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997A -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 - Google Patents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997A
KR20090129997A KR1020097019026A KR20097019026A KR20090129997A KR 20090129997 A KR20090129997 A KR 20090129997A KR 1020097019026 A KR1020097019026 A KR 1020097019026A KR 20097019026 A KR20097019026 A KR 20097019026A KR 20090129997 A KR20090129997 A KR 20090129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communication device
notification setting
mod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본 목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제1 통신 디바이스(105)에 대한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400) 및 시스템(100)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적어도 제2 통신 디바이스(110, 115, 120, 14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125, 130, 135, 145)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 및 식별된 알림 모드를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알림 모드, 통신 디바이스, 알림 설정 표시자, 이동국,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SELECTION OF MOBILE STATION ALERT BASED ON SOCIAL CONTEX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디바이스 알림 설정(communication device alert settings)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이동국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등은 종종 각종 사용자 선택가능 알림 설정을 제공한다. 이들 설정은 일반적으로 진동 알림 설정, 및 청취가능 알림(audible alerts)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각종 표준 호출음(ring tones)을 포함한다. 많은 통신 디바이스들은 또한, 청취가능 알림으로서 또한 재생될 수 있는 사용자 선택 오디오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종종,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가 공식 모임, 예를 들면 회의 또는 종교 의식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통신 디바이스의 청취가능 알림이 디스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행하게도,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들은 종종, 모임의 시작 전에 그들의 통신 디바이스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잊어버린다. 착신 호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 디바이스의 청취가능 알림이 모임을 방해하여서, 통상적으 로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를 당황하게 만들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적어도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알림 설정 표시자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 및 식별된 알림 모드를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은,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 상에서 현재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을, 복수의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 상관 알림 모드(correlating alert mode)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 어느 것이 가장 많은 알림 설정 표시자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contact)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본 방법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에 기초하여, 알림 설정 표시자를 조건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 그룹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적어도 제2 알림 설정 표시자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알림 설정 표시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현제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구현될 알림 모드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특정 알림 모드가 통신 디바이스 상에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 및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한 알림 모드 표시자를 자동으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될 예정이거나 혹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특정 유형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될 예정이거나 혹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특정 시간에 표시될 예정이거나 혹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알림 설정 표시자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고 식별된 알림 모드를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복수의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은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현재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표시한다. 제어기는,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과, 복수의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 상관 알림 모드를 연관시킬 수 있으며,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 어느 것이 가장 많은 알림 설정 표시자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만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설정 표시자를 조건부 처리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복수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 혹은 컨택트 그룹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는 적어도 제2 알림 설정 표시자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으며, 제2 알림 설정 표시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통신 디바이스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신호 발생기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다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는,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특허청구범위로 결론을 맺지만, 본 발명은 도면들과 결부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본원에 개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되는 특정 구성 및 기능의 상세사항은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않되며,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기본으로서, 그리고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실제로 임의의 적절하게 상술된 구조 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을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 기본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문구들은 제한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해가능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제1 통신 디바이스(105)를 포함 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이동국(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 모바일 라디오, 모바일 컴퓨터, PDA 등), 통상의 전화(유선 혹은 무선), 셋탑 박스(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수신기),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예를 들면, 텔레비전, 비디오 프로젝션 시스템, 스테레오 시스템,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컴퓨터 등), 혹은 알림을 나타내는 그 밖의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110, 115, 1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110, 115, 120)은 이동국, 통상의 전화, 전화 응답 기계, 셋탑 박스,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혹은 구성가능(configurable) 알림 설정을 포함할 수 있는 그 밖의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110-120) 중 하나 이상은 각각의 알림 설정 표시자(125, 130, 135)를 통신 디바이스(105)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 각각은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110-120) 상에서 현재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110)가 현재 진동 알림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알림 설정 표시자(125)는 진동 알림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110)가 현재 호출음 알림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알림 설정 표시자(125)는 호출음 알림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10) 상의 호출음이 특정 볼륨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알림 설정 표시자(125)는 선택된 볼륨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알림 설정의 다른 예들에는, 진동 및 호출음 알림의 조합 모드, 시각적 알림 모드(예를 들면, 알림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거 나 혹은 표시자 램프를 통해 표시됨), 모든 알림들이 디스에이블되는 모드, 알림의 표시가 지연되는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시, 통신 디바이스(105)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통신 디바이스(105) 상에서 작동될 알림 모드를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105)는, 통신 디바이스들(110-120) 사이에서 현재 작동중인 가장 통상적인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을 처리할 수 있다. 가장 통상적인 알림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105)는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 각각과, 복수의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 상관 알림 모드(correlating alert mode)를 연관시킬 수 있다. 그 후, 통신 디바이스(105)는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 어느 것이 가장 많은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여전히,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은, 통신 디바이스(105) 상에 작동될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알림 모드가 어떻게 식별되는지에 관계없이, 일단 식별이 완료되면, 알림 모드는 통신 디바이스(105) 상에서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통신 디바이스(105)는,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을 필터링하고,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의 서브셋(subset)에 기초하여 작동될 알림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105)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이, 통신 디바이스(105)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컨택트 리스 트(contact list)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 혹은 컨택트 그룹들과 연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을 조건부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택트들 혹은 컨택트 그룹(들)과 연관되어 있지 않은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은 무시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이 컨택트들 혹은 컨택트 그룹들과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은, 각각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식별자에 기초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의 필터링은 사용자 구성가능(user configurable)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의 알림 설정은, 통신 디바이스(105)의 사용자에 의해 식별되는 특정 사회적 그룹의 다른 멤버들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 디바이스 알림 설정에 대응할 수 있다. 여전히,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필터링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통신 디바이스(105)는, 자동 알림 설정 선택을 무효로 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알림 설정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대신에, 통신 디바이스(105)의 사용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110-1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구현되는 알림 설정을 표시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05)의 사용자가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변경하기를 원할 경우 알림 모드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105) 상에 알림 구성(configuration) 메뉴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메뉴는 통신 디바이스(105)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110, 115, 120) 대신에, 혹은 통신 디바이스들(110, 115, 120)에 부가하여, 시스템(100)은 또한 신호 발생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통신 디바이스(105)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혹은 고정(stationary)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연속적으로 송신하거나,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산발적으로 송신하거나, 혹은 신호 발생기(14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송신할 수 있다. 착신 신호는,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105)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발생기(140)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 비컨 발생기, 액세스 포인트, 혹은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발생시키기에 적절한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들(125-13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설정 표시자(145)는, 진동 알림 모드, 호출음 알림 모드, 호출음 볼륨, 진동 및 호출음 알림의 조합 모드, 시각적 알림 모드, 모든 알림이 디스에이블되는 모드, 알림의 표시가 지연되는 모드, 혹은 요망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알림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145)에 의해 표시되는 알림 모드는, 신호 발생기(140)에 저장되거나 혹은 이와 통신하는 알림 모드 구성 설정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은, 신호 발생기(14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혹은 신호 발생기(140)가 포함되는 통신 디바이스 혹은 처리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신호 발생기(1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예들에는, 컴퓨터, 이동국, 셋탑 박스, 전화, 전화 응답 기계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동으로 선택되거나, 특정 스케줄에 따라 선택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응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의 혹은 공식 모임이 스케줄링될 때, 신호 발생기(140)는, 진동 알림 모드, 시각적 알림 모드, 및/또는 모든 알림이 특정 시간에 디스에이블되는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시간에서는, 알림 설정 표시자(145)는 디폴트 알림 모드, 청취가능 알림 모드, 다수의 알림이 표시되거나, 혹은 알림 설정 표시자(145)의 통신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알림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가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혹은 셋탑 박스의 컴포넌트인 구성에서, 신호 발생기(140)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예를 들면,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디오 프로그램, 음악, 팟캐스트(podcast) 등의 프리젠테이션) 동안 통신 디바이스(105)에 의해 구현될 특정 알림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멀티미디어가 표시될 때마다, 특정 유형의 멀티미디어가 표시될 때마다, 멀티미디어가 특정 시간에 표시될 때, 사용자 구성가능 설정에 따라, 혹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조건에 응답하여, 신호 발생기(140)가 알림 설정 표시자(145)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통신 디바이스(105)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제어기(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05)는, 예 를 들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협업할 수 있는 복수의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컴포넌트들이 제공되는 구성에서, 이 컴포넌트들은 함께 결합되어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종 처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또한 제1 송수신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210)는 신호들을 변조 및 복조하여서 신호들을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각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송수신기(210)가 IEEE 802 무선 통신, 예를 들면 802.11 및 802.16(WiMAX), WPA, 혹은 WPA2를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송수신기(210)는 GSM, TDMA, CDMA, WCDMA, OFDM, 혹은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0)는 또한 수많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프로토콜(예를 들면 TCP/IP)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또한 제2 송수신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215)는 또한 신호들을 변조 및 복조하여서 신호들을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2 송수신기(215)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는, 제2 송수신기(215)는, 블루투스, ZigBee, IEEE 802 무선 통신, WPA, WPA2, GSM, TDMA, CDMA, WCDMA 혹은 OFDM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제2 송수신기(215)는 적외선 신호들을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 내에는 더 적은 송수신기들 혹은 추가의 송수신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105) 내에 포함되는 특정 수의 송수신기들 및/또는 사용되는 특정 통신 프로토콜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제1 송수신기(210) 및/또는 제2 송수신기(215)를 통하여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설정 표시자들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 IEEE 802, 블루투스, ZigBee, 혹은 적외선 시그널링에 따라 통신하는 구성에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제2 송수신기(215)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또한 하나 이상의 촉각(tactile) 입력 디바이스(225) 및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입력 디바이스(225)는 하나 이상의 버튼, 키, 소프트 키, 센서, 혹은 촉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에 적절한 그 밖의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디스플레이, CRT(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혹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구성에서, 디스플레이(230)는, 촉각 및/또는 스타일러스(stylus) 입력들을 수신하고 이러한 입력들을 제어기(205)에 전송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어기(205)에 의해 발생되는 하나 이 상의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시각적 알림(visual alerts)이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시각적 알림은,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되는 메시지들, 컬러들,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되는 심볼들로서 표시되거나, 혹은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또한, 출력 오디오 트랜스듀서(240)(예를 들면, 확성기)에 연결된 오디오 프로세서(23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35)는 제어기(205)와 함께 통합되거나, 혹은 제어기(20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개별적인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35)는 CPU, DSP, ASIC, PLD,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협업하는 복수의 개별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오디오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35)는 제어기(2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오디오 알림 신호들을 출력 오디오 트랜스듀서(240)에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알림 신호들로부터, 출력 오디오 트랜스듀서(240)는 청각적으로 검출가능한 음향 신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또한 램프 제어기(245) 및 표시자 램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제어기(245)는 제어기(205)와 함께 통합되거나, 혹은 제어기(20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개별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표시자 램프(250)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백열 전구, 혹은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표시자 램프(250)를 통하여 시각적 알림이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램프 제어기(245)는, 제어기(205)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 의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자 램프(250)를 조명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은, 연속 조명, 펄스형 조명이거나, 혹은 특정 알림 패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진동 제어기(255) 및 진동 모듈(260)이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의 컴포넌트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제어기(255)는 제어기(205)와 함께 통합되거나, 혹은 제어기(20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개별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진동 알림은 진동 모듈(26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205)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제어기(255)가 진동 제어 신호를 진동 모듈(260)에 제공하여서, 진동 모듈(260)로 하여금 통신 디바이스(105)를 진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디바이스들(도시하지 않음)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또한 입력 오디오 트랜스듀서(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헤드셋, 스피커폰, 혹은 제1 송수신기(210) 및/또는 제2 송수신기(215)를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105)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그 밖의 다른 디바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5)는 또한 데이터 저장장치(26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265)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각각은 자기 저장 매체, 전자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자기 광학 저장 매체,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기에 적절한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성에서, 데이터 저장장치(265)는 제어기(205) 내에 통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이 데이터 저장장치(265)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기(205)는, 통신 디바이스(105)에 의해 수행되는, 본원에 개시된 처리들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제1 송수신기(210) 및/또는 제2 송수신기(215)에 의해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여, 통신 디바이스(105)에 대한 적절한 알림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식별된 알림 모드를 선택하고 그 알림 모드를 통신 디바이스(105) 상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또한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식별된 알림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는, 통신 디바이스(105)를 식별된 알림 모드에 자동으로 진입시키지 않고,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사용자에게, 식별된 알림 모드가 작동될지 여부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것으로 재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통신 디바이스(105)를 식별된 알림 모드에 진입시키거나, 통신 디바이스(105)를 기존의 알림 모드로 유지하거나, 혹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사용자 지시 액션을 개시할 수 있다.
알림 선택 애플리케이션(270)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105)에 대해 선택된 현재의 알림 모드를 식별하고, 현재의 알림 모드에 대응하는 알림 설정 표시자를 하나 이상의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알림 설정 표시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디바이스(105) 근처에 있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에 응답하여, 송신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송신 되거나,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산발적으로 송신되거나, 혹은 임의의 수신된 파라미터 혹은 이벤트에 응답하여 적절하게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신호 발생기(14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신호 발생기(140)는 제어기(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05)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CPU, 하나 이상의 DSP, 하나 이상의 ASIC, 하나 이상의 PLD,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협업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컴포넌트들이 제공되는 구성에서, 컴포넌트들은 함께 결합되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 처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또한 송신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는, 송신기가 송수신기의 컴포넌트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송신기(310)는 신호들을 변조하여, 신호들을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들을 하나 이상의 각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310)는, IEEE 802 무선 통신, 예를 들면 802.11 및 802.16(WiMax), WPA, 혹은 WPA2를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송신기(310)는 GSM, TDMA, CDMA, WCDMA, OFDM, 혹은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송신기(3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블루투스, ZigBee, 혹은 적외선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310)는 또한, 수많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프로토콜(예를 들면, TCP/IP)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또한 통신 포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315)는, 병렬 포트, 직렬 포트, 통신 버스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어댑터, 혹은 데이터를 통신하기에 적절한 그 밖의 임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315)는 알림 표시 애플리케이션(325)에 의해 처리될 구성 설정(configuration settings)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가 수신기 혹은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구성 설정은 수신기 혹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통신 포트(315) 대신에, 혹은 이에 추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40)는 또한 데이터 저장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320)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각각은 자기 저장 매체, 전자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자기 광학 저장 매체,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기에 적절한 그 밖의 임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성에서, 데이터 저장장치(320)는 제어기(305) 내에 통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알림 표시 애플리케이션(325)은 데이터 저장장치(3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기(305)는, 신호 발생기(140)에 의해 수행되는, 본원에 개시된 처리들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알림 표시 애플리케이션(325)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표시 애플리케이션(325)은 송신기(310)를 통하여 알림 설정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설정 표시자는, 신호 발생기(140)에 저장되거나, 이에 전송되는 구성 설정에 기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방법(40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방법(400)은, 통신 디바이스가, 자동 알림 모드 선택을 구현하고 알림 설정 표시자를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에 자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시작될 수 있다. 단계 402에서 시작되며, 여기서 통신 디바이스가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들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판단 박스 404를 참조하면,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이 검출되는 경우, 단계 406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검출된 디바이스들에 송신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검출된 통신 디바이스들만이 통신된 정보를 해독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포맷으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아직 검출되지 않은 다른 디바이스들도 또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연속적으로 송신되거나,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산발적으로 송신되거나, 혹은 적절한 송신 스킴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단계 408로 진행하면,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신호 발생기들에 의해 송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판단 박스 410으로 진행하면, 하나 이상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이, 예를 들면 소정 의 기간 내에서 수신되는 경우, 처리는 판단 박스 412로 진행될 수 있다. 판단 박스 412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단계 414에서 지정된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되는 컨택트들 혹은 특정 컨택트 그룹과 연관된 컨택트들로부터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만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컨택트들 혹은 컨택트 그룹과 연관되지 않은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은 무시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는,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의 우선 순위를 매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유형의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에는, 특정 유형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설정 표시자보다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알림 설정 표시자는,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알림 설정 표시자가 검출될 때, 무시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이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의 필터링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예일 뿐이라는 점이다. 실제로는, 수많은 필터링 스킴들 중 임의의 필터링 스킴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416에서,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식별될 수 있다. 알림 모드의 식별은, 알림 설정 통계, 알림 설정 우선 순위, (예를 들어, 사회적 정황에 기초하여) 알림 모드 표시자들에 지정되는 가중치, 혹은 그 밖 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 418로 진행하면, 식별된 알림 모드가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모드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혹은 식별된 알림 모드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알림 모드 선택을 무시하도록 사용자가 재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용한 다른 방법(50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방법(500)은, 신호 발생기가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시작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신호 발생기가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모드 구성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신호 발생기에 입력되거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혹은 신호 발생기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신호 발생기는, 특정 알림 모드가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 상에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한 때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성에서, 신호 발생기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되고 있거나 혹은 표시될 것임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도 또한, 특정 유형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되고 있거나 혹은 표시될 것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알림 구성 설정과,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발생기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이거나, 혹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506으로 진행하면, 적절한 시간에(예를 들면, 단계 504에서 식별된 시 간에), 신호 발생기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검출가능한 알림 모드 표시자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발생기는, 통신 디바이스들에게, 진동 알림 모드, 시각적 알림 모드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알림이 작동되지 않는 모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알림 모드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플로우차트 및 블럭도들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들, 방법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아키텍처, 기능, 및 가능한 구현 동작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플로우차트 혹은 블럭도들 내에서의 각 블럭은, 지정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코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에서는, 블럭으로 나타낸 기능들은 도면들 내에 표시된 순서와는 다르게 발생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나타낸 두 개의 블럭들은,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혹은 이 블럭들은 종종, 관련 기능에 따라 반대의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처리 시스템 내에서의 중앙화된 방식, 혹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몇몇 상호접속된 처리 시스템들 간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어떠한 유형의 처리 시스템 혹은 다른 장치라도 적합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결합은, 로딩 및 실행될 때,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처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계에 의해 판독가능하여,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 및 처리들을 수행하도록 그 기계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tangibly) 구현하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성들을 포함하고, 처리 시스템에 로딩될 때 이들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맥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그것의 변형 및/또는 조합은, 정보 처리 능력을 갖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혹은 a) 다른 언어, 코드, 혹은 노테이션(notation)으로의 변환; b) 다른 물질 형태의 재생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 모두 후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된 명령어 집합의, 임의의 언어, 코드 혹은 노테이션으로 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서브루틴, 함수, 절차, 객체 방법, 객체 구현,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블릿(servlet), 미들릿(MIDlet),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유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처리 시스템 상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그 밖의 다른 명령어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하나("a" 및 "an")는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복수"는 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다른(another)"은 적어도 제2 혹은 다른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들 "포함(including)" 및/또는 "가짐(having)"은 포함(comprising)(즉, 개방 언어)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혹은 본질적 속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를 가리키는 것으로서는, 전술한 명세서가 아니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Claims (10)

  1.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alert mode)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alert setting indicator)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알림 모드를 식별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알림 모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은 상기 추가의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현재 작동중인 알림 모드를 표시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알림 설정 표시자들 각각을, 복수의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 상관 알림 모드(correlating alert mode)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용가능한 알림 모드들 중 어느 것이 가장 많은 알림 설정 표시자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리스트(contact list)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들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알 림 설정 표시자를 조건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와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설정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설정 표시자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트 리스트 내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그룹과 연관되어 있는 알림 설정 표시자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선택 방법.
  8.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구현될 알림 모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알림 모드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한 알림 모드 표시자를 자동으로 무선으 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될 예정이거나 혹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알림 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할 때를 식별하는 단계는, 특정 유형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이 표시될 예정이거나 혹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모드 표시 방법.
KR1020097019026A 2007-03-15 2008-02-22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 KR20090129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86,829 US20080224883A1 (en) 2007-03-15 2007-03-15 Selection of mobile station alert based on social context
US11/686,829 2007-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97A true KR20090129997A (ko) 2009-12-17

Family

ID=3975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026A KR20090129997A (ko) 2007-03-15 2008-02-22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24883A1 (ko)
EP (1) EP2126867A1 (ko)
KR (1) KR20090129997A (ko)
CN (1) CN101636768A (ko)
WO (1) WO2008112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6516A (ja) * 2007-06-08 2008-12-18 Panasonic Corp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
US8260366B2 (en) * 2007-09-28 2012-09-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setting of an alert mode on a wireless device
US9357052B2 (en) * 2008-06-09 2016-05-31 Immersion Corporation Developing a notification framework for electronic device events
US8620295B2 (en) * 2009-03-05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notification settings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299275A1 (en) * 2009-05-21 2010-11-25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Content-based social computing
US8350681B2 (en) 2010-06-02 2013-0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scalating event alerts
US9247525B2 (en) * 2012-03-16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US9762868B2 (en) 2013-06-28 2017-09-12 Thomson Licensing Highlighting an object displayed by a pico projector
WO2014209351A1 (en) * 2013-06-28 2014-12-3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of disabling a notification module in a portable projection device
US10210722B2 (en) * 2015-06-15 2019-02-19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notification communication system
US10438583B2 (en) 2016-07-20 2019-10-08 Lenovo (Singapore) Pte. Ltd. Natural language voice assistant
US10621992B2 (en) 2016-07-22 2020-04-14 Lenovo (Singapore) Pte. Ltd. Activating voice assistant based on at least one of user proximity and context
US20180025725A1 (en) * 2016-07-22 2018-01-25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 voice assistant and providing an indicator that the voice assistant has assistance to give
US10552742B2 (en) 2016-10-14 2020-02-04 Google Llc Proactive virtual assistant
US10664533B2 (en) 2017-05-24 2020-05-26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response cue for digital assistant based on context
US10523495B2 (en) * 2017-11-27 2019-12-31 Abb Schweiz Ag Industrial plant alarm management
US10839084B2 (en) * 2017-12-14 2020-11-17 Forescout Technologies, Inc. Contextual risk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205798A (pt) * 1992-01-22 1994-08-02 Motorola Inc Rádio, e processo de operar rádio
US6147977A (en) * 1997-12-12 2000-11-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based on originator and recipient priorities
US6456696B1 (en) * 1997-12-31 2002-09-2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deactivating a call indicator
KR20020014604A (ko) * 2000-08-18 2002-02-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US6813491B1 (en) * 2001-08-31 2004-11-02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setting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ccordance with user proximity
US7250846B2 (en) * 2002-03-05 2007-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user alert
BRPI0215780A2 (pt) * 2002-05-08 2016-11-08 Nokia Corp método e dispositivo para remotamente troca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do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US7194249B2 (en) * 2003-01-31 2007-03-20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rgent public information
KR20050028992A (ko) * 2003-09-19 2005-03-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원격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
KR100619891B1 (ko) * 2004-07-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77266B2 (en) * 2004-07-28 2011-01-25 Dun & Bradstree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ocial networks to facilitate business processes
KR20060108859A (ko) * 2005-04-14 2006-10-18 주식회사 팬택 착신측 수신 모드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과 호 착신시 수신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16403B1 (ko) * 2005-10-01 2007-05-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단말기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얼럿 서비스 방법과이를 위한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US8000692B2 (en) * 2006-09-19 2011-08-1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manners propagation and com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6867A1 (en) 2009-12-02
US20080224883A1 (en) 2008-09-18
WO2008112405A1 (en) 2008-09-18
CN101636768A (zh)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9997A (ko) 사회적 정황에 기초한 이동국 알림의 선택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US10827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US20210182016A1 (en) Audio outpu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729689B2 (en) Desktop telephone system
JP3877137B2 (ja) 携帯端末装置の着信通知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装置
US842295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volume control method
KR20090039688A (ko)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는 이동국
US202201673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licensed frequency band
US20090186579A1 (en) Wireless headset with character message outpu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utputting character message
CN106453966B (zh) 移动通信设备间互动提示方法及设备
JP20122129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3264875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1857640A (zh) 终端提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7668557B2 (en) Methods for ring tone supression informing and for informing a cellular telephone with configuration data
CN114222216B (zh) 语音软件工作状态指示方法、耳机套件及耳机部件
WO2018195981A1 (zh) 系统信息变更通知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267617A (zh) 可自动调整来电警示的移动电话及其相关方法
WO2009077004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t least one output device to a rende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onnection
JP2015138538A (ja) 電子機器、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4364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090081A (ja) 外部に接続された機器に割り込みを報知できる情報端末、情報端末への割り込みを報知できる電子機器、当該情報端末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有するシステム、情報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5536095A (ja) ビデオ着信音の送信
KR20000042944A (ko) 휴대폰에서 수신제한방법
JP5877485B1 (ja) 電話装置および着信鳴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