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680A -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680A
KR20090129680A KR1020080055726A KR20080055726A KR20090129680A KR 20090129680 A KR20090129680 A KR 20090129680A KR 1020080055726 A KR1020080055726 A KR 1020080055726A KR 20080055726 A KR20080055726 A KR 20080055726A KR 20090129680 A KR20090129680 A KR 2009012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el
wire
closing
r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기
Original Assignee
장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기 filed Critical 장성기
Priority to KR102008005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680A/ko
Publication of KR2009012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안내프레임;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덮개;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덮개의 상방에서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제2덮개;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의 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와 연결된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권취하는 릴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비닐하우스, 개폐, 릴어셈블리, 제1덮개, 제2덮개

Description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 Auto opening and closing vinyl plastic hot house }
본 발명은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와 과일 등의 작물을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재배하거나, 이광조절이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가축 또는 어류 등의 사육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아치형상의 프레임을 지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을 덮는 비닐을 씌워 비닐하우스 내부 공간을 덮게 되며,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이 씌워진 프레임의 상부에는 다시 직물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 덮개가 다시 씌워져 상기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비닐 또는 덮개는 사람의 손으로 직접 덮거나 여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비교적 규모가 크거나 많은 수의 비닐하우스에서는 수작업으로 비닐 또는 덮개의 조작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 상기 비닐과 덮개를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가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나, 이들 구조는 비교적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거나 고장나는 등 사용상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설비에는 통상 비닐덮개와 함께 보온을 위한 직물소재의 덮개를 같이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을 모두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설비는 그 규모가 매우크고 구조 또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설비의 이전 및 철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이러한 이유로 이전 후 재설치 등은 막대한 인건비 등을 감안할 때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안내프레임을 통해 이동하는 와이어를 각각의 덮개에 제공되는 릴어셈블리로 선택적으로 권취하여 제1덮개와 제2덮개를 차례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는, 바닥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안내프레임;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덮개;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덮개의 상방에서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제2덮개;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의 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와 연결된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권취하는 릴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덮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비닐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덮개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안내프레임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아치부와, 상기 아치부의 하부를 이을 수 있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아치부와 연장부를 따라 안내된다.
또한, 상기 릴어셈블리는, 상기 제1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제1릴어셈블리와, 상기 제1덮개의 개폐완료 후에 상기 제2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제2릴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안내프레임의 형상과 대응하는 아치 형상의 보조 프레임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모두 완전하게 개폐된 후에 동작이 정지되며, 재동작시에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이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릴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구동샤프트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재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의해 릴부재의 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릴부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릴부재를 회전시키는 간섭부재와,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간섭부재를 선택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작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릴부재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 성되며, 상기 릴부재의 내측면과 간섭부재의 외측면에는 각각 서로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간섭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릴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제1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와 상기 제2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는 각각의 간섭부재와 릴부재가 순차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는, 상기 제1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와 제2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가 서로 연속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는, 안내프레임에 씌워지는 제1덮개와 제2덮개를 와이어와 릴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성이 간결하게 되어 전체적인 설비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것은 물론 간결한 시스템의 구성으로 오작동 또는 파손 등의 확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의 권취에 의한 조작으로 비교적 소음이 적어 사용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릴어셈블리는 비닐하우스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의 개폐동작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는 다른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간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의 구동 조작만으로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 모두 선택적인 개폐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어 노동력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구성이 간결하여 이전 및 철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시 비닐하우스 설비 자체를 이전 재설치 하는데 있어서 보다 용이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덮개가 닫히는 과정이 진행중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비닐하우스(1)는 지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닐하우스(1)는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안내프레임(2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에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면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통상 철재로 형성되며, 지면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안내프레임(2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프레임(20)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개폐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반원 또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프레임(20)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프레임(20)은 상기 제1덮개(30)를 안내하는 제1안내프레임(100)과 제2덮개(40)를 안내하는 제2안내프레임(200)이 서로 교차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전체적인 안내프레임(20)의 개수는 상기 제1안내프레임(100)과 제2안내프레임(200)이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짝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프레임(50)이 더 제공된다.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상기 안내프레임(20)과 같은 곡률을 가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프레임(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안내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이 좁다면 별도의 보조프레임(50)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안내프레임(20)에 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안내프레임(20)은 측방에서 볼 때 대략 'D'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치부(22) 와 연장부(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그 단면 형상이 'U'자 형상과 같이 중앙부가 함몰되어 내부에 와이어(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릴어셈블리(300)의 동작시 상기 안내프레임(20)의 내측을 따라서 상기 와이어(60)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프레임(20)의 상방에는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제공된다.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는 각각 상기 비닐하우스(1)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덮개(3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내부를 차폐하거나 보온을 위한 것으로, 빛의 투과가 가능한 비닐소재 또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덮개(40)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거나 보온을 위한 것으로 직물소재 또는 빛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할 수 있는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소재를 가지는 것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며,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 모두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전체 길이 및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에는 상기 비닐하우스(1)의 안내프레임(20)의 상방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상단에는 각각 고정부재(32,42) 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32,42)는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각각 상기 제1안내프레임(100) 및 제2안내프레임(200)의 해당 와이어(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상단이 각각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60)들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닐하우스(1)의 지지프레임(10)의 일측방에는 릴어셈블리(300)와 구동샤프트(420) 그리고 구동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20)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프레임(20)에 수용된 와이어(60)를 권취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60)의 선택적인 권취를 통해, 해당하는 상기 제1덮개(30) 또는 제2덮개(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각각 상기 제1안내프레임(100)에 대응하는 측방에 위치하는 제1릴어셈블리(310)와, 상기 제2안내프레임(200)에 대응하는 측방에 위치하는 제2릴어셈블리(320)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구동샤프트(42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샤프트(420)는 상기 릴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와 제2릴어셈블리(320)가 순차적으로 와이어(60)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일단에는 구동장치(400)가 제공된다. 상기 구 동장치(400)는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인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그리고, 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비닐하우스(1)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차폐된 후에는 상기 구동샤프트(4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장치(400)는 정지되며, 이후 상기 구동장치(400)가 재작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샤프트(420)는 이전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장치(400)의 모터 구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모터의 구동 제어방법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된 와이어(60)에는 탄성부재(26)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6)는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와이어(6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6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된 와이어(60)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덮개(30) 또는 제2덮개(40)의 장착시에도 무게에 의해 상기 와이어(60)가 처지거나 상기 안내프레임(2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26) 또는 상기 와이어(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84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840)는 상기 고정부재(32,42)가 결합되어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상기 와이어(60)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6)와 인접하는 상기 아치부(22)의 단부에는 롤러(28)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프레임(20)에 수용된 와이어(60)가 상기 릴어셈블리(300)측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아치부(22)의 양단과 상기 연장부(24)가 만나는 지점에도 롤러(28)가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60)의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안내프레임(100)의 측방에 장착되는 제1릴어셈블리(310)와 제2안내프레임(200)의 측방에 장착되는 제2릴어셈블리(320)는 구성요소는 동일하지만 결합순서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의 경우 상기 와이어(60)가 권취되는 릴부재(600)가 간섭부재(700)의 좌측에 위치하지만, 제2릴어셈블리(320)의 경우 상기 와이어(60)가 권취되는 릴부재(600)가 간섭부재(70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어셈블리(300)의 구동시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와 제2릴어셈블리(320) 중 어느 하나의 릴어셈블리(300)에서만 상기 와이어(60)의 권취작업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에서의 권취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2릴어셈블리(320)에서 권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릴어셈블리(3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릴어셈블리(3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340)와 상기 케이스(34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샤프트(500)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5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릴부재(600)와 간섭부재(700) 그리고 작용부재(8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4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케이스(342)와 상부 커버(34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42)는 상기 릴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35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52)에는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부재가 더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윤활부재는 일반적인 윤활재가 도포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342)의 내측에는 상기 작용부재(800)의 고정을 위한 고정브라켓(35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54)은 상기 하부케이스(342)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바닥과 이격된 상면에 이동홀(356)이 제공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제한수단(820)의 수용 및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342)의 개구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렌지(358)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344)와의 결합시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로 상기 하부케이스(342)와 커버(344)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344)는 상기 케이스(340)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이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40)의 내측에 상기 릴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버(344)의 좌우 양측면에도 각각 안착홈(34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버(344)의 하단에도 절곡 형성된 플렌지(349)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34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44)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60)의 출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출입구(34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500)는 상기 구동샤프트(420)와 너트(42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500)에는 상기 와이어(60)가 권취되는 원통형상의 릴부재(600)가 장착된다. 상기 릴부재(6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60)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홈(620)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홈(620)에 상기 와이어(60)가 수용되면서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릴부재(60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60)의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구(640)가 제공된다. 상기 좌우의 고정구(640)에는 각각 스크류(642)가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스크류(642)에 상기 와이어(60)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64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와이어(6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6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안내프레임(20)과 상기 릴부재(600)에 장착되며며, 상기 릴부재(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와이 어(60)는 상기 릴부재(600)의 좌측 또는 우측부분에서 권취되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덮개(30) 또는 제2덮개(4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릴부재(600)의 측방에는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라 이동되는 간섭부재(700)가 상기 회전샤프트(500)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간섭부재(700) 또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서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기 릴부재(60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700)의 외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간섭돌기(72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에도 이에 대응하는 간섭돌기(66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간섭돌기(720,660)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릴부재(6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섭부재(700)에는 작용부재(8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용부재(800)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500)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회전샤프트(500)와는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라 상대이동 하면서 상기 간섭부재(7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용부재(800)의 일측면에는 회전제한수단(82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제한수단(820)은 길이가 긴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작용부재(800)의 측면에 결합되며, 타측단은 상기 고정브라켓(354)의 이동홀(356) 내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상기 작용부재(800)가 상기 회전샤프트(50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되고, 상기 작용부재(800)가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용부재(8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회전샤프트(500)와 릴부재(600), 간섭부재(700)및 작용부재(800) 간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회전샤프트(500)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에 상기 너트(422)가 체결되는 체결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10)는 상기 너트(422)에 의해 상기 구동샤프트(4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너트(422)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의 체결부(510)와 인접한 내측에는 각각 안착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20)는 상기 케이스(340)의 안착홈(352)에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안착홈(352)과 대응하는 폭만큼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500)의 좌측의 안착부(520)와 인접한 위치에는 릴부재 장착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릴부재 장착부(530)는 상기 릴부재(6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우측단이 단차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릴부재(600)의 우측방향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릴부재(600)가 상기 릴부재 장착부(530)에 장착된 후에는 상기 릴부재(600)의 좌측에서 스냅링(540)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스냅링(540)에 의해 상기 릴부재(600)는 상기 릴부재 장착부(530)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릴부재 장착부(530)에서 상기 회전샤프트(500) 우측의 안착부(520) 까지는 이동부(55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550)는 상기 간섭부재(700)와 결합된 상태의 작용부재(800)가 이동되는 구간으로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간섭부재(700)와 작용부재(8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작용부재(800) 내측의 나사산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상기 하부케이스(342)에 회전제한수단(8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작용부재(8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5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홈(55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52)은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회전샤프트(5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상기 작용부재(80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간섭부재(700) 내측의 가이드돌기(7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55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릴부재(600)는 상기 간섭부재(700)가 위치한 측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면에는 간섭돌기(660)가 형성된다. 상기 릴부재(600)에 형성되는 간섭돌기(660)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간섭 부재(700)에 형성된 간섭돌기(7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7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회전샤프트(500)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홈(55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740)는 상기 가이드홈(552)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700) 우측의 내부에는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7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760)는 상기 작용부재(800)가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용부재(800)의 장착부(84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700)의 단차부(760)에 상기 작용부재(800)가 장착된 후에는 스냅링(540)이 상기 간섭부재(7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작용부재(800)가 상기 간섭부재(700)의 내측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스냅링(5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용부재(800)는 상기 간섭부재(700)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단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840)를 형성하며, 상기 스냅링(540)에 의해 상기 간섭부재(7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작용부재(80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샤프트(5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작용부재(800)의 외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54)에 고정되는 회전제한수단(820)이 제공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릴어셈블리(300)는 상기 제2덮개(40)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릴어셈블리(320)로서,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와는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단지 상기 회전샤프트(500)와 릴부재(600) 그리고 간섭부재(700)의 결합관계가 상기 제2릴어셈블리(320)와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바, 당업자라면 전술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서 그 상세한 구조를 충분히 알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
상기 비닐하우스(1)가 최초에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릴어셈블리(300)들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6과 같이 상기 제1덮개(30)의 개폐를 위한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는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상기 릴부재(600)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60)를 감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에, 도 7과 같이 상기 제2덮개(40)의 개폐를 위한 상기 제2릴어셈블리(320)는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릴부재(60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시 상기 릴부재(600)를 회전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0)의 스위치 조작으로 상기 구동장치(40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샤프트(42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회전샤프트(500)들이 회전(이하 시계방향)하게 된다.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과 동시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는 상기 간섭부재(700)와 상기 릴부재(600)의 간섭돌기(660,720)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릴부재(600)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릴부재(600)는 상기 와이어(60)를 권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60)가 권취되면, 상기 와이어(60)는 상기 안내프레임(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덮개(30)가 서서히 상기 안내프레임(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비닐하우스(1)를 덮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700)는 상기 작용부재(80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릴부재(60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회전하게 되더라도,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2릴어셈블리(320)의 간섭부재(700)는 상기 릴부재(600)의 밖에 위치하여 서로 간섭될 수 없으므로, 상기 릴부재(600)는 회전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덮개(4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간섭부재(700)는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라 이동하는 작용부재(800)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 라서 상기 릴부재(600) 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샤프트(42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덮개(30)가 완전히 상기 비닐하우스(1)를 덮게 되면, 상기 제1릴어셈블리(310)와 제2릴어셈블리(320)는 도 8 및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 에서와 같이 상기 제1덮개(30)가 상기 비닐하우스(1)를 완전히 덮게 되는 순간 상기 간섭부재(700)는 상기 릴부재(600)를 빠져나오게 되어 더이상 상기 와이어(60)가 권취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작용부재(800)에 의해 상기 간섭부재(700)는 지속적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30)가 상기 비닐하우스(1)를 완전히 덮게 되는 순간에 상기 제2릴어셈블리(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작용부재(800)가 상기 간섭부재(700)를 밀어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700)가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간섭부재(700)와 상기 릴부재(600)에 형성된 간섭돌기(660,720)에 의해 상기 릴부재(60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회전으로 상기 제2덮개(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60)가 권취된다.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지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간섭부재(700)는 지속적으로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릴부재(600)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60)를 권취하여 상기 제2덮개(40)가 상기 비닐하우스(1) 를 덮게 된다.
상기 제2덮개(40)가 상기 비닐하우스(1)를 완전히 덮게 되면 상기 구동장치(400)는 정지하게 되고, 상기 간섭부재(700)는 상기 릴부재(600)의 내측에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제2덮개(40)와 제1덮개(30)를 개방하기 위한 운전을 위해 상기 구동샤프트(420)가 역회전 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가 완전하게 덮힌 후에 상기 구동장치(400)를 재 조작하게 되면,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제2덮개(40)가 먼저 개방되고, 상기 제2덮개(40)의 개방 완료 후에 상기 제1덮개(3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덮개가 닫히는 과정이 진행중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장착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의 릴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

Claims (12)

  1. 바닥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안내프레임;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덮개;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덮개의 상방에서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제2덮개;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의 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와 연결된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권취하는 릴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비닐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덮개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직물소재로 형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장착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아치부와,
    상기 아치부의 하부를 이을 수 있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아치부와 연장부를 따라 안내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어셈블리는,
    상기 제1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제1릴어셈블리와,
    상기 제1덮개의 개폐완료 후에 상기 제2덮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제2릴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내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안내프레임의 형상과 대응하는 아치 형상의 보조 프레임이 더 형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모두 완전하게 개폐된 후에 동작이 정지되며, 재동작시에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이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구동샤프트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재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의해 릴부재의 측방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릴부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릴부재를 회전시키는 간섭부재 와,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간섭부재를 선택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작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릴부재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릴부재의 내측면과 간섭부재의 외측면에는 각각 서로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간섭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더 형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릴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제1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와 상기 제2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는 각각의 간섭부재와 릴부재가 순차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 성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릴어셈블리는,
    상기 제1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와 제2덮개를 권취하는 릴어셈블리가 서로 연속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KR1020080055726A 2008-06-13 2008-06-13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KR20090129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26A KR20090129680A (ko) 2008-06-13 2008-06-13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26A KR20090129680A (ko) 2008-06-13 2008-06-13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680A true KR20090129680A (ko) 2009-12-17

Family

ID=4168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726A KR20090129680A (ko) 2008-06-13 2008-06-13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6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5037A (zh) * 2012-07-02 2012-10-10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小拱棚
KR101347377B1 (ko) * 2011-11-18 2014-01-03 주식회사 이안 비닐하우스의 지붕 덮개 설치구조
KR101347376B1 (ko) * 2011-11-18 2014-01-03 주식회사 이안 비닐하우스의 지붕 내천정 설치구조
KR101689484B1 (ko) * 2015-12-28 2016-12-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설 시스템을 구비한 비닐 하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77B1 (ko) * 2011-11-18 2014-01-03 주식회사 이안 비닐하우스의 지붕 덮개 설치구조
KR101347376B1 (ko) * 2011-11-18 2014-01-03 주식회사 이안 비닐하우스의 지붕 내천정 설치구조
CN102715037A (zh) * 2012-07-02 2012-10-10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小拱棚
KR101689484B1 (ko) * 2015-12-28 2016-12-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설 시스템을 구비한 비닐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783B2 (en) Curtain system for domestic animal shelter
KR20090129680A (ko) 자동 개폐 비닐하우스
BRPI0806081A2 (pt) unidade de controle para sistema de sustentação para coberturas para aberturas arquitetÈnicas
KR101008203B1 (ko) 갤러리 창호
KR20110000687U (ko) 루버장치용 전동개폐장치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KR200391548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051705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KR101503898B1 (ko) 통풍과 채광 기능을 갖는 계사
CN210641945U (zh) 一种鸡舍卷帘装置
KR20120130867A (ko)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101067960B1 (ko) 비닐하우스의 비닐개폐장치
KR200457356Y1 (ko) 온실용 권취 파이프 지지용 베어링 조립체
KR200240168Y1 (ko) 축사용 커텐의 개폐장치
KR200348051Y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20100031255A (ko) 비닐하우스용 덮개 자동개폐 장치
CN215422318U (zh) 一种应用于池塘养殖的滚筒式卷帘机
KR20150025579A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0572674B1 (ko) 빌딩 차광 장치
KR200398369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WO2023002518A1 (ja) 換気構造
KR200477639Y1 (ko) 내구성 증대 및 제작이 용이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CN214247014U (zh) 收放卷机构及开关窗装置
KR970002102Y1 (ko) 축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