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787A -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 Google Patents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787A
KR20090127787A KR1020080054399A KR20080054399A KR20090127787A KR 20090127787 A KR20090127787 A KR 20090127787A KR 1020080054399 A KR1020080054399 A KR 1020080054399A KR 20080054399 A KR20080054399 A KR 20080054399A KR 20090127787 A KR20090127787 A KR 20090127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folded
case
bag group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102008005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7787A/ko
Publication of KR2009012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장 인출이 가능한 비닐봉지배치 및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번 접히어 일측면의 접힌 면 양측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어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수용되며 한번 접히어 일측면의 접힌 면 양측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어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를 제공한다.
낱장인출, 비닐봉지, 케이스

Description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vinyl bag unit for drawing out a sheet and a cas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비닐봉지 배치 및 그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봉지는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들어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 낱장 인출이 가능한 휴지 및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휴지 들(20)은 각 장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폴딩되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1)를 통하여 상부의 휴지(21)를 한 장 인출하면, 다음의 휴지(22)가 딸려 올라와 다시 케이스(10)의 배출구(11) 외부로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휴지가 그 재질이 소정의 마찰력을 지니고 있어 가능한 것이었으며, 음식물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도 2에 도시된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일반 비닐봉지(5)나 도 3에 도시된 지퍼(45)가 구비되어 지퍼를 이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지퍼방식의 비닐봉지(8)나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개구부 측에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20a)에는 홈부(23)가 구비된 걸림부(24)가 타측(20b) 에는 끼움부(28)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24)에 끼움부(28)를 끼워 개구부를 폐쇄하는 비닐봉지(6) 등 종래 여러 다양한 형태의 비닐봉지의 경우에는 겉면이 미끈미끈하고 자체 자중으로 인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여도, 한 장을 뽑은 경우 다음 장이 딸려 나오지 않고 그대로 미끄러져서 배출구로 나오지 않게 되어 한장 씩 뽑는 형태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비닐봉지그룹(40)을 같은 방향으로 포개어 케이스(30) 내부에 배치시켰었으며,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가 배출구(31)를 통하여 한 장씩 뽑으려 해도 미리 비닐봉지가 케이스(30)의 배출구(31) 외부로 배출된 구조를 이루지 않게 되므로, 한 장을 뽑으려 해도 두 장 또는 세 장이 나오는 등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비닐봉지들이 수용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번 접히어 일측면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어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배치상태를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외부에 놓인 비닐봉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제2폴딩배치상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수용되며 한번 접히어 일측면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어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는 그 좌우 길이가 상기 비닐봉지의 인출 시 간섭되도록 그 크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일 측면을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낱장 인출이 가능한 비닐봉지그룹 및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에 수용된 비닐봉지를 한 장 인출하면 다음 인출될 비닐봉지가 케이스의 배출구에 걸려 있게 되어, 낱장 인출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비닐봉지그룹을 이루는 인접한 비닐봉지들은 서로 밀착된 형태를 이루고 있겠으나,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비닐봉지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로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비닐봉지는 종래 공지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닐봉지는 물론 그 외 공지된 형태의 비닐봉지 모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다양한 비닐봉지에서,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지퍼나 걸림부나 끼움부 등이 구비된 비닐봉지 구조는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비닐봉지 각은 단면상 두 개의 비닐시트가 겹쳐진 형태로 표시되어야 하나, 이하 도시 및 설명에서는 이해 및 설명의 편의상 완전히 밀착된 하나의 시트 형태로 나타내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낱장 인출이 가능한 비닐봉지 배치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접히어 일측면의 접힌 면 양측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101,102,104,104)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10) 전체를 한번 더 접음과 동시에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비닐봉지 각각의 한번 접히는 부분은 비닐봉지의 절반 정도가 접히도록 될 것이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을 위하여 상기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10)의 폴딩되는 부위도 그 중앙부위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을,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10)가 구비된 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외곽에 놓이는 비닐봉지를 인출 시 다음의 인접한 비닐봉지 및 잔여 비닐봉지가 전부 배출구 쪽으로 끌려 나오지 않도록 이끌림 방지부(320)를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끌림 방지부(320)는 상기 케이스(300)와 따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케이스(300)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이끌림 방지부(320)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스(300)의 배출구(310)의 크기보다 내부에 수용되는 비닐봉지의 양폭의 사이의 길이가 소정 길이(d) 더 길도록 하여, 각각의 비닐봉지를 인출 시 인출되는 비닐봉 지 이외의 나머지 비닐봉지들이 배출구의 외부로 함께 이끌려 나오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에 인접한 최외곽의 비닐봉지(101)를 케이스의 배출구(310)를 통하여 인출시킨다.
이렇게 되면, 최외곽의 인출되는 비닐봉지(101)의 접힌부분(a)이 다음에 인출될 비닐봉지의 일부(b)가 인출되는 비닐봉지(101)의 접힌부분(a) 양측에 감싸 포위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인출되는 비닐봉지(101)의 접힌부분(a)에 이끌리어 다음에 인출된 비닐봉지(102)의 일부(b)가 나오게 된다.
결국, 최외곽 비닐봉지(101)가 인출됨과 동시에 인접한 비닐봉지(102)의 일부(b)가 케이스의 배출구(3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최종적으로 이루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두 장의 비닐봉지만을 가지고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다수개의 비닐봉지가 상기 제2폴딩배치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구비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같은 상태를 이루며 한 장씩 나오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의 전체 외부의 양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5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500)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의 전체 외부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510)가 구비되어 제2폴딩된 비닐봉지그룹(120)이 폴딩된 상태 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며, 각각의 비닐봉지끼리 밀착되도록 하여 마찰을 늘려 낱장 인출 시 인출되는 비닐봉지의 다음 비닐봉지가 나오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300)에는 이끌림 방지부(320) 또는 케이스(300)의 배출구(310)의 크기가 내부 비닐봉지의 양폭보다 최소한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간섭을 일으키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500)는 상기 케이스(300)에 고정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의 폴딩 된 중앙부위에 놓여져 폴딩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의 외부에 놓인 비닐봉지의 양면을 가압하여 폴딩상태를 보조지지하는 제2지지부(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410) 및 제2지지부(420) 사이에 연결부(430,44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1지지부(410) 및 제2지지부(420)가 모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부(410)와 제2지지부(4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410)가 구비됨이 없이, 상기 제2지지부(420)만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420)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120)에 있어 일측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420)는 소정의 탄성을 가져 비닐봉지 다수가 계속 인출되어 그 전체 비닐봉지그룹의 부피가 작아지게 되는 경우에도 가압 상태를 계속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6은 이를 위한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제2지지부(420)의 경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일면 또는 양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
즉, 스프링이나 다른 구조의 종이를 접은 형태나, 플라스틱 재질의 일종의 클립 등 소정의 탄성을 지닐 수 있는 어떤 형태 및 재질로 상기 제2지지부(420)가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20)는 케이스(42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300)의 입구에는 이끌림 방지부(3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서술에서는 비닐봉지의 구조 자체에 대하여는 자세히 도시 및 설명되어 있지 않으나,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간단한 형태의 비닐봉지는 물론, 지퍼나 걸림부 및 끼움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등 여러 형태의 비닐봉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시 및 설명에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 그룹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비닐봉지 각각을 폴딩한 모습으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으나, 대각선과 같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된 각각의 비닐봉지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 치한 후,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하나의 비닐봉지를 기준으로 측면상 4겹이 되도록 재폴딩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도시 및 설명에서는 4장 또는 2장으로 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은 그 보다 많은 수의 비닐봉지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휴지가 들어간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비닐봉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비닐봉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비닐봉지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비닐봉지가 들어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이 수용된 케이스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9은 비닐봉지의 인출과정 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이 이끌려 나오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의 단면도
도 10은 배출구와 내부에 수용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의 양폭과의 크기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의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가압부가 구비된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
도 16은 주지지부 및 보조지지부가 구비된 케이스 내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120...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300...케이스 310...배출구
320,330...이끌림 방지부 410...제1지지부
420...제2지지부 500...가압부재
510...가압부

Claims (7)

  1. 한번 접히어 일측면의 접힌 면 양측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음과 동시에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배치상태를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외부에 놓인 비닐봉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제2폴딩배치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4. 소정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수용되며 한번 접히어 일측면의 접힌 면 양측이 대향되도록 한 비닐봉지 다수개가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 전체를 한번 더 접음과 동시에 각각의 비닐봉지가 측면에서 볼 때 그 접힌 구조가 4겹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그 좌우 길이가 상기 비닐봉지의 인출 시 간섭되도록 그 크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로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일 측면을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폴딩배치된 비닐봉지그룹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KR1020080054399A 2008-06-09 2008-06-09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KR20090127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99A KR20090127787A (ko) 2008-06-09 2008-06-09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99A KR20090127787A (ko) 2008-06-09 2008-06-09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787A true KR20090127787A (ko) 2009-12-14

Family

ID=4168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99A KR20090127787A (ko) 2008-06-09 2008-06-09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7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0410A (zh) * 2012-03-02 2012-07-04 无锡佳泰科技有限公司 改进的抽取式塑料保鲜袋包装盒的抽取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0410A (zh) * 2012-03-02 2012-07-04 无锡佳泰科技有限公司 改进的抽取式塑料保鲜袋包装盒的抽取结构
CN102530410B (zh) * 2012-03-02 2015-07-15 无锡佳泰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抽取式保鲜袋包装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604B2 (en) Separation unit and a dispenser comprising a separation unit
US11871877B2 (en) Separation unit and a dispenser comprising a separation unit
CN101547627B (zh) 带有纸堆的分配器
US5642602A (en) Dispensing package for discrete stage compressed cotton pads, compressed cotton pads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such cotton pads
AU2011373054B2 (en) Stack of interfolded hygiene products
HUE032312T2 (en) Folded napkins and napkins for folding
CN101983027B (zh) 片材层叠体和片材收容装置
US9908691B2 (en) Dispenser and sheet product dispensing plate therefor
CN103260491A (zh) 包括保持器和分配包装的分配系统
US5535887A (en) Dispensing package for discrete stage compressed tissues, compressed tissues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such tissues
CA2622659A1 (en) A pack of wipes with enhanced dispensing
EP3515270B1 (en) Stack of paper sheets, dispenser having such a stack and method for forming such a stack
KR20090127787A (ko) 낱장 인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비닐봉지그룹 및 케이스
CN107280559B (zh)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CA2223058C (en) Dispensing package for discrete stage compressed tissues, compressed tissues therefore, and method of packaging such tissues for later dispensing
US3485413A (en) Package containing large size,flat,flexible articles
JP2013177181A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CN102633062B (zh) 抽取式纤维制品的包装构造
KR20090109028A (ko) 낱장 인출이 가능한 비닐봉지 배치 및 케이스 구조
CN202743727U (zh) 抽取式纤维制品的包装构造
JP2000271037A (ja) ペーパーホルダー用のトイレットペーパー積層体
KR20210020333A (ko)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