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00A -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900A
KR20100000900A KR1020080060572A KR20080060572A KR20100000900A KR 20100000900 A KR20100000900 A KR 20100000900A KR 1020080060572 A KR1020080060572 A KR 1020080060572A KR 20080060572 A KR20080060572 A KR 20080060572A KR 20100000900 A KR20100000900 A KR 2010000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plant complex
extract
complex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이
이강태
이승지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06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900A/ko
Publication of KR2010000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국화를 세절하여 1차로 물에 추출한 후 이 액으로 천상초, 작약, 진피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추출하여 얻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피부 자극 완화 및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이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며 피부를 보호해주는 화장료의 용도로 광법위하게 사용 될 수 있다.
국화,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지황, 피부 보호, 피부자극완화, 보습, 화장료

Description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Skin Comprising the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식물 추출물로서 국화를 세절하여 물에 추출한 후 이 액에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첨가하여 얻은 유효성분을 추출한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환경의 변화, 내적, 외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피부가 칙칙해지고, 민감해지며, 피부 수분 보유력이 저하하는 등의 다양한 피부 트러블들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점차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가 건조해고, 탄력이 떨어지며, 주름 생성이 많아지며 피부도 칙칙해진다. 또한 외부의 약한 자극에도 쉽게 민감해지며 회복에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트러블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천연 식물성 성분 및 자극 완화제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것이며,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 천연물을 발효시켜줌으로써 천연물의 기본적 특성과 함께 발효로 인해 생성되는 발효 산물을 이용한 소재 개발을 많이 시도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천연 추출물을 복합 추출해서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주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 발명은 국화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추출수를 만든 후에 여기에 다시 천연 식물을 추가로 추출하여 기존의 혼합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노화로 인해 손상된 다양한 피부 트러블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화를 1차적으로 추출한 후 이 추출수에 다시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 등을 추출하여 얻은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보습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다양한 피부 트러블 현상을 개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국화를 세절하여 물에 추출한 후 이 액으로 천상초, 작약, 진피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추출하여 얻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피부 자극 완화 및 MMP-1 생 성 억제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이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며 피부를 보호해주는 화장료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국화,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으로부터 추출된 혼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국화를 세절하여 물에 1차적으로 추출한 추출수에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추출한 복합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1차 추출수의 재료로 쓰이는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는 엉거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재배종은 시베리아, 한국 등의 산야에 자생하는 구절초(Chrysanthemum sibrim)와 중국 하남이 감국(Chrysanthemum indicum)과의 교배에 의해서 만들어진 국화의 선조라고 생각되며, 국화속 식물이 상당 부분이 통상 국화라고 불리워진다. 국화속 식물은 세계적으로 약 200여종이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화는 꽃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국화로 몸을 가꾸면 장수하고 몸이 가벼워진다고 하였으며, 청열 해도 작용, 소염효과 및 모세혈관 저항력 증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상초(Rhododendron brachycarpum)는 높고 추운 산꼭대기에서 자라는 늘 푸른 떨기나무로 높이는 1∼4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고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5∼7개가 모여 달린다. 꽃은 6∼7월에 피고 10∼20개씩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서 털이 빽빽이 난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으로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고 안쪽 윗면에 녹색 반점이 있으며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에는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2cm이고 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천상초는 하늘의 신선이 가꾸는 꽃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만병을 고친다고 만병초, 만년동안 산다고 해서 만년초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는 잎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작약(Paeonia lact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백작약, 산작약, 적작약, 호작약 등이 있다. 높이는 50-80cm 이며, 꽃은 5-6월에 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한의학에서는 뿌리를 사용하며 맛이 쓰고 성질은 약간 차며 청혈작용이 있고 어혈을 없애 주어 발열, 토혈, 경폐, 타박상 따위에 쓰인다. 본 발명에서는 뿌리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된 진피는 운향과 식물인 감귤(Citrus unshiu)의 껍질을 말려서 얻은 것을 의미한다. 이 귤은 온주귤, 온주밀감이라고도 하며 높이는 3-5m이고 가지가 퍼지며 가시가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모양 잔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 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한국의 제주도, 일본, 북아메리카 남부등지에서 서식한다.
본 발명의 천궁(Cnidium officinale)은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이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난형(卵形)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複傘形] 꽃차례에 달리며, 총포(總苞)와 작은 총포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川芎屬 Cnidium)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며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 꽃차례가 아닌 갯사상자(C. japonicum)가 자생한다. 한약재로서 뿌리는 음위ㅇ간질ㅇ대하ㅇ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 진정제, 진통제, 강장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뿌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Apiaceae)에 속하는 한약재의 뿌리를 일컬으며 뿌리는 1-2m 정도이고 뿌리를 약물로 사용하는데 주성분은 정유성분 이다. 성질은 온하며 독이 없고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이 돈다. 본 발명에서는 당귀의 뿌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키는 30cm 정도이며 줄기에는 짧은 털이 빽빽이 달린다. 오렌지색을 띠는 굵은 뿌리는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중국꽃은 홍자색으로 6~7월경 줄기 끝에 몇 송이씩 무리 져서 피는데, 통꽃이지만 꽃부리 끝이 5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꽃부리의 겉에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뿌리를 약으로 쓰기 위해 심고 있다. 한방에서는 보혈제, 강장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뿌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식물 복합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건조시킨 국화꽃 1kg을 세절하여 물 10L에 침지시켜 5일간 실온에서 추출하여 10kg을 만든 후 이 액에 다시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지황을 각각 1kg씩 넣어 10일간 실온에서 침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식물 건조 추출물을 1% (w/v) 농도가 되도록 30% 글리세린 용액으로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국화 추출수에서 천상초, 작약, 진피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추출한 식물 복합 추출물은 피부 자극 완화 및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보습에도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 식물 복합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30.0 %(v/v)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20%(v/v)이다. 식물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v/v)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식물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며, 피부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형의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식물 복합 추출물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식물 복합 추출물(1)의 제조
먼저 건조시킨 국화꽃 1kg을 세절하여 물 10L에 침지시켜 5일간 추출하여 10kg을 만든 후 이 액에 다시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지황을 각각 1kg씩 넣어 10일간 실온에서 침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식물 건조 추출물을 1% (w/v) 농도가 되도록 30% 글리세린 용액으로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식물 복합 추출물(2)의 제조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지황 각 1kg을 건조 및 세절한 국화꽃 1kg과 함께 10L의 정제수에서 넣어 10일간 실온에서 침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식물 건조 추출물을 1% (w/v) 농도가 되도록 30% 글리세린 용액으로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실험예 1: 락트산에 의한 세포자극 완화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식물 복합 추출물에 의한 세포자극 완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락트산에 의한 세포자극 완화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은 다음과 같다. 인간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T-75 플라스크(Falcon, 미합중국)에서 80% 정도 성장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것을 다시 96-웰 플레이트(Falcon, 미합중국)에 3×104 cells/well이 되게 옮겨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을 통해 세포가 완전히 부착되어 잘 자라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피부세포 자극원으로 락트산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락트산은 0.2%를 사용하였다. 즉, 96웰의 각각에 0.2% 락트산이 함유된 DMEM(시그마, 미합중국) 배지를 200㎕씩 첨가하고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식물 복합 추출물을 각각 0.5 및 1.0 %(v/v)로 조절하여 첨가하였다. 이때 락트산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락트산만 첨가한 것을 비교군으로 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고 12시간 경과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8045869699-PAT00001
세포 자극 완화 효과
시험 물질농도(%) 세포 생존율(%)
대조군 100
제조예 1의 추출물(0.5%) 99.8
제조예 1의 추출물(1.0%) 101.2
비교제조예 1의 추출물(0.5%) 99.9
비교제조예 1의 추출물(1.0%) 99.8
비교군(락트산 0.2%) 0.0
락트산 (0.2%)+ 제조예 1의 추출물(0.5%) 44.5
락트산 (0.2%)+ 제조예 1의 추출물(1.0%) 79.8
락트산 (0.2%)+ 비교제조예 1의 추출물(0.5%) 36.8
락트산 (0.2%)+ 비교제조예 1의 추출물(1.0%) 65.7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 국화꽃 추출수를 이용하여 식물을 추출한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국화꽃 및 다른 식물을 혼합하여 추출한 비교제조예 1의 추출물에 비해 약 1.2배 이상의 락트산 처리에 의한 세포 생성 억제의 완화 효과를 보였다(각 농도별). 또한 각각의 추출물은 그 자체로는 세포 생존율에 아무런 영향을 비치지 않아 세포 독성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MMP-1 생성 억제 효과
인간 정상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당 1×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 및 2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5%, 1.0% 되게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식물 복합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2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MMP-1 생성 억제율의 양성 대조군으로 TGF-β(10ng/ml, Roche, 미합중국)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45869699-PAT00002
MMP-1 생성억제율(%)
시험 물질(농도) MMP-1 생성 억제율(%)
TGF-β(10ng/ml) 73.8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0.5 %) 56.8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1.0 %) 78.9
비교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0.5 %) 32.5
비교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1.0 %) 58.5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MMP-1 생성 억제율에 대하여, 국화로부터 1차 추출수를 제조한 다음 이 추출수에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첨가하여 추출한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은, 모든 식물을 혼합하여 추출한 비교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에 비해 농도별로 각각 1.75배 및 1.35배의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1.0 %의 농도로 처리한 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TGF-β 처리군에 비해 보다 우수한 MMP-1 생성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MMP-1은 다양한 외부 자극(자외선)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로서 식물 복합 추출물이 이 단백질의 합성을 저하시켜주는 것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해결해주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처방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연화장수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제조예 1의 식물복합추출물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히아루로네이트액 5.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4
메칠파라벤 0.2
0.01
증류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2: 영양유액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유액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제조예 1의 식물복합추출물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1.5
스테아릴 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액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메틸파라벤 0.2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영양크림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단위:중량%)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타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액 4.0
메틸파라벤 0.2
0.05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본 발명의 식물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보습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의 보습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을 3%(v/v)를 함유하고 있는 처방예 3의 영양 크림과 처방예 3에서 제조예 1의 식 물복합 추출물 대신 비교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 및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비교예 및 대조예로 사용하였다. 2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상박에 각각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정 사각형의 제품 적용 부위를 만든 후 2주간 도포해주면서 피부 보습량 변화를 skin corneometer(C+K courag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10%이상 개선된 피검자의 숫자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보습 개선율을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영양크림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기기평가)
보습 10%이상 개선된 피검자 수 개선되지 않은 피검자수 (효과 없음) 피부보습 유효율(%)
처방예3의 크림 17 3 85.0
비교예의 크림 10 10 50.0
대조예의 크림 2 18 10.0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화를 추출한 추출수에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을 첨가하여 추출한 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이 함유된 처방예 3의 크림은, 상기 식물들을 혼합하여 추출한 비교제조예 1의 식물 복합 추출물이 함유된 비교예의 크림 및 식물 추출물 대신 정제수가 함유된 대조예의 크림에 비해 보다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비교예 크림이 피부 보습에 있어 50%의 유효율을 보인 반면, 처방예 3의 크림은 무려 1.7배나 높은 85%의 유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국화,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및 지황으로부터 추출한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은 국화꽃 추출수에 천상초, 작약, 진피, 천궁, 당귀, 지황을 첨가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0%(w/w)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은 세포 자극 완화, 스트레스에 의한 MMP-1의 합성을 억제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보호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KR1020080060572A 2008-06-26 2008-06-26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572A KR20100000900A (ko) 2008-06-26 2008-06-26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572A KR20100000900A (ko) 2008-06-26 2008-06-26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00A true KR20100000900A (ko) 2010-01-06

Family

ID=4181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572A KR20100000900A (ko) 2008-06-26 2008-06-26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9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890A (zh) * 2017-11-30 2020-07-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芍药苷或芍药内酯苷的内因性老化预防或改善用组合物
KR102333688B1 (ko) 2021-09-07 2021-12-02 에스엘코스메틱 주식회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890A (zh) * 2017-11-30 2020-07-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芍药苷或芍药内酯苷的内因性老化预防或改善用组合物
KR102333688B1 (ko) 2021-09-07 2021-12-02 에스엘코스메틱 주식회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970B1 (ko)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3873997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0900A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572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644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7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17560B1 (ko)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6115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63599B1 (ko) 편백잎, 가시대나무줄기 및 바오밥나무씨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