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81A -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81A
KR20090126481A KR1020080052578A KR20080052578A KR20090126481A KR 20090126481 A KR20090126481 A KR 20090126481A KR 1020080052578 A KR1020080052578 A KR 1020080052578A KR 20080052578 A KR20080052578 A KR 20080052578A KR 20090126481 A KR20090126481 A KR 2009012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op box
location
operation cen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758B1 (ko
Inventor
이수중
Original Assignee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에 공급하는 GPS 단말기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등록 저장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와 연계된 이동체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와,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제공하는 지도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셋탑박스와 교신하고, 셋탑박스로 부터 위치정보표시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와 연결된 이동체정보를 DB서버로 부터 획득한 후 해당 이동체가 소유한 GPS 단말기로 부터 현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DB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지도서버로 부터 공급받아 셋탑박스에 공급하는 운영서버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운영센터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위치정보 운영센터로 위치정보표시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정보 운영센터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연결된 TV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셋탑박스; 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GPS를 이용한 GPS단말기를 소지한 노약자/어린이의 위치를 TV를 켜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즉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녀가 귀가시 또는 위급 상황 발생시 신호를 보내면 TV 또는 셋탑박스의 표시기기와 보호자의 휴대폰으로 통보하여 보호자가 그 즉시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되어 어린이 미아방지, 노약자 안심, 장애인 보호, 셔틀버스 위치 확인 및 근접 이동체 호출을 TV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보호자들이 TV를 보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컴퓨터에 접근이 어려운 세대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V, 위치기반 서비스, 셋탑박스, 위치정보 운영센터, GPS 단말기,

Description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Service system on position based}
본 발명은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TV를 통해 자녀, 노약자, 셔틀버스 등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체의 위치추적시스템은 PC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후 이동체의 위치를 디지털 지도상에 매칭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PC를 켜서 인터넷에 접속 한 후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필요시 즉시 이동체의 위치를 확인하려면 항상 PC를 켜 놓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었고, 또한 PC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기성세대의 경우에는 위치추적시스템을 용이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에 공급하는 GPS 단말기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등록 저장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와 연계된 이동체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와,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제공하는 지도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셋탑박스와 교신하고, 셋탑박스로 부터 위치정보표시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와 연결된 이동체정보를 DB서버로 부터 획득한 후 해당 이동체가 소유한 GPS 단말기로 부터 현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DB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지도서버로 부터 공급받아 셋탑박스에 공급하는 운영서버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운영센터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위치정보 운영센터로 위치정보표시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정보 운영센터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연결된 TV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셋탑박스; 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GPS를 이용한 GPS단말기를 소지한 노약자/어린이의 위치를 TV를 켜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즉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녀가 귀가시 또는 위급 상황 발생시 신호를 보내면 TV 또는 셋탑박스의 표시기기와 보호자의 휴대폰으로 통보하여 보호자가 그 즉시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되어 어린이 미아방지, 노약자 안심, 장애인 보호, 셔틀버스 위치 확인 및 근접 이동체 호출을 TV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보호자들이 TV를 보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접근이 어려운 세 대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에 공급하는 GPS 단말기(1)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등록 저장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와 연계된 이동체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31)와,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제공하는 지도서버(32)와,
인터넷망을 통해 셋탑박스(4)와 교신하고, 셋탑박스(4)로 부터 위치정보표시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와 연결된 이동체정보를 DB서버(31)로 부터 획득한 후 해당 이동체가 소유한 GPS 단말기(1)로 부터 현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DB서버(31)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지도서버(32)로 부터 공급받아 셋탑박스(4)에 공급하는 운영서버(33)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운영센터(3)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연결된 TV(5)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셋탑박스(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GPS를 이용한 GPS단말기를 소지한 노약자/어린이의 위치를 TV를 켜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즉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녀가 귀가시 또는 위급 상황 발생시 신호를 보내면 TV 또는 셋탑박스의 표시기기와 보호자의 휴대폰으로 통보하여 보호자가 그 즉시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되어 어린이 미아방지, 노약자 안심, 장애인 보호, 셔틀버스 위치 확인 및 근접 이동체 호출을 TV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보호자들이 TV를 보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접근이 어려운 세대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 주변에 연계된 다른 셋탑박스 사용자의 업태에 따라 필요물품의 주문, 음식주문, 택배 요청 등과 같은 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의 TV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망 중계기지국(2)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에 공급하며, 또한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서 위급버튼이 눌려질 경우 위급상황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통보하는 GPS 단말기(1)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등록 저장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정보(전화번호,주소) 및 사용자와 연계된 이동체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31)와,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제공하는 지도서버(32)와,
인터넷망을 통해 셋탑박스(4)와 교신하고, 셋탑박스(4)로 부터 위치정보표시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와 연결된 이동체정보를 DB서버(31)로 부터 획득한 후 해당 이동체가 소유한 GPS 단말기(1)로 부터 현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DB서버(31)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지도서버(32)로 부터 공급받아 셋탑박스(4)에 공급하는 운영서버(33)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운영센터(3)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연결된 TV(5)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셋탑박스(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영서버(33)는 GPS단말기(1)로 부터 위급상황알림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GPS단말기(1)와 연계된 사용자의 셋탑박스(4)로 알림메세지를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알려준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33)는 특정 셋탑박스(4)로 부터 외부인침입이나 위급상황 발생에 의한 알람신호가 전송될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른 셋탑박스(4a) 또는 사용자의 핸드폰, 관공서, 경찰서 등에 동시다발적으로 알림메세지를 통지하여 위급상황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셋탑박스(4)는,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제 1 포트(42)와, TV(5)와 연결되는 제 2 포트(43)와, 알림메세지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램프, 부저, 벨 중 어느 하나의 표시기기가 연결되는 제 3 포트(44)와, 인체감지센서 또는 비상버튼과 같은 알람기기가 연결되는 제 4 포트(45)와, 상기 포트(42~45)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입출력 제어부(41)와, 상기 제 1 포트(42)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제 2 포트(43)를 통해 출력하여 TV(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위치정보 표시 제어부(46)와, 사용자의 리모콘(48) 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요청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TV에 표시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47)와, 기능제어를 위한 리모콘(48)과, 상기 리모콘(48)에서 송출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7)에 공급하는 수신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셋탑박스(4)는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부터 수신되는 알림메세지를 제 3 포트(44)와 연결된 표시기기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토록 하며, 이후 사용자가 리모콘(48)을 조작하여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해당 메세지를 TV(5) 화면에 출력한다.
알림메세지 또는 위치정보의 표시는 TV(5)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출력하거나 자막 형태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셋탑박스(4)는 제어부(47)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망을 통해 전화 연결되는 인터넷전화기(50)가 자체 구비되거나 외부 연결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인터넷전화기(50)를 이용하여 GPS단말기(1)에 통화접속하거나 또는 다른 셋탑박스 사용자와 연결통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복수의 셋탑박스(4,4a)가 연결될 수 있고, 위치정보 운영센터(3)의 DB서버(31)에는 각 셋탑박스 사용자의 전화번호, 업종, 주소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셋탑박스(4,4a) 상호간 위치정보 표시 및 알림메세지의 교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셋탑박스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 업소의 검색 및 주문이 TV(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을 이용한 일반적인 위치표시서비스를 설명한다.
셋탑박스(4)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고, TV(5)가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48)의 키이를 입력하여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한 후 리모콘(48)의 특정 키이를 조작하여 위치확인메뉴를 선택하면, 이러한 리모콘(48)의 기능선택정보가 수신부(49)를 통해 제어부(47)에 제공되고, 제어부(47)는 입출력제어부(41)를 통해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한다.
위치정보운영센터(3)의 운영서버(33)는 셋탑박스(4)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와 연계되어 있는 이동체(어린이, 노약자, 셔틀버스 등)의 GPS 단말기(1) 정보를 DB 서버(31)로 부터 알아낸 후 해당 GPS 단말기(1)로 현재위치를 요청하게되고, GPS 단말기(1)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현재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33)에 전송한다.
상기 운영서버(33)는 GPS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지도서버(32)로 부터 인출하여 셋탑박스(4)로 전송한다.
셋탑박스(4)의 위치정보 표시제어부(46)는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도 3 (a)와 같이 TV(5) 화면상에 출력하므로서, 사용자는 TV(5) 화면을 통해 어린이,노약자, 셔틀버스 등과 같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위치정보 운영센터(3)의 운영서버(33)는 일정주기마다 지시 단말기(1)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DB서버(31)에 저장시켜 놓고, 셋탑박스(4)로 부터 위치정보표시 요청이 있을 경우 DB서버(3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동체의 위치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지도서버(32)로 부터 인출하여 셋탑박스(4)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 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이동체(어린이, 노약자, 셔틀버스 등)에서 위급상황(경로이탈, 부상, 사고 등)이 발생하여 GPS 단말기(1)로부터 위급상황을 알리는 위급신호가 전송되어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므로 해당 GPS 단말기(1)와 연계된 사용자의 셋탑박스(4)로 소정의 알림메세지를 전송하고, 셋탑박스(4)는 알림메세지 를 제 3 포트(44)에 연결되어 있는 부저, 램프와 같은 별도의 표시기기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은 빨리 인식토록 한다.
위급상황은 인식한 사용자는 리모콘(48) 조작으로 알림메세지를 확인하여 발생된 위급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알림메세지를 확인 후 리모콘(48)의 특정키이를 입력하면 제어부(47)가 인터넷전화기(50)를 자동 다이얼링하여 사용자가 GPS단말기(1) 소유자와 신속하게 통화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위급상황 발생에 따른 알림메세지 확인 시 위치정보 운영센터(3)의 운영서버(33)는 GPS 단말기(1)를 소유한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한 지도정보를 셋탑박스(4)에 제공하므로서, 사용자가 TV(5)를 통해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 은 특정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셋탑박스 사용자의 업소를 확인하여 주문 및 호출하는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사용자가 리모콘(48)을 조작하여 위치기반 호출메뉴를 선택하면,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요청 셋탑박스(4)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호출대상(셋탑박스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호출대상 정보(상호,업종)를 매칭시켜 셋탑박스(4)에 전송한다.
따라서, 셋탑박스(4)는 사용자의 TV(5)를 통해 도 3 (b)와 같이 위치와 호출 대상 정보가 매칭된 지도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주변의 음식점, 관공서 등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48)을 조작하여 화면 표시된 특정 호출대상을 선택하게되면, 그 호출자(사용자)의 등록정보(전화번호)가 호출대상의 셋탑박스로 전송되어 호출대상자가 호출자에게 전화를 걸어 주문을 받을 수 있게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콘(48)을 조작하여 화면 표시된 특정 호출대상을 선택하면, 해당 호출대상의 등록정보(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인터넷전화기(50)를 통해 호출대상과 통화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7 제어방법의 변형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위치기반 호출메뉴 선택에 의하여,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요청 셋탑박스(4)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호출대상을 DB서버(31)에 사전 등록 저장되어 있는 호출대상정보로 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호출대상 정보(상호,업종)를 매칭시켜 셋탑박스(4)에 전송하는 단계와;
셋탑박스(4)가 사용자의 TV(5)를 통해 호출대상들의 위치와 호출대상 정보가 매칭된 지도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도화면에 출력된 특정 호출대상이 선택되면,
해당 호출대상의 등록정보(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인터넷전화기(50)를 통해 호출대상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서버(31)에 사전 등록 저장되는 호출대상정보는 셋탑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업소의 전화번호, 업종, 상호, 주소를 미리 제공받아 데이타베이스화 하여 DB서버(31)에 등록하는 것이며, 위치정보 운영센터(3)의 운영서버(33)는 셋탑박스(4)로 부터 호출메뉴 선택에 의한 위치정보표시 요청이 있을경우 해당 셋탑박스(4)의 현재위치(주소)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이내의 업소정보를 지도에 매칭시켜 셋탑박스(4)를 통해 TV(5)에 출력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호출대상정보의 업태, 예를들면, 중국집, 한식당, 슈퍼마켓, 피자가게와 같은 업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 4 포트(45)에 연결된 유무선 비상버튼 및 알람 센서와 같은 알람기기로부터 알람신호가 수신되면, 셋탑박스(4)는 수신된 알람신호를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전송한다.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알람신호를 발신한 셋탑박스(4)의 위치정보를 DB서버(31)로 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된 위치정보를 알림메세지 형태로 사전에 등록된 다른 셋탑박스(4a), 예를들면, 지정된 친척집, 경찰서 등에 전송하여 위급상황이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알림메세지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 경찰서, 관공서 등에 동시 다발적으로 통보하여 보다 신속하게 위급상황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셋탑박스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시 티브에 표출되는 화면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GPS 단말기, 2: 중계 기지국,
3: 위치정보 운영센터, 4: 셋탑박스,
5: TV, 31: DB서버,
32: 지도서버, 33: 운영서버,
41: 입출력제어부, 42~45: 포트,
46: 위치정보 표시제어부, 47: 제어부,
48: 리모콘, 49: 수신부,
50: 인터넷 전화기,

Claims (14)

  1.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운영센터에 공급하는 GPS 단말기(1)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등록 저장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와 연계된 이동체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31)와,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제공하는 지도서버(32)와,
    인터넷망을 통해 셋탑박스(4)와 교신하고, 셋탑박스(4)로 부터 위치정보표시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와 연결된 이동체정보를 DB서버(31)로 부터 획득한 후 해당 이동체가 소유한 GPS 단말기(1)로 부터 현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DB서버(31)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정보와 관련된 지도영상을 지도서버(32)로 부터 공급받아 셋탑박스(4)에 공급하는 운영서버(33)로 이루어진 위치정보 운영센터(3)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정보 운영센터(3)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연결된 TV(5)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셋탑박스(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4)는,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제 1 포트(42)와, TV(5)와 연결되는 제 2 포트(43)와, 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입출력 제어부(41)와, 상기 제 1 포트(42)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제 2 포트(43)를 통해 출력하여 TV(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위치정보 표시 제어부(46)와, 사용자의 리모콘(48) 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요청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TV에 표시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4)는
    알림메세지 수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램프, 부저, 벨 중 어느 하나의 표시기기가 연결되는 제 3 포트(44)와,
    인체감지센서 또는 비상버튼이 연결되는 제 4 포트(4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 알림메세지를 셋탑박스(4)로 전송하고, 셋탑박스(4)는 알림메세지를 제 3 포트(44)와 연결된 표시기기를 통 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여 리모콘(48) 조작으로 알림메세지를 확인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복수의 셋탑박스(4,4a)가 연결되고,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셋탑박스(4,4a) 상호간 위치정보 표시 및 알림메세지의 교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6.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위치정보운영센터(3)가 요청된 이동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색 또는 수집하여 해당 지역 지도와 함께 셋탑박스(4)로 전송하는 단계와;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TV(5)에 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 알림메세지를 셋탑박스(4)로 전송하고, 셋탑박스(4)는 알림메세지를 별도의 표시기기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여 리모콘(48) 조작으로 알림메세지를 확인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8.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위치정보운영센터(3)가 요청된 이동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색 또는 수집하여 해당 지역 지도와 함께 셋탑박스(4)로 전송하는 단계와;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TV(5)에 표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TV(5)에 표출된 위치정보를 선택하면, 셋탑박스(4)는 자체 구비되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전화기를 이용하여 그 위치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9. 유무선 비상버튼 및 알람 센서에 의해 입력된 알람신호를 셋탑박스(4)가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알람신호를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 운영센터(3)에 전송하는 단계와;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알람신호를 발신한 셋탑박스(4)의 위치정보를 DB서버(31)로 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된 위치정보를 알림메세지 형태로 사전에 등록된 다른 셋탑박스(4a)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알림메세지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 휴대폰, 경찰서, 관공서 등에 동시 다발적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11. 사용자의 위치기반 호출메뉴 선택에 의하여,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요청 셋탑박스(4)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호출대상(셋탑박스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호출대상 정보(상호,업종)를 매칭시켜 셋탑박스(4)에 전송하는 단계와;
    셋탑박스(4)가 사용자의 TV(5)를 통해 호출대상들의 위치와 호출대상 정보가 매칭된 지도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지도화면에 출력된 특정 호출대상을 선택하면,
    그 호출자(사용자)의 등록정보(전화번호)가 호출대상의 셋탑박스로 전송되거나 또는 해당 호출대상의 등록정보(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인터넷전화기(50)를 통해 호출대상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13. 사용자의 위치기반 호출메뉴 선택에 의하여, 셋탑박스(4)가 위치정보운영센터(3)로 위치정보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운영센터(3)는 요청 셋탑박스(4)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호출대상을 DB서버(31)에 사전 등록 저장되어 있는 호출대상정보로 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호출대상 정보(상호,업종)를 매칭시켜 셋탑박스(4)에 전송하는 단계와;
    셋탑박스(4)가 사용자의 TV(5)를 통해 호출대상들의 위치와 호출대상 정보가 매칭된 지도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지도화면에 출력된 특정 호출대상이 선택되면,
    해당 호출대상의 등록정보(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인터넷전화기(50)를 통해 호출대상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KR1020080052578A 2008-06-04 2008-06-04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98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78A KR100987758B1 (ko) 2008-06-04 2008-06-04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78A KR100987758B1 (ko) 2008-06-04 2008-06-04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81A true KR20090126481A (ko) 2009-12-09
KR100987758B1 KR100987758B1 (ko) 2010-10-13

Family

ID=4168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78A KR100987758B1 (ko) 2008-06-04 2008-06-04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47A1 (ko) * 2015-01-16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27B1 (ko) * 2005-09-02 2007-06-04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18300B1 (ko) * 2006-07-28 2008-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셋톱박스를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838501B1 (ko) * 2006-10-19 2008-06-19 (주)지에스강남방송 원격 검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47A1 (ko) * 2015-01-16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88653A (ko) * 2015-01-16 201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42682B2 (en) 2015-01-16 2018-11-27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758B1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163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home gateway alliance
US8022807B2 (en) Alarm system with two-way voice
US6868266B2 (en) Multi-purpose safety management system
US949704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emergency
CN105096522B (zh) 用于广播恐慌警报通知的方法和系统
KR20140130952A (ko)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KR20150006494A (ko)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KR20150003430A (ko) 보조단말기 통신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JP2008217438A (ja) 緊急地震速報対応型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20201877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遠隔地緊急速報提供システム
KR20150033227A (ko) 위급상황에서 외부 단말기 탈·부착 및 비상버튼에 의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20150041821A (ko) 위급상황에서 음성에 의한 스마트폰 제어 및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0987758B1 (ko) 티브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2010044661A (ja) 災害通報情報表示装置、緊急指令設備
KR101869891B1 (ko) 스마트폰 잠금 해제 정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시스템
JP635380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2400984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and displaying primary and supplemental emergency data
JP742741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599486B1 (ko)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3924B1 (ko) 건설현장에서 위험 경보를 신속히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132405A (ko) 실시간 미아발생방지 시스템
JP2023119324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200132408A (ko) 실시간 미아발생방지 시스템
CN103745594A (zh) 一种智能全方位专家管理系统中执行车辆派遣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