관이 상기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공급관은 일단이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The method of claim 5,
A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iltered from the main filtration tank to the at least one space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Wherein one end of the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nd connected to the pump.
상기 보조 여과조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소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auxiliary filtration tank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sail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상기 격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유막제거구가 결합되고, 상기 유막제거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개의 홀이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il film removing port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the oil film removing port comprises a body portion, a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of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539A KR101416489B1 (en) | 2012-11-12 | 2012-11-12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539A KR101416489B1 (en) | 2012-11-12 | 2012-11-12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585A KR20140061585A (en) | 2014-05-22 |
KR101416489B1 true KR101416489B1 (en) | 2014-07-10 |
Family
ID=508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75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489B1 (en) | 2012-11-12 | 2012-11-12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648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424A (en) | 2016-11-29 | 2018-06-07 | 김운용 |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tank of aquarium fish |
KR20190001235U (en) * | 2017-11-17 | 2019-05-27 | 심규운 | Base Module Apparatus For assembling Aquatic Plant and Aquarium utilizing therewit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72419B (en) * | 2015-01-09 | 2016-11-16 | 上海海洋大学 | Integrated Aquatic Biological Recirculation Breeding System |
CN107296084A (en) * | 2017-06-05 | 2017-10-27 | 柳州市聚湖饮品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filling wetting system of removal of impurities |
CN108812458B (en) * | 2018-07-12 | 2020-10-02 |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 Factory winter stage dormancy culture system and culture method for turbots in cold regions |
CN108812457B (en) * | 2018-07-12 | 2020-10-02 |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 Factory low-temperature and low-consumption culture system and method for cynoglossus semilaevis in winter |
KR102244541B1 (en) * | 2019-02-01 | 2021-04-26 | 심규운 | Fish tank |
KR102433262B1 (en) * | 2020-08-27 | 2022-08-16 | 변상훈 | Aquari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9490A (en) * | 1996-09-09 | 2001-04-06 | 다카다 슈운수케 | Filtration device for tank water for acquarium fish |
JP2007068455A (en) | 2005-09-06 | 2007-03-22 | Ryoshi Yamazaki | Ornamental aquarium |
JP3146088U (en) * | 2007-08-31 | 2008-11-06 | 丁紹傑 | Breeding tank equipment |
KR20110005099A (en) * | 2009-07-09 | 2011-01-17 | 심규운 | Aquarium with multiple filtration tanks |
-
2012
- 2012-11-12 KR KR1020120127539A patent/KR1014164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9490A (en) * | 1996-09-09 | 2001-04-06 | 다카다 슈운수케 | Filtration device for tank water for acquarium fish |
JP2007068455A (en) | 2005-09-06 | 2007-03-22 | Ryoshi Yamazaki | Ornamental aquarium |
JP3146088U (en) * | 2007-08-31 | 2008-11-06 | 丁紹傑 | Breeding tank equipment |
KR20110005099A (en) * | 2009-07-09 | 2011-01-17 | 심규운 | Aquarium with multiple filtration tank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424A (en) | 2016-11-29 | 2018-06-07 | 김운용 |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tank of aquarium fish |
KR20190001235U (en) * | 2017-11-17 | 2019-05-27 | 심규운 | Base Module Apparatus For assembling Aquatic Plant and Aquarium utilizing therewith |
KR200491411Y1 (en) * | 2017-11-17 | 2020-04-03 | 심규운 | Base Module Apparatus For assembling Aquatic Plant and Aquarium utilizing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585A (en) | 2014-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6489B1 (en)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
JP6433526B2 (en) | Fish bowl for bottom-ejecting living box | |
US7934471B2 (en) | Vivarium and filtration system | |
CN204070180U (en) | A kind of cycle water fiberglass aquarium system | |
KR101483606B1 (en) | Apartment-style three-dimensional multi-layer Aqua tank | |
KR101068556B1 (en)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
JP2003236317A (en) | Aquarium cleaning system | |
US9155288B1 (en) | Fish tank with a function of discharging waste water from a bottom thereof | |
KR20150001800U (en) | For Aquarium Floating Debris Water Purifier | |
KR101986795B1 (en) | a eco-friendly ecotarium | |
JP6087031B2 (en) | Multi-layer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 |
KR101777675B1 (en) | System for culturing sea cucumber | |
KR200468432Y1 (en) | Easy fishbowl drainage | |
KR101718360B1 (en) | Cleaning system for aquarium | |
KR100791056B1 (en) | Debris Removal Device for Aquariums | |
JP2009060892A (en) | Aquatic larva breeder | |
JP2003145187A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 |
CN109392808B (en) | Garden type aquarium filtering fish tank | |
KR20060083271A (en) | Shrimp Farm | |
CN216821320U (en) | A three-dimensional land-based aquaculture system | |
KR20110033580A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Natural Ecological Garden | |
CN211703333U (en) | Fish bowl does not have overflow filtration system | |
CN218218809U (en) | Automatic blowdown aquaculture device | |
KR200327120Y1 (en) | An aquarium of cycling filtration | |
CN113455447B (en) | Biological cultivation water t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