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736A -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 Google Patents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8736A KR20090128736A KR1020080054639A KR20080054639A KR20090128736A KR 20090128736 A KR20090128736 A KR 20090128736A KR 1020080054639 A KR1020080054639 A KR 1020080054639A KR 20080054639 A KR20080054639 A KR 20080054639A KR 20090128736 A KR20090128736 A KR 200901287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ubmerged
- floating
- water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062645 predator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65 Abomas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70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491 Corchorus aestu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777 Corchorus aestu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62 Corchorus capsul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33663 Iris pseudac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78 entry into ho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31899 mo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83 poly(ethyl meth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 치어의 서식을 돕고 어류의 서식서 및 산란처를 제공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that assists the breeding of young fry and provides a habitat and spawning place for fish.
최근 집중 호우, 오랜 가뭄, 태풍 등과 같은 불규칙한 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저수지, 댐 등의 수위 변동이 심하고, 집중 강우시에는 토사 유입 등으로 인하여 호안의 파괴가 점점 가속화하고 있는 문제가 생태계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Recently, there are many problems in ecosystems such as reservoirs and dams due to irregular weather phenomena such as heavy rains, long droughts and typhoons. .
이와 같은 호안의 파괴는 호소의 부영양화를 심화시켜 수질을 악화시키고, 생물다양성을 훼손시키고 있으며, 생물 서식처를 감소시키고 있다.Such destruction of lakes is causing deepening of the eutrophication of lakes, worsening water quality, damaging biodiversity, and reducing habitats.
따라서, 정체 수역의 수생 태계를 복원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적인 생물 서식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biological habitat devices for restoring aquatic ecosystems in stagnant waters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to enhance various biodiversity including fish.
한편, 친환경적 생물 서식장치를 개발할 경우 어류 개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치어의 경우에는 포식자의 주요 먹잇감이 되므로, 치어 시기 동안 주위의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sh populations when developing eco-friendly habitats, and in the case of larvae, since it becomes a prey of predators, means should be taken to protect them from surrounding predato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중에서 생물서식처(특히, 치어를 위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floating submerged biological habitat to provide a biological habitat (particularly, a habitat for fry) in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는,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는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이 상기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에서 서식하는 치어를 보호하도록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팬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bmerged plants are plantable, submerged biological formatting unit submerged in the water of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water surface; A fixed unit configured to keep the submerged biological formatting unit lock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water surface; And a protection pan unit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submerged biometric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tect the cheerfish inhabiting the submerged biological template.
여기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상에 설치되며,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한 침수식물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bmerged biological formatting unit, the support frame; A buoyancy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 submerged plant vegetation base material installed on the buoyancy member and capable of planting a submerged plant; And a plurality of microbial media installed under the support frame and providing habitat for fish.
또한, 상기 보호팬스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와; 상기 복수의 폴대에 연결되어 상기 폴대들 사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망형상을 가지는 외부망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pan unit, a plurality of poles are installed to be upright at a predetermined height outside the support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les is installed between the poles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outer network having a mesh shape; preferably includes.
또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 되는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loating vegetation base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bmerged bio-formatt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에 적층되어 결합되며, 수생 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loating vegetation-based unit, the support frame; A buoyancy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 vegetation base material laminated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member and capable of planting aquatic plants; And a plurality of microbial media installed under the support frame and providing habitat for fish.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그 중앙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 쪽으로 태양광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구를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loating vegetation-based unit, it is preferable to have an opening that can be penetrated in the central portion to provide sunlight toward the submerged biological habitat unit.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the water surface floating surface is installed; A first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submerged bioform unit and the water surface floa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water surface floating body to a fixed support provided on the bottom or the ground.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여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ing vegetation-based unit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with the fixed support provided on the bottom or ground of the water.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the water surface floating surface is installed;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loating vegetation-based unit and the water surface floa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water surface floating body to a fixed support provided on the bottom or the ground.
본 발명의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따르면, 치어를 포함하는 어류 및 수중 생물에 산란처와 서식처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수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provide a spawning place and a habitat for fish and aquatic life including the f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store the aquatic ecosystem.
또한, 수 생태계의 복원을 통해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water eco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부유하도록 설치되어 수중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고정유닛(20) 및 보호팬스 유닛(3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 1,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float in a submerged state in water to provide a habitat for aquatic life. The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device 100 includes a submerged
상기 지지프레임(11)은 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The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은 부력부재(12)와 식생기반재(13)와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식생기반재(13)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Here, the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은 침수 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된다.이러한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은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결합되는 부력부재(12)와, 부력부재(12) 상에 설치되는 침수식물 식생시반재(13) 및 지지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생물 미디어(14)를 구비한다.The submerged
상기 부력부재(12)는 양 단부가 밀폐된 PEM관, 천연 목재, 발포성 판형 EVA 소재, 스티로폼, 올레핀계열의 발포성형 수지와 같이 수상에서 부력이 우수한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성의 에틸렌 초산비닐 코폴리머(EVA;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력부재(12)와 식생기반재(13)는 로프나 외부망체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될 수 있다. 수면부유체(21)에 의해 침수 생물서식유닛(10)에 충분한 부력이 제공될 수 있을 경우 부력부재(12)는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3)는 치어를 포함하는 어류의 서식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식물을 식재할 경우에는 침수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다. 물론 식생기반재(13)는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자연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The submerged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2)는 수생식물(15)이 식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수생식물(15)은, 수질의 정화기능을 할 수 있으며, 그 줄기와 잎은 수체의 이동과 교란을 감소시켜 부유물의 침전이나 여과 기능을 하게 한다. 또한, 수생식물(15)의 뿌리와 줄기는 다양한 미생물의 부착기질 역할을 하며, 어류의 먹이가 되는 동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활발해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수생식물(15)은 어류 등의 먹이가 되기도 하고, 그 뿌리가 성장하여 수중으로 뻗어나가게 되면 치어를 포함하여 어류의 산란처, 피난처 및 서식처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생식물(15)로는 노랑꽃창포, 갈대 등의 정수성 수생식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bmerg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중앙부분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된 개방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10a)를 통해서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하부로 태양광이 도달하게 하며, 또한 개방구(10a)를 통해 수면 위의 공기가 수중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entral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2)는 토양, 폐그물, 합성섬유,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merged
상기 식생기반재(12)의 일례로는, 양단부가 밀봉된 다수의 중공형 관을 뗏목의 형태로 배열하여 부력을 유지하고 식생기반재로 흙을 사용한 한국특허출원 제2001-0043609호(뗏목형 인공 식물섬), 양면이 밀폐된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유체를 사용하고 식재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섬유질 재질인 블록 구조의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한국특허출원 제1998-0012959호(수상식물 재배장치) 등이 공지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식생기반재(12)는 종래 식생기반재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상기 미생물 미디어(14)는 지지프레임(11)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미생물 미디어(14)는 어류가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 미디어(14)로는 코코넛 또는 황마 재질의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재질이 가능하다.The
상기 고정유닛(20)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21)와,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상기 수면 부유체(2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2)와, 상기 수면 부유체(21)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3)를 구비한다.The
상기 수면 부유체(21)는 수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며, 앞서 설명한 부력부 재들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면부유체(21)는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지지프레임(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연결부재(23)는 주중 바닥에 마련되는 돌무더기를 포함하는 닻(24)과 같은 고정지지물에 연결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이 지상의 구조물이나 이웃한 수상시설물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이 닻(24)을 돌무더기로 구성할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어류의 서식처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When the
상기 보호팬스 유닛(30)은 침수 생물서식유닛(10)에서 크기가 큰 포식자의 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의 치어가 안전하기 서식할 수 있도록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팬스 유닛(30)은,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외측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31)와, 상기 복수의 폴대(31)에 연결되어 상기 폴대들(31) 사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망 형상을 가지는 외부망체(33)를 구비한다.The
상기 폴대(31)는 지지프레임(11)의 외관 테두리 쪽에 소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금속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대(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에는 결합부(11a)가 형성된다.The
상기 외부 망체(33)는 소정 크기 이상의 어류나 수중생물이 통과하지 못하도 록 망 형상 즉, 그물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외부 망체(33)는 구부려지는 그물망의 구조도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변형이 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호소나 댐에 어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한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수생식물 및 침수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수질개선 효과를 볼 수 있고, 특히 수생태계의 복원을 통해서 수질개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spawning and habita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sh in the lake or dam.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can be seen through the planting of aquatic plants and submerged plants using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water quality through restor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또한, 치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의 복원은 물론, 다양한 생태계 조성 및 생물종간의 다양한 상호 작용을 유도하여 수생태계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y can be safely protected, not only th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but also the activation of aquatic ecosystem by inducing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ecosystem composition and specie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2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고정유닛(20) 및 보호팬스(30)을 포함하며, 상기 침수 서식유닛(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을 더 포함하는 데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floating submerged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은, 부력부재(41)와, 부력부재(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식생기반재(42)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부재(41)는 앞서 설명한 부력부재(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floating
상기 식생기반재(42)는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식생 기반재(1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력부재(41)와 식생기반재(42)는 망체나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지지부재(43)에 의해 연결된다.The
상기 식생기반재(42)의 하부에는 미생물 미디어(44)를 더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면 부유 식생기반유닛(10)과 수중 생물서식유닛(20) 사이에 더 안전한 어류 서식처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Naturally, the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40)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침수 생물서식유닛(10)으로 태양광을 공급하기 위한 개방구(40a)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floating vegetation-based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은 연결부재(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의 로프 또는 금속재질의 로프가 가능하며, 또한 금속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50)는 플렉시블한 재질 또는 비 연성의 재질 모두 가능하다.The submerged
상기 부유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서 보호팬스(30)는 설치를 하지 않을 수 도 있으며, 폴대(31) 없이 외부망체 (33)만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device, the
또한, 상기 고정유닛(20)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부유 식생기반유닛(40)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수 생물서식유닛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bmerged bio-formatting unit shown in FIG.
도 3은 도 2의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frame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5 and 6 each show a floating submerged bio-forma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침수 생물서식유닛 11..프레임10.
12,41..부력부재 13,42..식생 기반재12,41.
14,44..미생물 미디어 20..고정유닛14,44.Microbial media 20.Fixed units
30..보호팬스유닛 31..폴대30.
32..외부 망체 40..부유 식생기반유닛32.
50..연결부재 100,200,300..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50 .. Connecting member 100,200,300 .. Floating submerged bio formatt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en) | 2008-06-11 | 2008-06-11 |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en) | 2008-06-11 | 2008-06-11 |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8736A true KR20090128736A (en) | 2009-12-16 |
KR100990954B1 KR100990954B1 (en) | 2010-10-29 |
Family
ID=4168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en) | 2008-06-11 | 2008-06-11 |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0954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196B1 (en) * | 2011-06-30 | 2013-10-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ubmerged style artificial island for the young fishes restoration |
KR20150048372A (en) * | 2013-10-28 | 2015-05-07 | 이성희 | Afforestation methods and devices that expand vegetation to lake surfaces to prevent algal blooms |
CN105454106A (en) * | 2015-11-23 | 2016-04-06 |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 Sinonovacula constricta mudflat aqua-culturing method |
KR101678475B1 (en) * | 2016-02-19 | 2016-12-07 | 주식회사 비엔에코 | Floating type zooplankton cultivation apparatus |
KR102230467B1 (en) * | 2020-12-23 | 2021-03-22 | 주식회사 지에코 |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water plant type fish scattering field |
KR102253775B1 (en) * | 2021-02-04 | 2021-05-20 | 곽철우 | System for fish spawning groun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739B1 (en) * | 2013-03-13 | 2015-10-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irculation apparatus and circulation method for inducing downward flow using auto-rotating floating panel according to wind direction and ekman spiral flow principle |
KR101509024B1 (en) * | 2013-03-15 | 2015-04-06 | 우도영 | The structure for spawning of fish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615Y1 (en) | 2003-04-16 | 2003-07-31 | 이광우 | Floating island for plant growing base |
-
2008
- 2008-06-11 KR KR1020080054639A patent/KR10099095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196B1 (en) * | 2011-06-30 | 2013-10-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ubmerged style artificial island for the young fishes restoration |
KR20150048372A (en) * | 2013-10-28 | 2015-05-07 | 이성희 | Afforestation methods and devices that expand vegetation to lake surfaces to prevent algal blooms |
CN105454106A (en) * | 2015-11-23 | 2016-04-06 |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 Sinonovacula constricta mudflat aqua-culturing method |
KR101678475B1 (en) * | 2016-02-19 | 2016-12-07 | 주식회사 비엔에코 | Floating type zooplankton cultivation apparatus |
KR102230467B1 (en) * | 2020-12-23 | 2021-03-22 | 주식회사 지에코 |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water plant type fish scattering field |
KR102253775B1 (en) * | 2021-02-04 | 2021-05-20 | 곽철우 | System for fish spawning grou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0954B1 (en) | 2010-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0954B1 (en) | 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 |
JP4217232B2 (en) | Formation method of submerged plant group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submerged plant | |
KR101130237B1 (en) | An ecological system for restoration of the water-ecology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ater | |
JP5345375B2 (en) | How to regenerate a submerged plant, how to cultivate a submerged plant used for it, plant regeneration base, floating island | |
KR101002567B1 (en) | Culture equipment for sea cucumber | |
JP5746545B2 (en) | Fry protection and reef | |
JP2008271989A (en) | Method for forming submerged plant cluster by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submerged plant | |
KR101652102B1 (en) | Floating type artificial reef for protecting and floulishing fresh-water fish | |
KR100939204B1 (en) | Floating habitat | |
KR101077585B1 (en) | An artificial fishing reef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 |
KR101657439B1 (en) | The artificial reef for forming a seaweed forest | |
KR100732907B1 (en) | Spawning ground of fish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100958933B1 (en) | 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kaloula | |
CA2310163A1 (en) | Artificial seaweed bed | |
KR100705230B1 (en) | An floating apparatus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for protecting the fishes | |
JP3012485B2 (en) | Firefly aquaculture equipment | |
KR100968614B1 (en) | An inhabitant of shellfish and a system for the quality of water purification | |
KR200484611Y1 (en) | Aquaculture cages fo abalone growhouse | |
KR100942596B1 (en) | Phyto-bed for fish | |
JP2012152126A (en) | Method for protecting rhizome of aquatic plant in vegetated floating island, and vegetated floating island used therein | |
KR100472943B1 (en) | Fishes laying eggs habitation apparatus for fishes protection of floating type | |
JP2000188991A (en) | Floating spawning bed | |
KR100724281B1 (en) | A structure of protection fishes using river | |
KR101580142B1 (en) | Planting method of artificial plant islands | |
JP2002000113A (en) | Seaweed ground constituting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