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945A -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 Google Patents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945A
KR20090132945A KR1020080059156A KR20080059156A KR20090132945A KR 20090132945 A KR20090132945 A KR 20090132945A KR 1020080059156 A KR1020080059156 A KR 1020080059156A KR 20080059156 A KR20080059156 A KR 20080059156A KR 20090132945 A KR20090132945 A KR 20090132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alue
lens
infrared
light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533B1 (ko
Inventor
김선호
조중호
이선형
정준화
김종민
이석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5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1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inside a container, e.g. in an ampou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정계는 렌즈를 통해 빛을 방출하고,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측정하기 위한 제1 포토 디텍터를 구비하는 발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기의 제1 포토 디텍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발광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정계에서 발광기의 렌즈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정계, 발광기, 수광기, 포토 디텍터, 렌즈, 오염, 이물질, 카메라, LED.

Description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정계 {Method for monitoring contamination level in visibility measuring, and visibility measuring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정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정계의 발광기에서 렌즈 표면의 오염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정계에 관한 것이다.
시정은 지표 부근의 대기 혼탁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낮 하늘을 배경으로 목표물의 존재뿐만 아니라 형상까지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최대 수평거리로 정의된다.
보통 수증기가 응결핵을 중심으로 응결하면 구름이나 안개가 되는데, 구름과 안개의 차이는 그것이 지표면에 접하고 있는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시정이 1Km이하일 때 안개라고 한다.
이러한 시정거리는 목표물의 크기, 형태, 밝기, 색깔, 그 밖의 배경 상황이 나 육안의 개인차 등의 변수가 있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시정을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각 방면으로 거리를 알고 있는 지점에 목표물을 정해 놓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목시관측으로 시정을 측정하거나, 특정 거리에 있는물체와 그 배경의 밝기를 측정하여 명암차로부터 시정을 측정하였다.
특히 항공, 도로 교통 등에서 시정을 측정하기 위해 시정계를 사용하는데, 이 시정계는 발광기로부터 나오는 수평광선의 강도를 임의의 거리에 높인 수광기로 측정하고, 빛의 감쇠를 측정하여 시정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종래 시정계에서는 발광기의 렌즈에 오염물질이 누적되면 빛이 렌즈를 통과하지 못하고 오염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렌즈에 쌓인 오염물질에 의하여 시정 측정 기능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렌즈에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누적될 경우 빛의 렌즈 투과율이 낮아져서 실제 시정거리보다 높게 측정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정계에서 발광기 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정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정계는 렌즈를 통해 빛을 방출하고,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측정하기 위한 제1 포토 디텍터를 구비하는 발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기의 제1 포토 디텍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발광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기는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해 적외선을 발광시키기 위한 적외선 LED, 상기 제1 포토 디텍터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 앰프, 상기 제1 앰프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기는 상기 발광기에서 방출된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한 제2 포토 디 텍터, 상기 제2 포토 디텍터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2 앰프, 상기 제2 앰프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AD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시정계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기의 제1 포토 디텍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전류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류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가 많아지도록 상기 전류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수광기에 수광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비례하는 보상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 수치를 수광기에서 수광된 적외선 수치에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는 렌즈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여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렌즈 표면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은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단계, 발광기의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하는 단계,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조절 단계 후에 상기 산란광 수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기준치 비교 단계, 상기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렌즈표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조절 단계는 측정된 산란광의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이 많이 출력되도록 적외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은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단계, 발광기의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하는 단계,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수광기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하는 수치 보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보상 단계는 상기 산란광 수치에 비례하는 보상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 수치를 수광기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에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정계에서 발광기의 렌즈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렌즈의 오염 정도에 따라 발광기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시정거리 계산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유지보수 시점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이물질에 의한 적외선 감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정계는 발광기(100), 수광기(200), 컨트롤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광기(100)는 렌즈를 통해 빛을 방출하고,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기(100)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수광기(200)는 발광기(100)에서 나온 빛을 수광한다.
컨트롤러(300)는 발광기(100)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200)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발광기(10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발광기(1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발광기(100)는 렌즈(미도시), 적외선 LED(110), 포토 디텍터(120), 앰프(130), ADC(140), 전류조절부(150), 카메라(160), 히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외선 LED(110)는 렌즈를 통해 적외선을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빛 중에서 적외선 영역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가시광선을 사용하게 되면 태양광에 포함된 가시광선까지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포토 디텍터(120)는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수광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렌즈(180) 표면에 산란되어진 산란광(점선)을 수광하는 포토 디텍터(120)가 도시되어 있다.
앰프(130)는 포토 디텍터(120)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앰프(220)에는 OP-앰프가 사용될 수 있다.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는 앰프(130)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류조절부(150)는 적외선 LED(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류조절부(150)는 컨트롤러(300)의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적외선 LED(11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게 된다.
카메라(160)는 렌즈 표면을 촬영한다. 도 3에서 렌즈(180) 표면을 촬영하도록 위치한 카메라(16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히터(170)는 렌즈 표면에 수증기 또는 김서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수광기(200)는 포토 디텍터(210), 앰프(220), ADC(230), 히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포토 디텍터(210)는 발광기(100)에서 방출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포토 디텍터(210)는 발광기(100)의 렌즈(180)를 통과한 적외선을 수광하여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앰프(220)는 포토 디텍터(210)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앰프(220)에는 OP-앰프가 사용될 수 있다.
ADC(230)는 앰프(220)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컨트롤러(300)는 전원부(310), 제어부(320), 표시부(330), 통신 인터페이스부(340), 출력포트(350), 낙뢰보호부(360), 누전차단부(370), 필터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부(310)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20)는 시정계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발광기(100)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200)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발광기(10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적외선 LED(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전류조절부(150)를 제어한다.
표시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시정거리를 디스플레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이더넷(Ethernet), RS232, RS422 등의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포트(350)는 신호가 출력되는 포트이다.
낙뢰보호부(360)는 낙뢰로부터 시정계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누전차단부(370)는 낙뢰로 인한 누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부(380)는 누전차단부(370)에서 나온 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발광기(100)에서 측정된 산란광으로부터 이물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LED(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전류조절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20)는 산란광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 LED(110)에 인가되는 전류량이 많아지도록 전류조절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발광기(10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여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카메라(160)를 구동하여 렌즈 표면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송된 렌즈(180) 표면을 확인하여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발광기(10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수광기(200)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광기(100)의 적외선 LED(110)에서 방출된 빛은 렌즈(180)를 통과하게 되는데, 렌즈(180)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빛인 산란광(점선)이 발생하게 된다. 포토 디텍터(120)는 이러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역할을 하고, 카메라(160)는 렌즈(180) 표면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발광기(100)에서 적외선을 출력한다(S401).
발광기(100)의 렌즈(180)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한다(S403).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5).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측정된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출력을 조절한다(S407). 본 발명에서는 산란광의 수치를 측정하여 렌즈(180) 표면의 오염정도를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많을수록 산란되는 적외선의 양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란되는 적외선 양을 측정하면 렌즈(180)의 오염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산란광 수치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한다(S409).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렌즈(180) 표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킨다(S411). 그리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S413). S413 단계 후에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407 단계는 측정된 산란광의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이 많이 출력되도록 적외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산란광의 수치가 크다는 것은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많음을 의미하고 그만큼 수광기(200)에 도달하는 적 외선의 양이 작아지기 때문에 발광기(10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을 높여줌으로써 광손실을 보상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렌즈(180) 표면을 촬영하고, 이 영상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유지보수 시점을 알려주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산란광의 수치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적외선의 출력을 조절하여 보상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따른 적외선 감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발광기(100)에서 적외선을 출력한다(S501).
발광기(100)의 렌즈(180)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한다(S503).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렌즈(180)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수광기(200)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한다(S507). S507 단계에서 산란광 수치에 비례하여 보상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수치를 수광기(200)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에 보상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 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광기 200 수광기
300 컨트롤러 110 적외선 LED
120, 210 포토 디텍터 130, 220 앰프
140, 230 ADC 150 전류조절부
160 카메라 170, 240 히터
310 전원부 320 제어부
330 표시부 340 통신 인터페이스부
350 출력포트 360 낙뢰보호부
370 누전차단부 380 필터부
180 렌즈

Claims (16)

  1. 렌즈를 통해 빛을 방출하고,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측정하기 위한 제1 포토 디텍터를 구비하는 발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
    상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기의 제1 포토 디텍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발광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시정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해 적외선을 발광시키기 위한 적외선 LED;
    상기 제1 포토 디텍터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 앰프;
    상기 제1 앰프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는
    상기 발광기에서 방출된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한 제2 포토 디텍터;
    상기 제2 포토 디텍터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2 앰프;
    상기 제2 앰프에서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AD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시정계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발광기의 제1 포토 디텍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전류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류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시정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 LED에 인가되는 전류가 많아지도록 상기 전류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따라 수광기에 수광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산란광 수치에 비례하는 보상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 수치를 수광기에서 수광된 적외선 수치에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렌즈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광기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여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렌즈 표면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
  10.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기, 출력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정계에서,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단계;
    발광기의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하는 단계;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산란광 수치에 따라 적외선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 조절 단계
    를 포함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절 단계 후에
    상기 산란광 수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기준치 비교 단계;
    상기 산란광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렌즈표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절 단계는 측정된 산란광의 수치가 클수록 적외선이 많이 출력되도록 적외선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5.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기, 출력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기, 발광기에서 발광된 빛의 양과 수광기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거리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정계에서,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단계;
    발광기의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해 산란되는 적외선인 산란광을 측정하는 단계;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산란광 수치를 이용하여 수광기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를 보상하는 수치 보상 단계
    를 포함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보상 단계는 상기 산란광 수치에 비례하는 보상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 수치를 수광기에서 수광한 적외선 수치에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KR1020080059156A 2008-06-23 2008-06-23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KR10096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56A KR100961533B1 (ko) 2008-06-23 2008-06-23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56A KR100961533B1 (ko) 2008-06-23 2008-06-23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945A true KR20090132945A (ko) 2009-12-31
KR100961533B1 KR100961533B1 (ko) 2010-06-07

Family

ID=416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156A KR100961533B1 (ko) 2008-06-23 2008-06-23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5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12B1 (ko) * 2011-12-30 2013-10-14 (주)이엔쓰리 환경 이종광원융합형 시정 현천 측정장치
CN109187437A (zh) * 2018-09-11 2019-01-11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前向散射能见度仪线性度检测装置
CN112345497A (zh) * 2020-11-24 2021-02-09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大气能见度仪校准系统及其校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88B1 (ko) * 2014-01-10 2015-06-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면적 광원을 이용한 시정거리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9386B1 (en) 1999-03-10 2002-04-09 Melexis Nv IR sensor with reflective calibr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12B1 (ko) * 2011-12-30 2013-10-14 (주)이엔쓰리 환경 이종광원융합형 시정 현천 측정장치
CN109187437A (zh) * 2018-09-11 2019-01-11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前向散射能见度仪线性度检测装置
CN109187437B (zh) * 2018-09-11 2023-12-22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前向散射能见度仪线性度检测装置
CN112345497A (zh) * 2020-11-24 2021-02-09 河南省计量科学研究院 大气能见度仪校准系统及其校准方法
CN112345497B (zh) * 2020-11-24 2024-03-15 河南省计量测试科学研究院 大气能见度仪校准系统及其校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533B1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619B1 (ko) 전기 방전을 측정 및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8492515B (zh) 微粒探测器,系统与方法
KR100961533B1 (ko) 시정계에서의 오염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시정계
US10480986B2 (en) Aircraft fuel measurement
US20150053864A1 (en)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mobile telephone, for detecting radiation
JP6992035B2 (ja) 撮像装置の測定範囲のミスアライメントを決定する方法と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5876347B2 (ja) 水素火炎可視化装置および方法
CN110779681B (zh) 检测光学系统异常的测距装置
JP2004535581A (ja) 照準装置を備えたレンジファインダー
AU20092013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tmospheric transmission and determining meteorological visual range
CN112130159A (zh) 测距装置以及外部光照度测定方法
JP6049492B2 (ja) アルファ線観測装置、アルファ線観測システムおよびアルファ線観測方法
RU2304792C1 (ru)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ое ло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20293337A1 (en) Energy Monitoring Apparatus
JP5573340B2 (ja) ガス検知装置およびガス検知方法
BR112019013065A2 (pt) sistema e método para determinar um estado de plantas.
KR101490084B1 (ko) 스테이지 이동속도를 재설정하는 비젼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2678B1 (ko) 원자력발전소 방사선 감시 시스템용 전치증폭기의 온도보상 장치
US9781802B1 (en) Illumination corr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t least one light source board
AU2011218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tmospheric transmission and determining meteorological visual range
JP2014025832A (ja) 煙霧透過率測定装置
CN107091730A (zh) 估算光电倍增管在低光强条件下的绝对光响应率的装置
US20200018641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specifying uv emission location using same
EP2525191B1 (en) Energy monitoring apparatus
KR20140117745A (ko) Ir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