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556B1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8556B1 KR101068556B1 KR1020080134855A KR20080134855A KR101068556B1 KR 101068556 B1 KR101068556 B1 KR 101068556B1 KR 1020080134855 A KR1020080134855 A KR 1020080134855A KR 20080134855 A KR20080134855 A KR 20080134855A KR 101068556 B1 KR101068556 B1 KR 101068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case
- aquarium
- filter
- purify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223 garn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48470 aerobic 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이면서 수조케이스의 내부 청소 등과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저수가능하고 수중생물을 담을 수 있는 통 형태로 된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된 수조케이스와, 지면에 가까운 상기 수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를 포함하는 수족관 내에 구비되어 저수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수단과, 상기 수조케이스 내의 물속이나 물 표면상에 혼재하여 부유하는 저비중(低比重)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수단과, 상기 정수처리수단을 거쳐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정수되는 물을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수족관용 정수장치를 제공한다.A water tank case formed in one or multiple stages in the form of a tub that can hold water and aquatic organisms,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ouble such as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case whil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treatment in real time, and the ground It is installed in the aquarium close to the water tank is provided in the aquarium including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space to the top and bottom to purify the water is stored,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is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tank case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filth of c),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for removing low-density foreign matter mixed in water o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tank case, and a water tank case through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Circulation that circulates purified water to the upper space of the tank case while moving to the lower space of the tank It provides a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n aquarium comprising a feeding means.
수족관, 여과, 필터, 정수, 정화, 강제순환, 모터펌프, 어항, 수조, 청소 Aquarium, Filtration, Filter, Water Purification, Purification, Forced Circulation, Motor Pump, Fish Tank, Water Tank, Clea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케이스 속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과, 수조케이스의 물속이나 물 표면상에 혼재하여 부유하는 저비중(低比重)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실시간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이면서 수조케이스의 내부 청소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means for purifying high-density dirt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tank case, and on the water or the surface of the tank cas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aquarium that can remove the trouble such as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case while increasing the real-time water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by separately providing the means for removing the mixed low floating specific gravity. It relates to an aquariu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학교나 병원과 같은 공공시설 또는, 관상어 판매점 등에서는 실내환경을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한다거나 수중생물의 생기를 지속시키면서 전시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어항이나 수족관을 설치하여 사용한다.Generally,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homes, offices, restaurants, schools, hospitals, or retail fish stores, various types of fish tanks and aquariums are installed to create an indoor environment in a natural environment or to enhance the exhibition effect while maintaining the aquatic life. use.
그러나 종래 수족관은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중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청소를 해야하고, 이러한 청소는 매번 수조 내에 담긴 물을 완전히 갈아야 하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여과를 위한 필터 재를 모두 다 들어낸 후 각각의 필터재를 층별로 다시 설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유발된다.However, conventional aquariums must be clean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maintain an aquatic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aquatic environment of the aquatic life, and this cleaning requires a complete chang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each time, resulting in unnecessary waste of water and filter material for filtration. After lifting all of them, it is troublesome to reset each filter material by lay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2007.12.17.)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2008.06.05.)와 같은 기술들을 들 수 있다.As the prior art discl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iques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299 (December 17, 2007)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44553 (2008.06.05.) Can be.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는 활어수족관 내부의 각종 어패류에서 발생하는 노폐물 등에 의해 오염된 용수를 뽑아 정화 및 살균시킨 후 수족관 속으로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299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live fish aquariums, which can be supplied to an aquarium after extracting, purifying and sterilizing water contaminated by waste products generated from various fish and shellfish inside the live fish aquarium.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는 모터를 이용하여 모래속 분비물을 끌어올린 다음 외부의 청소기로 이동시켜 소정의 필터로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본래의 수조 속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족관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And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44553 is an aquarium cleaner that is configured to lift the secretion in the sand by using a motor and then move it to an external cleaner to filter out the debris by a predetermined filter and send it back to the original tank. It is about.
상기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는 양자 모두 수족관의 수조와는 별도로 구비하여 청소시마다 매번 설치하여 사용한 후 철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 된다.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299 and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44553 are both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quarium's water tank, and have to be installed and removed every time after cleaning, and thus, the need for dismantling occurs.
또,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수조와의 연계구조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더라도 전반적인 수조의 설치상태가 번잡하게 되므로 외형적 미감은 저하되고 관상용 수족관 또는 영업용 활어수족관의 전시효과는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manufacturing difficulties arise from the complex configuration, and even if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tank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the overall installation state of the tank becomes complicated, so the aesthetic appearance is reduced, and the exhibition effect of the ornamental aquarium or the commercial fish aquarium is Will fall.
나아가,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의 경우, 양자 모두 수조 속 용수를 밖으로 빼낸 뒤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용수의 순환이 전적으로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전력의 소비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299 and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44553, both are made to take out the water in the tank to perform a predetermined treatment process, and the circulation of the water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power of the motor. Because it is made only by the power consumption has a problem such as inevitably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조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 상에 정수 및 정화를 위한 소정의 필터링 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수중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수질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각종 오물을 실시간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by providing predetermined filtering means for water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on a partition plate for dividing an internal space of a water tank case,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aquatic organisms. Of cour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removing various soils in real time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 상에 구비되는 필터링을 위한 정수처리부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하여 수조케이스의 내부 청소나 필터교체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for filtering provided on the partition plate for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cleaning the tank case or filter replacement and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n aquari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케이스 속 물의 정제 및 재생을 위한 계통과 수중 오물제거를 위한 계통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실시간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an aquarium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each having a separate system for purifying and regenerating water in a water tank case and a system for removing soil sewage, respectively, to increase real-time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It is for.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용 정수장치는 저수가능하고 수중생물을 담을 수 있는 통 형태로 된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된 수조케이스와, 지면에 가까운 상기 수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를 포함하는 수족관 내에 구비되어 저수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수장치는 적어도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quarium water purify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case formed in one or multiple stages in the form of a tub that can hold aquatic organisms, and a partition plate installed inside the tank case close to the ground to divide the space up and down In order to purify the water is stored in the aquarium comprising a, the water purify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high-density (high weight) dirt that is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tank case.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용 정수장치를 이용한 수족관은 저수가능하고 수중생물을 담을 수 있는 통 형태로 된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된 수조케이스와, 지면에 가까운 상기 수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와, 상기 수조케이스의 내부에 저수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수단과, 상기 수조케이스 내의 물속이나 물 표면상에 혼재하여 부유하는 저비중(低比重)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수단과, 상기 정수처리수단을 거쳐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정수되는 물을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quarium using the water purifying device for the aquariu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torage case formed in one or multiple stages in the form of a barrel that can hold water and aquatic organisms, and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case close to the ground space up and down And a separator for dividing the water, and a water purifying device for purif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ase, wherein the water purifying device is purified for purifying high-density dirt that is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case. Means, and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f low specific gravity mixed in the water o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tank case, and purified while moving to the lower space of the tank case through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It includes a circulation supply means for circulating the water to the upper space of the tank case.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격판분리대에 설치되며 깔대기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흡입부재와, 상기 수조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정화필터를 함입하며 상기 수조케이스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의 오물을 여과시키는 오물여과부재와, 상기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상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부재 및 오물여과부재를 연결하는 인계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모터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urify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diaphragm and has at least one suction member having a funnel or pyramid shape, a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nk case and incorporates a purifying filter therein to settle the bottom of the tank case. And a first motor pump disposed between the filtration member for filtering the filtration member and a takeover pipe for connecting the suction member and the filtration member.
상기 오물여과부재는 나사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자유로운 여과커버 및 여과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모터펌프의 인계배관은 상기 여과본체의 측면 또는 상기 여과커버의 상면으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The dirt filtration member may be composed of a filter cover and a filter body freely coupled or separated by a screw type, and the takeover pipe of the first motor pump may be connected to a side of the filter body or an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상기 정화필터는 스펀지나 부직포 또는 거름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에 있는 수중생물의 출입을 방지하도록 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망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The purification filter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a sponge, a nonwoven fabric, or a filter paper, and the suction member includes a catching net detachably installed at an inlet to prevent entry of aquatic organisms in an upper space of the tank cas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상기 정수처리수단은 상기 격판분리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으로부터 하부공간으로 흐르는 물을 정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ater treatment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diaphragm to make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space of the water tank case to the lower space purified.
즉, 상기 정수처리수단은 상기 격판분리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바닥면에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부장착편과, 상기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상의 최저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위에 유입구 및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정수필터를 함입하며 상기 하부장착편 속으로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통체를 포함한다.That is, the water treatment uni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has a lower mounting piece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 inlet and an inlet ho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maintain a minimum level on the upper space of the water tank case. And a filter cylinder which is formed and incorporates a water filter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lower mounting piece.
상기 정수처리수단은 상기 필터통체 내부에 함입되는 정수필터를 관통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에 물유입공이 형성되어 정수필터 상부의 물이 상기 물유입공을 경유하여 상기 하부장착편 측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관 형태의 수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가능하다.The water treatment means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water filter contained in the filter cylinder and the water inlet hole is form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water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filter can directly flow into the lower mounting piece via the water inlet ho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 the form including a water quantity adjusting means of the guide tube type.
이때, 상기 수량조절수단은 상기 필터통체 외부에 설치되어 그 표면의 물유입공을 통해 정수필터 주변의 물이 상기 하부장착편의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quantity adjusting means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filter cylinder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water around the water filter flows directly into the lower mounting piece through the water inlet hole on the surface.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필터통체의 내부 하단부위에 스펀지층 및 규사로 가네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가네트층 위로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 나의 층을 적층시켜 이루어진다.The water filter is formed by forming a garnet layer with a sponge layer and silica sand on the inner lower end of the filter cylinder, and laminating at least one layer of zeolite and activated carbon on the garnet layer.
상기 순환공급수단은 상기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에 저수되는 물을 빨아들이는 제2모터펌프와, 상기 제2모터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으로부터 빨아들인 물을 상기 수조케이스의 상부공간으로 안내하는 회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irculation supply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pump for sucking water stored in the lower space of the water tank case, and a water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pump to suck water drawn from the lower space of the water tank case. It includes a recovery pipe to guide to.
상기 정수장치는 다단으로 구성된 수조케이스의 상단 케이스 내의 물을 상기 정화수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로관은 중간에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ter purifying device includes a water pipe for guiding water in the upper case of the multi-stage water tank case to the purification means, and the water pipe includes an open / close valve in the middle.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수조케이스의 하부공간 내의 수위를 측정하며 그 하부공간 내의 공기를 수조케이스의 외부로 토출시켜 상기 정화수단 또는 순환공급수단의 과부하를 경감시키는 안전게이지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safety gauge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lower space of the water tank case and discharging air in the lower spac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case to reduce the overload of the purifying means or the circulation supply means. .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의하면, 필터링을 위한 정수장치가 소정의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어 언제든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수조 내부의 생태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질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filtering is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cartridge form can be easily replaced at any time, water quality management to mainta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side the tank in an optimal state To improve the convenience.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의하면, 정수처리수단 및 정화수단을 수조케이스 내에 일체로 구성하여 수질관리를 위한 상시체제를 구현하므로 별도의 주기를 정해 청소를 해야하는 등 불편을 없애는 동시에 외형적 미감을 높이고, 수중생물의 원활한 활동반경을 보장하는 등 전시효과를 제 고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quarium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and purification means integrally configured in the water tank case to implement the constant system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t is inconvenient to set a separate cycle to clean It enhances the exhibition effect by eliminating the problem, enhancing the appearance aesthetics and ensuring the smooth activity radius of aquatic organism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의하면, 수조케이스 속 물의 정제 및 재생을 위한 계통과 수중 오물제거를 위한 계통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실시간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인다.And according to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parate system for the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water in the water tank case and the water dirt removal separately to increase the real-time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의하면, 순환공급수단의 회수관에 대해 토출 개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조케이스 내의 수류 조절은 물론, 수중생물의 건강상태를 지속시키며, 물의 교체주기를 늘임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인다.According to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by allowing the discharge number and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circulation supply means to be freely adjusted, the water flow in the tank case, as well as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aquatic organisms Increasing the cycle of water replacement reduces wast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에 의하면, 규사를 이용한 가네트층을 형성하여 오물을 걸러내는 여과기능과는 별도로 수중에 함유될 수 있는 암모니아 질산을 제거하는 등 물에 대한 정제 및 재생효과를 향상시킨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an aquarium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ltration function to filter out dirt by forming a garnet layer using silica sand, the purification of water such as ammonia and nitric acid may be removed. And improve the regeneration effec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그 기술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quariu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도 1에서부터 5까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20)를 포함하여 저수가능하고 수중생물을 담을 수 있는 통 형태의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된 수조케이스(10) 중 지면에서 가까운 상기 수조케이스(10) 내에 설치되어 저수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장치(100)로 이루어진다.1 to 5, in the
상기 격판분리대(20)는 상기 수조케이스(10) 내에 일체된 형태 또는, 탈착 가능한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케이스(10)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공간(11) 속 물이 특정 경로 이외의 다른 곳을 통해서는 하부공간(12)으로 유입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즉, 상기 수조케이스(10)와 격판분리대(20) 간의 경계부위에는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밀폐성을 확보하여 상기 수조케이스(10) 내부 물에 대한 정화 및 정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격판부재(20)는 상기 수조케이스(10) 내부의 수압이나 바닥장식재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판재 형태를 적용하되, 목재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상기 정수장치(100)는 적어도 상기 수조케이스(10)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수단(110)을 포함한다.The
상기 정화수단(110)은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흡입부재(111)와, 오물여과부재(112) 및 제1모터펌프(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urifying
상기 흡입부재(111)는 상기 격판분리대(20)에 설치하되, 깔대기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수조케이스(10)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이 원활하게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상기 오물여과부재(112)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정화필터(112c)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부재(111)를 통해 빨려들어 오는 상기 수조케이스(10) 속 비중이 큰 오물들은 상기 정화필터(112c)에 의해 여과된다.The
상기 정화필터(112c)는 스펀지나 부직포 또는 거름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로 구성하되, 여과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재활용성이 좋은 것을 채택 구성하여 소모품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purifying
상기 제1모터펌프(113)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 중 내외 어느 쪽에든 설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모터펌프(113)는 상기 흡입부재(111) 및 오물여과부재(112)를 연결하는 인계배관(113a) 사이에 설치하도록 한다.The
상기 오물여과부재(112)는 도 8이나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식으로 결합과 분리가 자유로운 여과커버(112a) 및 여과본체(112b)와 같은 형태가 좋다. 이때, 상기 제1모터펌프(113)의 인계배관(113a)은 상기 여과본체(112b)의 측면 또는 상기 여과커버(112a)의 상면으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본체(112b)의 측면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상기 정화필터(112c)의 교체와 같은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8 or 9, the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111)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에 있는 수중생물의 출입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입구에 소정의 걸림망(111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망(111a)은 탈부착이 자유로운 형태를 채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기 수조케이스(10) 내의 물속이나 물 표면상에 혼재하여 부유하는 저비중(低比重)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수단(120)을 추가로 더 구성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The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은 상기 격판분리대(2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를 적용 설치하되, 기본적으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으로부터 하부공 간(12)으로 흐르는 물이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을 경유하도록 구성하여 정수 기능이 원활하도록 한다.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120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은 도 4에서부터 도 7까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장착편(121)과, 필터통체(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o FIG. 7,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120 includes a
상기 하부장착편(121)은 상기 격판분리대(2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격판분리대(20)의 해당 설치면 상에 착설되는 소정의 플랜지가 구비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장착편(121)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연통공(121a)이 형성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필터통체(122)는 상단부위에 유입구(122a) 및 유입공(122b)이 형성되고 내부에 정수필터(122c)를 함입할 수 있는 통 형태로, 상기 하부장착편(121) 속으로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22a) 및 유입공(122b)은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상의 최저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격판분리대(20)의 면상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은 도 4나 도 5에서처럼 소정의 물유입공(123a)이 형성된 수량조절수단(123)을 더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 속 물이 상기 하부공간(12)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공간(12)의 수위미달로 인한 작동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수량조절수단(123)은 도 4에서처럼 상기 필터통체(122) 내부에 함입되는 정수필터(122c)를 관통되게 설치하여 상기 정수필터(122c) 상부의 물이 상기 물 유입공(123a) 및 하부장착편(121)을 경유하여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관 형태, 또는 도 5에서처럼 상기 필터통체(122)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정수필터(122c) 주변의 물이 상기 물유입공(123a) 및 하부장착편(121)을 경유하여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관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water quantity adjusting means 123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이때, 상기 수량조절수단(123)은 그 표면 즉,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 속 물의 유입이 가능한 관로의 외측면 소정의 위치에 물유입공(123a)을 형성하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물유입공(123a)의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물유입공(123a)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관형 커버가 구비된 형태를 들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quantity adjusting means 123 is formed on the surface, that is, the water inlet hole (123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상기 수량조절수단(123)은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의 정수필터(122c)로부터 물의 침수 효율이 떨어졌을 때, 사용자가 물유입공(123a)의 개폐를 조절해 침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 속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water immersion efficiency of the water from the
여기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에는 상기 정수처리수단(1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량에 따라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을 소정의 수처리용 스펀지(12a) 등으로 채우는 경우, 호기성 박테리아의 서식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물속의 미네랄 함량을 높이는 등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발휘하게도 실시가능하 다.Here, a predetermined air layer is formed in the
상기 정수필터(122c)는 상기 필터통체(122)의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단부위에서부터 스펀지층 및 가네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네트층은 통상 규사로 형성하고, 상기 가네트층 위로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적층시켜 구성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The
여기서, 상기 스펀지층은 규사로 이루어지는 가네트층의 소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병행하기 위한 것이므로 거름종이와 같은 것으로 대체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또, 상기 가네트층은 규사 알갱이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소의 경우 소정의 망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분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sponge layer 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garnet layer made of silica sand, the sponge layer may be replaced with a filter paper. In addition, the garnet layer may be composed of only silica sand, and in the case of zeolite or activated carb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persion by using a net such as a predetermined network.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을 거쳐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으로 이동하면서 정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공급수단(130)을 추가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순환공급수단(130)은 제2모터펌프(131)와 회수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irculation supply means 130 includes a
상기 제2모터펌프(131)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에 저수되는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내외부 중 어느 한쪽에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조케이스(10)의 내부에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하부공간(12) 내에 설치함으로써, 외형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회수관(132)은 상기 제2모터펌프(131)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으로부터 빨아들인 물을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회수관(132)은 도 1에서처럼 결합식 배관 구조를 적용하여 배출구의 개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수관(132)의 경우, 상기 수조케이스(10) 속의 수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맞는 수중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므로 수중생물의 생기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비물에 따른 수질의 오염을 자체 내의 흐름으로 어느 정도 재생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발휘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정수장치(100)는 도 2에서부터 도 5까지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케이스(10)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단케이스(13) 내에는 소정의 수로관(13a)을 형성하여 상기 상단케이스(13) 속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정화수단(110)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to 5, when the
또, 상기 상단케이스(13)의 바닥면 다른 쪽에는 상기 상단케이스(13)의 수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수단(13d)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케이스(13)의 물이 유입되는 수로관(13a)의 입구에는 소정의 커버망(13c) 형성하여 상기 흡입부재(111)의 걸림망(111a)과 같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수로관(13a) 중간에는 소정의 개폐밸브(13b)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로관(13a) 속 물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A predetermined opening /
그리고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 속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정화수단(110) 또는 순환공급수단(130)의 과부하를 경감시키는 안전게이지(140)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안전게이지(140)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 속 공기를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과 연계되면서, 상기 격판분리대(20)로부터 상기 수조케이스(10) 상단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는 통기로(143)와, 상기 통기로(143) 속에 배치되는 게이지바(142) 및 상기 게이지바(142)의 하단을 받치면서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 속 수면에 뜨는 부력체(141)를 포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The
이때, 상기 통기로(143) 내측에는 소정의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바(142)에는 상기 눈금에 대응되는 기준점이 표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scale is formed inside the
즉, 상기 안전게이지(140)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상의 수위를 상기 제1모터펌프(113) 및 제2모터펌프(131)의 작동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하부공간(12)의 수위에 따른 상기 제1모터펌프(113) 및 제2모터펌프(131)의 고장을 방지한다.That is,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수족관은 앞서 설명한 정수장치(100)를 적용한 것으로, 저수가능하고 수중생물을 담을 수 있는 통 형태로 된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수조케이스(10)와, 지면에 가까운 상기 수조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분리대(20) 및 상기 수조케이스(10)이 내부에 저수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the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기 수조케이스(10)의 바닥으로 침하되는 고비중(高比重)의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수단(110)과, 상기 수조케이스(10) 내부 물속이나 물 표면상에 혼재하여 부유하는 저비중(低比重)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수단(120)과, 상기 정수처리수단(120)을 거쳐 상기 수조케이스(10)의 하부공간(12)으로 이동하면서 정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케이스(10)의 상부공간(11)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공급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족관에 의하면, 정수처리수단(120)이 소정의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어 언제든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수조케이스(10)의 내부 청소를 간소하게 하는 등 실질적인 정수 및 정화처리효율을 높인다.According to the aquariu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means 1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cartridge can be easily replaced at any time, and the actual clean water and purification treatment, such as to simplify the internal cleaning of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는 수조케이스(10) 속 물을 정제하거나 재생시키기 위한 계통과 수중 오물을 제거하는 계통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정수 및 정화처리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조 내부의 생태환경을 수중생물에 맞게 조절하여 건강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발휘한다.In particular,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purified water and purification treatment in real time by separately configuring a system for purifying or regenerating water i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quarium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also be carried out by modification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quarium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제4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aquarium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n aquariu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정수처리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of the aquarium using the sam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정수처리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of the aquarium using the sam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의 오물여과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an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ltration member of an aquarium using the sam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조장치의 오물여과부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aquarium water tan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4855A KR101068556B1 (en) | 2008-12-26 | 2008-12-26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4855A KR101068556B1 (en) | 2008-12-26 | 2008-12-26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6721A KR20100076721A (en) | 2010-07-06 |
KR101068556B1 true KR101068556B1 (en) | 2011-09-28 |
Family
ID=4263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4855A KR101068556B1 (en) | 2008-12-26 | 2008-12-26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85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423B1 (en) | 2011-10-21 | 2014-03-07 | 백만권 | An aquariu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0310B1 (en) * | 2009-08-19 | 2012-03-26 | 박근하 | Filtering and Sinking Device of Bottom for Aquarium |
KR101323747B1 (en) * | 2011-04-13 | 2013-11-11 | 주식회사 골든오렌지 | Aquarium |
JP2014033673A (en) * | 2012-08-08 | 2014-02-24 | Plant Robin | Hydroponic system |
CN105831000A (en) * | 2016-04-30 | 2016-08-10 |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Shrimp circulating water pond feeding equipment |
CN105830998A (en) * | 2016-04-30 | 2016-08-10 |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Water circulation culturing equipment for pond fishery |
CN105830999A (en) * | 2016-04-30 | 2016-08-10 |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A high-efficiency breeding equipment for freshwater aquatic products in ponds |
CN105830997A (en) * | 2016-04-30 | 2016-08-10 |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Fish and shrimp aquatic product circulating water pond culture equipment |
KR102392387B1 (en) * | 2021-11-30 | 2022-04-29 | 최서연 | Automatic purifying water bucke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08227Y1 (en) * | 1995-02-24 | 1996-09-17 | Kim Sang Yun | Aquaria |
KR200227245Y1 (en) | 2000-12-07 | 2001-06-15 | 김중학 | Aquarium |
JP2001321008A (en) | 2000-05-11 | 2001-11-20 | Tokuji Sawara | Water tank |
US20060138034A1 (en) * | 2004-12-27 | 2006-06-29 | Fu-Sheng Weng | Aquarium |
-
2008
- 2008-12-26 KR KR1020080134855A patent/KR10106855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08227Y1 (en) * | 1995-02-24 | 1996-09-17 | Kim Sang Yun | Aquaria |
JP2001321008A (en) | 2000-05-11 | 2001-11-20 | Tokuji Sawara | Water tank |
KR200227245Y1 (en) | 2000-12-07 | 2001-06-15 | 김중학 | Aquarium |
US20060138034A1 (en) * | 2004-12-27 | 2006-06-29 | Fu-Sheng Weng | Aquariu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423B1 (en) | 2011-10-21 | 2014-03-07 | 백만권 | An aquar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6721A (en) | 2010-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8556B1 (en)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
CN204070180U (en) | A kind of cycle water fiberglass aquarium system | |
US6896799B2 (en) | Fish aquarium | |
US8006646B2 (en) |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 |
KR101416489B1 (en) | An aquarium including fitering-tank | |
CN206570083U (en) | Floatation type microorganism water body purification system | |
KR20090116023A (en) | Aquarium Water Filter | |
US7311822B2 (en) | Aquarium | |
KR101323747B1 (en) | Aquarium | |
KR101718360B1 (en) | Cleaning system for aquarium | |
CN209268387U (en) | Domestic planting cultivates integrated water circulating purification system | |
CN205727679U (en) | counter flow biofilter | |
CN206547631U (en) | A kind of auto purification ecological fish bowl | |
CN211558498U (en) | Filter box for fish tank water treatment | |
CN2447404Y (en) | Automatic purifying device for water tank | |
KR20160142705A (en) | Purification apparatus of aquarium | |
CA1231871A (en) | Aquarium bottom filter | |
US20110079555A1 (en) | Aquarium Filter | |
CN216821320U (en) | A three-dimensional land-based aquaculture system | |
CN211910161U (en) | Scale type automatic circulation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aquaculture water | |
CN221981795U (en) | Tower type filtering device and breeding system | |
CN212014132U (en) | Fish pond purification system and landscape fish pond | |
CN2222999Y (en) | fish pond automatic filter | |
TW201440644A (en) | Excrement filtering and circulating device for aquaculture | |
CN219762248U (en) | Frame structure of aquar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