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189A -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189A
KR20100000189A KR20080059592A KR20080059592A KR20100000189A KR 20100000189 A KR20100000189 A KR 20100000189A KR 20080059592 A KR20080059592 A KR 20080059592A KR 20080059592 A KR20080059592 A KR 20080059592A KR 20100000189 A KR20100000189 A KR 2010000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screen
blog
information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668B1 (ko
Inventor
김석운
노동현
김영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68B1/ko
Priority to US12/482,943 priority patent/US8363113B2/en
Publication of KR2010000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06F16/4393Multimedia presentations, e.g. slide shows, multimedia alb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를 통해 프리뷰 화면 표시 시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여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동일한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존재하는 경우,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오기 하여 프리뷰 화면 상에 불러온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깅 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실제 보드 등에 사진과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것과 같이, 컨텐츠를 가상 객체로서 실제 보드 등에 포스팅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텐츠가 실제로 보드 등에 붙어있는 느낌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로그(blog),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프리뷰(preview), 가상 객체(virtual object), 마커(marker)

Description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BLOGG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전달된 프리뷰 화면 상에 컨텐츠를 배열하여 블로그를 생성하고, 프리뷰 화면이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에 해당하는 경우 프리뷰 화면 상에 저장된 형태의 컨텐츠를 불러오기하여 배열하는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자신의 개성과 정보를 가장 손쉽고 빨리 표현할 수 있는 블로그(blog)가 유행하고 있다. 블로그란 웹(web) 로그(log)의 줄임말로,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블로그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람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 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출판, 개인방송,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일종의 1인 미디어이다.
이러한 블로그는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말을 이용한 블로깅 시, 일반적인 컴퓨터를 통해 블로깅을 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단말을 이용하여 블로깅을 하는 것에 의한 특이점이나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요건이 없다.
한편, 사람들은 특정 장소, 예컨대 카페에서 모임을 가진 후, 그 카페에서의 모임을 추억하기 위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그 카페의 특정 장소에 촬영한 사진을 포스팅하기도 한다. 즉,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그 카페에 와서, 그 카페에서 누구와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추억할 수 있도록 사진이나 문구 등을 그 카페의 보드에 남겨두곤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남겨진 사진 등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훼손될 수 있고, 영구히 보존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를 이용할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블로그를 생성,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강 현실 처리를 통하여 실제 환경을 배경으로 하고, 컨텐츠를 가상 객체로 하여 블로깅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이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 정보와 동일한 경우, 해당 컨텐츠들을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의 블로깅 방법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프리뷰 화면 표시 시 상기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동일한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오기 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상기 불러온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단말로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카메라와, 컨텐츠, 특정 블로그에서 컨텐츠의 위치, 크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및 특정 블로그의 배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동일한 블로그의 배경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오기하여 저장된 형태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깅 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보드 등에 사진과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것과 같이, 컨텐츠를 가상 객체로서 실제 보드 등에 포스팅함으로써 블로깅이 쉬워진다. 또한, 컨텐츠가 실제로 보드 등에 붙어있는 느낌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로그(blog)"라는 용어는 웹(web) 로그(log)의 줄임말로,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블로깅"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로그를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즉, 자신의 블로그를 만들거나 꾸미기 위하여 하는 행위,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 방문하여 글 따위를 남기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contents)"라는 용어는 단말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장 및 선택 후 확인이 가능한 정보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예컨대, 컨텐츠는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깅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카메라(101), 표시부(103), 키입력부(105), 통신부(107), 저장부(109) 및 제어부(111)의 구성을 갖는다.
카메라(10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101)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카메라(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하기되는 증강 현실(Augment Reality) 처리부(121)의 현실 장면 인식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하기한다.
표시부(103)는 단말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01)를 통해 전달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프리뷰 화면 표시 중에 블로그 생성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들을 프리뷰 화면 상에 랜덤하게 배열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3)는 선택된 컨텐츠들을 프리뷰 화면 중앙에 배열하여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03)는 컨텐츠의 위치, 각도,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3)는 프리뷰 화면 표시 중에 프리뷰 화면 정보, 즉 프리뷰 화면 ID에 해당하는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 ID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블로그의 컨텐츠들을 저장된 형태로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L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표시부(103)는 LCD 제어부,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03)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키입력부(105)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01) 구동,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컨텐츠 선택, 컨텐츠 조절, 블로그 저장, 저장된 블로그 불러오기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통신부(107)는 무선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RF 부이다. 통신부(10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7)는 생 성된 블로그 저장 시,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연결하여, 해당 블로그 서버에 생성된 블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07)는 컨텐츠 불러오기 수행 시, 왑 등과 연결하여, 해당 블로그 서버로부터 저장된 블로그의 컨텐츠들을 불러오기할 수 있다.
저장부(109)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블로그 저장부(119)를 더 구비한다. 블로그 저장부(119)는 생성된 블로그의 정보, 예컨대 배경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블로그 저장부(119)는 사용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생성된 블로그의 이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되는 블로그 정보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표 1]
Figure 112008045212275-PAT00001
블로그 저장부(119)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블로그별 배경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배경 정보는 배경 ID(IDentification)로서, 카메 라(101)의 현실 장면 인식부를 통해 전달된 프리뷰 화면을 인식할 때 사용되는 정보이다. 현실 장면 인식부가 프리뷰 화면에서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마커(marker), 예컨대 바코드(barcode)를 인식함으로써, 프리뷰 화면이 어느 곳에 있는 어떤 장소인지를 알 수 있는 정보이다. 즉, 블로그 저장부(119)는 생성된 블로그의 배경을 캡쳐(capture)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배경 ID만을 저장한다.
그리고 컨텐츠 정보는 생성된 블로그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정보로서, 각 컨텐츠들의 종류, 위치 값, 크기 값, 각도 값 등을 포함한다. 즉, 어떤 종류의 컨텐츠들이 어떤 위치에서 어떤 크기와 각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를 통하여, 각 컨텐츠들이 해당 블로그의 배경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각 컨텐츠들의 크기는 어떠하며, 각 컨텐츠들이 어떤 각도로 조절되어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저장부(109)는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일 수 있다. 저장부(109)에 저장된 컨텐츠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생성을 위한 것이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11)는 단말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블로깅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카메라(101)의 구동으로 전달되는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저장부(109)의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된 배경 ID를 비교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통신부(107)의 구동으로 왑 등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저장된 배경 ID와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대응하는 배경 ID가 블로그 저장부(119)에 없고, 블로그 생성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선택받는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들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 상에서 해당 컨텐츠들의 위치, 크기 및 기울어짐을 나타내는 각도 등을 조절한다.
제어부(111)는 생성된 블로그 저장 요청 시, 카메라(101)를 통해 인식된 프리뷰 화면 정보, 즉 배경 ID와 컨텐츠 정보, 즉 컨텐츠들의 위치, 크기, 각도 등의 정보를 저장부(109)의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통신부(107)를 구동시켜 왑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해당 블로그의 배경 ID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11)는 카메라(101)의 구동으로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된 배경 ID를 비교하였을 때, 대응하는 배경 ID가 블로그 저장부(119)에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들을 불러오기 한다. 여기서, 제어부(111)는 불러온 컨텐츠들을 저장된 형태, 즉 저장된 컨텐츠들의 위치, 크기, 각도에 따라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대응하는 배경 ID가 블로그 저장부(119)에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들을 불러오기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통신부(107)를 구동시켜 왑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불러오기 할 수도 있다.
제어부(111)는 증강 현실 처리부(121)를 더 구비한다. 증강 현실 처리부(121)는 현실 장면 인식부, 가상 객체 생성부 및 혼합부의 구성을 갖는다.
최근, 가상 환경(VE; Virtual Environment)과 실세계 환경(RE; Real Environment)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는 Mixed Realit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ixed Reality는 가상 환경과 실세계 환경 중 어느 것을 기반으로 하는 가에 따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증강 가상 현실(AV; Augmented Virtuality)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증강 현실(增强現實, AR; Augmented Reality)이란, 실세계에 3차원 가상 객체를 겹쳐 보여주는 것으로, 현실에 기반을 두고 실세계 환경과 그래픽 형태의 가상 현실을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기술이다.
현실 장면 인식부는 실세계 환경, 즉 카메라(101)를 통한 프리뷰 화면을 인식한다. 현실 장면 인식부의 프리뷰 화면 인식은 예컨대, 프리뷰 화면에 마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현실 장면 인식부는 프리뷰 화면에 마커, 예컨대 바코드 존재 시, 이를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는 마커 베이스(marker-based) 증강 현실 처리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로서, 해당 카페의 해당 부분에 바코드가 있는 경우이다. 즉, 현실 장면 인식부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는 공간이 어느 곳에 있는 어떤 장소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현실 장면 인식부는 마커리스 모델 베이스(marker-less model-based) 증강 현실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프리뷰 화면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해당 카페에 마커가 없는 경우로서, 카메라(101)를 통해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의 물체 등을 보고 3차원 형태로 배경을 만들어서 해당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현실 장면 인식부는 마커리스 모델 프리(marker-less model-free) 증강 현실 처리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전술한 마커리스 모델 베이스 증강 현실 처리 기술과 같이 해당 카페에 마커가 없는 경우이고, 카메라(101)를 통해 표 시되는 프리뷰 화면의 대략적인 형태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현실 장면 인식부는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는 곳의 로고(logo)나 장소명 등을 인식하여 프리뷰 화면을 인식할 수도 있다. 즉, 현실 장면 인식부는 카페의 이름 또는 로고를 인식하여, 해당 공간이 어느 곳의 어떤 장소인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 현실 장면 인식부의 프리뷰 화면 인식을 통해, 블로그 생성이 가능한지, 또는 저장된 배경 ID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가상 객체 생성부는 3차원 모델링을 통해 가상 객체(virtual object)를 생성하는 그래픽 랜더링(rendering)을 수행한다. 가상 객체 생성부는 카메라(101)의 위치 트래킹(camer position tracking)을 하여, 카메라(101)의 위치 및 이동에 대한 감지와 추적을 수행하고, 가상 객체의 렌더링을 수행한다. 가상 객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객체는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들이다. 따라서, 가상 객체 생성부는 일반적인 증강 현실 처리부(121)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컨텐츠들을 가상 객체로서 인식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시, 가상 객체 생성부가 가상 객체로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혼합부는 가상 객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가상 객체를 현실 장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현실 장면에 위치시킨다. 혼합부는 가상 객체를 현실 장면과 괴리되지 않은 모습으로 보여지도록 정합(registration) 과정을 수행한다.
혼합부는 실세계 환경에 가상 객체를 위치시켰을 때, 어색함이 없이 자연스럽게 합성되도록 끊김없는(seamless) 증강 현실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가상 객 체 생성부는 정적 오차(static error), 렌더링 오차(rendering error) 및 동적 오차(dynamic error)를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 정적 오차는 실세계 환경에 가상 환경을 기하학적으로 정합할 때 발생되는 오차로서, 실세계 좌표계와 가상 세계의 좌표계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되는 오차이다. 이러한 정적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카메라(101)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위치 트래킹이 중요하다. 렌더링 오차는 가상 객체를 실세계 환경에 잘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렌더링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이다. 이러한 렌더링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실세계 환경과 같은 상태로 가상 객체를 실시간으로 렌더링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동적 오차는 실세계를 보는 카메라(101)의 위치와 시선이 계속 변함에 따라, 가상 객체를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지연으로 실세계 환경과 가상 환경의 영상 간에 서로 시각 동기가 맞지 않는 것으로 발생되는 오차이다. 이러한 동적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예컨대 블로그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중 블로그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 생성 방법 수행 시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로그 생성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11)가 카메라(101)의 구동 여부를 확인한다(S301). 사용자는 카메라(101)를 구동시켜, 하기되는 블로그 생성 모드나 저장된 블로그 불러오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금 있는 공간을 눈을 통해 본 모습이 도 3a에 도시된다. 도 3a는 한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카페에서 그 카페의 특정 부분을 보고 있을 때 사용자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101)의 구동 확인 시, 제어부(111)는 카메라(101)를 통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화면을 인식한다(S303). 카메라(101)를 통한 프리뷰 화면이 표시부(105)에 표시되는 도면이 도 3b에 도시된다. 사용자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을 보고 있는 중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공간을 단말의 카메라(101)를 통해 볼 수 있다. 제어부(111)는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 인식 시, 마커에 해당하는 바코드 등을 통해 해당 화면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저장된 배경 ID와 인식된 프리뷰 화면 정보를 비교한다(S305). 제어부(111)는 S303 과정을 통해 인식된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저장부(109)의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된 배경 ID를 비교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통신부(107)를 구동시켜 왑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저장된 배경 ID와 인식된 프리뷰 화면 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07)가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왑 연결이 수행됨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왑 연결 시, 비용 문제가 있으므로,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미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저장된 블로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307).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을 바코드 등을 통해 인식하여, 프리뷰 화면의 ID를 얻는다. 제어부(111)는 저장부(109)의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된 블로그들의 각 배경 ID들과 프리뷰 화면의 ID를 비교하여, 프리뷰 화면에 대 응되는 저장된 블로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저장된 블로그의 존재 시, 하기되는 도 4를 참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대응되는 블로그 미존재 시, 제어부(111)는 블로그 생성 모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S309). 블로그 생성 모드의 선택은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 또는 옵션 등의 입력으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블로그 생성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여 블로그를 생성하고자 할 수 있다.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시, 제어부(111)는 컨텐츠가 선택됨을 인지한다(S311). 사용자는 블로그 생성을 위하여, S303 과정으로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배열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의 선택은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되는 컨텐츠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 상에 선택된 컨텐츠를 랜덤하게 표시한다(S313).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선택된 컨텐츠들을 표시부(105) 중앙에 배열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11)는 디폴트(default) 값의 크기와 각도로 선택된 컨텐츠들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컨텐츠의 위치, 각도,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지시자가 표시된 화면이 도 3c에 도시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표시부(105)에 선택된 컨텐츠(401)와 컨텐츠의 위치, 각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지시자(403)를 표시한다. 도 3c는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된 화 면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 개의 컨텐츠가 선택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지시자의 형태는 서로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컨텐츠를 조절한다(S315). 사용자는 지시자(403)를 조절하여, 해당 컨텐츠(401)의 화면 상에서의 위치, 크기,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처리부(121)의 혼합부가 프리뷰 화면 상에 선택되어 조절된 컨텐츠를 위치시켜, 프리뷰 화면과 컨텐츠를 혼합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생성된 블로그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고(S317), 저장 요청 시, 해당 블로그를 블로그 저장부(119)에 저장한다(S319). 이 때, 저장되는 정보는 프리뷰 화면에 해당하는 배경 ID와 조절된 컨텐츠 정보이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통신부(107)를 구동시켜 왑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배경 ID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예컨대 블로그 불러오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중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 수행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 수행 시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로그 불러오기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의 S307 과정에서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저장된 블로그 존재 시, 제어부(111)는 해당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S501). 즉, 사용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1)를 통해 프리뷰 화면을 표시 중에 대응되는 블로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로 그 불러오기 기능의 선택은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 또는 옵션 등의 입력으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대응되는 블로그 존재 시, 해당 블로그가 존재함을 팝업(pop-up) 등을 통해 알리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리뷰 화면에 대응되는 저장된 블로그 존재 시,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불러오기 기능을 선택받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해당 블로그를 불러오기 할 수도 있다.
해당 블로그 불러오기 선택 시, 제어부(111)는 해당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온다(S503). 제어부(111)는 해당 프리뷰 화면을 배경 ID로 저장한 블로그의 컨텐츠들을 저장부(109)의 블로그 저장부(119)로부터 불러오기 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통신부(107)를 구동시켜 왑을 통해 블로그 서버에 해당 컨텐츠 정보를 불러오기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프리뷰 화면 상에 저장된 형태의 컨텐츠들을 표시한다(S505).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화면 상에 저장된 형태의 컨텐츠들을 불러오기 하여 표시한 화면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저장된 형태대로 해당 컨텐츠들을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블로그 생성 모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S507). 사용자는 저장된 블로그를 보는 중에 다른 컨텐츠들을 더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블로그 생성 모드를 선택하여, 전술한 S311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깅을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중 블로그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 생성 방법 수행 시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로깅 방법 중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 수행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 불러오기 기능 수행 시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Claims (13)

  1. 카메라를 통해 프리뷰 화면 표시 시 상기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동일한 저장된 블로그의 배경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오기 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상기 불러온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과정은,
    상기 프리뷰 화면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처리를 통해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 획득은,
    상기 프리뷰 화면의 마커(marker)를 인식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과정 이후에,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시 컨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 및 조절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블로그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과정은,
    상기 컨텐츠 선택 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을 랜덤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서 상기 각 컨텐츠들의 위치, 크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과정은,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상기 조절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컨텐츠들을 저장된 형태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과정 이후에, 상기 블로그 생성 모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시, 상기 생성 과정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블로깅 방법.
  8.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카메라와,
    컨텐츠, 특정 블로그에서 컨텐츠의 위치, 크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및 특정 블로그의 배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프리뷰 화면을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와 동일한 블로그의 배경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프리뷰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블로그의 컨텐츠를 불러오기하여 저장된 형태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프리뷰 화면의 마커를 인식하는 현실 장면 인식부와,
    상기 현실 장면 인식부의 위치 트래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가상 객체로 생성하는 가상 객체 생성부와,
    상기 현실 장면 인식부의 현실 장면과 가상 객체 생성부의 가상 객체를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의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로그 생성 모드 선택 시, 컨텐츠를 선택받아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 및 조절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선택 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을 랜덤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서 상기 각 컨텐츠들의 위치, 크기,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80059592A 2008-06-24 2008-06-24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KR10146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92A KR101465668B1 (ko) 2008-06-24 2008-06-24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US12/482,943 US8363113B2 (en) 2008-06-24 2009-06-11 Terminal and blogg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92A KR101465668B1 (ko) 2008-06-24 2008-06-24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89A true KR20100000189A (ko) 2010-01-06
KR101465668B1 KR101465668B1 (ko) 2014-11-26

Family

ID=4181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592A KR101465668B1 (ko) 2008-06-24 2008-06-24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3113B2 (ko)
KR (1) KR1014656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56B1 (ko) * 2010-05-06 2011-02-24 전성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08184B1 (ko) * 2011-01-13 2013-09-12 주식회사 팬택 윈도우 형태의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3180320A1 (ko) * 2012-05-31 2013-12-05 인텔 코오퍼레이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407670B1 (ko) * 2011-09-15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
US8761962B2 (en) 2010-09-13 2014-06-2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n in-vehic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9636B2 (ja) * 2006-09-27 2013-0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FR2911211B1 (fr) * 2007-01-05 2009-06-12 Total Immersion Sa Procede et dispositifs pour inserer en temps reel des objets virtuels dans un flux d'images a partir de donnees issues de la scene reelle representee par ces images
CA2665886C (en) * 2008-05-12 2015-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rafting a blog entry
US8683387B2 (en) * 2010-03-03 2014-03-25 Cast Group Of Compan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virtual objects on a mobile device
WO2012005392A1 (en) * 2010-07-06 2012-01-12 Lg Electronics Inc.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based apparatus and method
US8251819B2 (en) * 2010-07-19 2012-08-28 XMG Studio Sensor error reduction in mobile device based interactive multiplayer augmented reality gaming through use of one or more game conventions
JP4914528B1 (ja) * 2010-08-31 2012-04-11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拡張現実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拡張現実提供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27128B2 (en) * 2010-09-02 2017-08-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activ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mode
CN108419273B (zh) 2011-06-01 2021-06-08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中的增强的本地接入
FR2978260A1 (fr) * 2011-07-20 2013-01-25 Alcatel Lucent Procede et dispositif de realite augmentee
JP6130836B2 (ja) * 2011-09-12 2017-05-17 株式会社Nttドコモ Fddリソース割り当てを用いる移動通信における拡張ローカルアクセス
EP2756726A4 (en) 2011-09-12 2015-11-11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AT THE PHYSICAL LAYER LEVEL AND CONNEC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S
GB201122284D0 (en) * 2011-12-23 2012-02-01 Zappar Ltd Content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US10228836B2 (en) * 2016-05-23 2019-03-12 Unity IPR Ap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3D virtual objects
CN106200917B (zh) * 2016-06-28 2019-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的内容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520839B2 (en) 2020-07-06 2022-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based network document mod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243B1 (en) * 1998-01-06 2003-03-18 Hewlett- Packard Company Wireless hand-held digital camera
JP4179655B2 (ja) * 1998-01-29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送信装置、なら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DE19953739C2 (de) * 1999-11-09 2001-10-11 Siemens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objektorientierten Markierung und Zuordnung von Information zu selektierten technologischen Komponenten
US7450734B2 (en) * 2000-01-13 2008-11-11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asset management, targeted searching and desktop searching using digital watermarks
EP1429553B1 (en) * 2001-07-13 2009-09-09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04048674A (ja) * 2002-05-24 2004-02-12 Olympus Corp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情報端末及びサーバ
KR20030039346A (ko) * 2003-03-24 2003-05-17 (주) 에이블클릭 블로깅툴, 이를 이용한 웹문서 작성방법 및 웹페이지에작성된 웹문서 올리는 방법
US7069003B2 (en) * 2003-10-06 2006-06-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mobile web log (blog) to reflect mobile terminal activity
JP4532915B2 (ja) * 2004-01-29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ターン認識用学習方法、パターン認識用学習装置、画像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532982B2 (ja) * 2004-05-14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配置情報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522140B2 (ja) * 2004-05-14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指標配置情報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8953908B2 (en) * 2004-06-22 2015-02-10 Digimarc Corporation Metadata management and generation using perceptual features
US8385589B2 (en) * 2008-05-15 2013-02-26 Berna Erol Web-based content detection in images, extraction and recognition
EP1720131B1 (en) * 2005-05-03 2009-04-08 Seac02 S.r.l. An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real marker object identification
US7760917B2 (en) * 2005-05-09 2010-07-20 Like.Com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erforming similarity searches
US8032136B2 (en) * 2005-05-31 2011-10-04 Sharp Kabushiki Kaisha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using device, and template transmitting device
US7554576B2 (en) * 2005-06-20 2009-06-30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capture and recording system for controlling capture devices
JP4089718B2 (ja) * 2005-08-31 2008-05-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1816836A3 (en) * 2005-12-30 2010-01-1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of mobile terminal
JP2007213385A (ja) * 2006-02-10 2007-08-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683340B2 (ja) * 2006-07-26 2011-05-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US10108730B2 (en) * 2006-09-28 2018-10-23 Oath Inc. Method and system for posting video
AU2007303470B2 (en) * 2006-09-29 2012-06-28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configured rendering of digital maps
CA2665886C (en) * 2008-05-12 2015-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rafting a blog entr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56B1 (ko) * 2010-05-06 2011-02-24 전성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139115A2 (ko) * 2010-05-06 2011-11-10 Jeon Seong Il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139115A3 (ko) * 2010-05-06 2012-03-22 Jeon Seong Il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761962B2 (en) 2010-09-13 2014-06-2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n in-vehic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KR101308184B1 (ko) * 2011-01-13 2013-09-12 주식회사 팬택 윈도우 형태의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07670B1 (ko) * 2011-09-15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
US8874673B2 (en) 2011-09-15 2014-10-28 Pantech Co., Ltd.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hannel using augmented reality (AR)
WO2013180320A1 (ko) * 2012-05-31 2013-12-05 인텔 코오퍼레이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3113B2 (en) 2013-01-29
US20100149347A1 (en) 2010-06-17
KR101465668B1 (ko)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668B1 (ko)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US10026229B1 (en) Auxiliary device as augmented reality platform
US8818274B2 (en) Automatic interfacing between a master device and object device
KR101894021B1 (ko)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20200409545A1 (en) Display adap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and storage medium
US201400898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universal resident scalable navigation and content display system compatible with any digital device using scalable transparent adaptable resident interface design and picto-overlay interface enhanced trans-snip technology
WO2022093939A1 (en) Side-by-side character animation from realtime 3d body motion capture
WO2013181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universal resident scalable navigation and content display system compatible with any digital device using scalable transparent adaptable resident interface design and picto-overlay interface enhanced trans -snip technology
US20220319075A1 (en) Customizable avatar modification system
US20180174339A1 (en)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19078A1 (en) Customizable avatar generation system
US20230236707A1 (en) Presenting content received from third-party resources
EP4272208A1 (en) Selecting audio for multi-video clip capture
EP4341804A1 (en) Shortcuts from scan operation within messaging system
WO20230762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voice messages with changing effects
KR201700012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US20220321509A1 (en) User presence indication data management
WO2022146798A1 (en) Selecting audio for multi-video clip capture
US20230140504A1 (en) Accessing web-based fragments for display
KR20160050664A (ko) 촉감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그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
JP6582526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WO2013011121A1 (e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device
JP6903800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30004278A1 (en) Presenting available functions for a captured image within a messaging system
WO2023076360A1 (en) Accessing web-based fragments for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