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220A -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220A
KR20090124220A KR1020080050296A KR20080050296A KR20090124220A KR 20090124220 A KR20090124220 A KR 20090124220A KR 1020080050296 A KR1020080050296 A KR 1020080050296A KR 20080050296 A KR20080050296 A KR 20080050296A KR 20090124220 A KR20090124220 A KR 2009012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rocker arm
link
valv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381B1 (ko
Inventor
이은호
곽영홍
권기영
공진국
우수형
장경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381B1/ko
Priority to US12/274,886 priority patent/US7905207B2/en
Priority to CN2008101807440A priority patent/CN101592047B/zh
Priority to DE102008059986A priority patent/DE102008059986A1/de
Priority to JP2008309481A priority patent/JP5215147B2/ja
Publication of KR2009012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8Shape of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01L2013/007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with an oscillating cam acting on the valve of the "Delphi"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인풋캠이 형성된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커암샤프트, 한쪽으로 상기 캠샤프트가 장착되고, 다른쪽으로 상기 로커암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캐리어,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는 상기 인풋캠에 밀착되는 제1롤러가 배치되는 로커암, 상기 로커암의 다른 쪽 단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링크와 힌지로 연결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샤프트캐리어에 힌지 결합되는 증폭레버, 상기 증폭레버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캠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와 한쪽이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 프로파일부가 형성된 아우풋캠, 상기 샤프트캐리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변구동축 및 상기 아우풋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부에 의해서 움직이는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찰과 동력손실이 최소화되고 제어성과 조립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밸브의 리프트 양이 작아지면 밸브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빨라짐으로써 연료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가변, 밸브, 리프트, 캠축, 캐리어, 로커암, 스윙암, 증폭, 레버

Description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리프트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캠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이밍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를 구동시키는 캠의 형상을 복수 개로 설계하거나, 밸브가 엔진회전 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서 로커암과 증폭레버의 회전방향이 달라서 밸브를 구동하는 아우풋캠의 프로파일 특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마찰과 동력손실이 최소화되고 제어성과 조립성이 뛰어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밸브의 리프트 양이 작아지면 밸브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빨라지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인풋캠이 형성된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커암샤프트, 한쪽으로 상기 캠샤프트가 장착되고, 다른쪽으로 상기 로커암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캐리어,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는 상기 인풋캠에 밀착되는 제1롤러가 배치되는 로커암, 상기 로커암의 다른 쪽 단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링크와 힌지로 연결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샤프트캐리어에 힌지 결합되는 증폭레버, 상기 증폭레버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캠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와 한쪽이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 프로파일부가 형성된 아우풋캠, 상기 샤프트캐리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변구동축 및 상기 아우풋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부에 의해서 움직이는 밸브를 포함한 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는 상기 아우풋캠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아우풋캠의 프로파일부 외측면과 밀착되는 제2롤러가 가운데 구비된 스윙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암의 한쪽은 유압밸브간극조정장치에 의해서 지지되고, 다른 쪽은 밸브를 움직인다.
또한, 상기 아우풋캠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로파일부를 제외한 원형의 외주면 제1부분은 상기 캠의 베이스써클과 동일한 중심을 갖고, 상기 아우풋캠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로파일부를 제외한 원형의 외주면 제1부분은 상기 인풋캠의 베이스써클과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로커암의 상기 제1롤러를 상기 캠에 밀착시키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커암, 상기 제1링크, 상기 증폭레버,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프로파일부가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구동축은 상기 캠샤프트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측은 상기 가변구동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가변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로커암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캐리어가 상기 캠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아우풋캠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상기 프로파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샤프트와 상기 로커암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캐리어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마찰과 동력손실이 최소화되고 제어성과 조립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밸브의 리프트 양이 작아지면 밸브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빨라짐으로써 연료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인풋캠(100), 샤프트캐리어(102), 캠샤프트(104), 제1롤러(105), 로커암(110), 로커암샤프트(115), 리턴스프링(120), 제1링크(125), 증폭레버(130), 제2링크(135), 아우풋캠(140), 스윙암(145), 제2롤러(150), 밸브간극조정부(155), 밸브(160) 및 밸브스프링(165)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캠샤프트(104)의 회전력은 상기 캠, 상기 제1롤러(105), 상기 로커암(110), 상기 제1링크(125), 상기 증폭레버(130), 상기 제2링크(135), 상기 아우풋캠(140), 상기 제2롤러(150) 및 상기 스윙암(145)을 통하여 상기 밸브(160)로 전달되고, 상기 밸브(160)는 길이 방향으로 설정된 리프트를 움직인다.
상기 샤프트캐리어(102)는 상기 캠샤프트(104)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캐리어(102)에는 상기 로커암샤프트(115)가 장착된다. 상기 캠샤프트(104)와 상기 로커암샤프트(115)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에 상기 로커암(110)이 장착된다.
상기 로커암(1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롤러(105)가 배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135)가 연결된다.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에 장착된 상기 리턴스프링(120)에 의해서 상기 로커암(1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105)는 상기 리턴스프링(1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캠샤프트(104)에 형성된 상기 캠에 밀착된다.
상기 증폭레버(130)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캐리어(102)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135)에 연결된다. 상기 증폭레버(130)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링크(125)의 단부와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135)의 일단부는 상기 증폭레버(1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아우풋캠(140)에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아우풋캠(140)은 상기 캠샤프트(104)에 장착되는데, 상기 아우풋캠(140)의 가운데 부분을 상기 캠샤프트(104)가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해서 상기 밸브(160)의 리프트가 조절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캠샤프트(104)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인풋캠(100)이 형성되고, 상기 인풋캠(100)에 대응하여 상기 로커암(110)이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에 배치된다.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의 양측으로 상기 제1링크(125), 상기 증폭레버(130), 상기 제2링크(135), 상기 아우풋캠(140), 상기 제2롤러(150), 상기 스윙암(145) 및 상기 밸브(16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로커암(11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샤프트(104)와 상기 로커암샤프트(115)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샤프트(104)와 상기 로커암샤프트(115)는 상기 샤프트캐리어(102)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104)는 상기 샤프트캐리어(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샤프트(104)와 동일한 축 선상에 가변구동축(200)이 배치된다. 상기 가변구동축(200)은 상기 캠샤프트(104)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변구동축(200)의 단부에는 암(205)이 형성된다. 상기 암(205)은 상기 가변구동축(20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와 연결된다.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의 일단부가 상기 암(205)에 삽입되고, 상기 로커암샤프트(115)는 상기 암(205)과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구동축(200)이 제어부(미도시) 및 구동부(미도시)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와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상기 캠샤프트(10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상기 가변구동축(200)에 의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110) 및 상기 제1롤러(105)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우풋캠(140)도 상기 캠샤프트(104) 상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샤프트(104)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110)이 움직이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10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110)이 움직이는 타이밍이 빨라진다.
상기 캠샤프트(10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110)이 움직이는 타이밍이 빨라진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10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캐리어(10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커암(110)이 움직이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샤프트(104)는 설계사양에 따라서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밸브간극조정부(155)는 유압에 의해서 상기 스윙암(145)의 일단을 능동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밸브(160)의 움직임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롤러(105), 상기 로커암(110), 상기 제1링크(125), 상기 증폭레버(130), 상기 제2링크(135) 및 상기 아우풋캠(14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링크(135), 상기 아우풋캠(140) 및 상기 제2롤러(150)의 배치관계가 설명된다.
상기 아우풋캠(140)의 일측은 상기 제2링크(135)와 연결되는데, 상기 아우풋캠(140)은 링 형태로서, 상기 캠샤프트(104)가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아우풋캠(140)의 내주면은 상기 캠샤프트(104)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아우풋캠(1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2링크(135)와 연결되는 연결부(좌측)가 형성되고, 외주면 타측(아래)은 상기 제2롤러(150)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롤러(150)사이에서 상기 프로파일부(400)가 상기 아우풋캠(14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로파일부(4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롤러(150)와 접촉하면서 상기 스윙암(145) 및 상기 밸브(160)를 움직이며, 상기 제2롤러(150)에서 상기 연결부로 갈수록 두께가 더 커진다.
상기 아우풋캠(140)의 외주면은 상기 프로파일부(400)와 상기 연결부를 제 외하고 전체적으로 상기 인풋캠(100)의 베이스써클(405)과 대응하는 원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아우풋캠(140)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캠의 베이스써클(405)과 동일한 괘적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캠에 의해서 상기 제2롤러(150)가 직접적으로 구동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즉, 도 2에서 상기 캠샤프트(104)의 위치를 수정하지 않고, 상기 스윙암(145)과 상기 밸브(160)를 상기 캠과 대응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캠에 의해서 상기 제2롤러(150) 및 상기 스윙암(145)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하이리프트(high lift)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상기 아우풋캠(140)에 의해서 상기 밸브(160)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상기 아우풋캠(140)에 의해서 상기 밸브(160)가 움직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샤프트(104)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500)과 상기 캠샤프트(104)의 중심에서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의 중심을 지나는 기운선(505)이 이루는 각은 θ이다(0<θ<90 도).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선(500)과 상기 기운선(505)이 이루는 각이 θ일 때, 상기 밸브(160)는 하이리프트(high lift)를 움직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로우리프트(low lift)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기 아우풋캠(140)에 의해서 상기 밸브(160)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상기 아우풋캠(140)에 의해서 상기 밸브(160)가 움직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샤프트(104)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500)과 상기 캠샤프트(104)의 중심에서 상기 로커암샤프트(115)의 중심을 지나는 기운선(505)이 이루는 각은 θ’이다(0<θ’< θ <90 도).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선(500)과 상기 기운선(505)이 이루는 각이 θ’일 때, 상기 밸브(160)는 로우리프트(low lift)를 움직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한 밸브(160)의 리프트를 나타낸 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각(캠의 회전위치)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밸브리프트 양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밸브 리프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밸브 리프트의 변화와 함께 밸브 타이밍도 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밸브리프트의 양이 적어질수록 상기 밸브(160)가 빨리 열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밸브리프트의 양이 커질수록 상기 밸브(160)가 천천히 열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물론, 전술한 상기 구성요소의 설계 사양에 따라서 밸브리프트의 양이 적어질수록 상기 밸브(160)가 천천히 열리고, 밸브리프트의 양이 커질수록 상기 밸브(160)가 빨리 열리도록 만들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장착 높이가 캠샤프트의 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어 조립성과 호환성이 뛰어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하이리프트(high lift)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로우리프트(low lift)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한 밸브(160)의 리프트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풋캠
102: 샤프트캐리어
104: 캠샤프트
105: 제1롤러
110: 로커암
115: 로커암샤프트
120: 리턴스프링
125: 제1링크
130: 증폭레버
135: 제2링크
140: 아우풋캠
145: 스윙암
150: 제2롤러
155: 밸브간극조정부
160: 밸브
165: 밸브스프링

Claims (11)

  1. 인풋캠이 형성된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커암샤프트;
    한쪽으로 상기 캠샤프트가 장착되고, 다른쪽으로 상기 로커암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캐리어;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는 상기 인풋캠에 밀착되는 제1롤러가 배치되는 로커암;
    상기 로커암의 다른 쪽 단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링크와 힌지로 연결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샤프트캐리어에 힌지 결합되는 증폭레버;
    상기 증폭레버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캠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와 한쪽이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 프로파일부가 형성된 아우풋캠;
    상기 샤프트캐리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가변구동축; 및
    상기 아우풋캠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부에 의해서 움직이는 밸브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는 상기 아우풋캠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는 가변 밸브 리프 트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풋캠의 프로파일부 외측면과 밀착되는 제2롤러가 가운데 구비된 스윙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암의 한쪽은 유압밸브간극조정장치에 의해서 지지되고, 다른 쪽은 밸브를 움직이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풋캠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로파일부를 제외한 원형의 외주면 제1부분은 상기 캠의 베이스써클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풋캠의 외주면에서 상기 프로파일부를 제외한 원형의 외주면 제1부분은 상기 인풋캠의 베이스써클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로커암의 상기 제1롤러를 상기 캠에 밀착시키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 상기 제1링크, 상기 증폭레버,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프로파일부가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동축은 상기 캠샤프트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있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가변구동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로커암샤프트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가변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로커암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캐리어가 상기 캠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아우풋캠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상기 프로파일부가 형성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와 상기 로커암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캐리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20080050296A 2008-05-29 2008-05-29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096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96A KR100969381B1 (ko) 2008-05-29 2008-05-29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12/274,886 US7905207B2 (en) 2008-05-29 2008-11-20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CN2008101807440A CN101592047B (zh) 2008-05-29 2008-11-28 可变气门升程装置
DE102008059986A DE102008059986A1 (de) 2008-05-29 2008-12-02 Variabel-Ventilhub-Vorrichtung
JP2008309481A JP5215147B2 (ja) 2008-05-29 2008-12-04 可変バルブリフ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96A KR100969381B1 (ko) 2008-05-29 2008-05-29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20A true KR20090124220A (ko) 2009-12-03
KR100969381B1 KR100969381B1 (ko) 2010-07-09

Family

ID=4125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96A KR100969381B1 (ko) 2008-05-29 2008-05-29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5207B2 (ko)
JP (1) JP5215147B2 (ko)
KR (1) KR100969381B1 (ko)
CN (1) CN101592047B (ko)
DE (1) DE102008059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5296B (zh) * 2010-06-02 2014-02-05 靳北彪 直动阀发动机
CN113006896B (zh) * 2019-12-21 2022-10-18 浙江知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叉车气门凸轮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8295B2 (ja) * 2001-06-14 2008-06-25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可変動弁機構
JP2005105953A (ja) * 2003-09-30 2005-04-21 Fuso Engineering Corp エンジンの可変バルブ装置
JP4257227B2 (ja) * 2004-02-17 2009-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6070735A (ja) * 2004-08-31 2006-03-16 Toyota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
JP4278590B2 (ja) 2004-08-31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6152926A (ja) 2004-11-30 2006-06-15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040291A (ja) * 2005-06-28 2007-02-15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409519B2 (ja) * 2006-02-02 2010-02-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動弁装置
KR100907827B1 (ko) 2006-12-01 2009-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워딩 테이블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3825A1 (en) 2009-12-03
KR100969381B1 (ko) 2010-07-09
DE102008059986A1 (de) 2009-12-03
JP5215147B2 (ja) 2013-06-19
CN101592047B (zh) 2013-03-27
US7905207B2 (en) 2011-03-15
CN101592047A (zh) 2009-12-02
JP2009287551A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1846B2 (ja) 可変動弁装置
US7621242B2 (en) Variable valve operating mechanism
KR101234651B1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2007040291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664075B1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US7823552B2 (en) 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KR101209723B1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4697011B2 (ja) 可変動弁機構
US8061312B2 (en) 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KR100969381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4469341B2 (ja) 可変動弁機構
KR101317140B1 (ko) 무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30063346A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0897263B1 (ko) 무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200723947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448737B1 (ko) 밸브 리프트 장치
US7966981B2 (en)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KR101034023B1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3923314B2 (ja) 内燃機関のsohc型動弁装置
KR100969386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090065296A (ko) 자동차의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5447211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20070119400A1 (en) Variable valve timing device adapte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54934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4381965B2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