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339A -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 Google Patents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339A
KR20090127339A KR1020097020717A KR20097020717A KR20090127339A KR 20090127339 A KR20090127339 A KR 20090127339A KR 1020097020717 A KR1020097020717 A KR 1020097020717A KR 20097020717 A KR20097020717 A KR 20097020717A KR 20090127339 A KR20090127339 A KR 2009012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ath
opening
sheath
pap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482B1 (ko
Inventor
마사후미 타로라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부착가능하고, 끽연자가 물어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 보조필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보조필터는, 중공 원통형상의 종이 시스(4)와, 이 종이 시스(4) 내에 그 일단부에 위치하여 수용된 멘솔필터요소(6)로서, 종이 시스(4)의 타단부에 봉상 끽연물품으로서의 필터 시가렛(FC)의 흡구단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를 남겨 놓은, 멘솔필터요소(6)와, 종이 시스(4)의 타단으로서 형성되고,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개구단(8)을 갖는다.
끽연, 끽연물품, 필터, 위화감, 멘솔

Description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AUXILIARY FILTER FOR ROD-SHAPED SMOKING ARTICLE}
본 발명은 시가렛(cigarette)이나 필터(filter) 시가렛 등의 봉상(棒狀) 끽연물품을 끽연하기 직전에,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吸口端)에 부착되는 보조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보조필터는 양단(兩端)이 개구된 중공(中空) 또한 원통형상의 외피, 즉, 시스(sheath)와, 이 시스의 일단부(一端部) 내에 수용된 적어도 1개의 필터요소와, 시스 내에서 시스의 타단(他端)과 필터요소 사이에 확보되어,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평9-11727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개 평9-18726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1, 2의 보조필터의 타단, 즉, 오목부의 개구면은 모두, 보조필터의 축선과 직교하고 있다. 그 때문에,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으로의 보조필터의 부착, 즉, 시스의 오목부 안으로의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이 보조필터의 부착 후, 봉상 끽연물품으로부터의 보조필터의 원치않는 탈락이 방지되기 위해서는 오목부의 내경(內徑)에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특허문헌1, 2의 시스는 모두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사출성형은 높은 치수정밀도의 오목부를 구비한 보조필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지만, 이 종류의 보조필터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보조필터, 즉, 시스의 폐기는 환경부하를 증가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또한, 봉상 끽연물품에 보조필터가 부착된 후, 이 보조필터의 일단부는 봉상 끽연물품 자체의 흡구단 대신에, 봉상 끽연물품을 위한 새로운 흡구단으로 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필터의 시스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끽연자는 보조필터의 흡구단을 물었을 때, 보조필터에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 또한, 끽연시, 끽연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종이재료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구된 중공 원통형상의 종이 시스와, 이 종이 시스 내에 종이 시스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수용된 원통형상의 필터요소로서, 종이 시스의 타단부에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를 남겨놓은, 원통형상의 필터요소를 포함하며, 종이 시스의 타단은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비(非)직교상태에 있는 개구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보조필터, 즉, 종이 시스의 타단은 상술한 개구영역을 가지므로, 종이 시스의 축선의 축선에 대하여 전체가 직교하는 타단에 비하여 넓은 개구면적을 갖는다. 즉,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는 개구영역은 보조필터에서의 타단의 개구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종이 시스의 외주(外周)는 타단부에서의 변형이 허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종이 시스의 내경이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아도,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부는 종이 시스의 타단을 통하여 오목부 내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된다. 즉, 봉상 끽연물품에 대한 보조필터의 부착은 용이하다. 또한, 보조필터의 부착 후, 종이 시스의 타단부는 봉상 끽연물품의 흡구단부에 밀착하여, 봉상 끽연물품으로부터 보조필터가 원치않게 탈락하는 경우도 없다.
구체적으로는, 종이 시스의 타단은 경사 개구단(開口端)으로서 형성되며, 이 경사 개구단은 그 전체가 상기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개구영역을 갖는다. 또한, 종이 시스의 타단은 경사 개구단 대신에, 계단형 개구단, 반(半)경사 개구단, 또는 부리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계단형 개구단은 종이 시스의 직경방향 및 종이 시스의 축선방향으로 갈라져 위치되며, 그 축선에 대하여 직교한 2개의 직경방향 개구영역과, 이들 직경방향 개구영역 사이에 걸쳐 뻗는 상기 종이 시스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축방향 개구영역을 갖는다.
반경사 개구단은 계단형 개구단에서의 한쪽의 직경방향 개구영역을 종이 시스의 일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경사진 경사 개구영역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며, 이에 대하여, 부리형 개구단은 계단형 개구단에서의 한쪽의 직경방향 개구영역을 종이 시스의 타단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는 경사진 경사 개구영역으로 치환하여 얻어진다.
상술한 계단형 개구단, 반경사 개구단 및 부리형 개구단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비직교상태의 개구영역을 각각 갖고, 이들 개구영역도 전술한 이점을 발휘한다.
발명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는 종이 시스의 타단에 그 개구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종이 시스의 축선과는 비직교상태에 있는 개구영역을 갖는다. 그 때문에, 종이 시스의 내경과 봉상 끽연물품에서의 흡구단부의 외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봉상 끽연물품에 대한 보조필터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부착 후, 보조필터의 종이 시스는 봉상 끽연물품에 양호하게 밀착하여, 봉상 끽연물품으로부터의 보조필터의 원치않은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봉상 끽연물품의 끽연시, 보조필터의 종이 시스가 끽연자에 의해 물려져도, 끽연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경우는 없고, 보조필터는 봉상 끽연물품 자체의 흡구단을 무는 경우와 같은 감각을 끽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보조필터를 필터 시가렛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필터 시가렛의 흡구단으로의 도 1의 보조필터의 부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보조필터를 위쪽에서 보았을 때, 보조필터의 개구단을 과장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필터 시가렛의 흡구단에 도 1의 보조필터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보조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보조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의 보조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제1 실시예의 보조필터(2)를 나타내고, 이 보조필터(2)는 봉상 끽연물품으로서의 필터 시가렛(FC)의 흡구단에 부착 가능하다. 먼저, 필터 시가렛(FC)에 대하여 설명하면, 필터 시가렛(FC)은 시가렛(C)과, 이 시가렛(C)의 일단(一端)에 인접하여 배치된 필터 팁(tip)(F)과, 이 필터 팁(F)을 시가렛(C)에 접속하는 팁 페이퍼(tip paper)(TP)를 포함하고, 이 팁 페이퍼(TP)는 시가렛(C)의 일단으로부터 필터 팁(F)의 전체에 걸쳐, 이들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필터 팁(F)은 차콜(charcoal)필터요소(FC) 및 플레인(plane)필터요소(FA)를 갖고, 이들 필터요소는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즉, 필터 팁(F)은 듀얼 필터 팁(dual filter tip)이다.
보조필터(2)는 중공 원통형상의 종이 시스(4)를 구비하고, 이 종이 시스(4)는 각각 개구된 양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종이 시스(4)는 전술한 팁 페이퍼(TP)와 같은 가요성을 갖는 종이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종이 시스(4)의 내경(Di)은 필터 시가렛(FC)에서의 흡구단의 외경(Do)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이 외경(Do)보다 약간 작다.
종이 시스(4) 안에는, 멘솔(menthol)필터요소(6)가 수용되어 있고, 이 멘솔필터요소(6)는 종이 시스(4)의 일단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멘솔필터요소(6)는 아세테이트(acetate) 섬유의 다발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필터재와, 이 필터재 속에 균일하게 분포된 멘솔의 입자와, 필터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포장재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차콜필터요소(FC)는 멘솔 입자 대신에 활성탄의 입자를 갖고, 그리고, 전술한 플레인필터요소(FA)는 어떤 입자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종이 시스(4)의 타단은 경사 개구단(8)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 개구단(8)은 그 전체가 종이 시스(4)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개구영역을 갖는다. 즉, 경사 개구단(8)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面)을 생각하였을 때, 이 면은 종이 시스(4)의 축선에 대하여 비직교상태에 있다.
종이 시스(4) 안으로의 멘솔필터요소(6)의 수용은 종이 시스(2)의 타단부 내에 오목부(9)를 규정한다. 이 오목부(9)의 크기, 즉, 도 1에서 보아서 경사 개구 단(8)의 선단(先端)(8a)과 멘솔필터요소(6) 사이의 거리 L1은 전술한 플레인필터요소(FA)의 길이보다 긴 쪽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 시가렛(FC)의 끽연시, 차콜필터요소(FC) 안으로의 외기(外氣)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팁 페이퍼(TP)에 천공열(穿孔列)(H)(도 2 참조)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천공열(H)로부터 필터 시가렛(FC)의 흡구면까지의 거리를 L2라고 하면, 거리 L1, L2는 이하의 관계에 있다.
L1 > L2 +
Figure 112009060734812-PCT00001
필터 시가렛(FC)으로의 제1 실시예의 보조필터(2)의 부착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보조필터(2)는, 그 경사 개구단(8)이 위쪽으로 향하여 개구된 자세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필터(2)의 경사 개구단(8)에 대하여, 필터 시가렛(FC)은 그 흡구단(EM)을 위쪽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삽입하여 이동되고, 이에 의해, 흡구단(EM)이 경사 개구단(8)으로부터 오목부(9) 안으로 침입된다.
여기에서, 종이 시스(4)의 내경이 흡구단(EM)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도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경사 개구단(8)의 개구면적은 흡구단(EM)의 면적보다 크고, 또한 경사 개구단(8)의 고리 형상 가장자리는 도 3 중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향하여 변형가능하다. 그 때문에, 흡구단(EM)은 경사 개구단(8)으로부터 오목부(9) 안, 즉, 보조필터(2) 안으로 간단하고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 결과, 도 4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필터 시가렛(FC)의 흡구단(EM)이 보조필터(2)의 오목부(9)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흡구단(EM)에 보조필터(2)가 부착된다. 그리고, 보조필터(2)가 일단 부착된 후, 종이 시스(4)의 내주면은 흡구단(EM)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흡구단(EM)로부터의 보조필터(2)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도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필터 시가렛(FC)에 보조필터(2)가 부착되었을 때, 필터 시가렛(FC)에서의 팁 페이퍼(TP)의 천공열(H)은, 그 일부가 보조필터(2)의 경사 개구단(8)으로부터 노출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보조필터(2)의 종이 시스(4)에 의해 폐쇄된다.
제1 실시예의 보조필터(2)는 그 내부에 멘솔필터요소(6)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보조필터(2)가 부착된 필터 시가렛(FC)이 끽연되었을 때, 필터 시가렛(FC)의 주류(主流)연기 중에는, 멘솔필터요소(6)로부터 발생한 멘솔의 향기가 부가된다. 이 결과, 끽연자는 시가렛(C) 본래의 풍미나 미각에 더해, 멘솔의 향기도 맛볼 수 있다.
종이 시스(4)는 종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조필터(2)의 사용 후, 보조필터(2)가 필터 시가렛(FC)의 꽁초와 함께 폐기되더라도, 보조필터(2)의 폐기가 환경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 또한, 끽연자가 보조필터(2)의 일단부, 즉, 그 흡구단을 물어도, 보조필터(2)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보조필터(2)는 필터 시가렛(FC) 1개피 마다 사용되므로, 보조필터(2)의 재사용이 방지되어, 보조필터(2)는 위생면에서도 뛰어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천공열(H)은 보조필터(2)의 종이 시스(4)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므로, 끽연시, 필터 시가렛(FC)의 필터 팁(F)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량, 즉, 필터 팁(F)의 통기도(通氣度)(Vf)는 보조필터(2)의 부착 전과 부착 후 사이에서 변화된다. 그렇지만, 천공열(H)이 종이 시스(4)에 의해 폐쇄되는 비율, 즉, 통기도(Vf)는 경사 개구단(8)의 경사각이나 보조필터(2) 안으로의 흡구단(EM)의 삽입량 등에 의해 제어가능하다. 그 때문에, 통기도(Vf)가 적절하게 제어되면, 보조필터(2)의 부착 전후로, 필터 시가렛(FC)의 TN값(T: 타르(tar), N: 니코틴(nicotine))을 변화시키지 않고, 필터 시가렛(FC)의 주류연기에 멘솔의 향기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보조필터(2)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보조필터(2)는 전술한 경사 개구단(8) 대신에 계단형 개구단(10)을 갖는다. 이 계단형 개구단(10)은 2개의 직경방향 개구영역(10a, 10b)과, 1개의 축방향 개구영역(10c)을 갖는다. 직경방향 개구영역(10a, 10b)은 보조필터(2)의 축선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로 있다. 즉, 도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개구영역(10b)은 개구영역(10a)보다 종이 시스(4)의 일단측에 위치되어 있고, 종이 시스(4)의 타단측에서 보아, 직경방향 개구영역(10a, 10b)은 반원형상을 이루 고, 아울러 종이 시스(4)의 일단과는 반대측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축방향 개구영역(10c)은 개구영역(10a, 10b)사이에 걸쳐 종이 시스(4)의 축선방향으로 뻗고, 보조필터(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즉, 직경방향 개구영역(10a, 10b)은 보조필터(2)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음에 대하여, 축방향 개구영역(10b)은 보조필터(2)의 축선과 평행하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보조필터(2)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보조필터(2)는 전술한 경사 개구단(8) 또는 계단형 개구단(10) 대신에, 반(半)경사 개구단(12)을 갖는다. 이 반경사 개구단(12)은 직경방향 개구영역(12a)과, 경사 개구영역(12b)을 갖는다. 직경방향 개구영역(12a)은 전술한 직경방향 개구영역(10a)에 상당하고, 이에 대하여, 경사 개구영역(12b)은 직경방향 개구영역(12a)에 대하여, 종이 시스(4)의 일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고, 개구영역(12a)과 종이 시스(4)의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걸쳐 뻗어 있다.
도 7은 제4 실시예의 보조필터(2)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의 보조필터(2)는 전술한 개구단(8, 10 또는 12) 대신에, 부리형 개구단(14)을 갖는다. 이 부리형 개구단(14)은 경사 개구영역(14a)과, 직경방향 개구영역(14b)을 갖는다. 직경방향 개구영역(14b)은 전술한 직경방향 개구영역(10b)에 상당하고, 이에 대하여, 경사 개구영역(14a)은 직경방향 개구영역(14b) 대신에, 종이 시스(4)의 타단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도록 경사져 있고, 개구영역(14b)과 종이 시스(4)의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걸쳐 뻗어 있다.
상술한 계단형 개구단(10), 반경사 개구단(12) 및 부리형 개구단(14)도 제1 실시예의 경사 개구단(8)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보조필터(2)는 그 종이 시스(4) 내에 멘솔필터요소(6) 대신에, 다른 향료를 포함하는 필터요소, 차콜 타입 또는 플레인 타입의 필터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요소는 이 필터요소와 종이 시스(4)의 일단 사이에 오목부를 남겨 두어, 종이 시스(4) 안에 위치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5)

  1.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종이재료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구된 중공(中空) 원통형상의 종이 시스(sheath)와, 이 종이 시스 내에 상기 종이 시스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수용된 원통형상의 필터요소로서, 종이 시스의 타단부에 봉상(棒狀) 끽연물품의 흡구단(吸口端)을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를 남겨놓은, 원통형상의 필터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 시스의 타단은 종이 시스의 축선에 대하여 비(非)직교상태에 있는 개구영역을 갖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시스의 타단은 경사 개구단(開口端)으로서 형성되며, 이 경사 개구단은 그 전체가 상기 종이 시스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개구영역을 갖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시스의 타단은 계단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이 계단형 개구단은 상기 종이 시스의 직경방향 및 상기 종이 시스의 축선방향으로 갈라져 위치되며, 상기 축선에 대하여 직교한 2개의 직경방향 개구영역과, 이들 직경방향 개구영역 사이에 걸쳐 뻗는 상기 종이 시스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축방향 개구영역을 갖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시스의 타단은 반(半)경사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이 반경사 개구단은 상기 종이 시스의 축선에 직교한 직경방향 개구영역과, 이 직경방향 개구영역으로부터 뻗고, 상기 종이 시스의 상기 일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경사진 경사 개구영역을 갖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시스의 타단은 부리형 개구단으로서 형성되고, 이 부리형 개구단은 상기 종이 시스의 축선에 직교한 직경방향 개구영역과, 이 직경방향 개구영역으로부터 뻗고, 상기 종이 시스의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튀어나오도록 경사진 경사 개구영역을 갖는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KR1020097020717A 2007-04-16 2008-04-04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KR10116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6961 2007-04-16
JP2007106961 2007-04-16
PCT/JP2008/056761 WO2008132963A1 (ja) 2007-04-16 2008-04-04 棒状喫煙物品のための補助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339A true KR20090127339A (ko) 2009-12-10
KR101168482B1 KR101168482B1 (ko) 2012-07-26

Family

ID=3992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17A KR101168482B1 (ko) 2007-04-16 2008-04-04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958317B2 (ko)
KR (1) KR101168482B1 (ko)
CN (1) CN101677633A (ko)
MY (1) MY148042A (ko)
TW (1) TWI344825B (ko)
WO (1) WO20081329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8447A1 (en) * 2019-03-27 2020-10-01 Swidler Brant Filter device for retrofit to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9736B8 (en) 2010-06-10 2020-02-26 Essentra Filter Products Development Co. Pte. Ltd. Tobacco smoke filter
CN102309065B (zh) * 2011-09-08 2013-01-3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过滤嘴芯安装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2196U (ja) * 1983-05-23 1984-12-05 ピツプフジモト株式会社 喫煙用パイプ
JPS6233295U (ko) * 1985-08-14 1987-02-27
JPS62190493U (ko) * 1986-05-24 1987-12-03
JPH03139271A (ja) * 1989-10-24 1991-06-13 Soichi Ito 装着用タバコホルダー
JP2508261Y2 (ja) * 1990-04-13 1996-08-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目地材の取付構造及び目地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8447A1 (en) * 2019-03-27 2020-10-01 Swidler Brant Filter device for retrofit to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7633A (zh) 2010-03-24
TW200847944A (en) 2008-12-16
TWI344825B (en) 2011-07-11
JPWO2008132963A1 (ja) 2010-07-22
WO2008132963A1 (ja) 2008-11-06
KR101168482B1 (ko) 2012-07-26
JP4958317B2 (ja) 2012-06-20
MY148042A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402B (zh) 用于气溶胶生成制品的支承元件
CN110392533B (zh) 被配置成收纳插入单元的吸烟制品衔嘴
KR102661602B1 (ko) 투명한 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US7987856B2 (en) Smoking article with bypass channel
KR102250151B1 (ko) 삽입식 필터 유닛
US8302611B2 (en) Anti-smoking device
RU2745861C2 (ru) Мундштук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вставляемого элемента
US20200170294A1 (en) Smoking Apparatus With Embedded Glass Mouth Tip
KR101168482B1 (ko) 봉상 끽연물품용 보조필터
BR112020006272A2 (pt) bocal ou filtro, haste múltipla, bocal ou filtro para uso, uso de um bocal ou filtro, e, artigo para fumo.
US10602771B2 (en) Smoking article assembly with a fitted tube
KR20210057020A (ko) 소모품 보유 메커니즘
TWI230040B (en) Smoking product with hollow mouth piece-tobacco filter
WO2000057734A1 (fr) Article pour fumeurs
RU2717920C2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US428394A (en) Channel-piece for cigars
EP0632967A1 (en) Improved smoking article
US2527516A (en) Smoking article holder
WO2002056715A1 (en) Structure of cigarette filter part
KR20230102092A (ko) 흡연 물품
US20210052015A1 (en) Filter unit for electronic cigarettes
US20180360105A1 (en) Filter Cigarette Holder
GB2482961A (en) Non-filter cigarette
KR20010025693A (ko) 담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