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48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488A
KR20100001488A KR1020080061398A KR20080061398A KR20100001488A KR 20100001488 A KR20100001488 A KR 20100001488A KR 1020080061398 A KR1020080061398 A KR 1020080061398A KR 20080061398 A KR20080061398 A KR 20080061398A KR 20100001488 A KR20100001488 A KR 2010000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mera module
light source
hous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욱
김재민
한승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488A/ko
Publication of KR2010000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기판과, 기판에 안착되며 중공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하우징과 결합되고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과,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와,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기판에 실장되고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피사체에 적절한 빛을 공급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에 광원을 컴팩트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카메라, 광원, 모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진촬영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화상 데이터 전송, 화상 채팅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을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래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는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단말기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듀얼(Duel)로 장착되거나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듀얼로 장착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맞추어져 고정된 플래쉬로는 다른 카메라 모듈에 적절히 빛을 공급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플레쉬로는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피사체에 빛을 적절히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피사체에 적절한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과, 기판에 안착되며, 중공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하우징과 결합되고,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과,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와,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기판에 실장되고,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광원은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며, 측벽에는 광원에서 피사체로 방출된 빛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을 커버하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직접 이미지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차폐부는 광원이 격리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위치하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피사체에 적절한 빛을 공급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에 광원을 컴팩트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기판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판(30), 하우징(20), 렌즈배럴(10), 이미지센서(40), 광원(5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은 기판(30)과, 기판(30)에 안착되며 중공부(21)을 구획하는 측벽(22)을 포함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중공부(21)에 삽입되어 하우징(20)과 결합되고 렌즈(11)를 포함하는 렌즈배럴(10)과,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40)와, 측벽(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기판(30)에 실장되고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원(50)을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1)이 향하는 피사체에 적절한 빛을 공급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에 광 원(50)을 컴팩트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다.
기판(30)은 카메라 모듈(1)과 메인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카메라 모듈(1)의 전기적 신호가 입출입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30)에는 이미지센서(40)를 구동하기 위한 콘덴서와 저항 등의 각종 전자, 전기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기판(30)에 안착되며, 중공부(21)를 구획하도록 측벽(2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에는 렌즈배럴(10)이 삽입되므로, 렌즈배럴(10)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20)에 중공부(21)가 형성된다. 중공부(21)는 측벽(22)에 의해 구획되는데, 측벽(22)은 내부가 차 있고 전면이 막힌 형상이거나, 가운데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을 향하여 열려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측벽(22)은 하우징(20)의 상면과 측면 그리고 중공부의 면을 형성하는 벽이므로, 측벽(22)의 하면은 뚫려 있고 측벽(22)의 내부는 비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이 기판(30)에 부착되면, 측벽(22)과 기판(3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이나 광원(50)이 수용될 수 있다.
렌즈배럴(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11)가 광축을 따라 배열되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렌즈수용부로써, 하우징(20)의 중공부(21)에 삽입되어 하우징(20)과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과 렌즈배럴(10)을 결합하기 위해, 렌즈배럴(10)의 외부면에는 숫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하우징(20)의 중공부(21)에는 암나사(미도시)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는 렌즈배럴(10)에 구비된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 상하도록 상부면에 이미지 결상영역을 구비하는 촬상소자이다. 광축을 따라 기판(30)의 상면에 이미지센서(40)를 부착하거나, 빛이 통과하도록 기판(30)에 윈도우(31)을 형성하고 윈도우(31) 아래에 이미지센서(40)를 부착하여 빛을 결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센서(40)가 윈도우(31) 아래에 부착되어 기판(30)의 윈도우(31)을 통해 유입된 빛을 결상한다.
광원(50)은 측벽(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기판(30)에 실장되어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함으로써, 이미지센서(40)가 피사체를 결상하기에 충분한 빛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50)은 측벽(22)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피사체에 빛이 도달하기 위해서는 광로상에 위치하는 측벽(22)은 빛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광로상에 위치하는 측벽(22)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 지거나, 측벽(22)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기판(30)에 광원(50)이 실장된 카메라 모듈(1)이 구성되어 언제든 카메라 모듈(1)이 향하는 피사체에 적절한 빛을 공급할 수 있으며, 광원(50)이 측벽(22) 내부에 위치하여 카메라 모듈(1)에 광원(50)을 컴팩트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촬상을 위한 광축 경로와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의 경로가 인접하게 되어, 피사체에 적절한 조명을 비추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양면에 카메라 모듈이 듀얼로 장착된 경우, 종래의 고정된 플레쉬로는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피사체에만 빛을 공급할 수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광원(50)이 일체화된 카메라 모듈(1)은 단말기에 듀얼로 장착되더라도 각각의 카메라 모듈(1)은 각각의 피사체에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30)에 실장되는 광원(50)으로는 발광소자(LED)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22)에는 광원(50)에서 피사체로 방출된 빛이 통과하도록 측벽(22)에 관통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각형의 하우징(20)에서 측벽(22)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우징(20)의 네 모서리는 네 개의 광원(50)을 각각 덮는다. 그리고, 각각의 광원(50) 상부에 위치한 측벽(22)에 관통홀(23)이 형성되어,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이 관통홀(23)을 통해 피사체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측벽(22)의 내부가 차 있는 경우에는, 광원(50)이 실장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하우징(20)을 관통하는 홀(미도시)을 형성시켜서,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이 홀을 통해 피사체에 도달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측벽(22)에 홀을 뚫어서 관통홀(23)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관통홀을 커버하는 투명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3)에 투명커버(60)를 덮도록 한다. 그러면,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홀(23)을 통하여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1)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미지센서(40)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은 투명한 커버를 투과하므로, 빛이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이 직접 이미지센서(40)에 도달할 우려가 있어, 이를 차단할 광차폐부(24)가 카메라 모듈(1)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광원(50)에 서 방출된 빛의 일부가 피사체를 향하지 않고 직선경로로 이미지센서(40)에 도달하거나, 하우징(20) 내부의 벽 등에 반사되어 이미지센서(40)에 도달함으로 인해, 이미지센서(40)가 촬상 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면, 하우징(20)에 광원(50)을 격리하는 내벽을 형성하여 광차폐부(24)를 구성한다. 하우징(20)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광원(50)을 이미지센서(40)로부터 격리하기 위해, 광원(50) 둘레를 감싸는 내벽을 설치한다. 그러면, 하우징(20)의 빈 공간을 통해 빛이 이미지센서(40)로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광원(50)에서 새어 나온 빛으로 인하여 촬상 이미지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50)에 의하여 조명을 얻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50)에 대응하는 관통홀(23)을 하우징(20)에 복수로 형성하고, 복수의 관통홀(23)은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위치시키며,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피사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의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모듈 10: 렌즈배럴
11: 렌즈 20: 하우징
21: 중공부부 22: 측벽
23: 관통홀 24: 광차폐부
30: 기판 31: 윈도우
40: 이미지센서 50: 광원
60: 투명커버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에 안착되며, 중공부를 구획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광원에서 피사체로 방출된 빛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직접 상기 이미지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는,
    상기 광원이 격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위치하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80061398A 2008-06-27 2008-06-27 카메라 모듈 KR20100001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398A KR20100001488A (ko) 2008-06-27 2008-06-2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398A KR20100001488A (ko) 2008-06-27 2008-06-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88A true KR20100001488A (ko) 2010-01-06

Family

ID=4181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398A KR20100001488A (ko) 2008-06-27 2008-06-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4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9580A (zh) * 2012-12-18 2014-06-18 三星电机株式会社 照相机模块
WO2015115763A1 (ko) * 2014-01-28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59762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제이피케이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복합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9580A (zh) * 2012-12-18 2014-06-18 三星电机株式会社 照相机模块
KR101422954B1 (ko) * 2012-12-18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5115763A1 (ko) * 2014-01-28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5980924A (zh) * 2014-01-28 2016-09-28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
US9979870B2 (en) 2014-01-28 2018-05-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light-outputting unit
KR20160059762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제이피케이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786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anel
US7927028B2 (en) Protective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camera
US11140304B2 (en) Camera module applied to terminal and terminal including same
US7502559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
US8670068B2 (en) Protective cover,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CN206023923U (zh) 电子装置
US2010015714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ens module
CN107295226B (zh) 摄像组件和终端设备
KR20080078315A (ko) 필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 모듈
CN107968910B (zh) 电子装置
US10911632B2 (en) Image scanning device
KR20130015485A (ko) 근접센서
CN111970394A (zh) 后盖组件及电子设备
CN111965895A (zh) 一种显示装置
CN108124032B (zh) 电子装置
KR20100001488A (ko) 카메라 모듈
US10816760B2 (en) Miniature camera module
KR20200114164A (ko) 카메라 모듈형 센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108183990B (zh) 电子装置
CN108156286B (zh) 电子装置
KR20200121855A (ko) 전자 장치 및 카메라 어셈블리
CN108989507B (zh) 输入输出组件和移动设备
WO2021027580A1 (zh) 终端
US10725222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light guide unit
JP6660498B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