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45U -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 Google Patents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45U
KR20100000345U KR2020080008853U KR20080008853U KR20100000345U KR 20100000345 U KR20100000345 U KR 20100000345U KR 2020080008853 U KR2020080008853 U KR 2020080008853U KR 20080008853 U KR20080008853 U KR 20080008853U KR 20100000345 U KR20100000345 U KR 20100000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core member
chair
hol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923Y1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좌부 또는 등부에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은,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스폰지 부재와; 스폰지 부재의 제2 면을 지지하여 스폰지 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코어 부재와; 스폰지 부재의 제1 면을 감싸며 코어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와; 그리고 코어 부재를 의자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스폰지 부재에는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코어 부재에는 복수개의 통기공과 연통된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커버 부재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고정 부재에는 연통공과 연통되는 에어 유출입공이 형성된다.
스폰지, 의자, 쿠션, 통기성

Description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SPONGE TYPE CUSHION FOR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좌부 또는 등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부 또는 등부에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등판과, 그리고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둔부는 좌판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등은 등판에 접촉된다. 또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좌판과 등판에 쿠션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쿠션은 전통적인 해면 스폰지와, 해면 스폰지를 감싸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피 등을 포함하고, 특히 프레임은 의자의 등 지지부 또는 의자의 둔부 지지부에 체결된다. 따라서, 해면 스폰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폰지 타입의 쿠션은 통풍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즉 통기성을 좋게 하기 위해, 2005년 4월11일자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381386)에는 스폰지의 밀도를 낮추는 기술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폰지의 밀도를 낮추는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스폰지를 계속해서 사용할 경우, 즉 사용자의 등 또는 둔부가 스폰지를 계속해서 오랜 시간 가압할 경우, 스폰지의 밀도가 다시 증가되어 통기성이 다시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폰지의 밀도를 너무 낮출 경우, 쿠션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의자의 좌부 또는 등부에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은,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스폰지 부재와; 상기 스폰지 부재의 상기 제2 면을 지지하여 상기 스폰지 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코어 부재와; 상기 스폰지 부재의 상기 제1 면을 감싸며 상기 코어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와;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를 의자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 부재에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면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부재에는 상기 복수개 의 통기공과 연통된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에어 유출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통기공 각각은 점 형상을 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공 각각은 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공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통기공 중 적어도 2개의 통기공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의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코어 부재의 가장 자리를 지지하는 테두리부와;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에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설정 간격 띄어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에어 유출입공은 상기 연결부에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는 타카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폰지 부재가 제공됨에 따라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폰지 부재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코어 부재에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며, 커버 부재가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정 부재에 에어 유출입공이 형성됨에 따라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랜 시간 착석시에도 안락한 쿠션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원활한 통풍으로 인해 답답하지 않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에어 공간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착석시 스폰지 부재 등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에어 공간을 통해 공기 완충을 거친 후 외부로 유출되게 되므로, 공기 완충으로 인한 착석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에서 고정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10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 부재(100)와, 코어 부재(200)와, 커버 부재(300)와, 그리고 고정 부재(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스폰지 부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폰지 부재(100)는 사용자의 신체(둔부, 등 또는 팔)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 로 닿는 곳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스폰지 부재(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제1 면(110)(즉, 둔부가 위치되는 곳이면 평면, 등이 위치되는 곳이면 전면)(이하, 편의상 "접촉면"이라 함)과, 그리고 접촉면(110)의 반대 면인 제2 면(120)(즉, 둔부가 위치되는 곳이면 저면, 등이 위치되는 곳이면 후면)(이하, 편의상 "비접촉면"이라 함)을 포함한다.
특히, 스폰지 부재(100)에는 접촉면(110)에서 비접촉면(120)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공(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폰지 부재(100)는 사용자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복수개의 통기공(130)을 통해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폰지 부재(100)는 일반 스폰지에 비해 탄성이 배가된 고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코어 부재(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어 부재(200)는 스폰지 부재(100)의 비접촉면(120)을 지지하여 스폰지 부재(10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스폰지 부재(100)가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스폰지 부재(100)의 비접촉면(120)을 코어 부재(200)가 지지하지 않게 되면 외력에 의해 스폰지 부재(100)가 휘거나 꺾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스폰지 부재(100)의 비접촉면(120)을 코어 부재(200)가 지지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물론, 코어 부재(200)가 스폰지 부재(100)의 비접촉면(120) 전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코어 부재(200)는 비접촉면(12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판 형상(도 2의 "200" 참조)을 가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복수개의 통기공(130)을 통해 통풍이 이러질 수 있도록, 판 형상의 코어 부재(20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30)과 연통된 복수개의 연통공(21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 부재(100)의 복수개의 통기공(130) 각각은 점 형상을 하고, 코어 부재(200)의 복수개의 연통공(210) 각각은 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통공(210) 각각에 복수개의 통기공(130) 중 적어도 2개의 통기공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부재(200)의 연통공(210)에 스폰지 부재(100)의 통기공(130)이 두 개 이상 위치되도록 통기공(130)은 점 형상을 하고 연통공(210)은 선형상을 가짐에 따라, 통기공(130)과 연통공(210)이 서로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스폰지 부재(100)와 코어 부재(200)를 서로 조립할 때 통기공(130)과 연통공(210)을 서로 맞추기 위한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연통공(210)이 큰 구멍이 아닌 비교적 가는 형상의 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코어 부재(200)는 스폰지 부재(100)를 제대로 받칠 수 있을 것이다. 즉, 코어 부재(200)는 스폰지 부재(1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커버 부재(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커버 부재(300)는 스폰지 부재(100)가 찢기거나 외부 이물질로부터 직접적으로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스폰지 부재(100)의 접촉면(110)을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 부재(300)는 스폰지 부재(100)의 접촉면(110)을 감싼 후 코어 부재(200)에 고정된다. 일예로, 코어 부재(200)와 커버 부재(300)는 타카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부호 "500"은 타카 핀이다.
또한, 상술한 복수개의 통기공(130)과 연통공(210)을 통해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 부재(300)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재질(도 2의 "300" 참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술한 통풍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커버 부재(300)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특히, 신체가 의자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에게 있어 자세 교정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고정 부재(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 부재(400)는 코어 부재(200)를 의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정 부재(400)에는 연통공(210)과 연통되는 에어 유출입공(4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 유출입공(431)에 의해 상술한 복수개의 통기공(130), 연통공(210) 및 메쉬 재질과 함께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00)는 의자에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코어 부재(200)의 가장 자리를 지지하는 테두리부(420)와, 그리고 코어 부재(200)와 고정부(410)와의 사이에 에어 공간(도 3의 "A.S" 참조)이 형성되도록 고정부(410)와 테두리부(420)를 설정 간격 띄어 연결시키는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에어 유출입공(431)은 연결부(430)에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200)와 상기 테두리부(420)는 볼트(6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에어 공간(A.S)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착석시 스폰지 부재(100) 등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에어 공간(A.S)을 통해 한번의 공기 완충을 거친 후 외부로 유출되게 되므로, 공기 완충으로 인해 착석감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착석시 스폰지 부재(100)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공기는 스폰지 부재(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130)으로 유입된 후, 코어 부재(200)의 복수개의 연통공(210)을 거쳐 고정 부재(400)의 에어 공간(A.S)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공기 완충이 이루어지고, 이후 에어 공간(A.S)에 있는 공기는 에어 유출입공(431)으로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에어 공간(A.S)에 의한 공기 완충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착석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이 의자의 좌부 및 등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10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2000)의 좌부(2100) 및 등부(2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폰지 부재(100)가 제공됨에 따라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폰지 부재(100)에 복수개의 통기공(130)이 형성되고 코어 부재(200)에 복수개의 연통공(210)이 형성되며, 커버 부재(300)가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정 부재(400)에 에어 유출입공(431)이 형성됨에 따라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랜 시간 착석시에도 안락한 쿠션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원활한 통풍으로 인해 답답하지 않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어 부재(200)와 고정 부재(400) 사이에 에어 공간(A.S)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착석시 스폰지 부재(100) 등에 존재하는 공기가 바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에어 공간(A.S)을 통해 공기 완충을 거친 후 외부로 유출되게 되므로, 공기 완충으로 인한 착석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에서 고정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이 의자의 좌부 및 등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폰지 부재 110: 제1 면
120: 제2 면 130: 통기공
200: 코어 부재 210: 연통공
300: 커버 부재 400: 고정 부재
431: 에어 유출입공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스폰지 부재와;
    상기 스폰지 부재의 상기 제2 면을 지지하여 상기 스폰지 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코어 부재와;
    상기 스폰지 부재의 상기 제1 면을 감싸며 상기 코어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와;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를 의자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 부재에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면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통기공과 연통된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에어 유출입공이 형성되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통기공 각각은 점 형상을 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공 각각은 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공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통기공 중 적어도 2개의 통기공이 연통되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의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코어 부재의 가장 자리를 지지하는 테두리부와;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에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설정 간격 띄어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에어 유출입공은 상기 연결부에는 형성되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4. 제3항에서,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는 타카에 의해 결합되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5. 제4항에서,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KR2020080008853U 2008-07-02 2008-07-02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KR200456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53U KR200456923Y1 (ko) 2008-07-02 2008-07-02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53U KR200456923Y1 (ko) 2008-07-02 2008-07-02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45U true KR20100000345U (ko) 2010-01-12
KR200456923Y1 KR200456923Y1 (ko) 2011-11-28

Family

ID=4419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853U KR200456923Y1 (ko) 2008-07-02 2008-07-02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196A (ko) 2017-02-08 2018-08-17 정예지 우산처럼 접을 수 있어 목베게로 활용이 가능하며 피곤한 발을 쉬게하는 발 의자
KR20210085228A (ko) 2019-12-30 2021-07-08 (주)멘퍼스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33Y1 (ko) * 2001-06-29 2001-10-19 박혁구 공기정화 및 통기성을 갖는 의자
JP4604244B2 (ja) * 2005-05-20 2011-01-05 学校法人大阪産業大学 座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923Y1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7573A1 (en) Seat shell for seating furniture
US7152929B2 (en) Structure of a double-mesh seat of a chair
US20080122284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chair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100702213B1 (ko) 의자용 좌판
KR200456923Y1 (ko) 스폰지 타입의 의자용 쿠션
KR200419580Y1 (ko) 의자용 좌판
US20060156459A1 (en) Toilet bowl seat
CN204318084U (zh) 椅子坐板
CN201032942Y (zh) 椅子结构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CN201223180Y (zh) 椅垫及具有该椅垫的椅子
KR200401269Y1 (ko) 의자 등받이
CN109846246A (zh) 办公椅用通风垫
TWI409189B (zh) 具有彈性結構之自行車座椅
KR20090114223A (ko) 의자의 등받이 체결구조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KR200333982Y1 (ko) 의자용 좌판구조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CN201879183U (zh) 一种透气好坐靠舒适的椅垫
KR200381386Y1 (ko) 통기성을 갖는 의자용 좌판
KR200258724Y1 (ko) 통기성 시이트
CN209059713U (zh) 一种轮椅座垫
KR200424717Y1 (ko) 의자 등받이
KR200306645Y1 (ko)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