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785A -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785A
KR20090128785A KR1020080054722A KR20080054722A KR20090128785A KR 20090128785 A KR20090128785 A KR 20090128785A KR 1020080054722 A KR1020080054722 A KR 1020080054722A KR 20080054722 A KR20080054722 A KR 20080054722A KR 20090128785 A KR20090128785 A KR 2009012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washing
hypochlorous acid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조일현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785A/ko
Publication of KR200901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44Specific cleaning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저정하는 저수조의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기와 그 정수기의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54722
정수기, 저수조, 차아염소산, 소독, 세척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WATER PURIFIER AND CLEANING METHOD OF WATER TANK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정하는 저수조의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기와 그 정수기의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란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상수(上水)를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직결여과식·이온교환수지식·증류식·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여과식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세라믹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된다. 세라믹 필터의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바이러스·중금속·발암물질·화학오염물질 등 미세한 오염물질 제거에 한계가 있다. 청소와 필터교환을 자주 해야 한다.
직결여과식은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물이 수압에 의하여 마이크로필터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자연여과식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가 힘들며,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온교환수지식은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을 분 리·제거하는 방식이다. 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증류식은 물이 끓을 때 생기는 수증기를 식혀서 정수하는 방법이다. 용존산소나 미네랄까지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역삼투압식은 압력으로 물이 반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방식이다.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미네랄까지 제거된다는 단점이 있다.
형태로 분류하면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 등에 저장하는 저장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즉 직결형의 경우에는 별도의 물의 저장공간이 없으므로, 저장공간 내부의 오염이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정화된 정수(淨水)가 일정량 이상의 용량을 갖는 저수조에 저장된다.
저수조가 사용되는 정수기의 저장된 정수는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물이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지면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변질된 물에 의하여 저수조 내부에 이물질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수조의 오염현상은 정수필터의 성능에 하자라기 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장용 저수조를 갖는 정수기는 정기적으로 필터의 교체와 더불어 저수조 및 배관의 세척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저수조의 세척방법은 정수기 또는 필터 등의 제공업체에서 방문한 정수기 전문 관리인이 정수기를 분해하여 약품 등을 사용하여 저수조를 세척하거 나, 스팀발생장치 등을 저수조 등에 삽입하여, 스팀을 분사하는 방법으로 저수조의 세척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수조의 세척방법은 전문 관리인이 방문하여야 하므로, 정수기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즉시 정수기를 세척할 수 없고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정수기 자체적으로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 또는 정수기의 저수조 세척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기와 그 정수기의 저수조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정화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세척을 위하여 염화물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 및 각각의 부품을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염화물 공급장치에서 염화물을 공급받아 상기 상수 또는 정수와 혼합하여 상기 염화물 수용액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가 배수된 뒤,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는 세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의 배수는 상기 정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과 급수벨브를 경유하여 배수되거나, 별도로 배수관 및 배수벨브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 및 배수밸브를 경유하여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물은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조에 상기 저수조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상기 저수조의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저수조에 잔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상기 저수조에 설치된 분무노즐에 의하여 일정 시간 동안 분무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상수가 상기 정수필터를 우회하여 상기 저수조로 공급될 수 있는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의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저수조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상기 저수조를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저수조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아염소산은 염화물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단계 후 상기 저수조를 세척하는 단계 후 상기 저수조를 정수 또는 상수를 이용하여 행궈내는 행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 내부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굼단계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상수를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 내부에 분무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화물 수용액은 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 또는 상기 정수필터를 우회하는 상수에 외부에서 공급된 염화물을 용해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의하면, 간편하게 정수기 저수조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의하면, 세척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의하면, 추가적인 장비나 전문 관리인의 도움없이도 정수기 저수조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일반적인 저장형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상수도(150)에서 제공되는 상수(上水)를 정화하는 정수필터(140)와 정화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저수조(130)를 구비한다.
상기 상수도(150), 상기 정수필터(140) 그리고 상기 저수조(130)는 각각 배관 A와 D에 의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배관 A와 D에는 배관 내부의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밸브 Va와 Vd가 구비된다.
또한, 후술하는 전기분해장치와 배관 A와 D, 그리고 저수조를 연결하는 배관 B, C 및 E가 더 구비되고, 각각의 배관에 Vb, Vc 및 Ve가 설치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정수필터(140)에 공급하는 배관 A로부터 정수필터를 우회하여 저수조(130)와 정수필터(140)를 연결하는 배관 D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 H가 더 구비되며, 역시 밸브 Vh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들에 설치된 밸브 Va 내지 Vh는 정수기 제어부에 의하여 개폐제어될 수 있는 전자밸브일 수 있다. 후술하는 저수조의 세척과정에서 특정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각각의 배관은 특정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됨을 가정한다.
상기 상수도(150)에서 상기 배관 A를 통해 정수필터(140)에서 정화된 정수는 배관 D를 통해 저수조(130)에 저장되어 보관된다.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정수는 디스펜서(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수(上水)가 정수(淨水)로 정화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경로는 상수도(150) -> 배관 A -> 정수필터(140) -> 배관 D -> 저수조(130) -> 배관 G -> 디스펜서(170)가 된다.
상기 저수조(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기간 반복 사용되면 내벽면 등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깨끗한 정수가 공급되어도, 공급된 정수를 다시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저수조(130)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수(上水)를 정화하는 정수필터(140)와 정화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저수조(130)를 구비하는 외에 전기분해장치(120)와 염화물공급장치(110)를 더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분해장치(120)와 염화물공급장치는 정수기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외부에 독립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와 염화물공급장치(110)는 차아염소산(하이포아염소산, hypochlorous acid)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차아염소산의 발생기 산소는 기체로 되어 있어 산소보다 산화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은 건조상태의 염소보다 산화력이 세고, 산화제로서 살균이나 표백 등에 쓰인다.
따라서, 상기 차아염소산을 수용액 형태로 상기 저수조(130)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상기 저수조(130)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30)를 세척하기 위하여 저수조(130)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은 물에 직접 염소기체를 통과시키거나 산화수은 또는 산화비스무트를 물에 현탁시켜 염소를 통과시키고 거른 액을 감압 증류하여 얻을 수 있으나, 염소기체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간편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NaCl 또는 KCl 등의 염화물을 물에 녹인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방법으로 차아염소산을 생성한다.
상기 염화물을 전기분해하면, 전기분해에서 염소기체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염소기체가 물에 녹아 차아염소산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분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염화물공급장치(110)에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공급하고, 이를 상수 또는 정수로 용해시켜 염화물수용액을 형성한 뒤, 염화물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염화물(NaCl 또는 KCl) 수용액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에 공급되는 물은 정수필터(140)를 경유하지 않은 상수(上水) 또는 정수필터(140)에서 정화된 정수(淨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염화물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염화물에 상수를 직접 공급하면 정수필터(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정수필터(140)에서 정화된 정수를 공급하면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120)의 전극(122)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염화물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염화물에 상수를 직접 공급하는 경우 상수도(150)와 정수필터(140)를 연결하는 배관 A에서 분지된 배관 B를 통하여 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염화물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정수를 공급하는 경우는 정수필터(14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정수필터(140)와 저수조(130)를 연결하는 배관 D에서 분지된 배관 C를 통하여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에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필터(140)에서 직접 별도의 배관을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범용 정수필터(140)의 경우 상수 입구와 정수 출구만을 구비하므로, 별도의 정수필터(140)를 제작하지 않도록 배관 D에서 배관 C를 분지하는 방법이 더 간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에 염화물을 공급하는 염화물 공급장치는 고체 상태의 염화물(NaCl 또는 KCl)이 투입된다. 물론, 고체 상태의 염화물 공급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염화물 수용액이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에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염화물 수용액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염화물 수용액의 보관용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정수기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염화물의 예로 든 NaCl 또는 KCl는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예로 든 것이다. 그러므로 차아염소산을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는 염화물이라면 다른 종류의 염화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염화물 수용액은 전기분해장치(120) 내부에서 투입된 염화물에 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방법에 의한다. 상기 염화물은 상수 또는 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분말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물공급장치(110)에 충전되는 염화물은 분말 형태가 아닌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염화물을 메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물공급장치(110)는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와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으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기분해장치(120) 내부에 일측공간이 염화물공급장치(110)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염화물 투입구가 전기분해장치(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20)는 정수기 저수조(130)를 소독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평시에는 비어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분말 형태의 염화물을 투입한 뒤, 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면, 별도의 교반작업 없이도 수용액이 될 수 있다. 상수 또는 정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살이 염화물의 교반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전기분해장치(120) 내부에 교반기(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20) 내부로 염화물과 상수 또는 정수가 공급된 뒤, 일정 시간이 경과된 뒤에 전기분해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물이 용해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분말 등의 형태로 염화물이 제공되지 않고, 염화물 수용액이 직접 공급되는 경우에는 즉시 전기분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염화물 수용액이 준비되면 다음 단계로 전기분해가 수행된다. 전기분해가 진행되면, 상기 전기분해장치(120)는 각각의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면, (+) 극에 서 염소기체가 발생할 것이며, 발생된 염소기체는 물에 녹아 Cl2 + H2o -> HClO + HCl와 같은 반응이 진행될 것이며, 전기분해를 통하여 염화물 수용액은 차아염소산이 포함된 수용액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차아염소산이 포함된 수용액은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갖게 된다.
먼저, 저수조(130)를 상기 차아염소산을 이용하여, 세척 또는 소독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정수가 모두 배수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정수가 배수되는 방법은 저수조(130)에 연결된 배관 G와 디스펜서(170)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배수용 배관 F가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배수 배관 F를 통하여, 하수도 등으로 배수가 수행될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170) 또는 하수도(160)로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하는 작업은 디스펜서 또는 하수도를 연결하는 배관 G 또는 F에 구비된 밸브 Vg 또는 Vf의 개방에 의한다.
상기 밸브 Vg 또는 Vf의 개방에 의하여 저수조(130)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배수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밸브 Vg 또는 Vf는 모두 차단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조(130)를 소독하기 위해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전기분해장치(120)로부터 공급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130)의 배수가 진행되는 동안 정수필터(140)에서 저수조(130)로 정수를 공급하는 배관 D와 상기 전기분해장치(120)로부터 저수조(130)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공급하는 배관 E에 각각 구비된 밸브 Ve 또는 Vd는 차단된다.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 또는 소독을 위한 저수조(130)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밸브 Ve는 개방되고,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공급된다.
상기 저수조(130)의 크기가 상기 전기분해장치(120)보다 용량이 클 것이므로, 상기 전기분해장치(120)의 차아염소산 수용액의 생성과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30)를 세척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130)에 공급하는 방법은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상기 저수조(130)를 만수위를 유지하여, 일정시간 유지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수조(130)를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세척 또는 소독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분무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분무하면, 소량의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상기 저수조(130) 내벽면 전체를 세척 및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분무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상기 저수조(130) 내벽면에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분무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저수조(130)에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가득 채우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분무하기 위해서, 상기 저수조(130)에 분무노즐(미도시)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저수조(130)가 소독된 뒤 다시 정수를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모두 배수되어야 하고,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잔류하지 않도록 행굼되어야 한다.
상기 세척 또는 소독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방법은 차아염소산 수용액에 의한 세척 또는 소독이 이루어지기 전에 저장된 정수가 배수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 또는 소독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배수되는 방법은 저수조(130)에 연결된 디스펜서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배수용 배관 F가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배수 배관 F를 통하여, 하수도 등으로 배수가 수행될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 또는 하수도로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 또는 소독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작업은 디스펜서 또는 하수도를 연결하는 배관 G 또는 F에 구비된 밸브 Vg 또는 Vf의 개방에 의함은 마찬가지이다.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 또는 소독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모두 배수되면, 상기 저수조(130) 내부를 행굼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살균 또는 표백력이 강하지만 냄새가 잔류하게 되므로, 세척이 완료되지 않은 저수조(130)에 정화된 정수를 바로 공급하여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30)를 물로 행굼하는 과정이 더 필요하다. 상기 저수조(130)를 행굼하는 방법은 상기 정수필터(140)와 배관 D를 경유한 정수를 이용하 여, 상기 저수조(130)를 행굼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30)를 행굼하는 방법은 정수를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채운 뒤 일정 시간 잔류시키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저수조(130) 내부의 세척작업은 1회에 끝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수를 이용하여, 복수 회 저수조(130)를 행굼하는 것은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세척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수도(150)와 정수필터(140)를 연결하는 배관 A와 상기 정수필터(140)와 상기 저수조(130)를 연결하는 배관 D를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 A에서 분지되어 배관 D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 H를 구비한다. 상기 배관 H는 행굼용 배관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 H에서 상기 저수조(130)로 공급되는 상수는 수압이 상기 정수필터(140)를 통과한 정수보다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저수조(130)를 상수로 채우는 시간은 정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단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시간에 상기 저수조(130)에 상수를 채울 수 있으므로, 행굼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130)의 세척방법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저수조(130) 세척이 시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조(130)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S10)하고, 염화물 수용액을 생성(S20)하며, 전기분해를 통하여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생성(S30)한다.
그리고, 배수된 저수조(130)에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공급(S40)하고, 차아염 소산 수용액을 일정시간 잔류시키거나 분무하여 저수조(130)를 세척 또는 소독(S50)한다.
세척 또는 소독이 완료되면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S60)하고, 저수조(130)를 행굼(S70)하여 저수조(130)의 세척 및 소독은 종료하게 된다.
도 2에서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정수의 배수(S10)와 염화물 수용액을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전기분해하는 과정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먼저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그 순서에 구애받을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저수조(130) 세척은 저수조(130)가 오염되었을 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수기 사용자가 원할 때 저수조(130) 세척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도록 수동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일정한 세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130) 세척의 제어와 관련된 블록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세척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정수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저수조(130) 세척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S100)한다.
저수조(130) 세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저수조(130) 세척(S200)을 수행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다시 처음으로 복귀(S300)한다.
그리고, 저수조(130)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세척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이 정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와 저수 조(130) 내부의 오염도에 따라서 저수조(130)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은 정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이므로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오염도와 무관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저수조(130)의 세척은 1달 간격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정수기의 제어부는 저수조(130)의 세척이 수행된 시기를 저장하고, 그 시기로부터 경과기간을 기산하게 된다.
또한, 기간이 아닌 저수조(130) 내부의 오염도에 따라 저수조(130)의 세척조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저수조(130) 내부에 저수조(130)에 저장된 정수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저수조(130)가 얼마나 오염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오염도 센서(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센서는 예를 들면 전기전도도를 이용하는 TDS 센서 또는 PH 센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정수의 식용가능성을 절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니지만, 상기 제어부는 저수조(130) 내부가 양호한 범위의 측정값을 저장하고, 실제로 측정된 측정값이 상기 양호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TDS 센서에 의한 측정값은 전기 전도성에 비례하지만, 음용수로서의 적절한 표준 범위를 상기 정수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오염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 상기 표준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는 저수조의 세척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수조(130) 세척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에서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조(130)를 세척(S200)하게 된다.
상기 저수조(130)의 세척이 완료되면 다시 처음으로 복귀(S300)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 세척의 제어와 관련된 블록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수기
110 : 염화물 공급장치
120 : 전기분해장치
130 : 저수조
140 : 정수필터

Claims (15)

  1.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정화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세척을 위하여 염화물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 및 각각의 부품을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염화물 공급장치에서 염화물을 공급받아 상기 상수 또는 정수와 혼합하여 상기 염화물 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가 배수된 뒤,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는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의 배수는 상기 정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과 급수벨브를 경유하여 배수되거나, 별도로 배수관 및 배수벨브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 및 배수밸브를 경유하여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물은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상기 저수조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상기 저수조의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저수조에 잔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의 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상기 저수조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상기 저수조에 설치된 분무노즐에 의하여 일정 시간 동안 분무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 수조의 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상수가 상기 정수필터를 우회하여 상기 저수조로 공급될 수 있는 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정수기의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저수조 내부의 세척을 위하여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상기 저수조를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저수조 세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은 염화물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방법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세척에 사용된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배수하는 단계 후 상기 저수조를 세척하는 단계 후 상기 저수조를 정수 또는 상수를 이용하여 행궈내 는 행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130)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행굼단계는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상수를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차아염소산 수용액을 상기 저수조 내부에 분무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1020080054722A 2008-06-11 2008-06-11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20090128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722A KR20090128785A (ko) 2008-06-11 2008-06-11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722A KR20090128785A (ko) 2008-06-11 2008-06-11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25A Division KR101371037B1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
KR1020110077127A Division KR20110094170A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1020110077128A Division KR20110094171A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85A true KR20090128785A (ko) 2009-12-16

Family

ID=4168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722A KR20090128785A (ko) 2008-06-11 2008-06-11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878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22B1 (ko) * 2009-02-03 2011-04-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325119B1 (ko) * 2012-02-03 2013-11-06 주식회사 이앤이로하텍 정수기용 살균 크리닝장치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1364024B1 (ko) * 2011-08-02 201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1400651B1 (ko) * 2012-09-13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521937B1 (ko) * 2011-08-02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용 위생키트
US9403111B2 (en) 2011-05-31 2016-08-02 Coway Co., Ltd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US10266441B2 (en) 2010-05-19 2019-04-23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2115024B1 (ko) * 2019-11-15 2020-05-26 주식회사 삼지 살균수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22B1 (ko) * 2009-02-03 2011-04-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US10266441B2 (en) 2010-05-19 2019-04-23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US9403111B2 (en) 2011-05-31 2016-08-02 Coway Co., Ltd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US10071402B2 (en) 2011-05-31 2018-09-11 Coway Co., Ltd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364024B1 (ko) * 2011-08-02 201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1521937B1 (ko) * 2011-08-02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325119B1 (ko) * 2012-02-03 2013-11-06 주식회사 이앤이로하텍 정수기용 살균 크리닝장치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1400651B1 (ko) * 2012-09-13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5024B1 (ko) * 2019-11-15 2020-05-26 주식회사 삼지 살균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82B1 (ko)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
KR20090128785A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EP2571594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193544B1 (ko) 정수 처리 시스템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371037B1 (ko) 정수기
KR102010981B1 (ko) 수처리장치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30069973A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JP2022521274A (ja) 塩素消毒水生成装置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20110094170A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20110094171A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69621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7319801A (ja) 循環浄水装置の洗浄方法及び循環浄水装置
JP7457400B2 (ja) 塩素濃度の制御方法、水処理装置の洗浄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水循環型水処理装置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CN117645329A (zh) 一种具有清洗消毒功能的净水系统的控制方法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RU220859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KR20120008442U (ko) 살균 세척 수처리 장치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924

Effective date: 201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