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81U - box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ox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181U
KR20100001181U KR2020080009904U KR20080009904U KR20100001181U KR 20100001181 U KR20100001181 U KR 20100001181U KR 2020080009904 U KR2020080009904 U KR 2020080009904U KR 20080009904 U KR20080009904 U KR 20080009904U KR 20100001181 U KR20100001181 U KR 201000011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fastening
hook por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9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강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181U/en
Publication of KR20100001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8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차량용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바디(20)와, 상기 메인바디(20)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커버(10) 및 제 2커버(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커버(10)의 외면 및 하면 가장자리에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인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커버(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턱(13)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12)의 상부에는 상기 제 2커버(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커버(10)는 메인바디(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 및 하면에는 상기 제 1커버(10)의 전선인출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인출구(21)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후크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차폐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22)에는 체결레버(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23)에는 상기 걸이턱(13)이 걸어지는 걸림턱(24)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일측에는 제 2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커버(30)에는 상기 제 1커버(10) 및 메인바디(20)의 전선인출구(11, 21) 측면을 가리는 이물질방지가림막(32)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방지가림막(32)의 외면 일부는 상기 지지돌기(14)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지돌기(14)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방지가림막(32)을 고정시켜, 상기 제 2커버(3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나 상기 전선의 유동에 의한 상기 이물질방지가림막(32)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of the vehicle box are formed by the main body 20 and the first cover 10 and the second cover 30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Wire outlets 11 are formed on the outer and lower edges of the first cover 10 to draw the wires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hooks 12 having a hooking jaw 13 formed around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ver 10 are formed. The support protrusion 14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12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cover 30. The first cover 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Wire outlets 21 are formed on the out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ire outlets 11 of the first cover 10. The fastening shield 2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12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20. A fastening lever 23 is formed on the fastening shield 22. The locking lever 23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24 to which the hooking jaw 13 is hooked. The second cover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second cover 30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blocking film 32 covering side surfaces of the wire outlets 11 and 21 of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body 20.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shielding film 3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screen 32 is fixed by using the support protrusion 14,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30 or the flow of the wires.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shielding film 32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박스, 커버, 체결차폐부, 후크부, 가림막, 지지돌기 Box, Cover, Fastening Shield, Hook, Screen, Supporting Projection

Description

차량용박스{box for vehicle}Box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의 하측을 덮는 제 1커버, 메인바디의 상측을 덮는 제 2커버로 구성되는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x consisting of a main body,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cover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electrical equipment.

일반적으로 차량용박스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 및 차량에 설치된 전자장치들과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유입되는 전원을 각각의 전자장치에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vehicle box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distribute power flowing from the battery to each electronic device.

차량용박스는 크게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의 하측을 덮는 제 1커버, 메인바디의 상측을 덮는 제 2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퓨즈 및 릴레이와 같은 다수개의 전장품들이 설치되고, 내부에 버스바가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에는 배터리 및 외부의 전자장치들과 연결된 전선이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The vehicle box is composed of a main body in which the electric equipment is installed, a first cover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fuses and relays, the bus bar is provided there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wire connected to a battery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s connected to a terminal.

상기 메인바디와 제 1커버의 일측에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선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커버에는 상기 전선인출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막이 형성된다. A wire outle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so that an electric wire is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a shielding film is formed at the second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outlet.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박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box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상기 메인바디와 제 1커버를 결합하는 커버결합장치는 상기 제 2커버의 가림막을 회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2커버의 상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커버 및 그의 가림막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전선이 외측으로 밀려서 상기 전선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커버 및 가림막의 벌어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차량용박스에서는 제 2커버의 벌어짐으로 인하여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고, 상기 벌어짐 발생시 생기는 소음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cover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s formed in a position to avoid the screen covering of the second cover. Thu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the second cover and its screen are opened outward. Similarly, even when the electric wire is pushed outward from the main body to generate the flow of the electric wire, the second cover and the shielding film are opened.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vehicle box, foreign matter cannot be completely blocked from entering the main body due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cover, an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iscomfort due to noise generated when the opening occur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 및 제 1커버를 결합함과 동시에 제 2커버에 형성되는 가림막을 고정하는 차량용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vehicle box for fixing the screen formed on the second cover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are combin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2커버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second co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측 가장자리에 외부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인출구가 구비되는 메인바디; 상기 전선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인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일면을 차폐하는 제 1커버; 상기 메인바디와 제 1커버의 전선인출구 측면을 가리는 이물질방지가림막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타면을 차폐하는 제 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 1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부와 체결차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상부에는 상기 이물질방지가림막의 가장자리를 걸어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having a wire outlet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to the outer edge; A first cover provided with a wire outl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outlet and shield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oreign body blocking screen covering the wire outlet por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s provided, comprising a second cover for shielding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corresponding positions A hook portion and a fastening shield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and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screen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 1커버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커버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차폐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된다.The hook portion protrudes from an outer edge of the first cover and extends toward the second cover, the fastening shield is formed on an outer edge of the main body, and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nd a fastening lever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에는 상기 메인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상단면이 넓어지도록 분리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의 상단면에는 요홈이 형성된다.Separatio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lever so as to wide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h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상기 후크부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진다.A hook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hook portion,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ing jaw and the hooking jaw is hooked to the locking jaw.

본 고안에서는 메인바디와 제 1커버를 결합하는 후크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이용하여 제 2커버의 가림막을 고정하므로, 전선의 유동에 의한 제 2커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reen covering film of the second cover is fixed by using the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hook portion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second cover due to the flow of the wire.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제 2커버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 2커버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용박스의 제 2커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thereby firmly supporting the second cover of the vehicle box.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차량용박스의 메인바디와 제 1커버 및 제 2커버 분리시에 결합부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part can be easily releas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of the vehicle box are separated, workability is improv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ver coupling device of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분리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 예의 차량용박스의 전체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shown in a separat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4, the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ntire cover of the vehicl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s shown in the operating state diagram.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바디(20)와 상기 메인바디(20)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제 1커버(10) 및 제 2커버(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커버(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이다. 상기 제 1커버(10)는 차량용박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커버(10)에는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메인바디(20)가 안착되어, 상기 메인바디(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vehicle box are formed by the main body 20 and the first cover 10 and the second cover 30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 The first cover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has a box shape with one side opened. The first cover 10 constitutes a part of a vehicle box, and the main cover 20 is installed on the first cover 10 to protect the main body 20. .

상기 제 1커버(10)에는 전선인출구(11)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선인출구(11)는 상기 제 1커버(10)의 측면에서부터 그 바닥면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선인출구(11)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연결된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커버(10)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인출구(11)에서 상기 제 1커버(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부분은 전선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An electric wire outlet 11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10. The wire outlet 11 is formed to ope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10 to its bottom surface. The wire outlet 11 serves as a passage connect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cover 10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is drawn out. Th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ver 10 in the wire outlet 11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reduce interference with the wire.

상기 제 1커버(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후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커버(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12)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상기 제 2커버(30)를 향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hooks 12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ver 10. The hook portion 12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cover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hook part 1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econd cover 30.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후크부(12)의 선단에는 걸이턱(1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차폐부(22)의 걸림턱(24) 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2 or FIG. 3, a hooking jaw 13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hook part 12. The hooking jaw 13 is a portion on which the locking jaw 24 of the fastening shield 22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상기 걸이턱(13)에는 경사안내면(1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13')은 상기 걸이턱(13)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13')의 횡단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23)의 경사면(24')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13')은 상기 걸이턱(13)이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23)의 걸림턱(24)에 용이하게 걸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n inclined guide surface 13 'is formed on the hanging jaw 13. The inclined guide surface 13 ′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ip of the hanger 13. The cross section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1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to be described below. The inclined guide surface 13 'serves to guide the hooking jaw 13 to be easily walked on the locking jaw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후크부(12)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커버(30)를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 2커버(30)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림막(32)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14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ver 3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ok part 12. The support protrusion 14 serves to support the screening film 3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30 to be described below so as not to spread outward.

상기 제 1커버(10)의 일측에는 메인바디(20)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바디(20)는 퓨즈 및 릴레이와 같은 다수개의 전장품들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버스바가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20)에는 배터리 및 외부의 전자장치들과 연결된 전선이 터미널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main body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ver 10.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fuses and relays, the bus bar is provided there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main body 2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wire connected to a battery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s coupled to a terminal.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과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선들이 설치되도록, 상기 제 1커버(10)의 전선인출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전선인출구(21)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wire outlets 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ire outlet 11 of the first cover 10 so that the wires are installed on the outer and bottom edges of the main body 20.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후크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차폐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22)는 상기 메인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차폐부(22)는 상기 후크부(12)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차폐부(22)의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astening shield 2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12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20. The fastening shield 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20. The fastening shield 22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hook portion 12.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fastening shield 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이때,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차폐부(22)에는 상기 후크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차폐부(22)의 내면은 상기 후크부(12)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크부(12)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차폐부(22)는 상기 후크부(12)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or 3, the fastening shield 22 is inserted through the inside so that the hook portion 12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2 ') is formed.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shield 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12, thereby serving to surround the hook portion 12. Accordingly, the fastening shield 22 serves to prevent the hook portion 12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체결차폐부(22)에는 체결레버(2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23)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으로부터 후술되는 제 2커버(30)의 가림막(32)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23)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 2커버(30)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23)는 상기 체결차폐부(22)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23)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후크부(12)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23)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The fastening shielding part 22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lever 23. The fastening lever 23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by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film 32 of the second cov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ing lever 23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econd cover 30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e fastening lever 23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shield 22 in the form of a cantilever. That is, the fastening lever 23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shape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hook part 12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At this time, the fastening lever 2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상기 체결레버(23)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은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은 상기 후크부(12)의 걸이턱(13)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커버(10)에 상기 메인바디(2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A locking jaw 24 is formed at the fastening lever 23. The locking jaw 24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e locking jaw 24 is fixed by being hooked to the hooking jaw 13 of the hook part 12 to serve to fasten the main body 20 to the first cover 10.

상기 걸림턱(24)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의 경사면(24')은 상기 제 1커버(10)의 외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 의 경사면(24')의 경사각도는 상기 걸이턱(13)의 경사안내면(13')의 경사각도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의 경사면(24')은 상기 후크부(12)의 걸이턱(13)이 용이하게 걸어지도록 상기 걸이턱(13)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n inclined surface 24 ′ is formed on the locking jaw 24. The inclined surface 24 ′ of the locking jaw 24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4 'of the locking jaw 2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13' of the hanging jaw 13. The inclined surface 24 ′ of the locking jaw 24 serves to guide the hooking jaw 13 so that the hooking jaw 13 of the hook part 12 is easily hooked up.

상기 체결레버(23)의 선단에는 분리경사면(25')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경사면(25')은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레버(23)의 상단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체결레버(23)의 상단면(25)은 하단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23)의 상단면(25)에는 요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26)은 상기 체결레버(23)와 상기 후크부(12)의 분리시 공구가 삽입되거나 손가락이 걸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체결레버(23)와 상기 후크부(12)의 결합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체결레버(23)는 상기 요홈(26)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메인바디(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작된다. Separation slopes 25 ′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locking lever 23. The separating inclined surface 25 ′ is formed to widen the upper end width of the fastening lever 2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25 of the locking lever 23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groove 26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25 of the fastening lever 23. The recess 26 serves to insert a tool or to hang a finger when the fastening lever 23 and the hook portion 12 are separated. Thus, when separating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lever 23 and the hook portion 12, the fastening lever 23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20 more easily by using the groove (26). Manipulated.

상기 메인바디(20)의 일측에는 제 2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커버(30)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 1커버(10) 및 메인바디(20)의 일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커버(30)는 상기 제 1커버(10)와 같이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커버(30)는 하부가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cover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second cov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serves to shield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body 20. The second cover 3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like the first cover 10. The second cover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lower portion.

상기 제 2커버(30)에는 상기 메인바디(20) 및 제 1커버(10)의 전선인출구(21, 11)를 통하여 먼지나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물질방지가림막(이하 '가림막'이라 약칭함)(32)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32)의 길이는 상기 제 2커버(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커버(10)를 향하여 이물질 유 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막(32)의 폭은 상기 전선인출구(21, 11)의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차폐부(22)의 좌측단과 상기 전선인출구(21, 11)의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차폐부(22)의 우측단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막(32)의 좌우측 하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체결차폐부(22)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32)은 상기 제 1커버(10) 및 메인바디(20)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돌기(14)에 의해 지지된다.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moistur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ver 30 through the wire outlets 21 and 11 of the main body 20 and the first cover 10 (hereinafter ' A short film 32 'is formed. The length of the shielding film 3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ver 30 toward the first cover 10.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hielding film 32 is the fastening shielding portion formed on the left end of the fastening shielding portion 22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wire outlet 21, 11 and the right side of the wire outlet 21, 11. It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ends of the ends (22).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of the shielding film 3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dges of the fastening shielding part 22. When the shielding film 32 is fastened to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body 20,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4.

이때, 상기 가림막(32)이 상기 지지돌기(14)에 의해 지지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과 상기 지지돌기(14)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림막(32)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that the screening film 3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4,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screening film 32. 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2의 화살표 A와 B는 상기 제 1커버(10)와 메인바디(20), 제 2커버(30)의 결합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 메인바디(20)에 상기 제 1커버(10)와 제 2커버(30)가 각각 결합된다. 즉,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상기 제 1커버(10)를 상기 메인바디(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상기 제 2커버(30)를 상기 메인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다. Arrows A and B of FIG. 2 indicate a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10,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cover 30, and the first cover 10 on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cover 30 are respectively coupled. That is, the first cover 10 is inse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0 to the upper 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 second cover 30 is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0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sert into the bottom.

먼저, 상기 메인바디(20)를 상기 제 1커버(10)를 향해 눌러주면, 상기 체결차폐부(22)의 삽입공간(22') 내부로 상기 후크부(12)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걸이턱(13)의 경사안내면(13')은 상기 체결레버(23)의 걸림턱(24)에 형성된 경사 면(24')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체결차폐부(22)가 후크부(12)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23)가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탄성변형된다. First, when the main body 20 is pressed toward the first cover 10, the hook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2 ′ of the fastening shielding part 22. At this time, the inclined guide surface 13 ′ of the hanging jaw 13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4 ′ formed in the locking jaw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lever 23 is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while the fastening shielding part 22 is coupled to the hook part 12.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23)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후크부(12)의 걸이턱(13)이 상기 체결레버(23)의 걸림턱(24)에 걸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레버(23)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상기 후크부(12)의 걸이턱(13)은 상기 체결레버(23)의 걸림턱(24)에 걸어짐으로서, 상기 메인바디(20)는 상기 제 1커버(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When the fastening lever 23 is elastically de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hooking jaw 13 of the hook part 12 is engaged with the catching jaw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lever 23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gain, and the hooking jaw 13 of the hook portion 12 is hooked on the locking jaw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thereby providing the main body 20. )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rst cover 10.

이어서, 상기 제 2커버(30)를 상기 제 1커버(10)에 결합된 메인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제 2커버(30)에 형성된 가림막(32)은 상기 제 1커버(10) 및 메인바디(20)에 형성된 전선인출구(11, 21)를 가려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Subsequently, the second cover 30 is coupl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0 coupled to the first cover 10. Then, the shielding film 32 formed on the second cover 30 covers the wire outlets 11 and 21 formed on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body 2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이때, 상기 메인바디(20)의 체결차폐부(22) 상단면에 안착되는 상기 제 2커버(30)의 가림막(32) 외면은 상기 후크부(12)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돌기(14)에 의해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32 of the second cover 3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shielding portion 22 of the main body 2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12 is a support protrusion 14 Supported by).

그래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상기 제 2커버(30)의 상부로부터 외력이 작용하거나, 상기 제 1커버(10)와 메인커버(20)의 전선인출구(11, 21)에 설치되는 전선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상기 지지돌기(14)는 상기 가림막(32)이 상기 D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Thus, an external force act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30 in the direction of arrow C shown in FIG. 4, or is installed at the wire outlets 11 and 21 of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cover 20. Even if the wire to be flo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the support protrusion 14 prevents the screening film 32 from spreading in the D direction.

한편, 상기 후크부(12)를 상기 체결차폐부(22)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체 결레버(23)를 하나씩 파지하여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23)의 상단면(25)에 형성되는 요홈(26)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레버(23)를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23)가 상기 메인바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레버(23)의 걸림턱(24)과 상기 후크부(12)의 걸이턱(13)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 1커버(10)와 메인바디(20)가 분리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23)의 상단면(25)이 하단면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25)에 형성되는 요홈(26)에 공구를 삽입하거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제 1커버(10)와 메인바디(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ull out the hook portion 12 from the fastening shield 22, it is necessary to grip the fastening lever 23 one by on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t this time, when the fastening lever 23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using the recess 26 formed on the top surface 25 of the fastening lever 23, the fastening lever 23 is the main body ( 20) elastic deforma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In this case, the locking jaw 24 of the fastening lever 23 and the locking jaw 13 of the hook portion 12 are released to separate the first cover 10 and the main body 20. . That is, the upper surface 25 of the fastening lever 23 is formed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the first cover 10 by inserting a tool or a finger into the groove 26 formed in the upper surface 25 And the main body 20 can be easily separated.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돌기(14)는 후크부(13)에 한 쌍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14)는 하나 또는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14 is formed in a pair in the hook portion 13,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or three support protrusions 14 may be form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 1커버와 메인바디, 제 2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커버의 상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top of the second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the main body, the second co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 1커버 11: 전선인출구10: first cover 11: wire outlet

12: 후크부 13: 걸이턱12: hook portion 13: hanger

13': 경사안내면 14: 지지돌기13 ': inclined guide surface 14: support protrusion

20: 메인바디 21: 전선인출구20: main body 21: wire outlet

22: 체결차폐부 22': 삽입공간22: fastening shield 22 ': insertion space

23: 체결레버 24: 걸림턱23: tightening lever 24: locking jaw

24': 경사면 25: 상단면24 ': slope 25: top

25': 분리경사면 26: 요홈25 ': Separate slope 26: Groove

30: 제 2커버 32: 이물질방지가림막30: second cover 32: foreign matter blocking film

Claims (4)

외측 가장자리에 외부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인출구가 구비되는 메인바디;A main body having a wire outlet for connecting wires to the outside at an outer edge thereof; 상기 전선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인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일면을 차폐하는 제 1커버;A first cover provided with a wire outl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outlet and shield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바디와 제 1커버의 전선인출구 측면을 가리는 이물질방지가림막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타면을 차폐하는 제 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blocking screen covering the wire outlet por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and comprises a second cover to shiel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 1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부와 체결차폐부가 형성되고,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and a fastening shiel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후크부의 상부에는 상기 이물질방지가림막의 가장자리를 걸어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is a vehicl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jection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film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 1커버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커버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고,The hook portion protrudes from an outer edge of the first cover and extends toward the second cover. 상기 체결차폐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상기 메인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 The fastening shiel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the insertion space is form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hook portion, the fastening lever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elastically deform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Vehicl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에는 상기 메인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상단면이 넓어지도록 분리경사면이 형성되고, Separatio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lever to wide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astening lev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상기 체결레버의 상단면에는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Vehicl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astening lev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후크부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A hook box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hook portion, and the locking lev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cking lev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jaw.
KR2020080009904U 2008-07-24 2008-07-24 box for vehicle KR2010000118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04U KR20100001181U (en) 2008-07-24 2008-07-24 box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04U KR20100001181U (en) 2008-07-24 2008-07-24 box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81U true KR20100001181U (en) 2010-02-03

Family

ID=4419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904U KR20100001181U (en) 2008-07-24 2008-07-24 box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181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85B1 (en) * 2018-11-1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4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5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3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85B1 (en) * 2018-11-14 2020-03-13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4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5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KR20200056353A (en) * 2020-02-24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Junction-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921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90008655U (en) 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KR20100001181U (en) box for vehicle
KR200436537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KR10075912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junction box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KR101820143B1 (en) Wiring connector
KR200431758Y1 (en) Cable entry apparatus for box
KR100970274B1 (en)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KR100689264B1 (en) Covers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JP7262318B2 (en) power conditioner
TW201338280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comprising a latching lance for a plug housing
KR100894162B1 (en) Cover fastening structure of box
EP1850434A1 (en) Electric cable retaining device for wiring ducts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JP6710109B2 (en) Circuit breaker
KR200439566Y1 (en) Cover of Junction box
KR20130067557A (en) Connector assembly
KR101830435B1 (en) Wiring connector
KR20100070833A (en) Connector
KR100874971B1 (en) Cassette block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KR200465856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e cover for connector
KR101830436B1 (en) Wiring connector
KR101658014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10712U (e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