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651A - 이중 오일펜스 - Google Patents

이중 오일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651A
KR20090128651A KR1020080054503A KR20080054503A KR20090128651A KR 20090128651 A KR20090128651 A KR 20090128651A KR 1020080054503 A KR1020080054503 A KR 1020080054503A KR 20080054503 A KR20080054503 A KR 20080054503A KR 20090128651 A KR20090128651 A KR 2009012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ence
oil
protrusions
fen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295B1 (ko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08005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29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오일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펜스를 이중으로 설치하되, 내외측오일펜스의 하단부를 결합하여 그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되, 내외측차단막이 결합되는 하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내측오일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부구 보다 외측오일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측부구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며,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이중 오일펜스을 설치한 수면에서 파도에 의해 기름을 포함한 해수(이하, 유체라고 칭함)가 내측부구를 넘어가는 경우에 내측부구와 간격을 두고 높게 설치된 외측부구로 유체가 넘어가지 못하고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담겨지게 하며, 공간부에 담겨지는 유체의 유입량이 많아져서 공간부 내의 수면이 해수면 보다 높아지면 하측의 배수구멍으로 해수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력재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부구와, 부구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하향 설치되는 차단막과, 차단막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지는 오일펜스에 있어서, 상기 오일펜스는 내외측오일펜스(10,20)가 두 겹으로 설치되어 이중 오일펜스(1)를 구성하며, 상기 이중 오일펜스(1)는 상측에 2줄로 내외측부구(12,22)를 설치하되, 내측부구(12) 보다 외측부구(22)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서 내외측부구(12,22)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3,23)를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외측부구(12,22)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설치되는 내외측차단막(11,21)은 하단부가 결합되어 그 결합된 하단부에 무게추(25)가 설치되며, 내측차단막(1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하부돌출부(14,24)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로 대면하는 각각의 돌출부(13,23) 및 하부돌출부(14,24)에 의해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에 공간부(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펜스, 부구, 차단막, 공간부, 기름, 돌출부

Description

이중 오일펜스{Double oil fence}
본 발명은 이중 오일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펜스를 이중으로 설치하되, 내외측오일펜스의 하단부를 결합하여 그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되, 내외측차단막이 결합되는 하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내측오일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부구 보다 외측오일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측부구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며,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이중 오일펜스을 설치한 수면에서 파도에 의해 기름을 포함한 해수(이하, 유체라고 칭함)가 내측부구를 넘어가는 경우에 내측부구와 간격을 두고 높게 설치된 외측부구로 유체가 넘어가지 못하고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담겨지게 하며, 공간부에 담겨지는 유체의 유입량이 많아져서 공간부 내의 수면이 해수면 보다 높아지면 하측의 배수구멍으로 해수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오일펜스는 상측에 수면 위에 뜨는 부구와, 부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물속으로 잠기는 차단막과, 차단막이 물속으로 수직하게 잠기도록 차단막의 하측에 설치되는 중량물의 체인이나 무게추(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일펜스는 수면 위에 기름이 유출된 경우에 유출된 기름 이 타측으로 퍼저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름이 유출된 해역에 설치하는데, 상기 오일펜스를 바다에 설치한 경우에 하측의 무게추에 의해 차단막이 바다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펼쳐지고, 상측의 부구는 자체의 부력에 의해 수면위에 떠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바다에는 크고 작은 파도가 치게 되는데, 파도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는 기름이 해수와 함께 부구를 넘어가서 오일펜스를 설치한 외측의 해역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있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11789호의 고안에는 부구의 상부에 브러쉬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부구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부구를 넘어가려던 기름이 부러쉬에 걸리기는 했으나, 브러쉬의 솔 모(毛) 사이에 기름이 엉겨붙으면서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부구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기름을 포함한 해수의 일부가 부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려서 오일펜스 외측의 해수면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구의 상측에 부러쉬를 설치하여 기름이 넘어가는 것을 막으려고 하지만, 부구에는 계속적으로 파도가 부딛침에 따라서 기름을 포함한 해수는 계속적으로 부구를 넘어가려고 하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펜스를 이중으로 설치하되, 기름이 떠 있는 수면측에 설치되는 내측부구의 높이 보다 그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구를 높게 설치하며,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록 함으로서, 내측부구에 계속적으로 파도가 부딛쳐서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내측부구를 넘어갈 수 있으나,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파도가 작용하는 힘이 약하여 높이가 높은 외측부구로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내외측오일펜스가 결합된 차단막의 하측에는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공간부에 담겨지는 유체의 유입량이 많아져서 공간부 내의 수면이 해수면 보다 높아지면, 하측의 배수구멍으로 해수만 배수되어 공간부에 담겨진 유체가 이중오일펜스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측오일펜스가 두 겹으로 설치되어 이중 오일펜스를 구성하며, 상기 이중 오일펜스는 상측에 2줄로 내외측부구를 설치하되, 내측부구 보다 외측부구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서 내외측부구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외측부구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설치되는 내외측차단막은 하단부가 결합되어 그 결합 된 하단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며, 내측차단막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외측차단막의 내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하부돌출부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로 대면하는 각각의 돌출부 및 하부돌출부에 의해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중 오일펜스는, 오일펜스를 이중으로 설치하되, 기름이 떠 있는 수면측에 설치되는 내측부구의 높이보다 외측에 설치하는 외측부구를 높게 설치하며,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록 함으로서, 내측부구에 계속적으로 파도가 부딛쳐서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내측부구를 넘어갈 수 있으나, 내외측오일펜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파도가 작용하는 힘이 약하여 높이가 높은 외측부구로 기름을 포함한 해수가 넘어가지 못하여 해상에서 기름오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내외측오일펜스가 결합된 차단막의 하측에는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공간부에 담겨지는 유체의 유입량이 많아져서 공간부 내의 수면이 해수면 보다 높아지면, 하측의 배수구멍으로 해수만 배수되어 공간부에 담겨진 유체가 이중 오일펜스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일펜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력재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부구와, 부구의 하 단부 전길이에 걸쳐 하향 설치되는 차단막과, 차단막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지는 오일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외측오일펜스(10,20)가 두겹으로 설치되어 이중 오일펜스(1)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 이중 오일펜스(1)는 상측에 2줄로 내외측부구(12,22)를 설치하되, 내측부구(12) 보다 외측부구(22)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서 내외측부구(12,22)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3,23)를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내외측부구(12,22)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설치되는 내외측차단막(11,21)은 하단부가 결합되어 그 결합된 하단부에 무게추(25)가 설치되며, 내외측차단막(11,2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멍(15)은 내외측차단막(11,21) 중의 어느 한 곳이나, 또는 내외측차단막(11,21)이 결합되는 하부를 부분적으로 비결합식으로 결합하여 비결합된 부분이 배수구멍(15)이 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속에 잠기는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하부돌출부(14,24)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 하부돌출부(14,24)는 물보다 비중이 커서 물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해야 할 것이고, 그 재료는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하며 재료비가 많이 들지 않도록 내측이 비며, 물이 통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로 선단부가 맞닿는 각각의 돌출부(13,23) 및 하부돌출부(14,24)에 의해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에 공간부(2)가 형성되어 내측부구(12)를 넘어 서는 유체가 그 공간부(2)에 담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A"는 기름이 유출된 해역을 표시하고, "B"는 이중오일펜스를 설치한 오일펜스 외측의 해역이며, "D"는 물속에서 내외측파단막(11,21)에 수압이 작용하여 내외측차단막의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중 오일펜스(1)를 기름이 누출된 해역에 설치하면, 이중 오일펜스(1)는 공지된 종래의 오일펜스가 설치되는 것과 동일하게 상측의 내외측부구(12,22)는 부력재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뜨고, 내외측부구(12,22)의 하측에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하향 설치된 내외측차단막(11,21)은 그 하단부에 매달린 무게추(25)에 의해 바다속에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내외측오일펜스(10,20)가 두 겹으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측에 내외측부구(12,22)의 내측에 서로 마주 대하여 접촉하는 돌출부(13,23)가 형성되어 있고, 물속에서는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측에 서로 마주 대하여 접촉하는 하부돌출부(14,24)가 설치되어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에는 공간부(2)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내외측차단막(11,21)의 하측이 결합된 부분은 수압에 의해 도 1과 같이 밀착되게 되고, 그리하여 내측차단막(11)에 형성된 배수구멍(15)이 막혀서 내외측차단막(11,21) 외측의 바닷물이 배수구멍(15)을 통하여 이중 오일펜스(1)의 내 측으로 유입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며,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는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부구(12)에 파도가 반복적으로 부딛치는 과정에서 크고 강한 물결이 내측부구(12)에 부딛치면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부구(12)를 넘어가게 되며, 그 물결에 기름이 떠 있는 경우에는 기름(3)이 물결과 함께 내외측오일펜스(10,20) 사이의 공간부(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아서 공간부를 형성하게 하는 돌출부(13,23) 및 하부돌출부(14,24)가 물위와 물속에 각각 형성되어서 그들 돌출부(13,23) 및 하부돌출부(14,24)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2)로 상기와 같이 내측부구(12)를 넘어 오는 기름을 포한한 해수(유체)가 담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2)에 담겨지는 유체가 공간부(2)의 하측부터 채워질 때에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부에 서로 맞닿은 하부돌출부(14,24)에 의해 내외측차단막(11,21)이 수압에 대해서도 내측으로 수축하지 않고 공간부(2)에 유체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공간부(2)에 채워지는 유체가 끊임없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간헐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동안에 해수에 포함되었던 기름은 해수와 기름의 비중 차이에 의해 상측으로 떠 올라 공간부(2) 내의 수면위에 떠 있게 된다.
이때, 유체가 채워진 이중 오일펜스(1), 특히 물속에 잠긴 내외측차단 막(11,21)과 무게추(25)에는 물결이 흔들리는 정도의 약한 외력(外力)이 작용하므로, 공간부(2)의 내부에 유입된 유체가 외측부구(22)에 부딛치는 힘이 약하여 공간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측부구(22)를 넘어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공간부(2)의 내측으로 유체가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간부(2)의 내부 수면이 이중 오일펜스(1) 외측의 수위보다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경우를 예상할 수 있는데, 이 때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 내측의 유체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이중 오일펜스(1) 외측의 수위보다 높은 만큼의 해수가 하측의 배수구멍(15)으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구멍(15)으로 배수되는 해수는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공간부(2)의 내측으로 유입되었던 유체 중에서 기름(3)은 수면 위로 뜨기 때문에 하측에는 해수가 위치하여 하측의 배수구멍(15)으로 해수만 배수되게 된다.
위와 같이 공간부(2)의 내부로 유체가 간헐적으로 유입되고, 유체중의 기름이 공간부 내의 수면 상측으로 떠 오르고 공간부 내의 유체의 유입량이 많아져 차단막의 하측에 형성된 배수구멍으로 해수만 배수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공간부의 내부에는 다량의 기름층이 쌓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공간부의 내부에 다량의 기름층이 쌓이게 되면, 관리자는 배를 타고 이중오일펜스에 접근하여 이중오일펜스의 공간부에 기름이 얼마나 담겼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한 뒤에, 그 량이 많으면 배에 적재한 오일수거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를 이중오일펜스의 공간부로 삽입하여서 그 기름을 배에 적재된 오일수거탱크에 적재하고, 물과 기름을 분리한 뒤에 그 기름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한편, 무게추(25)에 의해 하측으로 늘어트려진 내외측차단막(11,21)은 파도가 내측부구(12)에 부딛칠 때 해수의 수면 위에 떠 있던 기름(3)이 물속으로 내려 갔다가 부상하게 되는데, 이 부상하는 기름이 이중오일펜스의 외측으로 물속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종래의 공지된 오일펜스와 동일한 것임을 밝혀둔다.
위에서 내외측부구(12,22)의 내측면에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3,23)를 형성하고,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면에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하부돌출부(14,24)를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돌출부와 하부돌출부를 내외측부구 중의 어느 한 쪽에만 형성하고, 내외측차단막에도 어느 한 쪽에만 하부돌출부를 설치할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와 작용관계를 나트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 오일펜스 2 : 공간부 3 : 기름
10 : 내측오일펜스 11 : 내측차단막 12 : 내측부구
13,23 : 돌출부 14,24 : 하부돌출부 15 : 배수구멍
20 : 외측오일펜스 21 : 외측차단막 22 : 외측부구
25 : 무게추

Claims (1)

  1. 다수개의 부력재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부구와, 부구의 하단부 전길이에 걸쳐 하향 설치되는 차단막과, 차단막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지는 오일펜스에 있어서,
    상기 오일펜스는 내외측오일펜스(10,20)가 두 겹으로 설치되어 이중 오일펜스(1)를 구성하며,
    상기 이중 오일펜스(1)는 상측에 2줄로 내외측부구(12,22)를 설치하되, 내측부구(12) 보다 외측부구(22)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서 내외측부구(12,22)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돌출부(13,23)를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외측부구(12,22)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설치되는 내외측차단막(11,21)은 하단부가 결합되어 그 결합된 하단부에 무게추(25)가 설치되며, 내측차단막(1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내외측차단막(11,21)의 내면에는 서로 대면하는 다수개의 하부돌출부(14,24)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로 대면하는 각각의 돌출부(13,23) 및 하부돌출부(14,24)에 의해 내외측오일펜스(10,20)의 사이에 공간부(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일펜스.
KR1020080054503A 2008-06-11 2008-06-11 이중 오일펜스 KR10096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03A KR100962295B1 (ko) 2008-06-11 2008-06-11 이중 오일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03A KR100962295B1 (ko) 2008-06-11 2008-06-11 이중 오일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651A true KR20090128651A (ko) 2009-12-16
KR100962295B1 KR100962295B1 (ko) 2010-06-11

Family

ID=4168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503A KR100962295B1 (ko) 2008-06-11 2008-06-11 이중 오일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56A (ko) * 2017-07-19 2019-01-29 김미정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KR20210060782A (ko) * 2019-11-19 2021-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KR20220072080A (ko)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케이엠 오일펜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86Y1 (ko) 2000-06-02 2000-12-01 고영근 오일 펜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56A (ko) * 2017-07-19 2019-01-29 김미정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KR20210060782A (ko) * 2019-11-19 2021-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KR20220072080A (ko)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케이엠 오일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295B1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100962295B1 (ko) 이중 오일펜스
CN108060712B (zh) 一种防水车库
CN205557464U (zh) 一种可清污型智能防洪大坝
CN211523442U (zh)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KR101253061B1 (ko)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200423737Y1 (ko) 오탁막 및 오일펜스 구조물
KR100587764B1 (ko)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US20120087730A1 (en) Sorbent boom
KR100633018B1 (ko) 오탁방지장치
KR200423736Y1 (ko) 공기 팽창식 오일펜스 구조물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RU2261951C2 (ru) Самодействующее защитное от наводнений сооружение
JPH11230020A (ja) 波の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海水等の汲上装置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KR101059140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GB2450875A (en) Flood prevention barrier incorporating a float member
KR100543435B1 (ko)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1014950B1 (ko) 수면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용기 구조체
RU2298065C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0308610Y1 (ko) 이중 오탁방지막
JP6659489B2 (ja) 防波構造物
KR101028694B1 (ko) 악취차단장치가 설치된 맨홀
CN105089029B (zh) 双层导流截流围油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