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353U -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 Google Patents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353U
KR20100001353U KR2020080010112U KR20080010112U KR20100001353U KR 20100001353 U KR20100001353 U KR 20100001353U KR 2020080010112 U KR2020080010112 U KR 2020080010112U KR 20080010112 U KR20080010112 U KR 20080010112U KR 20100001353 U KR20100001353 U KR 20100001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d
switch
main body
cop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한 filed Critical 박경한
Priority to KR2020080010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353U/ko
Priority to CNU2008202104274U priority patent/CN201263482Y/zh
Publication of KR20100001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18Manifold reflectin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4Pocket or handbag mirr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9/00Lanterns, e.g. hurricane lamps or candl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의 구조를 취하면서 광원이 없는 곳에서도 거울을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에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후레쉬 기능을 갖는 거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거울은 여성의 필수 휴대품으로 항상 소지하고 있다가 필요시마다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지만 광원이 없는 곳에서는 거울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광원이 없는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도 거울의 사용이 가능하고 쉽게 휴대하면서 비상시에는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와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는 뚜껑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조명을 장착하여 뚜껑에 형성된 개구부로 조명이 노출토록 하여 뚜껑이 절첩되어질 경우에도 간섭이 없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연 상태에서의 거울에 광원을 주사토록 하여 야간에는 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후래쉬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휴대용 거울, 절첩, 조명, 후레쉬

Description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a mirror}
본 고안은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의 구조를 취하면서 광원이 없는 곳에서도 거울을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에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후레쉬 기능을 갖는 거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거울은 여성의 필수 휴대품으로 외출시에 항상 휴대하면서 화장을 할 경우에나 외모정리를 위하여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지만 광원이 없는 곳에서는 이러한 휴대용 거울의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어두운 곳이나 야간도 사용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광원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거울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은 부피가 크다는 것이고, 또한 거울에 별도의 장치가 장착됨으로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에 지하철이나 각종 도로에서 정전에 의한 급작스런 상황에서는 당황을 함으로써 부상의 우려가 존재함으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후레쉬의 휴대가 요구되었던 것이나, 거울 이외에도 또 다른 휴대품을 소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도 거울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면서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필요시에는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는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뚜껑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조명수단을 장착하여 뚜껑에 형성된 개구부로 노출토록 하여 뚜껑이 절첩되어질 경우에도 간섭이 없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연 상태에서의 거울에 광원을 주사토록 하여 야간에는 거울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후래쉬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등의 불빛이 거울과 얼굴에 주사되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밝은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거울을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면서, 필요시에 접혀진 상태에서 후래쉬로 사용할 수 있어서 별도의 후래쉬를 휴대하지 않고도 비상시에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수단(30)을 수용토록 하는 내공간(11)이 확보되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공간(11)에 수용된 조명요소(30)의 전등(31)이 노출토록 하기 위한 개구부(21)가 형성된 뚜껑(20)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의 내측으로는 거울(13,23)이 부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힌지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개구부(21)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힌지축(22)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22)이 본체(10)의 안착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본체(10)를 마감토록 하는 마감판(10a)에 형성된 돌출막(12a)에 의하여 힌지축(22)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힌지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공간에 장착되는 조명수단(30)은 배터리(40)가 수용되어지는 카트리지(14)가 본체(10)의 삽입구(15)로 출입되어지면서 점등을 위한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조명수단(30)은 동선(32)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33)가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명수단(30)을 단속하며 점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수단(30)의 회로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31)의 일측으로 동선(32a)이 연결되어 카트리지(14)에 수용된 배터리(40a)와 연결되고, 상기 카트리지(14)에 수용되어진 배터리(40a,40b)는 동선(32b)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지며, 또 다른 배터리(40a)는 동선(32c)에 의하여 전등(31)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동선(32c)은 일정거리가 이격되어지게 형성되어져 스위치(33)의 상하조작 에 의하여 스위치(33)의 동선(32d)이 연결 또는 차단되며 개회로와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선(32a,32c)과 전등(31)의 연결은 동선(32a,32c)자체가 전등(31)에 연결되어지거나, 본체(10)의 내부구조상 동선(32a,32c)을 전등(31)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선을 이용하여 동선(32a,32c)과 전등(31)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33)는 본체(10)의 개구홈(16)에 스위치판(31a)을 삽입토록 한 후 스위치판(31a)에 동선(32d)을 장착하여 스위치(33)가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판(33a)은 절개부(33b)를 형성하여 절곡되어진 동선(33d)이 끼움결합토록 되는 것으로, 접착제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결합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33)의 상하이동시 정확한 이동을 위하여 스위치판(33a)에 돌기(33c)를 형성하고, 본체(10)에는 가이드홈(17)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33c)가 가이드홈(17)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홈(17)에 걸림턱(17a)이 형성되면 스위치(33)가 임의적으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정위치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판(33a)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마감판(10a)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2중으로 고정되도록 하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스위치(33)가 상하작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조명수단(30)의 전등(31)은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토록 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복수의 개수로 이루어져 밝기를 우수하게 하며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전등(31)은 본체(10)의 전등홀(18)에 끼워져 전등(31)만이 노출토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고, 상기 노출되어진 전등(31)의 보호를 위하여 투명캡(34)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울(13,23)은 본체(10)와 뚜껑(20)에 내입되어진 공간에 거울(13,23)이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하여 본체(10)와 뚜껑(20)이 절첩될 경우에 거울(13,23)끼리의 충돌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만곡홈(19)이 형성되어 삽입부(15)를 통하여 삽입되어진 카트리지(14)가 정위치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카트리지(14)의 직진성을 위하여 마감판(10a)에 가이드(19a)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내공간(11)에 안착되어지는 동선(32)의 고정을 위하여 내임홈(19)을 형성하거나 또는 동선(32)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내공간(11)에는 홀에 끼워질 수 있는 소돌조를 형성하여 동선(32)의 고정을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동선(32a,32b…32d)은 동선(32a,32b…32d)끼리 상호 연결되어짐을 위하여 선단을 절곡하여 굴곡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의 회로구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33)를 조작하면 스위치(33)에 장착된 동선(32d)이 동선(32a,32b,32c)에 연결되면서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등(31)에 불이 켜지게 되어 전등(31)의 광원이 거울(13,23) 또는 얼굴에 비춰지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거울(13,23)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상시에는 후레쉬로 사용을 위하여 본체(10)와 뚜껑(20)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스위치(3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전등(31)에 불이 켜지게 되면서 후레쉬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본체와 뚜껑이 열린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의 내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위치와 동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위치가 상하이동되어지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내공간
12: 안착홈 13: 거울
14: 카트리지 15: 삽입구
16: 개구홈 17: 가이드홈
18: 전등홀 19: 만곡홈
20: 뚜껑 21: 개구부
22: 힌지축 23: 거울
30: 조명수단 31: 전등
32: 동선 33: 스위치
34: 투명캡
40: 배터리

Claims (3)

  1. 조명수단(30)을 수용토록 내공간(11)이 확보되어진 본체(10)와, 상기 조명수단의 전등(31)이 노출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뚜껑(20)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상기 힌지수단은 뚜껑(20)의 개구부(21)에 내측으로 돌출되어진 힌지축(22)이 본체(10)의 안착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감판(10a)의 돌출막(12a)에 의하여 고정되어 힌지작동을 하고,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의 내측으로는 거울(13,23)이 부착되며, 상기 조명수단(30)의 회로구성은 전등(31)과 배터리(40)가 동선(32)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한 부분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지게 형성되어 스위치(33)를 상하조작함에 따라서 스위치(33)의 동선(32a)이 연결 또는 차단되며 개회로와 폐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기능을 갖는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3)는 스위치판(33a)에 절개부(33b)가 형성되어 동선(32d)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기능을 갖는 거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3)는 스위치판(33a)에 돌기(33c)가 형성되어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홈(17)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토록 되고 상기 가이드홈(17)에 걸림턱(17a)이 형성되어 스위치(33)가 상하이동할 때 정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기능을 갖는 거울.
KR2020080010112U 2008-07-29 2008-07-29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KR20100001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12U KR20100001353U (ko) 2008-07-29 2008-07-29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CNU2008202104274U CN201263482Y (zh) 2008-07-29 2008-10-07 带有照明功能的镜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12U KR20100001353U (ko) 2008-07-29 2008-07-29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53U true KR20100001353U (ko) 2010-02-08

Family

ID=4082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112U KR20100001353U (ko) 2008-07-29 2008-07-29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1353U (ko)
CN (1) CN201263482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1255A (zh) * 2023-12-29 2024-03-29 东莞市红富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带化妆镜的多功能台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6885A (en) * 2010-12-22 2012-07-04 Rd Europe Ltd Removable power unit for an illuminated mirr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1255A (zh) * 2023-12-29 2024-03-29 东莞市红富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带化妆镜的多功能台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263482Y (zh)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998B1 (en) Compact flashlight
US8545040B2 (en) Flashlight and illuminated rear section with two-sided lighting module
US20060067071A1 (en) Pocket light
US8851697B2 (en) Compact flashlight
US6789917B2 (en) Dual mode rechargeable flashlight
KR200447634Y1 (ko) 조명모듈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EP1678443A4 (en) CONVERTIBLE FLASH LIGHT AND FLOOR LIGHT WITH A BLADE LOCK
KR20100001353U (ko) 후레쉬기능을 갖는 거울
KR200454547Y1 (ko) 화장품 케이스
JP5606394B2 (ja) 照明器具
US8657459B2 (en) Lighting apparatus
KR200260980Y1 (ko) 조명수단을 가진 모자용 차양
KR20140098624A (ko) 조명수단을 구비한 콤팩트 거울
KR20130040982A (ko) 랜턴
JP2003045201A (ja) 照明ライト付き歩数計
US7481548B2 (en) Portable case
JP2002083501A (ja) 携帯型ライトと簡易ランタン
KR101758782B1 (ko) 플래시 라이트
KR20080003877U (ko) 후라쉬기능을 갖는 거울
KR200319262Y1 (ko) 조명장치를 갖는 화장품
US20040244811A1 (en) Cosmetics case
KR200227566Y1 (ko) 조명등과 돋보기 및 야광판과 후사경이 갖추어진 착탈형라이트 안경
KR200186379Y1 (ko) 안경 부착용 조명구
KR200168001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183197Y1 (ko) 전등 착탈식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