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882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882A
KR20090131882A KR1020080057858A KR20080057858A KR20090131882A KR 20090131882 A KR20090131882 A KR 20090131882A KR 1020080057858 A KR1020080057858 A KR 1020080057858A KR 20080057858 A KR20080057858 A KR 20080057858A KR 20090131882 A KR20090131882 A KR 2009013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ood waste
main body
odor
deodoriz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박병길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882A/ko
Publication of KR2009013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6Bio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 과정 중에 발생되어 탈취필터로 인가되는 수분이 함유된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해 희석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로부터 악취를 제거한 후,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취필터부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탈취필터, 희석, 악취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 만을 걸러낸 후 폐기되고 있다. 이러한 잔반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사용된다.
근래에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그래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부에서도 음식물을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별로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양을 줄이기 위해 가열, 미생물반응, 발효 과정 등을 거치고 있으나, 이때, 다량의 수분과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처리과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보통 음식물처리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성분은 여러 종류의 가스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음식물의 종류, 방치기간, 처리온도 등 그 상태에 따라 가스의 성분이 달라진다. 특히, 음식물에서 부패나 이상발효, 즉, 혐기성 발효가 일어날 경우는 인체에도 해를 미칠 수 있는 독성이 있는 고약한 냄새의 가스가 다량 방출될 수도 있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의 연속처리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어 처리과정이 진행될수록 더욱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다. 이때, 발생되는 악취 원인을 제공하는 가스는 크게 산성, 중성, 염기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산성계 가스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이 있고, 염기성계 가스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이 있으며 중성계 가스로는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있다.
이러한 악취가스는 인체에 유해하고 대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주변시설에 혐오감을 주어 그 상태가 심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방치하면 썩기 쉽고 악취를 발산하여 주변의 위생환경을 해치는데, 이의 처리를 위해 많은 업체에서 기술개발을 시도하여 왔으며 가정과 음식점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으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 건조 방식, 교반기능과 파쇄 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 건조 방식, 교반 기능과 미생물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냉장보관식등의 여러가지 방식의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조과정에 의해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악취가스가 발생된다.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악취 가스는 일반적으로 탈취필터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가 바로 탈취필터로 이동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탈취필터의 탈취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탈취필터는, 본체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에서 바로 악취가스를 정화하였으나, 악취가스 내에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탈취필터의 탈취 효율이 감소하고, 탈취필터를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여 교체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가 빠른 속도로 탈취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탈취필터에 무리한 힘이 인가되어 그 사용 주기가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 과정 중에 발생되어 탈취필터로 인가되는 수분이 함유된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해 희석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로부터 악취를 제거한 후,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취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악취가스와 희석가스를 혼합하여 탈취필터로 유입시켜, 탈취필터에 접촉하는 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고, 수분의 함량을 줄이며, 악취발생 물질의 농도를 줄여 줌으로써, 탈취필터의 수명 단축 및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본체 내부에 수납된 건조함에 음식물을 담아 건조시킨 후 건조함을 본체 내부로부터 분리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음식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본체(110) 및 본체에서 발생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이하, 간단히 '악취가스'라 함)로부터 악취를 제거한 후 악취가 제거된 가스(이하, 간단히 '정화가스'라 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취필터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내측 하부면에 가열기(112)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하우징(111),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개방부(113) 및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함(114)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건조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를 가열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또는 악취가스가 탈취필터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팬(fan)으로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부(115)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외부공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구비된 가열기(112)는 건조함을 가열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개방부(113)는 하우징 내부로 건조함을 투입하거나 하우징 외부로 건조함을 방출하기 위한 통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옆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하우징의 상단부(116)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하우징의 상단부(116)는 개방부(1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거나, 그 일부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건조함(114)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곳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건조함은 개방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며, 건조과정이 종료되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본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며, 또 다른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탈취필터부(120)는 본체(110)에서 생성된 악취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한편,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에서 발생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121),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가스를 외 부로부터 유입하기 위한 희석공기 흡입기(125), 희석공기 흡입기로부터 희석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122), 제1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와 제2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희석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에서 악취를 필터링하기 위한 탈취필터(123) 및 필터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4)을 포함한다.
제1유입관(121)은 본체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탈취필터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희석공기 흡입기(125)는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가스를 탈취필터부 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팬(fa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희석공기 흡입기는 탈취필터 내에 잔존하는 수분 또는 악취를 희석하기 위해 희석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2유입관(122)은 희석공기 흡입기를 통해 유입된 희석공기를 탈취필터(123)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탈취필터(123)는 악취가스와 희석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탈취필터는 혼합가스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고 정화공기만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탈취필터는 활성탄흡착법, 약액세정법, 미생물탈취법, 오존산화법, 촉매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악취가스가 직접 탈취필터로 유입될 때, 탈취필터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악취가스가 탈취필터로 들어오기 전에, 우선 희석공기와 혼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희석공기 흡입기가 구동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유입관을 통해 본체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는, 희석공기 흡입기에 의해 제2유입관으로 유입된 희석가스와 혼합된 상태로 탈취필터로 유입된다.
배출관(124)는 탈취필터에서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악취가스와 희석가스를 혼합하여 탈취필터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탈취필터에 접촉하는 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체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악취가스가 직접 탈취필터에 접촉하는 경우, 탈취필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탈취필터의 기능이 감소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희석가스를 악취가스와 혼합시켜 전체적으로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가스를 본체 내부의 습도보다 낮은 습도를 갖는 희석공기와 혼합시켜, 전체적으로 습도가 낮아진 혼합가스를 탈취필터에 인가시킴으로써, 다량의 수분에 의해 탈취필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기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가스를 외부의 희석공기와 혼합시켜, 전체적으로 악취발생 물질의 농도가 감소된 혼합가스를 탈취필터에 인가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악취발생 물질이 탈취필터에 접촉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탈취필터가 악취발생 물질에 접촉하는 간격이 길어져, 결국 탈취필터가 악취발생 물질을 필터링하는 간격이 길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은 탈취필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악취가스를 희석공기와 혼합하여 탈취필터에 인가시킴으로써, 탈취필터에 인가되는 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가스에 포함된 수분의 농도를 줄이고, 악취발생 물질의 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탈취필터에 미치는 부하를 줄임으로써, 탈취필터의 수명 단축 및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로서, 특히, 싱크대의 싱크볼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음식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본체(210) 및 본체에서 발생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이하, 간단히 '악취가스'라 함)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한편 악취가 제거된 가스(이하, 간단히 '정화가스'라 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취필터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본체(210)는 싱크대의 싱크볼에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기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본체(110)의 구성과 다소 상이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거나 가열시켜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악취가스를 배출하게 된다는 점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체(210)의 구성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되며, 구체적인 기능은 생략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본체(210)는, 씽크볼과 연통되어 있으며 씽크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부(211), 투입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어 이송시키는 이송부(212), 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213) 및 건조부에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수하는 회수부(214)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건조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팬(fan)으로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부(115)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건조부(213)에서는 분쇄, 가열, 회전 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있으며, 이때,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악취가스가 발생된다.
본체(210)의 건조부(213)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는 탈취필터부(220)로 전송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탈취필터부(220)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210)에서 발생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221),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가스를 외부로부터 유입하기 위한 희석공기 흡입기(225), 희석공기 흡입기로부터 희석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222), 제1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와 제2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희석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에서 악취를 필터링하기 위한 탈취필터(223) 및 탈취필터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24)을 포함하고 있는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건조함을 개방부를 통해 본체 내부에 장착한 후(도 1의 경우) 또는 투입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도 2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본체(110, 210)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음식물을 건조시키며, 본체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는 제1흡입관을 통해 탈취필터부(120, 220)로 유입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동작되면, 미도시된 제어부는 희석공기 흡입기(125, 225)를 구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희석공기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로부터 제2유입관으로 유입된다.
제1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는 제2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희석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탈취필터로 유입된다.
탈취필터(123, 223)는 상기 과정에 따라 유입된 혼합공기에서 악취발생 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한다.
혼합공기에서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는 배출관(124, 2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관없이 이용되어 탈취필터에 잔존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본체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탈취필터부를 구동시킴으로써, 탈취필터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 또는 악취를 제거하여 필터의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본체에 담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탈취필터부가 구동되면, 희석공기만이 희석공기 흡입기와 제2유입관을 통해 탈취필터로 유입되며, 유입된 희석공기는 탈취필터를 통과하면서 탈취필터에 잔존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본체 120, 220 : 탈취필터부
121, 221 : 제1유입관 122, 222 : 제2유입관
123, 223 : 탈취필터 124, 224 : 배출관
125, 225 : 희석공기 흡입기

Claims (3)

  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악취가스로부터 악취를 제거한 후,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취필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분쇄, 가열,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필터부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
    상기 악취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가스를 외부로부터 유입하기 위한 희석공기 흡입기;
    상기 희석공기 흡입기로부터 희석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와 상기 제2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희 석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에서 악취를 필터링하기 위한 탈취필터; 및
    상기 탈취필터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정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057858A 2008-06-19 2008-06-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31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58A KR20090131882A (ko) 2008-06-19 2008-06-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58A KR20090131882A (ko) 2008-06-19 2008-06-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82A true KR20090131882A (ko) 2009-12-30

Family

ID=4169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858A KR20090131882A (ko) 2008-06-19 2008-06-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03A (ko) 2018-02-13 2019-08-22 김주섭 음식물쓰레기 호기성 발효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03A (ko) 2018-02-13 2019-08-22 김주섭 음식물쓰레기 호기성 발효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4393A (ko) 분뇨악취제거장치
KR20043900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318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6680194B1 (en) Mercaptan deodorizing for storage tanks
KR1013081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769241B1 (ko) 생활폐기물처리장치.
KR102574971B1 (ko) 산화촉매탈취 구조를 포함하는 미생물발효 음식물처리기
JP2729467B2 (ja) 生塵の処理装置
JP2003062425A (ja) 悪臭性ガスの処理方法
KR100216210B1 (ko) 가스중독방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9459B1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인분 처리 장치
KR2009010008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325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1371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5926Y1 (ko) 악취를 포함하는 가스 및 수증기의 발생 방지 기능을구비한 잔반 처리기
KR100216182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146613Y1 (ko) 실내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7112113A (ja) 脱臭装置
KR101299892B1 (ko) 음식물 처리기용 다단 탈취 필터장치
JP2729465B2 (ja) 生塵の処理装置
KR10047946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12592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JPH02149313A (ja) 脱臭装置
KR0175768B1 (ko)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탈취장치
JPH11235569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