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604A -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604A
KR20020014604A KR1020000047973A KR20000047973A KR20020014604A KR 20020014604 A KR20020014604 A KR 20020014604A KR 1020000047973 A KR1020000047973 A KR 1020000047973A KR 20000047973 A KR20000047973 A KR 20000047973A KR 20020014604 A KR20020014604 A KR 20020014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signal
message
call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604A/ko
Publication of KR2002001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 신호 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착신신호를 강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착신자 번호와 함께 상호 규정된 착신 신호에 대한 착신 코드를 입력하여 송신하면, 착신측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착신 코드를 포함하는 정보 메시지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코드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착신모드의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으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착신신호를 강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METHOD FOR CONSTRAINING RECEIVING ALER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 신호 지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가 착신자의 착신신호를 강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은 발신자 번호(Calling Party Numbe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발신자 번호 서비스가 일부 국가에서는 제도적으로 이 서비스를 금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다른 일부 국가에서는 이 기술이 구현되어 하나의 부가 서비스로서 발신자 번호 서비스가 일반에게 제공되어지고 있다. 이 서비스의 가입자는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전에 발신단말기의 번호를 알 수 있고 그 발신 번호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발신자 리스트에 존재하면 발신자를 추정 가능하다. 수신자는 자신의 판단에 의해 통화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발신자는 자신의 통화 의사의 우선(Priority)을 표현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통화를 거절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발신자가 중요한 일로 전화를 건 경우에는 같은 통화 요청을 계속해서 반복함으로써 수신자의 응답을 촉구하는 방법만이 있을 뿐이다. 이 방법은 대단히 시간적으로, 또는 정서적으로 소모적인 반복 행동을 요구한다. 또한 발신자는 수신자의 위치나 현재 처한 상황에 관계없이 수신자가 자신의 단말에 미리 설정한 일정한 착신음의 종류와 세기로만 통화 요청이 가능하다. 이는 수신자가 단말을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않았다면 발신자는 수신자가 음악회에 참석중인 사실을 알고 있어도 수신자를 요란한 소리로만 호출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현재 이동통신의 급속한 발달과 이에 상응하는 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많은 편의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이동통신수단의 편의성 이면에는 우리의 의사와 무관하게 몇 가지의 불리한 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 한 예로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울리는 수많은 단말기들의 소음문제를 들 수 있다. 공공 장소에서의 단말기 사용을 자제하자는 캠페인이 이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서 단말기를 무능화시키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동통신의 가입자는 공공 장소에서 단말기의 신호음을 진동 모드로 바꾸는 걸 잊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특정 장소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단말기가 그 기능을 상실시키는 것은 이동통신의 사상에 역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가 착신자의 착신신호를 강제할 수 있는 착신코드를 착신 번호와 함께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착신자의 착신신호를 강제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착신 코드에 대한 발신자 이름을 저장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의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착신코드와 함께 특정 착신번호의 상기 이동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이동교환국이 상기 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코드와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기지국 서브 시스템이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코드와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호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호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코드에 해당하는 착신신호와 세기로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착신신호 강제를 위한 호 처리 절자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교환국에서의 착신신호 강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착신신호 강제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타나낸 도면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PSTN/ISDN 망(103)은 유선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 및 망관리를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05)은 유선 망과 교환 망을 연결 또는 무선망과 무선망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PSTN/ISDN 망(103)과 이동교환국(105)간의 통신은 TUP/ISUP 프로토콜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지국 서브 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BSS -107, 109)은 이동단말기(111 또는 113)와 무선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교환국(105)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05)와 기지국 서브 시스템(107, 109)간의 통신은 IS-634 프로토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 서브 시스템(107, 109)과 이동 단말기(111, 113)간의 통신은 IS-95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PSTN/ISDN 망(103)과 이동교환국(105)간 본 발명에 따라이용되는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PSTN/ISDN 망(103)과 이동교환국(105)간에는 TUP/ISU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TUP 메시지는 추가정보를 가지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가 이용되며, 그 필드 구성은 이하 [표1]과 같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필드만 설명한다.
ChargingInformation OriginalCalledAddress CallingLineIdentity AdditionalRoutingInformation AdditionalCallingPartyInformation Closed userGroupInformation NationalUse
HGFEDCBA LKJIHGFEDCBA
First IndicatorOctet Address Signals Number of Address Signals Message Indicators
FEDCBA 0010 0001
Spare Calling PartyCategory Heading codeH1 Heading codeH0 Label
상기 [표1]에서 추가 발신자 정보(Additional Calling Party Information) 필드를 이용하며, 상기 추가 발신자 정보 필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코드 값이 기록된다. 상기 추가 발신자 정보는 n× 8 비트로 구성된다. 즉 8의 배수 비트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번호는 상기 Original Called Address 필드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코드를 이동교환국(105)으로 전송한다. 상기 추가 발신자 정보 필드에에는 64개의 착신음 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이동교환국(105)은 상기 PSTN/ISDN 망(103)에서 출력되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교환국(105)은 상기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IS-634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 엘리먼트 포맷으로 변환하여 기지국 서브 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BSS)으로 전송한다. 통상 상기 기지국 서브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으로 구성된다. IS-634의 시그널 엘리먼트 포맷의 구조는 이하의 [표2]와 같다.
7 6 5 4 3 2 1 0 Octet
A1 Element Identifier 1
signal Value 2
Reserved Alert Pitch 3
상기 시그널링 값 필드가 가질 수 있는 값은 이하의 [표 3] 또는 [표 4]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표 3]은 IS-95에 따른 시그널링 값 필드이고 [표 4]는 IS-136B에 따른 시그널링 값 필드이다.
Binary value Meaning
0100 0000 Normal Alerting
0100 0001 Inter-group Alerting
0100 0010 Special/Priority Alerting
0100 0011 Reserved(ISDN Alerting Pattern 3)
0100 0100 Ping Ring(abbreviated alert)
0100 0101 Reserved(ISDN Alerting Pattern 5)
0100 0110 Reserved(ISDN Alerting Pattern 6)
0100 0111 Reserved(ISDN Alerting Pattern 7)
0110 0011 Abbreviated intercept
0110 0101 Abbreviated reorder
0100 1111 Alerting off
Binary value Meaning
1000 0000 No tone(off)
1000 0001 Long
1000 0010 Short-short
1000 0011 Short-short-long
1000 0100 Short-short-2
1000 0101 Short-long-short
1000 0110 Short-short-short-short
1000 0111 PBX long
1000 1000 PBX short-short
1000 1001 PBX short-short-long
1000 1010 PBX short-long-short
1000 1011 PBX short-short-short-short
All other values Reserved
도1에서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방법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의 경로가 존재한다. 상기 두 개의 경로는 유선전화기(101)에 의한 경로와 이동단말기(111) 또는 이동단말기(113)에 의한 경로이다. 즉, 유선 경로와 무선경로이다. 이하 유선 경로 및 무선 경로를 설명함에 있어서, 착신측이 이동단말기(111)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선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유선전화기(101)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11)의 착신 번호와 착신코드, 예를 들어, "017-123-4567" + "99"를 입력하면, 상기 착신 번호와 착신코드는 PSTN/ISDN 망(103)으로 전송된다. 상기 PSTN/ISDN 망(103)은 상기 유선전화기(101)로부터 착신 번호와 착신코드를 입력받아 TUP/ISUP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교환국(105)으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무선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이동단말기(113)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11)의 착신 번호와 착신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착신 번호와 착신코드는 IS-95 프로토콜에 따른 발신 메시지에 삽입되어 무선링크를 통해 기지국 서브시스템(109)으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105)은 PSTN/ISDN 망(103)에서 입력하는 TUP/ISUP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IS-634에 따른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출력하고, 기지국 서브시스템(109)에서 입력하는 착신번호와 착신코드를 변환없이 기지국 서브시스템(109)로 스위칭하여 출력한다.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은 상기 이동 교환국(105)으로부터 입력되는 IS-634 프로토콜 메시지로부터 착신번호와 착신코드를 검출하여 IS-95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동단말기(111)로 송신한다. 이때 IS-95에 따른 메시지는 정보메시지 경보(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 메시지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교환국(105)과 착신 단말기인 이동 단말기(111)간의 절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착신번호와 착신코드를 이동 단말기(111)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이동 교환국(105)은 PSTN/ISDN 망(103) 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109)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들어오면 201단계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호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호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서브 시스템(107)은 203단계에서 해당 이동단말기(111)로 호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동단말기(111)는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부터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5단계에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은 상기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 교환국(105)으로 전송한 다음, 209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11)로 기지국 응답 확인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교환국(105)은 211단계에서 이동 정보 지령 메시지를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전송하고, 213에서 착신번호와 착신코드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정보 지령과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은 215단계에서 호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국(103)으로 전송한다. 이동 교환국(105)은 상기 호 확인 메시지가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부터 수신되면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전송한다. 상기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은 219단계에서 이동단말기(111)로 채널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221단계에서 이동단말기(111)로부터 응답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223단계에서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이동단말기(111)로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기(111)는 서비스 연결 준비가 되었음을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으로 알려주기 위해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서브시스템(107)은 상기 호 설정 시 정보메시지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1)로 송신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교환국 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기 착신 신호 강제 지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4가 이동 교환국과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이동 교환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교환국의 동작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임의의 단말이 발신을 시도하면 이동 교환국(105)은 301단계에서 해당 망 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발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 교환국(105)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착신코드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발신 메시지에 착신코드가 존재하면 이동교환국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로부터 착신번호와 착신코드를 검출한다. 상기 착신 코드가 검출되면 이동교환국은 306단계에서 상기 착신코드로부터 신호 종류 및 세기를 판단한다. 그런 후에 이동교환국은 309단계에서 착신 코드와 착신번호를 호 설정 메시지에 구성하여 기지국 서브 시스템(107)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서브 시스템(107)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호 설정 메시지로부터 착신코드와 착신 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도4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착신 코드와 착신 번호를 가지는 정보 메시지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여 이동단말기(111)로 전송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기(121)는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31)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이동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이피롬에는 착신코드에 따른 발명자 이름을 저장한다. 표시부(123)는 상기 제어기(121)의 제어를 받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또는 텍스트로 표시한다. 경보부(125)는 상기 제어기(121)의 제어를 받아 진동, 부저, 멜로디 등의 착신음을 발생한다. 무선부(127)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 기저대역신호, 디지털 신호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반대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메시지 생성 및 검출부(129)는 상기 제어기(121)의 제어를 받아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부(127)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부(127)에서 입력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메시지 검출하여 제어기(121)로 출력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 의한 착신신호 강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단말기(111)의 제어기(121)는 기지국 서브시스템(107)로부터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로부터 정보 메시지 경보 신호를 검출한다. 제어기(121)는 상기 정보 메시지 경보 신호가 검출되면 403단계에서 메모리(131)에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는 이동단말기(111)에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모드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셋 또는 리셋 여부에 따라 알 수 있다. 상기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기(121)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경보동작을 수행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정보 메시지 경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착신코드로부터 착신신호의 종류와 세기를 검출한다. 상기 착신 신호와 세기가 검출되면 제어기(121)는 408단계에서 상기 착신 신호의 종류에 매핑된 발신자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검출된 착신신호의 종류에 매핑된 발신자가 있으면 409단계로 진행하고 없으면 상기 4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제어기(121)는 발신자 이름을 표시부(123)에 표시하고 411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코드에 해당되는 경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기(121)는 상기 검출된 착신신호의 종류와 세기로 경보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착신자의 착신신호를 강제할 수 있음으로써 착신자의 이동단말기에 등록된 발신자에 한해 급한 일이나 중요한 일을 전달할 수 있고, 착신자는 중요한 일이나 급한 일을 놓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착신 코드에 대한 발신자 이름을 저장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의 착신 신호 강제 지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착신코드와 함께 특정 착신번호의 상기 이동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이동교환국이 상기 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코드와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기지국 서브 시스템이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코드와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호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호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코드에 해당하는 착신신호와 세기로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47973A 2000-08-18 2000-08-18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KR20020014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73A KR20020014604A (ko) 2000-08-18 2000-08-18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73A KR20020014604A (ko) 2000-08-18 2000-08-18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04A true KR20020014604A (ko) 2002-02-25

Family

ID=1968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973A KR20020014604A (ko) 2000-08-18 2000-08-18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6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91B1 (ko) * 2004-07-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4142B1 (ko) * 2006-04-26 2007-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음 sms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10330B1 (ko) * 2005-04-12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8112405A1 (en) * 2007-03-15 2008-09-18 Motorola, Inc. Selection of mobile station alert based on social contex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91B1 (ko) * 2004-07-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0330B1 (ko) * 2005-04-12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54142B1 (ko) * 2006-04-26 2007-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음 sms 메시지 전송 방법
WO2008112405A1 (en) * 2007-03-15 2008-09-18 Motorola, Inc. Selection of mobile station alert based on social contex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rejection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95919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to called subscribers
US20070116251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process in telecommunication system
US6473422B2 (en)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EP1044555A1 (e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during call establishment
US5953407A (en) Distinctive ringing and distinctive call-waiting tones in an ISDN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20010108937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호 발신음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EP0899927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notifying calling information to called party
KR2002001460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착신음 강제 방법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WO2000018107A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alling party
KR100566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11510B1 (ko) 단말기의발신제한방법
US5982871A (en) Transmission of originator subscriber number after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9698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제한전송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50011658A (ko)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070329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EP06656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communication set-up
JP2880360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155023A (ja) 簡易型携帯電話及びその着信鳴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