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11A -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11A
KR20090126411A KR1020080052474A KR20080052474A KR20090126411A KR 20090126411 A KR20090126411 A KR 20090126411A KR 1020080052474 A KR1020080052474 A KR 1020080052474A KR 20080052474 A KR20080052474 A KR 20080052474A KR 20090126411 A KR20090126411 A KR 2009012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ustomer
information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452B1 (ko
Inventor
김석일
김세준
구연일
Original Assignee
(주)제이슨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슨알앤디 filed Critical (주)제이슨알앤디
Priority to KR102008005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45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2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one or more record carrier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roga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편의를 고려한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시 또는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하는 경우 데이터 판독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를 고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객이 편리하게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판독 수단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RFID, 태그, 그래픽 객체, 회전, 데이터, 태그 상태정보

Description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Data read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customer convenien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시 또는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판독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고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IC 칩과 무선을 이용하여 식품, 동물, 상품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 기술로서, 소형 전자 칩(RFID 태그)을 관리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동물 등에 부착하고 RFID 리더로 이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사물 또는 동물을 인식할 수 있는 ADC(Automatic Data Collection) 기술의 하나이다.
RFID 기술은 종래 바코드와 달리 태그의 인식을 위해 태그를 직접 조준할 필 요가 없으며, 냉온, 습기, 먼지, 열 등의 열악한 판독 환경에서도 판독율이 높고,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져 있거나 이동 중이라도 통신이 가능한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현재 출입구 보안, 버스카드 등에 RFID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유통, 물류, 금융 분야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시스템은 인식대상인 RFID 태그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장치인 RFID 리더로 구성된다. 수동형 RFID 시스템의 경우 RFID 태그 자체에는 전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리더는 태그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태그는 태그에 내장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신호에 의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부하임피던스를 스위칭을 통하여 바꿈으로써 리더에 정보를 전송한다.
RFID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상기 RFID 리더 또한 단순히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서명, 결제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를 구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RFID 리더의 경우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RFID 리더의 조작자 및 결제를 수행하려는 고객이 RFID 리더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RFID 리더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RFID 리더를 조작하는 조작자만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대편에 위치한 고객은 거꾸로 된 화면을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시 또는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고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객이 편리하게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근접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수신하는 알에프 신호 수신부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입력한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로부터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태그 유효성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데 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RFID 리더를 사용하고, 데이터 저장 장치는 RFID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각 RFID 리더별로 그래픽 객체의 회전 각도가 지정되어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RFID 리더에 지정된 회전 각도만큼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 및 태그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와, 상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와 불일치하면, 상기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를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와 일치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상태정보 변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대기상태,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또는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고객 정보 변경상태인 경우, 고객으로부터 정보 입력을 받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고객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이 요구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되면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 회전시 상 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인식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객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화면 전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화면 전환 버튼이 눌려진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되어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 판독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a) 알에프신호 수신부가 근접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 (b) 중앙 처리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a) 단계의 수행 후 (b) 단계의 수행 전, 태그 유효성 확인부가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태그 유효성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그 유효성 확 인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 유효한 태그 장치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b) 단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 단계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가 태그 처리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태그 처리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 처리 목록에 상기 태그 아이디를 등록하는 단계; (b-2) 상태정보 수신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3)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가 상기 수신한 태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대기상태,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b-3) 단계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또는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고객 정보 변경상태인 경우, 고객으로부터 정보 입력을 받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d)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이 요구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d) 상기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객의 정보 입력은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 회전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인식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객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시 그래픽 객체가 고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됨으로써 고객이 편리하게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고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할 때, 그래픽 객체를 고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함으로써, 고객 편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란 데이터 판독 장치(예를 들어, RFID 리더)를 조작하는 조작자(예를 들어, 상점의 점원)이며, "고객"이란 상기 조작자가 조작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 자신이 소유한 데이터 저장 장치(예를 들어, RFID 태그)를 리딩(Reading)시켜 필요한 활동(결제 등)을 수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는 텍스트(문자), 윈도우, 그래픽, 동영상, 사진 등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모든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판독 장치로 RFID 리더를 사용하고, 데이터 저장 장치로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상기 사용자와 고객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판독 장치가 리딩(Reading)하는 방식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100)는, 알에프 신호 수신부(110), 태그 유효성 확인부(120), 중앙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에프 신호 수신부(110)는,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근접한 RFID 태그(10)를 감지하고, 상기 RFID 태그(10)로부터 태그 아이디(Tag ID)를 수신한다.
태그 유효성 확인부(120)는, 상기 알에프 신호 수신부(110)로 수신된 태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RFID 태그(10)가 유효한 태그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RFID 리더(100)는 상기 감지된 RFID 태그(10)가 해당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효한 태그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RFID 태그를 처리하게 된다. 이 때, 태그 유효성 확인은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부(130)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태그 상태정보에 의하여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 처리부(130)는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거나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가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중앙 처리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의 그래픽 객체의 회전은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상의 각 도트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재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180도 회전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상단부터 차례로 배열된 각 도트들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화면의 우하단 영역부터 차례로 인가되도록 재배치함으로써 화면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를 거꾸로 수행하면 화면이 본래 상태로 복귀된다.
입력부(150)는, 상기 중앙 처리부(130)와 연결되며, 사용자 또는 고객이 입력한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또는 고객은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의 일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글씨를 쓰는 등의 방법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한편, 터치스크린이 아닌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등을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입력부(15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 회전시 터치스크린의 인식 좌표 또한 이에 맞추어 회전되도록 상기 중앙 처리부(130)에서 상기 입력부(150)를 제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래 상태에서 RFID 리더(100)의 사용자가 보았을 때 터치스크린의 좌상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여 터치스크린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이 180도 회전되면 터치스크린의 우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입력이 감지되도록 터치스크린의 인식 좌표를 회전하고, 입력이 종료되면 다시 좌상단을 기준으로 입력이 감지되도록 터치스크린의 인식 좌표를 재회전한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인식 좌표를 같이 회전시키는 이유는, 고객의 입력이 반대편에서 이루어지므로 터치스크린의 인식 좌표가 회전되지 않으면 입력한 내용이 거꾸로 저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화면 전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전환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입력부(150)는 상기 중앙 처리부(130)에 화면 전환을 요청하게 되며, 중앙 처리부(130)는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되어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구비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RFID 리더별로 그래픽 객체의 회전 각도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의 RFID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RFID 리더에 지정된 회전 각도만큼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방형의 키오스크(Kiosk)에서 4방향(즉 동, 서, 남, 북)에 각각 RFID 리더를 설치하였다면, 고객이 RFID 태그를 인식시키는 곳의 RFID 리더에 지정된 회전 각도만큼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고객이 편리하게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RFID 리더에 지정된 회전 각도는 0도, 90도, 180도, 270도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중앙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처리부(130)는, 상태정보 수신부(131), 상태정보 변경부(132),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133), 디스플레이 제어부(134) 및 메모리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태정보 수신부(131)는 상기 알에프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태그 아이디(Tag ID)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수신된 태그 아이디가 어떤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대기상태, 결제상태, 정보변경 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대기상태는 현재 태그 아이디와 대응하여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음을, 결제상태는 현재 수신된 태그 아이디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 중임을, 정보변경 상태는 현재 태그 아이디에 대응한 고객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상태임,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는 현재 태그 아이디로부터 정보 요구 신호가 출력되어 소정의 컨텐츠를 해당 고객에게 표시해야할 상태임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100)와 연결된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RFID 리더(100)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접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와의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한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방식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상태정보 변경부(132)는,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가 메모리부(135)상에 기 저장된 해당 태그의 태그 상태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를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와 일치하도록 업 데이트한다. 또한, 상태정보 변경부(132)는 상기 메모리부(135)에 상기 해당 태그의 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35)에 저장한다.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133)는,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133)는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정보변경 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상태에 따라 결제를 위한 고객의 서명 또는 결제정보를 입력받거나, 새로운 정보변경을 위한 고객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으며, 또는 고객에게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34)는, 상기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133)에서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또는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한 경우,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35)는, 상기 태그 아이디 및 태그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RFID 리더(100)는 근접한 RFID 태그(10)를 감지한 후 이로부터 태그 아이디(Tag ID)를 수신하고(S401), 상기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S402, S403). 상기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태그 아이디 정보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며(S404),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태그로 판단하고 단계를 종료하게 된다(S404).
다음으로, 상기 유효함이 판단된 태그 아이디가 RFID 리더의 처리 목록(queue)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5). 이는 상기 태그 아이디가 RFID 리더의 처리 목록(queue)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처리 목록에 상기 태그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 아이디를 등록하여 태그 아이디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S406).
다음으로,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수신하고(S407),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로부터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며(S408),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변경(update)한다(S409).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는 상기 S407 단계에서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가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와 불일치하거나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가 없는 경우에 태그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고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35)의 태그 상태정보를 변경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로부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0).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대기상태,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이 중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고객정보 변경상태일 경우에 고객의 정보 입력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고, 태그 상태 정보가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에게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해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S410 단계에서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예를 들어, 180도)로 회전시켜 표시하여 반대편에 위치한 고객이 화면을 편리하게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411). 이후, 고객의 입력이 종료되면(S412),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회전하기 전의 상태로 복원한다(S413).
이와 같이, 상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의 정보 입력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객의 정보 입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지만, 고객의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중앙 처리부(130)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태그 상태정보에 의해 고객의 정보 입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고객에게 소정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40)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판독 장치로 RFID 리더, 데이터 저장 장치로 RFID 태그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RFID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판독 장치가 리딩하는 방식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다양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루비(Ru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그래픽 객체 회전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중앙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에서의 알에프아이디 태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FID 태그 100: RFID 리더
110: 알에프 신호 수신부 120: 태그 유효성 확인부
130: 중앙 처리부(130), 140: 디스플레이부
150: 입력부
131: 상태정보 수신부 132: 상태정보 변경부
133: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 134: 디스플레이 제어부
135: 메모리부

Claims (23)

  1. 근접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수신하는 알에프 신호 수신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중앙 처리부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입력한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로부터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태그 유효성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RFID 리더이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각 RFID 리더별로 그래픽 객체의 회전 각도가 지정되어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RFID 리더에 지정된 회전 각도만큼 그래픽 객체를 회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 및 태그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 및
    상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고객에게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와 불일치하면, 상기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를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와 일치시키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 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태그 상태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상태정보 변경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대기상태,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또는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고객 정보 변경상태인경우, 고객으로부터 정보 입력을 받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고객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이 요구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되면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 회전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인식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객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화면 전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화면 전환 버튼이 눌려진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되어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
  14.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 판독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a) 알에프신호 수신부가 근접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
    (b) 중앙 처리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 상태정보에 따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행 후 (b) 단계의 수행 전,
    태그 유효성 확인부가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태그 유효성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b) 단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판독 장치는 RFID 리더이고,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유효성 확인 단계는,
    상기 수신된 태그 아이디의 길이 및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유효한 태그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가 태그 처리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태그 처리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 그 처리 목록에 상기 태그 아이디를 등록하는 단계;
    (b-2) 상태정보 수신부가 상기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는 태그 상태정보를 태그 상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b-3) 화면 회전 여부 판단부가 상기 수신한 태그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는 대기상태,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고객정보 변경상태 또는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결제상태 또는 고객정보 변경상태인 경우, 고객으로부터 정보 입력을 받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d) 고객으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태그 상태정보가 고객 요구정보 출력상태인 경우, 고객이 요구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고객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하며,
    (d) 상기 고객의 정보 확인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소정 각도로 회전된 그래픽 객체를 본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정보 입력은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그래픽 객체 회전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인식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객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80052474A 2008-06-04 2008-06-04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5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74A KR100950452B1 (ko) 2008-06-04 2008-06-04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474A KR100950452B1 (ko) 2008-06-04 2008-06-04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11A true KR20090126411A (ko) 2009-12-09
KR100950452B1 KR100950452B1 (ko) 2010-04-02

Family

ID=4168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474A KR100950452B1 (ko) 2008-06-04 2008-06-04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9083A (zh) * 2012-09-25 2014-03-26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6016B1 (en) 1996-02-05 2001-05-01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otating an image by 180 degrees
KR20060070195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디스플레이 자동 전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9083A (zh) * 2012-09-25 2014-03-26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452B1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249B1 (ko) Rf id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US7734299B2 (en) Facilitating use of a devic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EP200087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CN101645129B (zh) 一种在近场通信中提供安全的方法和装置
KR20170126688A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EP2929488B1 (en) Touch sensor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783041A (zh) 通信装置以及通信方法
US7905402B2 (en) Goods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goods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goods at home
US201000528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 of rfid system
US9007183B2 (en) Terminal having radio frequency function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200902013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35648B2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US10254886B2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KR100950452B1 (ko) 고객 편의 입력 기능이 제공되는 데이터 판독 장치 및 이를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10024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ly coupling and connecting mobile terminals to a coordinate-measuring device
US201502127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permission and touch link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CN101320434B (zh) 用于识别位置的显示设备和方法
JP62256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61526A1 (en) Stylus
JP2012064124A (ja) 注文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た注文システム
US20140058864A1 (en) Commodity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9064260A (ja) 記憶媒体用リーダライタ
CN110766109A (zh) 射频识别终端及其使用方法
KR20070088953A (ko) Rfid/usn을 이용한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0067107A (ja) 情報記憶媒体用リーダライ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