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694A -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694A
KR20090125694A KR1020090040221A KR20090040221A KR20090125694A KR 20090125694 A KR20090125694 A KR 20090125694A KR 1020090040221 A KR1020090040221 A KR 1020090040221A KR 20090040221 A KR20090040221 A KR 20090040221A KR 20090125694 A KR20090125694 A KR 2009012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conditioning
heat medium
fcus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미즈타카
단 모리타
마사시 다케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09012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11/47Responding to energy c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이한 방법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컨트롤러(7)는, 대수(臺數) 연산부에 의해, FCU(2a∼2n)에 송출되는 모든 열 매체의 유량과 FCU(2a∼2n)의 능력에 기초하여 그 유량에 대응한 FCU(2a∼2n)의 운전 대수를 연산한다. 또한, 컨트롤러(7)는, 밸브 제어부에 의해, 그 연산된 운전 대수와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에 기초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열 매체의 유량에 대응한 수량의 FCU(2a∼2n)에 열 매체를 송출하여, 각 FCU(2a∼2n)에서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이 되는 유량의 열 매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FCU 등의 열 교환기를 복수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옥이나 빌딩 등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열 교환기로서 팬 코일 유닛(FCU)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 FCU는, 열원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 열 매체를 코일 내부에 흘려 코일 외부의 공기와 열 매체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게 하여, 이 열 교환을 행한 공기를 팬에 의해 외부에 송풍하는 것이다. 따라서, FCU는, 열 매체가 안정하게 공급됨으로써, 안정된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FCU에 열 매체를 공급하는 관로에는 정유량 밸브가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7685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8528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정유량 밸브를 완전 개방으로 하면 열 매체가 과대하게 흘러 버리기 때문에, FCU의 입구와 출구에서 온도차가 생기지 않아, 공기 조화 시스템의 운전 효율이 나빴다. 이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각 FCU에 정유량 밸브를 설치하거나, 환수 온도에 따른 밸브 제어를 행하거나 하면, FCU의 대수가 증가하고 정유량 밸브의 수량이나 환수 온도 제어의 루프수가 증대해 버리기 때문에, 고비용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간이한 방법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은 열 매체의 공급을 받아, 이 열 매체와 주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복수대의 열 교환기와, 열 교환기 각각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열 교환기에 대한 열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제어 장치로서,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열 매체의 모든 유량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열 교환기 각각의 용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유량과,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열 교환기의 각각의 용량에 기초하여, 열 매체를 공급해야 할 열 교환기의 대수를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이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와, 현재 열 매체가 공 급되어 있는 열 교환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조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보다도 현재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열 교환기의 대수쪽이 많은 경우, 개방되어 있었던 미리 결정된 밸브를 폐쇄하고,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보다도 현재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열 교환기의 대수쪽이 적은 경우, 폐쇄하고 있었던 미리 결정된 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제어 방법은,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은 열 매체의 공급을 받아, 이 열 매체와 주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복수대의 열 교환기와, 열 교환기 각각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열 교환기에 대한 열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제어 방법으로서,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열 매체의 모든 유량을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열 교환기 각각의 용량을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한 유량과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열 교환기의 각각의 용량에 기초하여, 열 매체를 공급해야 하는 열 교환기의 대수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이 연산 단계에 의해 연산된 대수와 현재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열 교환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열 매체를 공급하는 열 교환기에 대응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에 송출되는 모든 열 매체의 유량과 열 교환기의 용량에 기초하여 열 매체를 공급해야 하는 열 교환기의 대수를 연산하고, 이 연 산한 운전 대수와 현재 운전 중인 열 교환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열 매체의 유량에 대응한 수량의 열 교환기에 열 매체를 공급하여 각 열 교환기에 적정한 유량의 열 매체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은,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 매체를 따뜻하게 하거나 식히거나 함으로써 온도를 조정하는 열원(1)과, 이 열원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 열 매체와 열 교환하는 복수의 FCU(2a∼2n)와, 열원(1)으로부터 FCU(2a∼2n)에 열 매체를 공급하는 왕로(往路)(3)와, FCU(2a∼2n)에서 열 교환된 열 매체를 열원(1)으로 되돌리는 환로(還路)(4)와, 왕로(3)에 설치되어 왕로(3)를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을 계측하고 그 열 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조절 밸브(5)와, FCU(2a∼2n)마다 설치된 밸브(6a∼6n)와, 컨트롤러(7)를 구비한다.
여기서, 왕로(3)는, 왕로 주관(主管)(31)과 왕로 지관(支管)(32a∼32n)으로 구성된다. 왕로 주관(31)은, 일단이 열원(1)에, 타단이 왕로 지관(32a∼32n)에 접속되고, 왕로 지관(32a∼32n)은, 일단이 왕로 주관(31)에, 타단이 대응하는 FCU(2a∼2n)에 접속되어 있다. 조절 밸브(5)는, 왕로(3)의 왕로 주관(31)에 설치되어 있어, FCU(2a∼2n) 전체에 공급되는 열 매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환로(4)는, 환로 주관(41)과 환로 지관(42a∼42n)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로 주관(41)은, 일단이 열원(1)에, 타단이 환로 지관(42a∼42n)에 접속되고, 환로 지관(42a∼42n)은, 일단이 대응하는 FCU(2a∼2n)에, 타단이 환로 주관(41)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6a∼6n)는, 각 환로 지관(42a∼42n)에 설치되어 있어, 대응하는 FCU(2a∼2n)를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을 제어한다.
컨트롤러(7)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나 FCU(2a∼2n)가 배치된 영역의 설정 온도 등에 기초하여, 열원(1)의 구동, FCU(2a∼2n)의 구동, 조절 밸브(5)의 개방도 및 밸브(6a∼6n)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FCU(2a∼2n) 전체에 공급되는 열 매체의 유량에 기초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7)는, 입력부(71), 유량 측정부(72), 기억부(73), 주제어부(74) 및 지시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71)는,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설정 온도 등의 조작 입력을 검출한다. 이 검출한 조작 입력은 주제어부(74)에 송출된다.
유량 측정부(72)는, 조절 밸브(5)로부터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 즉 FCU(2a∼2n)에 흐르는 열 매체 모두의 유량의 측정 결과를 취득한다. 이 측정 결과는 주제어부(74)에 송출된다.
기억부(73)는, 생성 가능한 열량 등의 열원(1)의 용량에 관한 정보, 운전에 요하는 열 매체의 유량, 코일의 직경이나 길이, 발열량 등 FCU(2a∼2n)의 용량에 관한 정보, FCU(2a∼2n), 조절 밸브(5) 및 밸브(6a∼6n)의 운전 신호 등을 기억하고 있다.
주제어부(74)는, 입력부(71)로부터 수취한 조작 입력, 유량 측정부(72)로부터 수취한 측정 결과 및 기억부(73)에 기억된 열원(1) 및 FCU(2a∼2n)의 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열원(1), FCU(2a∼2n), 조절 밸브(5) 및 밸브(6a∼6n)에 대해 각각을 운전시키거나 개폐시키거나 하는 운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측정부(72)로부터 수취한 측정 결과 및 기억부(73)에 기억된 열원(1) 및 FCU(2a∼2n)의 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제어하는 운전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주제어부(74)는,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74a)와, 유량 측정부(72)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FCU(2a∼2n)의 적정한 운전 대수를 연산하는 대수 연산부(74b)와, 이 대수 연산부(74b)의 연산 결과와 현재의 FCU(2a∼2n)의 운전 대수를 비교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지시하는 밸브 제어부(74c)를 구비하고 있다.
지시부(75)는, 주제어부(74)에 의해 생성된 운전 신호를 열원(1), FCU(2a∼2n), 조절 밸브(5) 및 밸브(6a∼6n)에 송출한다.
이러한 컨트롤러(7)는, CPU 등의 연산 장치와, 메모리, HDD(Hard Disc Drive) 등의 기억 장치와, 키보드,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버튼, 터치 패널 등의 외부로부터 정보의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와,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I/F 장치와,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 컴퓨터에 인 스톨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즉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가 협동함으로써, 상기한 하드웨어 자원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고, 전술한 입력부(71), 유량 측정부(72), 기억부(73), 주제어부(74) 및 지시부(75)가 실현된다. 또, 상기 프로그램은, 플렉서블 디스크, CD-ROM, DVD-ROM,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다.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전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부(71)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FCU(2a∼2n)가 배치된 영역에 대한 새로운 온도 설정, 그 영역에 대한 FCU(2a∼2n)에 의한 난방 또는 냉방 운전의 요구, 또는, 그 영역의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 간의 차의 검출 등의 조작 입력을 검출한다. 이러한 조작 입력이 검출되면, 주제어부(74)는, 동작 제어부(74a)에 의해, 그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열원(1)에 대해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하게 하는 취지의 운전 신호 및 조절 밸브(5) 및 밸브(6a∼6n)를 개방하는 취지의 운전 신호를 생성한다. 이들 운전 신호는, 지시부(75)에 의해, 열원(1), 조절 밸브(5) 및 밸브(6a∼6n)에 대해 송출된다.
운전 신호를 수취하면, 열원(1)은, 그 운전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온도의 열 매체를 생성하여, 왕로(3)에 송출한다. 생성하는 열 매체의 온도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온도 설정치, FCU(2a∼2n)가 설치된 영역의 온도, FCU(2a∼2n)의 용량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열원(1)에 의해 열을 받은 열 매체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열원(1)으로부터 송출되어, 왕로 주관(31) 및 왕로 지관(32a∼32n)을 통해 FCU(2a∼2n)에 입력된다. 이 FCU(2a∼2n)에서는, FCU(2a∼2n)의 코일 내부를 통과하는 열 매체와 코일 외부의 주변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져, 팬에 의해 그 공기를 송출함으로써, FCU(2a∼2n)를 배치한 영역에 난기 또는 냉기가 공급된다.
FCU(2a∼2n)에 의해 열 교환이 행해진 열 매체는, 환로 지관(42a∼42n) 및 환로 주관(41)을 통해, 다시 열원(1)에 도달한다. 이러한 열 매체의 순환을 반복함으로써, FCU(2a∼2n)가 배치된 영역의 공기 조화가 제어된다.
<대수 제어 동작>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FCU(2a∼2n)의 운전 대수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열원(1)이 운전하고 있고, 미리 결정된 온도 및 유량의 열 매체가 FCU(2a∼2n)에 대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컨트롤러(7)는, 유량 측정부(72)에 의해 왕로(3)의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을 취득한다(단계 S1).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밸브(5)에는, 유량의 측정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 조절 밸브(5)가 설치된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는 왕로 지관(32a∼32n)에 송출된다. 따라서, 왕로 주관(31)을 통과하는 열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FCU(2a∼2n) 전체에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량 측정부(72)는, 조절 밸브(5)의 측정 결과를 취득함으로써, 왕로(3)의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을 취득한다.
또, 왕로(3)의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은, FCU(2a∼2n)가 요구하는 열량에 따라 설정된다. 즉, FCU(2a∼2n)가 설치된 영역을 설정 온도로 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유량으로 환산함으로써, 왕로(3)의 왕로 주관(31)을 흐르는 열 매체의 유량이 설정된다.
왕로 주관(31)을 통과하는 열 매체의 유량을 취득하면, 주제어부(74)는, 대수 연산부(74b)에 의해, 그 유량에 대한 FCU(2a∼2n)의 최적의 운전 대수를 연산한다(단계 S2). 이 연산은, 왕로 주관(31)을 통과하는 열 매체의 유량과, 기억부(73)에 기억된 FCU(2a∼2n)의 용량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FCU(2a∼2n)의 최적의 운전 대수란, 열 매체가 공급되는 FCU(2a∼2n)에서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으로 될 때의 FCU(2a∼2n)의 대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최적의 운전 대수의 연산은, 예컨대, 왕로 주관(31)을 통과하는 열 매체의 유량과 FCU(2a∼2n)의 운전 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미리 설치해 두고, 이 테이블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FCU(2a∼2n)의 용량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 FCU(2a∼2n)의 용량에 따라 계측한 유량을, 각 FCU(2a∼2n)에 과유량이 되지 않도록 분류한다.
FCU(2a∼2n)의 운전 대수를 연산하면, 주제어부(74)는, 밸브 제어부(74c)에 의해, 연산한 FCU(2a∼2n)의 운전 대수와 현재의 FCU(2a∼2n)의 운전 대수를 비교하고, 이 결과에 기초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제어한다(단계 S3). 여기서, 밸브 제어부(74c)는, 현재 운전 중인 FCU(2a∼2n)를 밸브(6a∼6n)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연산 결과보다도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쪽이 많은 경우(단계 S3: 현재의 대수 많음), 밸브 제어부(74c)는, 밸브(6a∼6n)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취지의 운전 신호를 생성하여, 지시부(75)에 의해 그 운전 신호를 대응하는 밸브(6a∼6n)에 송출한다(단계 S4). 이에 따라, 운전 신호를 수신한 밸브(6a∼6n)는 폐쇄되고, 이 폐쇄한 밸브(6a∼6n)에 대응하는 FCU(2a∼2n)는 운전을 정지한다.
FCU(2a∼2n)의 운전 대수에 대해 열 매체의 유량이 적으면, 운전 대수가 과다하게 되어, 열 매체가 필요량 공급되지 않는 FCU(2a∼2n)가 나타나고, 이 FCU(2a∼2n)에서는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의 운전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산 결과보다도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가 많으면, 여분의 밸브(6a∼6n)를 폐쇄하여, FCU(2a∼2n)의 운전 대수를 적게 한다. 이에 따라, 운전 중인 각 FCU(2a∼2n)에는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으로 되는 유량의 열 매체가 송출되기 때문에, 열 매체의 유량에 따른 적정한 FCU(2a∼2n)의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폐쇄하는 밸브(6a∼6n)는, 연산 결과와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와의 차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연산 결과보다도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쪽이 적은 경우(단계 S3: 현재의 대수 적음), 밸브 제어부(74c)는, 폐쇄되어 있는 밸브(6a∼6n)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취지의 운전 신호를 생성하여, 지시부(75)에 의해 그 운전 신호를 대응하는 밸브(6a∼6n)에 송출한다(단계 S5). 이에 따라, 운전 신호를 수신한 밸브(6a∼6n)는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밸브(6a∼6n)에 대응하는 FCU(2a∼2n)는 운전을 개시한다.
FCU(2a∼2n)의 운전 대수에 대해 열 매체의 유량이 많으면, 유량 과다가 되어 열 매체의 온도차가 생기지 않게 되어, 그 FCU(2a∼2n)에 있어서 열 교환의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공기 조화 시스템의 운전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산 결과보다도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가 적으면, 폐쇄하고 있는 밸브(6a∼6n)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FCU(2a∼2n)의 운전 대수를 많게 한다. 이에 따라, 운전 중인 각 FCU(2a∼2n)에는,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으로 되는 유량의 열 매체가 공급되기 때문에, 적정한 운전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개방하는 밸브(6a∼6n)는, 연산 결과와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와의 차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연산 결과와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운전 대수가 동일한 경우(단계 S3: 동일함), 밸브 제어부(74c)는, 현재의 FCU(2a∼2n)의 운전 상황을 유지하는, 즉 어떠한 밸브(6a∼6n)도 조작하지 않는다(단계 S6). 연산 결과와 FCU(2a∼2n)의 운전 대수가 동등한 경우, 운전 중인 각 FCU(2a∼2n)에 대해 적정한 양의 열 매체가 송출되어 있다고 하여, 밸브 제어부(74c)는, 밸브(6a∼6n)의 개폐에 관한 운전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현재의 운전 상황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적정한 운전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수 연산부(74b)에 의해, FCU(2a∼2n)에 송출되는 모든 열 매체의 유량과 FCU(2a∼2n)의 능력에 기초하여 그 유량에 대응한 FCU(2a∼2n)의 운전 대수를 연산하고, 밸브 제어부(74c)로부터, 그 연산한 운전 대수와 현재 운전 중인 FCU(2a∼2n)의 대수에 기초하여 밸브(6a∼6n)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열 매체의 유량에 대응한 수량의 FCU(2a∼2n)에 열 매체를 송출하여 각 FCU(2a∼2n)에 있어서 열 교환의 효율이 최적으로 되는 유량의 열 매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결과적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열 교환기를 갖는 각종 공기 조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유량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원 2a∼2n: FCU
3: 왕로 4: 환로
5: 조절 밸브 6a∼6n: 밸브
7: 컨트롤러 31: 왕로 주관
32a∼32n: 왕로 지관 41: 환로 주관
42a∼42n: 환로 지관 71: 입력부
72: 유량 측정부 73: 기억부
74: 주제어부 74a: 동작 제어부
74b: 대수 연산부 74c: 밸브 제어부
75: 지시부

Claims (3)

  1.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은 열 매체의 공급을 받아, 이 열 매체와 주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복수대의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 각각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열 교환기에 대한 상기 열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상기 열 매체의 모든 유량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열 교환기 각각의 용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유량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열 교환기의 각각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열 매체를 공급해야 하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를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이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와, 현재 상기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보다도 현재 상기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쪽이 많은 경우, 개방되어 있었던 미리 결정된 상기 밸브 를 폐쇄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대수보다도 현재 상기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쪽이 적은 경우, 폐쇄되어 있었던 미리 결정된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
  3. 열원으로부터 열을 받은 열 매체의 공급을 받아, 이 열 매체와 주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복수대의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 각각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열 교환기에 대한 상기 열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를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상기 열 매체의 모든 유량을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열 교환기 각각의 용량을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한 상기 유량과,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열 교환기의 각각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열 매체를 공급해야 하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이 연산 단계에 의해 연산된 대수와, 현재 상기 열 매체가 공급되어 있는 상기 열 교환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1020090040221A 2008-06-02 2009-05-08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20090125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4203 2008-06-02
JP2008144203A JP5054615B2 (ja) 2008-06-02 2008-06-02 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94A true KR20090125694A (ko) 2009-12-07

Family

ID=4141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221A KR20090125694A (ko) 2008-06-02 2009-05-08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4615B2 (ko)
KR (1) KR20090125694A (ko)
CN (1) CN101598378B (ko)
TW (1) TWI384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6813B (zh) * 2019-02-11 2021-01-21 勝新冷凍空調工程股份有限公司 冷暖空調系統、流量閥及控制流量閥之方法
CN111795485A (zh) 2019-04-03 2020-10-20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箱控制系统
CN111795486B (zh) 2019-04-03 2022-03-11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7944A (ja) * 1987-02-23 1988-08-29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3127433B2 (ja) * 1996-12-18 2001-01-22 株式会社山武 空調制御システム
CN1184440C (zh) * 2001-02-16 2005-01-12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设备及其控制方法
TW523577B (en) * 2002-04-12 2003-03-11 Cohand Technology Co Ltd Variable refrigerant flow rate heat exchanging venti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214281A (ja) * 2004-01-29 2005-08-11 Yamatake Corp 空調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54615B2 (ja) 2012-10-24
CN101598378A (zh) 2009-12-09
JP2009287905A (ja) 2009-12-10
TW200951380A (en) 2009-12-16
TWI384189B (zh) 2013-02-01
CN101598378B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33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клапана в системе hvac
RU26607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клапана в системе hvac
DK2726792T3 (en) Method and device for balancing a group of consumers in a fluidtransportsystem
TWI407060B (zh) 空調控制裝置以及空調控制方法
CN103185420B (zh) 热泵系统及热泵装置的控制方法
EP2837898B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2009031866A (ja) 流量制御バルブおよび流量制御方法
JP5433212B2 (ja) 給湯システム
DK2354682T3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EP3537064A1 (en) Indoor appartus of air-conditioning system with reduced refrigerant noi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JP2013170753A (ja) 冷凍機システム
RU2014126365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помещения в одном или группе из нескольких помещений,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способа
JP6681896B2 (ja) 冷凍システム
KR20190115209A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EP3073205B1 (en) Method for operating a hydronic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control valve and hydronic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KR20090125694A (ko)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JP2014035090A (ja) 空調システム
JP5558202B2 (ja) 送水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19842A (ja) 送水制御システム及び送水制御方法
KR20170039114A (ko) 냉·난방 공조설비에서 반송동력 절감 제어장치
JP2003262384A (ja) 空調熱源システムおよび空調熱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854127B1 (ko) 냉난방기의 열부하 실험장치
JP2010270967A (ja) 空調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3839915B2 (ja) 冷媒冷却装置
JP2020525746A (ja) 液体温度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2

Effective date: 201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