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619A -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619A
KR20100001619A KR1020080061600A KR20080061600A KR20100001619A KR 20100001619 A KR20100001619 A KR 20100001619A KR 1020080061600 A KR1020080061600 A KR 1020080061600A KR 20080061600 A KR20080061600 A KR 20080061600A KR 20100001619 A KR20100001619 A KR 2010000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ntent
multimedia content
information
play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판도라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도라티비 filed Critical (주)판도라티비
Priority to KR102008006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619A/ko
Publication of KR2010000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3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a collection of video files or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의 보조 컨텐츠로 설정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생리스트

Description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Creating MP3 File Playlist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 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메인프레임부 105 : 컨텐츠 재생부
110 : 컨텐츠 재생 제어부 115 : 정보 추출부
120 : 정보 저장부 125 : 정보 입력부
130 : 연결파일 확인부 135 : 정보 로딩부
140 : 정보 생성부 145 : 정보 전송부
150 : 정보 수신부 155 : 파일 처리부
160 : 메모리부 165 : 화면 출력부
170 : 사운드 처리부 175 : 키 입력부
180 : 저장매체 185 : 통신 처리부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의 보조 컨텐츠로 설정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가 흔히 사용하던 라디오, 미니 컴퍼넌트 등은 MP3라는 새로운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많은 사람들은 MP3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널리 사용되는 MP3는 파일단위로 관리되는 상황이므로, 파일갯수가 점점 늘어나면서, 이를 관리하기에 난해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금주의 인기가요 100위까지의 MP3파일을 다운로드 한 경우, 총 100개의 MP3파일을 관리해야 하며, 이들 중에는 어느가수가 몇집 앨범 수록한 노래인지 여부를 확인하기는 참 난해한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보조 컨텐츠 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의 보조 컨텐츠로 설정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의 보조 컨텐츠로 설정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폴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폴더에 포함된 각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MP3파일 각각에 대한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각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키는, 가수명, 또는 노래제목,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데이터, 또는 가수의 음성 성문,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리듬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컨텐츠는, 상기 MP3파일이 대중가요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노래를 부른 가수 이미지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MP3파일이 클래식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영상 컨텐츠-공연실황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작가에 대한 영상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이미지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소정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재생 리스트에 등록할 MP3파일을 지정하면, 상기 MP3파일에 대한 보조 컨텐츠(예컨대, 상기 MP3파일이 대중가요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노래를 부른 가수 이미지 컨텐츠, 또는 가사집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클래식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영상 컨텐츠-공연실황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작가에 대한 영상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이미지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리스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는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 유선 통신망, 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또는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해 소정의 서버(또는 단말)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 처리부(18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185)는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TCP/IP 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 IEEE 802.16x 또는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해 상기 실시간 재생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실시간 재생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제공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에 구비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185)는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소정의 통신망(예컨대, TCP/IP 또는 UDP/IP 기반 유선 통신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망, IEEE 802.16x 또는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해 소정의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와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간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165)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 처리부(170)와, 상기 멀티미 디어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각종 키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하기 위해, 화면 출력부(165)는 상기 실시간 재생 프로그램에서 디코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하기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170)는 실시간 재생 프로그램에서 디코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또는 플랫폼)와 연계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를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상호 연동하고, 및/또는 상기 기능 구성부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또는 플랫폼)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 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메인프레임부(100)(Mainfrmae)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부(100)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또는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후, 소정의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상기 운영체제(또는 플랫폼)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100)는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상호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에 인스턴스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기능 구성부들은 상호 참조 및/또는 연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100)는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기능 구성부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예컨대, 키 입력수단 및/또는 화면 출력수단 등)에 접근하기 위한 핸들(Handle)(및/또는 인터럽트)을 얻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능 구성부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각각의 기능 구성부에 정의된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재생 요청을 위해, 상기 컨텐츠 파일을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재생 요청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125)와,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상기 파일정보와 유사 파일(즉, 연결 재생될 대상 파일)을 확인하는 연결파일 확인부(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부(125)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와 연동하여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에 접근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파일 확인부(130)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에 대응하여,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abcDrama-No.01.avi인 경우,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abcDrama-No.xx.avi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xx는 01을 제외한 00~99 등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을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연결파일 확인부(130)를 통해 확인된 하나 이상의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상에 구비된 저장매체(18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메모리부(160)로 로딩하는 정보 로딩부(135)와, 상기 메모리 상에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포맷을 확인고, 서로 다른 파일포맷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하는 파일 처리부(1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연결파일 확인부(130)를 통해 확인된 하나 이상의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상에 구비된 저장매체(18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메모리부(160)로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상의 메모리로 로딩되도록 처 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파일 처리부(155)는 상기 메모리 상에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포맷을 확인고, 서로 다른 파일포맷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부(160)에 로딩된(또는 로딩되고 있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화 면 출력부(165), 사운드 처리부(170) 하나 이상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화면 출력부(165)와, 사운드 처리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 재생부(105)와, 상기 컨텐츠 재생부(10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60)에 로딩된(또는 로딩되고 있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화면 출력부(165), 사운드 처리부(170) 하나 이상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화면 출력부(165)와, 사운드 처리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각각의 재생시간을 통합한 하나의 재생 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 리스트 등록 요청을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 등록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125)와,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40)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메모리상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자동생성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검색을 위한 정보 검색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부(125)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 상에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등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에 접근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재생 리스트 상에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등록하기 위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부터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샘플 데이터 화면 생성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상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일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단색화면인 경우(즉, 영화/드라마 등에서 장면 전환을 위해 잠시 검은색 화면 등을 집어넣은 부분 등),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에 대한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후의 프레임을 다시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음성 등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일정시간위치에 대한 정지영상 샘플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정보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로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재생 리스트 요청을 입력(또는 선택)받는 정보 입력부(125)와,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재생 리스트 요청에 대응하는 재생 리스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40)와,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125)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에 접근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입력(또는 선택)되는 재생 리스트 요청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생 리스트 요청에 대응하는 재생 리스트를 제공한 후,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재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재생 리스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하여 저장한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 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 중 메인이되는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 리스트 순서상의 전/후 일부(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방법은 이하 도시될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정보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샘플 데이터가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반복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복 재생되는 동영상은 메인에 출력된 샘플 데이터와 메인 전/후 일부(또는 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MP3파일을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대상 MP3파일에 대한 파일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125)와,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115)와, 상기 추출된 컨텐츠 키를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145)와, 상기 정보 전송부(145)를 통해 전송한 컨텐츠 키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50)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 키가 추출된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40)와,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125)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와 연동하여 상기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에 접근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MP3파일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MP3파일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MP3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MP3파일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클릭(또는 선택)하고, 상기 MP3파일이 클릭(또는 선택)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MP3파일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하나 이상의 MP3파일이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추출부(115)는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MP3파일 중 가수명, 또는 노래제목,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데이터, 또는 가수의 음성 성문,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리듬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된 컨텐츠 키는 상기 정보 전송부(145)와 연계하여 상기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한 컨텐츠 키가 이미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조 컨텐츠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다른 보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추출부(115)를 통해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가 추출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145)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 키를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전송한 컨텐츠 키에 대한 보조 컨텐츠가 전송되면, 상기 정보 수신부(150)가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50)를 통해 보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부터 수신한 보조 컨텐츠와 상기 보조 컨텐츠 수신을 위해 제공한 컨텐츠 키를 포함하는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성된 재생리스트는 상기 정보 저장부(120)로 전송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 설정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옵니버스 형식의 앨범인 경우, 각각의 MP3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를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 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면, 상기 재생을 요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유사 파일(즉, 연결 재생될 대상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유사 파일을 함께 메모리(예컨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로딩하여 소스필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성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동작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2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고(2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205).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 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 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abcDrama-No.01.avi인 경우,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abcDrama-No.xx.avi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xx 는 01을 제외한 00~99 등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을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210),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2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상의 메모리로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225),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230),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235).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반면,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는 경우(210),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220).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225),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230),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235).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 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면, 상기 재생을 요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유사 파일(즉, 연결 재생될 대상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유사 파일을 함께 메모리(예컨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로딩하여 소스필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성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동작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3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고(3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305).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abcDrama-No.01.avi인 경우,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abcDrama-No.xx.avi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xx는 01을 제외한 00~99 등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을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310),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3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상의 메모리로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340),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345),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350).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 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반면,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는 경우(310),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320).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에 대한 파일포맷 매칭 여부(즉, 동일한 코덱 이용 여부)를 확인한다(325).
만약, 동일한 코덱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330), 상기 단말은 파일포맷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추출)한다(33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340),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345),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350).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지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4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고(400),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한다(405).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이 생성(또는 추출)되면(410),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 화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샘플 데이터 화면 생성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상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일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단색화면인 경우(즉, 영화/드라마 등에서 장면 전환을 위해 잠시 검은색 화면 등을 집어넣은 부분 등),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에 대한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후의 프레임을 다시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음성 등 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일정시간위치에 대한 정지영상 샘플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화면인 경우(420),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을 기준으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재 생성(또는 추출)한다(430).
만약,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샘플 데이터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데이터 화면이 재 생성(또는 추출)되면(43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 화면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반면,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화면이 아닌 경우(420),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로 메모리 상에 저장한다(42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지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5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5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고(5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를 상기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를 통해 검색한다(505).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재생 리스트 생성 요청이 가능한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검색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한다(510).
만약,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이 생성(또는 추출)되면(51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 화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샘플 데이터 화면 생성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상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일정 시간 후의 프레임을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단색화면인 경우(즉, 영화/드라마 등에서 장면 전환을 위해 잠시 검은색 화면 등을 집어넣은 부분 등),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에 대한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후의 프레임을 다시 샘플 데이터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음성 등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상의 일정시간위치에 대한 정지영상 샘플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화면인 경우(52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을 기준으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재 생성(또는 추출)한다(535).
만약,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샘플 데이터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데이터 화면이 재 생성(또는 추출)되면(540),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 화면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반면,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이 특정화면이 아닌 경우(52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정보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로 메모리 상 에 저장한다(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지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한 재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6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6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생성한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고(6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확인 및 추출한다(6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 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한다(6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 중 메인이되는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 리스트 순서상의 전/후 일부(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방법은 이하 도시될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상기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또는 추출)이 완료되면(61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6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샘플 데이터가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반복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복 재생되는 동영상은 메인에 출력된 샘플 데이터와 메인 전/후 일부(또는 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을 요청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입력(또는 선택한다(625).
만약, 재생요청할 샘플데이터가 입력(또는 선택)되면(630), 상기 단말은 상기 재생할 샘플데이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확인하고(635), 상기 확인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재생되도록 처리한다(640).
도면7a와 도면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a와 도면7b는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지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한 재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7a와 도면7b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생성한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고(7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확인 및 추출한다(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한다(7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 플데이터 중 메인이되는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 리스트 순서상의 전/후 일부(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방법은 이하 도시될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상기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또는 추출)이 완료되면(71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7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샘플 데이터가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반복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복 재생되는 동영상은 메인에 출력된 샘플 데이터와 메인 전/후 일부(또는 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을 요청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입력(또는 선택한다(725).
만약, 재생요청할 샘플데이터가 입력(또는 선택)되면(730), 상기 단말은 상기 재생할 샘플데이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확인하고(735),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확인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740).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 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abcDrama-No.01.avi인 경우,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abcDrama-No.xx.avi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xx는 01을 제외한 00~99 등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을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745),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7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상의 메모리로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760),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765),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770).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 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반면,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는 경우(745),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75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760),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765),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770).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소정의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지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샘플 데이터 화면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샘플 데이터 화면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연결한 재생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에서 재생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8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비슷한 파일명을 가진 복수개의 파일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을 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8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생성한 재생 리스트를 요청하고(8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확인 및 추출한다(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 리스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한다(8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 플데이터 중 메인이되는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 리스트 순서상의 전/후 일부(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방법은 이하 도시될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상기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또는 추출)이 완료되면(815), 상기 단말은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8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샘플 데이터가 사운드 샘플 데이터이거나, 또는 동영상 샘플 데이터인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반복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복 재생되는 동영상은 메인에 출력된 샘플 데이터와 메인 전/후 일부(또는 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을 요청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샘플데이터를 입력(또는 선택한다(825).
만약, 재생요청할 샘플데이터가 입력(또는 선택)되면(830), 상기 단말은 상기 재생할 샘플데이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확인하고(835), 이에 대응하여 확인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840).
여기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소정의 고객이 부여하거나, 또는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부여한 파일명으로서, 적어도 한글자 이상의 영문/숫자/한글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상기 파일의 특성을 분류하는 확장자(예컨대, avi, mpg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는 소정의 컨텐츠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와, 소정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헤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RIFF"라는 초두 문자 코드(FOURCC : FOUR Character Code) 다음에 위치하는 구조체 정보로서, 소정의 메인 헤더 정보와, 스트림 헤더 정보, 스트림 포맷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명칭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Interleave)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로 구성된 복수개의 청크(Chunk)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예컨대, 동기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상기 영상 데이터부('movi') 에 직접 기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청크를 소정의 레코드 청크('rec')에 그룹화 하는 경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청크 단위로 재생하기 위한 청크 식별자와, 플래그 정보와, 청크 오프셋과, 청크 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파일정보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 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을 클릭하고, 상기 파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일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가 abcDrama-No.01.avi인 경우,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하여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abcDrama-No.xx.avi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xx는 01을 제외한 00~99 등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유사한 파일이름을 확인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845),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정보 로딩부(135)는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와, 상기 재생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상의 메모리로 로딩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875),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880),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885).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 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반면,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 유무가 확인되는 경우(845),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 로딩한다(85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파일정보와 연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정보에 대한 파일포맷 매칭 여부(즉, 동일한 코덱 이용 여부)를 확인한다(860).
만약, 동일한 코덱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865), 상기 단말은 파일포맷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추출)한다(870).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하나로 합친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고(875), 상기 생성된 파일 스트림 재생을 위한 소스필터를 생성한 후(880),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885).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즉, 동일한 파일포맷에 대한 끊김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 생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할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메모리로 로딩시, 상기 영상 데이터 정보의 일부(또는 전부)를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로딩된 경우, 각각의 파일포맷을 확인하고, 파일포맷이 다른 경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파일포맷 리더를 메모리부(160) 상에 생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파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2개이고, 각각의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파일포맷이 하나는 avi, 다른 하나는 mpeg인 경우, 상기 avi파일을 리딩하기 위한 파일포맷 리더를 각각 메모리부(160)에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vi와 mpeg파일 매칭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은,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모리로 로딩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소스필터를 통해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스필터로 메모리로 로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시, 상호 다른 파일 포맷을 하나의 소스필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매칭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탠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화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파일 처리부(155)를 통해 생성된 파일포맷 리더와 연결되는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필터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여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즉, 연결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복수개인 경우),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스필터를 통해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포맷이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호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재생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리딩을 위한 파일포맷 매칭 테이블에 따라 파일포맷 리더를 통해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상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오디오 코덱 필터는 재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스필터를 생성하고, 소스필터와 연결되는 오디오 코텍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생성한 후, 상호 연결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코덱 필터 및/또는 비디오 코덱 필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9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 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은 소정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재생 리스트에 등록할 MP3파일을 지정하면, 상기 MP3파일에 대한 보조 컨텐츠(예컨대, 상기 MP3파일이 대중가요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노래를 부른 가수 이미지 컨텐츠이거나, 또는 가사집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클래식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영상 컨텐츠-공연실황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작가에 대한 영상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이미지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리스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9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을 위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9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MP3파일을 입력(또는 선택)하고(900),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한다(9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 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MP3파일 입력 및/또는 선택이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의 MP3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MP3파일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폴더를 통해 상기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클릭(또는 선택)하고, 상기 MP3파일이 클릭(또는 선택)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팝업메뉴 출력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팝업메뉴 상의 재생 요청 메뉴(예컨대, ‘열기’, ‘재생’, ‘재생 리스트 등록’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상기 더블 클릭된 MP3파일이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하나 이상의 MP3파일이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한 컨텐츠 키가 이미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조 컨텐츠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다른 보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입력된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가 추출되면(910),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컨텐츠 키를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하여 보조 컨텐츠를 요청하고(9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보조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수신한다(920).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925),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930).
여기서,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 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 설정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옵니버스 형식의 앨범인 경우, 각각의 MP3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를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소정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예컨대, 하드디스크, CD-ROM, DVD-ROM, DVD-RAM, DVD+ROM, DVD+RAM, 블루레이,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isk) 등)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재생 리스트에 등록할 MP3파일을 지정하면, 상기 MP3파일에 대한 보조 컨텐츠(예컨대, 상기 MP3파일이 대중가요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노래를 부른 가수 이미지 컨텐츠이거나, 또는 가사집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클래식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영상 컨텐츠-공연실황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작가에 대한 영상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이미지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리스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기능 구성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10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 중 일부를 삭제(또는 추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을 위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0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은 입력수단을 통해 단말에 저장된 MP3파일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고(10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상기 단말에 구비된 저장매체(180)를 통해 검색한다(10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구비가 가능한 단말장치와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 및/또는 연결되며, 상기 재생 리스트 생성 요청이 가능한 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검색된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한다(1010).
여기서, 상기 추출한 컨텐츠 키가 이미 상기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보조 컨텐츠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다른 보조 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재생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입력된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가 추출되면(1015),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컨텐츠 키를 보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하여 보조 컨텐츠를 요청하고(10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보조 컨텐츠 요청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수신한다(102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1030),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1035).
여기서,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 설정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조 컨텐츠와 MP3파일을 연결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옵니버스 형식의 앨범인 경우, 각각의 MP3파일에 대한 앨범 이미지를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MP3파일을 관리함에 있어서, 파일별 앨범자켓 이미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해당 MP3파일에 대한 노래가 수록된 앨범, 또는 해당 노래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MP3파일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앨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의 보조 컨텐츠로 설정하여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
  2.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파일을 포함하는 폴더에 대한 재생 리스트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폴더에 포함된 각각의 MP3파일에 대한 컨텐츠 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MP3파일 각각에 대한 컨텐츠 키에 대응하는 보조 컨텐츠를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각각의 컨텐츠 키와 매칭되는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보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보조 컨텐츠를 상기 MP3파일과 연결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 고, 상기 생성된 재생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이미지를 포함하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키는,
    가수명, 또는 노래제목,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데이터, 또는 가수의 음성 성문, 또는 MP3파일 중 일부에 대한 리듬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컨텐츠는,
    상기 MP3파일이 대중가요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노래를 부른 가수 이미지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MP3파일이 클래식인 경우, 상기 MP3파일에 대한 영상 컨텐츠-공연실황 영상 컨텐츠 또는 관련 작가에 대한 영상 컨텐츠-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이 포함된 앨범에 대한 앨범자켓 이미지 컨텐츠 이거나, 또는 상기 MP3파일에 대한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이미지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80061600A 2008-06-27 2008-06-27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01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600A KR20100001619A (ko) 2008-06-27 2008-06-27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600A KR20100001619A (ko) 2008-06-27 2008-06-27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619A true KR20100001619A (ko) 2010-01-06

Family

ID=4181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600A KR20100001619A (ko) 2008-06-27 2008-06-27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2606A (zh) * 2015-10-16 2016-0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文件播放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2606A (zh) * 2015-10-16 2016-0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文件播放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563B2 (en) Aggregating metadata for media content from multiple devices
JP4139303B2 (ja) レンダリング中のメディアプレイヤのメモリの最適化
JP4965565B2 (ja) 大規模再生リスト用の再生リスト構造
JP3174819U (ja) 標準化プレーリストの作成および統一の維持
US20090327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content instances using graphical object representation
KR100366760B1 (ko) 멀티미디어 파일 결합방법
KR20030092176A (ko) 컨텐츠 파일과 네비게이션 정보의 편집처리방법
JPWO2004095451A1 (ja) 入力データ記録装置及び入力データ記録方法
KR20100001619A (ko) 엠피쓰리파일 재생리스트 생성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RU238395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JP2004334992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20100001580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재생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01622A (ko) 섬네일 데이터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01611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리스트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JP2002304420A (ja) 視聴覚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00001591A (ko) 웹하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06030995A9 (en) Index-based authoring and editing system for video contents
JP2005026850A (ja) 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KR20100001613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리스트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JP2010049800A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010049801A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010049799A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005011392A (ja) 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KR20100001596A (ko) 웹하드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00082821A (ko)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