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079A -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079A
KR20090123079A KR1020080048973A KR20080048973A KR20090123079A KR 20090123079 A KR20090123079 A KR 20090123079A KR 1020080048973 A KR1020080048973 A KR 1020080048973A KR 20080048973 A KR20080048973 A KR 20080048973A KR 20090123079 A KR20090123079 A KR 20090123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xed
rope
ca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규
Original Assignee
김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규 filed Critical 김광규
Priority to KR102008004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3079A/ko
Publication of KR2009012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이나 대단위 주거용 아파트에 사용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균형추(Counter Weight)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가 구성된 승강장치에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승강카측 또는 균형추측의 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Over-Balance)율을 가변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견인비를 향상시켜 로프의 마모 및 승강카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균형추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로 구성되어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며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가 구성된 승강장치에 가변부재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운행특성에 맞춰 승강카의 위치에 따른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승강장치의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승강장치, 가변부재, 승강카, 균형추, 오버밸런스율

Description

승강장치{eleva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이나 대단위 주거용 아파트에 사용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균형추(Counter Weight)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가 구성된 승강장치에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승강카측 또는 균형추측의 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Over-Balance)율을 가변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견인비를 향상시켜 로프의 마모 및 승강카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장치는 주로 건축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운송설비로서, 그 종류가 다양하나 건축물에서는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로프식 승강장치가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 설치대수의 기준은 복도형 아파트인 경우 100세대당 1대이상, 계단형 아파트인 경우는 계단실마다 1대이상 설치하도록 주택건설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로프식 승강장치를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 승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아파트 등에 시설되는 로프식 승강장치(10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와,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130)와, 상기 로프(130)를 감아 승강카(110)를 승,하강시키는 권상기(141)와 전동기(142)로 구비되는 승,하강수단(140)과, 제어용 케이블(170)이 승강카(110)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와 함께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로프식 승강장치(100)는 기계실(150)에 구비되는 승,하강수단(14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강카(110)가 승,하강을 이루고,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시 승강카(110)의 무게와 상호 균형을 이루며 균형추(120)가 하강,승강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 로프식 승강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승강로(160)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로프(130)가 승강카(110)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로프(130)의 무게를 더한 하중이 승강카(110)측으로 편중되고, 승강카(110)의 승강운전으로 균형추(120)가 하강하여 승강로(160) 하부에 위치되게 되면, 균형추(120)측으로 로프(130) 무게를 더한 하중이 편중되므로 승강카(110)의 승,하강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견인비가 저하되어 로프(130)가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상기 균형추(120)의 무게는 승강장치(100)의 전류소비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일반적으로 (균형추중량=승강카중량+정격적재중량×0.5) 식을 인 용하여 균형추(120)의 무게를 산정한다.
아울러, 승강장치에 적용된 오버밸런스(Over-Balance)율의 고정으로 인하여 빈번히 발생하는 승강카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시 많은 에너지의 소비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오버밸런스(Over-Balance)율이라 함은 보편적으로 균형추의 무게를 빈 승강카의 자중에 적재하중의 몇 %를 더할 것인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승강카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재하중의 45~55%의 무게를 더한 값을 적용하고 있으며, 견인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견인비(Traction Ratio)라 함은 권상기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카측의 하중과 균형추측 하중의 비를 견인비라 하며, 승강카가 최상층에서 하강 운전할 경우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의 무부하와 승강카가 최하층에서 승강 운전할 경우 사람이나 화물이 정격하중(적재하중)으로 탑재한 상태의 전부하를 비교한 값을 말한다.
상기 승강카측과 균형추측의 무게차가 적을수록, 다시 말하면 견인비가 “1”에 가까울수록 견인능력이 좋아진다.
그리고, 승강장치의 오버밸런스율 적용은 전부하 승강 운전시에는 승,하강수단의 견인능력이 보장되어야 하고, 무부하 하강 운전시에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의 조건을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에 적용 조건을 다음과 같이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승강카(110)의 적재하중:1,000kg, 승강카(110)의 자체무게:1,260kg, 승강카(110)가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길이:50m, 로프(130)의 무게:0.494kg×5본,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0.785kg×2본으로 설정하면 오버밸런스율이 42%일 때 균형추(120)의 무게가 1,700kg이고, 견인비는 1.40으로 가장 좋은 상태이나, 승강카(110)의 무부하 및 전부하 운영을 모두 고려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적용된다.
보통의 경우에는 전부하 견인능력을 고려하여 오버밸런스율을 약 45%로 적용하여 승강장치를 제작하고 있으며, 이때 균형추의 무게는 1,730kg이다. 그리고, 전부하 상태에서 승강카가 최하층에서 승강 운전할 때 견인비는 1.38이며, 무부하 상태에서 승강카가 최상층에서 하강 운전할 때 견인비는 1.43이고, 상기와 같은 경우는 주로 아파트 등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빈번히 발생하는 승강카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시에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에서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로 인한 편하중을 보완한 승강장치(100)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는 종래 승강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로프식 승강장치(100)는 상기 도1a에 설명된 구성에 더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에 일 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승강카(110)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에 상호 연결된 로프(130) 무게를 보상하기 위하여,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갖는 균형체인(200) 또는 균형로프 등이 사용되며, 도 1b는 상기 균형체인(200)이 사용된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1b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0)는 도 1a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이루나, 균형체인(200)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를 상호 보완하면서 승강카(110)의 승,하강을 이루는 것으로,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로 인해 발생되는 편하중의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소하였으나, 승강카(110) 구동시 균형체인(200)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승강카(11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므로, 통상적인 설계에서는 균형체인(200)이 있으나 사용시 이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여전히 오버밸런스율의 고정에 따른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며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가 구비된 승강장치에 상기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승강카측 또는 균형추측의 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카가 하층부에 위치할 때는 전부하 승강 운전시 견인능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정 오버밸런스율을 적용하고, 승강카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을 승강카가 하층부에 위치할 때보다 낮게 적용하여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 운전시 승강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견인능력을 향상시켜 로프의 마모 및 승강카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에 구비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로 구성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균형추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로 구성되어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균형추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가 승강로 상부에 고정되며, 상 기 인장로프의 타측과 가변부재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로울러가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되어 균형추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에 고정된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로울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승강로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균형추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에 고정된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서,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에 구비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로 구성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 하부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로 구성되어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카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가 승강로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의 타측과 가변부재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로울러가 기계실 바닥면에 고정되어 승강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에 고정된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로울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승강로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승강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에 고정된 인장로프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서,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에 구비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로 구성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작고, 균형추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커지는 가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부재 전체 무게를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서,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에 구비된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로 구성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과 균형추에 고정되는 타측의 하중이 서로 동일한 가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부재 전체 무게를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 카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 및 제어용 케이블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균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며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가 구성된 승강장치에 가변부재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운행특성에 맞춰 승강카의 위치에 따른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승강장치의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부재에 인장로프 및 로울러가 구성되어 균형추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로울러가 승강로의 중간부분에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부재에 인장로프 및 로울러가 구성되어 승강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로울러가 승강로의 중간부분에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아파트 등에 시설되는 승강장치(1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와,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130)와, 상기 로프(130)를 감아 승강카(110)를 승,하강하는 권상기(141)와 전동기(142)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카(110)의 제어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어용 케이블(170)의 일측이 승강카(110)에 고정되며, 제어용 케이블(170) 타측은 벽면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와 함께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어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가변부재(20)는 소정의 무게를 지니기 위한 길이로 연장되며, 보편적으로 체인 또는 로프는 금속재로 구성되나,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지닌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가변부재(20)의 타측은 승강로(160) 벽면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기계실(150)에 구비되는 승,하강수단(140)인 권상기(141)와 로프(13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강카(110)가 승,하강을 이 루며, 이 경우 균형추(120)의 무게는 도 1a에 도시된 균형추(120)의 무게보다 가볍게 적용한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카(110)가 승강시 로프(130)에 고정된 도 1a보다 가벼운 무게를 가진 균형추(120)에 로프(130)의 무게보다 무거운 가변부재(20)의 일측을 부착하고, 타측은 승강로(160) 벽면에 부착하여 견인능력이 보장될 수 있는 오버밸런스율을 적용하고, 승강카(110)가 승강운전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가변부재(20)의 하중이 벽면으로 이동하여 균형추(120)측의 무게는 점점 가벼워지며, 이때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도 보상된다.
아울러,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카(110)가 하강시 로프(130)에 고정된 균형추(120)의 무게가 도 1a보다 가벼운 상태이므로, 도 2a에 도시된 상태보다 오버밸런스율이 낮으며, 승강카(110)가 점차 하강하게 되면 벽면으로 이동했던 가변부재(20)의 하중이 순차적으로 균형추(120)측 하중으로 이동되어 균형추(120)측의 무게는 점점 무거워지고 오버밸런스율은 도 2a에 도시된 상태와 같아진다.
이때,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도 보상되며, 아파트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시에도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변부재(20)에 의해 가변이 이루어지는 승강장치(10)의 오버밸런스율에 대하여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승강장치(10)는 승강카(110)의 적재하중:1,000kg, 승강카(110)의 자체무게:1,260kg, 승강카(110)가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길이:50m, 로프(130)의 무게:0.494kg×5본,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0.785kg×2본으로 설정한 상태를 전제조건으로 한다.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단위 길이당 무게가 가변되는 가변부재(20)를 구비하여, 도 2a와 같이 승강카(110)가 하층부에 위치할 때 전부하 승강 운전시 견인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버밸런스율을 45%로 적용하고, 도 2b와 같이 승강카(110)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 무부하 하강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오버밸런스율을 35%로 적용하면 균형추(120)의 무게는 1,526kg이고, 가변부재(20)의 총 무게는 308kg이 된다.
이때,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른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도 보상되며, 승강카(110)가 전부하 상태로 최하층에서 승강 운전시 견인비가 1.30이며, 무부하 상태로 최상층에서 하강 운전시 견인비는 1.27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가변부재(20)에 인장로프(40) 및 로울러(50)가 구성되어 균형추(12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도 3에 도시되는 균형추(120)의 무게는 도 1a에 도시되는 균형추(120)보다 무겁게 적용한다.
상기 가변부재(20)와 가이드부(60)의 인장로프(4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이 음부재(30)가 사용되며, 상기 이음부재(30)는 가변부재(20)와 인장로프(4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도구로, 가변부재(20)와 인장로프(40)를 상호 엮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기 위한 승강카(110)를 승강시키기 위해 기계실(150)에 구비된 승,하강수단(140)으로 구동되는 로프(13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강카(110)가 승강을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의 승강시 로프(130)에 고정되어 도 1a보다 무겁게 적용된 균형추(120)가 하강되고, 상기 균형추(120)의 하강시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된 인장로프(40)가 승강로(160) 상부에 고정된 로울러(50)에 의해 가이드 되고, 인장로프(40)의 타측에 이음부재(30)로 고정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균형추(120)측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승강카(110)가 승강을 할수록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점점 균형추(120)측 하중을 감소시켜 승강카(110)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이 낮아지므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승강하고 균형추(1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카(110)가 하강시 균형추(120)를 가변부재(20)의 무게로 인장로프(40)가 로울러(50)에 가이드 되어 균형추(120)를 상부로 당김으로 인하여 균형추(120)의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에서 승강카(110)의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지며 점점 하강할수록 가변부재(20)의 하중은 벽면으로 이동되며,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일실시 예로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장치(10)는 도 3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과 효과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중간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로서,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5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로울러(50,50a)는 승강로(160) 중간부분의 적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부재(20)의 타측은 승강로(160) 벽면의 승강로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예로 승강로 하부의 1/4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의 승강시 균형추(120)가 하강하게 되고, 균형추(120)의 하강시 균형추(120)에 고정된 인장로프(40)가 로울러(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가변부재(20)의 무게가 균형추(120)측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은 높고, 승강카(110)가 점점 승강하게 되면 균형추(120)의 하강에 의해 가변부재(20)의 하중이 벽면으로 이동하면서 균형추(120)측 하중이 감소하여 오버밸런스율은 순차적으로 낮아지며, 어느 하나의 시점을 넘으면서 가변부재(20)가 균형추(120)의 하강함과 비례하여 균형추(120)를 상부로 당김으로 균형추(120)측의 하중이 더욱 감소하여 오버밸런스율이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의 하강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균형추(120)를 상부에서 당기고 있으므로 균형추(120)의 하중이 제일 가벼운 상태이므로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 운전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승강카(110)의 하강에 따라 균형추(120)가 상승되면서 균형추(120)측의 하중이 증가되어 오버밸런스율이 높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변부재(20)의 무게변화에 의해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로프(130)와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고 오버밸런스율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가끔 발생할 수 있는 전부하 승강운전을 대비하여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을 높게 적용하고, 빈번히 발생하는 경부하 하강운전을 대비하여 승강카(110)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을 낮게 적용하여 견인능력을 향상 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아파트 등에 시설되는 승강장치(1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와,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130)와, 상기 로프(130)를 감아 승강카(110)를 승,하강하는 권상기(141)와 전동기(142)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카(110)의 제어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어용 케이블(170)의 일측이 승강카(110)에 고정되며, 제어용 케이블(170) 타측은 벽면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와 함께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 하부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어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가변부재(20)는 소정의 무게를 지니기 위한 길이로 연장되며, 보편적으로 체인 또는 로프는 금속재로 구성되나,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지닌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가변부재(20)의 타측은 승강로(160) 벽면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1a에서 도시된 균형추(120)보다 무 게가 더 무겁게 적용되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할때 도 1a에서보다 무겁게 적용된 균형추(120)의 하중으로 인해 오버밸런스율이 높은 상태이므로 승강카(110)의 전부하 승강운전이 쉬우며, 승강카(110)가 점차 승강운전을 하면 승강카(110)에 고정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이고,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이 쉬우며, 점차 하강운전을 하면 승강카(110)에 부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이 벽면으로 이동하여 승강카(110)측의 하중이 순차적으로 감소하여 오버밸런스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가변부재(20)에 인장로프(40) 및 로울러(50)가 구성되어 승강카(11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도 6에서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카(11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와, 상기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1a보다 균형추(120)의 무게를 가볍 게 적용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하면 가변부재(20)가 인장로프(40) 및 로울러(50)에 가이드 되어 승강카(110)를 상부로 당겨 승강카(110)측의 하중을 감소시킨 상태이므로, 오버밸런스율이 높아 승강카(110)가 전부하 승강운전을 하기 쉬우며, 승강카(110)가 점차 승강운전을 하면 가변부재(20)의 하중이 벽면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오버밸런스율이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의 하강시에도 도 1a에서보다 가볍게 균형추(120)의 무게가 적용되어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이므로, 승강카(110)가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이 쉬우며, 점차 하강운전을 하면 승강카(110)에 부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이 승강카(110)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로서, 상기 도 6에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카(110)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 8a 및 도 8b의 승강장치(10)는 도 7a 및 도 7b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과 효과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중간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상기 도 6에 설명된 승강장치(10)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카(11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50a)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로울러(50,50a)가 승강로(160) 중간부분의 적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부재(20)의 타측은 승강로(160)의 벽면의 승강로(160)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예로 승강로 하부의 1/4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의 승강운전시 균형추(120)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카(110)의 승강시 승강카(110)에 고정된 인장로프(40)가 로울러(50)에 가이드 되어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측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은 높고, 승강카(110)가 점차 승강하게 되면 가변부재(20)의 하중이 벽면으로 이동하면서 승강카(110)측 하중이 순차적으로 증가하여 오버밸런스율은 낮아지며, 어느 하나의 시점을 넘으면서 가변부재(20)가 승강카(110)의 승강과 비례하여 승강카(110)를 하부로 당김으로 승강카(110)측의 하중이 더욱 증가하여 오버밸런스율이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의 하강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이므로, 승강카(110)가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이 쉬우며, 점차 하강운전을 하면 승강카(110)에 부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이 승강카(110)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아파트 등에 시설되는 승강장치(1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와,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130)와, 상기 로프(130)를 감아 승강카(110)를 승,하강하는 권상기(141)와 전동기(142)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카(110)의 제어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어용 케이블(170)의 일측이 승강카(110)에 고정되며, 제어용 케이블(170) 타측은 벽면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와 함께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작고,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커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부재(20)의 전체 무게를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부재(20)는 소정의 하중을 지니기 위한 길이로 연장되며, 보편적으로 체인 또는 로프는 금속재로 구성되나,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지닌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장치(10)는 도 1a에서 도시된 균형추(120)와 같은 무게로 적용되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보다 승강카(110)측에서 균형추(120)측으로 점차 무겁게 적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으로 인해 오버밸런스율이 높은 상태로 승강카(110)의 전부하 승강운전이 쉬우며, 승강카(110)가 점차 승강운전을 하면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에 고정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이고,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이 쉬우며, 점차 하강운전을 하면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보다 승강카(110)측에서 균형추(120)측으로 점차 무겁게 적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으로 인해 승강카(110)측의 하중이 순차적으로 감소하여 오버밸런스율이 높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b 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장치(10)는 상기 승강카(110) 하부와 균형추(120) 하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가변부재(20)에 의해 승강카(110)의 승강에 따른 균형추(120)의 하강 또는 승강카(110)의 하강에 따른 균형추(120)의 승강시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도 보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가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아파트 등에 시설되는 승강장치(10)는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는 승강카(110)와, 상기 승강카(110)의 반대편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120)와,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를 상호 연결하는 로프(130)와, 상기 로프(130)를 감아 승강카(110)를 승,하강하는 권상기(141)와 전동기(142)로 구성되는 승,하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카(110)의 제어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어용 케이블(170)의 일측이 승강카(110)에 고정되며, 제어용 케이블(170) 타측은 벽면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와 함께 승,하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과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타측의 하중이 서로 동일한 가변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부재(20)의 전체 무게를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 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부재(20)는 소정의 하중을 지니기 위한 길이로 연장되며, 보편적으로 체인 또는 로프는 금속재로 구성되나,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지닌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도 1a에서 도시된 균형추(120)와 같은 무게로 적용되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보다 무겁게 적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으로 인해 오버밸런스율이 높은 상태로 승강카(110)의 전부하 승강운전이 쉬우며, 승강카(110)가 점차 승강운전을 하면 상기 승강카(110)와 균형추(120)에 고정된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오버밸런스율이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a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가 상층부에 위치할 때 가변부재(20)의 무게가 승강카(110)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밸런스율이 낮은 상태이고, 승강카(110)의 무부하 또는 경부하 하강운전이 쉬우며, 점차 하강운전을 하면 도 1b에서의 균형체인(200)보다 무겁게 적용된 가변부재(20)의 하중으로 인해 승강카(110)측의 하중이 순차적으로 감소하여 오버밸런스율이 높아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장치(10)는 상기 승강카(110) 하부와 균형추(120) 하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가변부재(20)에 의해 승강카(110)의 승강에 따른 균형추(120)의 하강 또는 승강카(110)의 하강에 따른 균형추(120)의 승강시 오버밸런스 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도 보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른 가변부재(20)의 하중변화에 의해 로프(130)와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 및 오버밸런스율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가끔 발생할 수 있는 전부하 승강운전을 대비하여 승강카(110)가 하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을 높게 적용하고, 빈번히 발생하는 경부하 하강운전을 대비하여 승강카(110)가 상부에 위치할 때는 오버밸런스율을 낮게 적용하여 견인능력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승강장치의 경부하 운용이 많은 아파트 등에 효과가 크다.
아파트에 설치된 승강장치의 사용분포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최대동시이용인원은 탑승정원의 약 80% 이하이고,
2. 정원의 40% 이상이 동시에 승강카를 이용하는 횟수는 총 운행횟수의 10% 이하이며,
3. 정원의 20% 이하로 동시에 승강카를 이용하는 횟수는 총 운행횟수의 90% 이상이다.
위와 같은 운행특성에서 동시에 탑승하는 인원수만으로 오버밸런스율(20%)을 낮게 적용한다면 구동모터가 커져야 하며, 최대 정원을 고려하여 오버밸런스율(50%)을 높게 적용하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견인비가 높아져 승강장치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재의 무게변화에 의해 승강카측 또는 균형추측 중 어느 한쪽에 무게를 더하거나 빼거나 하여 승강장치 운행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여 운행할 수 있다.
승강장치 설비가 많은 아파트 등에서는 승강장치의 동시 기동시 기동전류를 낮출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의 수용률도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승강카의 승,하강시 균형체인의 브라킷 등과 부딪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승강카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변부재의 설치 방식과 승강장치의 운영 실태에 따라 아파트와 같이 무부하 운용이 많거나, 백화점과 같이 전부화 운용이 많은 각각의 운용실태에 따라 승강장치의 오버밸런스율을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승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부재에 인장로프 및 로울러가 구성되어 균형추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3의 로울러가 승강로의 중간부분에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부재에 인장로프 및 로울러가 구성되어 승강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7의 로울러가 승강로의 중간부분에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 예의 가변부재가 구비된 승강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00 : 승강장치 20 : 가변부재
30 : 이음부재 40 : 인장로프
50 : 로울러 60 : 가이드부
110 : 승강카 120 : 균형추
130 : 로프 140 : 승,하강수단
141 : 권상기 142 : 전동기
150 : 기계실 160 : 승강로
170 : 제어용 케이블 200 : 균형체인

Claims (10)

  1. 균형추(120)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150)에 구비된 승,하강수단(14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110)로 구성된 승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어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되어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20)에 고정된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로울러(50,50a)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승강로(160)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균형추(1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20)에 고정된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5. 균형추(120)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150)에 구비된 승,하강수단(14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110)로 구성된 승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 하부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크고, 벽면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작아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어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10)에 일측이 고정되는 인장로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로울러(50)가 승강로(16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로프(40)의 타측과 가변부재(20)의 일측이 상호 고정되는 가이드부(60)가 구성되어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로울러(50)가 기계실(150) 바닥면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20)에 고정된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로울러(50,50a)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승강로(160)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승강카(1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20)에 고정된 인장로프(40)를 가이드 하여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9. 균형추(120)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150)에 구비된 승,하강수단(140) 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110)로 구성된 승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이 작고,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타측으로 하중이 커지는 가변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부재(20) 전체 무게를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10. 균형추(120)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기계실(150)에 구비된 승,하강수단(140)에 의해 승강로(160)를 따라 승,하강을 이루는 승강카(110)로 구성된 승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11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무게와 길이를 이루며, 상기 승강카(110)에 고정되는 일측의 하중과 균형추(120)에 고정되는 타측의 하중이 서로 동일한 가변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부재(20) 전체 무게를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다 오버밸런스율 가변량의 무게만큼 더 무겁게 하여, 승강카(110)의 위치에 따라 오버밸런스율을 가변하고, 로프(130) 및 제어용 케이블(170)의 무게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KR1020080048973A 2008-05-27 2008-05-27 승강장치 KR20090123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973A KR20090123079A (ko) 2008-05-27 2008-05-27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973A KR20090123079A (ko) 2008-05-27 2008-05-27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079A true KR20090123079A (ko) 2009-12-02

Family

ID=4168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973A KR20090123079A (ko) 2008-05-27 2008-05-27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3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7212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8028393B2 (en) Elevator arrangement
US9758346B2 (en) Tensioning arrangement for a traction means of an elevator
US20100133048A1 (e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US2007013794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US7264087B2 (en) Control of a counterweightless elevator using total mass of the elevator
AU201030253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ving a heavy load
MXPA05004782A (es) Dispositivo tensor de cable de elevador.
US995090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justing the elevator arrangement
US20180093866A1 (en) Moving a heavy overload with an elevator
JPWO20020724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87529B1 (ko) 저소음을 위한 특수구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821640B1 (ko) 승강장치
KR20090123079A (ko) 승강장치
JPH11124286A (ja) 省エネルギータイプの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20090124054A (ko) 승강장치의 오버밸런스율 가변방법
KR10083746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25568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WO2012000461A1 (en) Vertical hoist system
AU2007247065B2 (en) Elevato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