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174A -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174A
KR20090122174A KR1020097009254A KR20097009254A KR20090122174A KR 20090122174 A KR20090122174 A KR 20090122174A KR 1020097009254 A KR1020097009254 A KR 1020097009254A KR 20097009254 A KR20097009254 A KR 20097009254A KR 20090122174 A KR20090122174 A KR 2009012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bilities
semi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416B1 (ko
Inventor
마사토 키타조에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7/08060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43078A2/en
Publication of KR2009012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용 장치 및 방법은 지시된 이동국의 장치 능력들을 가진 초기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장치 능력들은 반-정적 능력들 및 동적 능력들을 포함한다. 반-정적 능력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데이터는 이동국이 유휴 상태로 전이하기전에 무선 노드를 통해 전송된다.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할때, 접속 요청은 무선 노드에 반-정적 이동국 능력들을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 장비의 동적 능력들과 함께 전송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본 출원은 2006년 10월 3일에 출원된 "LTE에서 UE 능력 정보 핸들링"이라는 명칭을 가진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0/828,01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전술한 출원들의 전체는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특히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컨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컨대,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FDMA) 시스템들, 3GPP LTE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국부 주파수 분할 다중화(LFDM: loc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 B(또는 기지국)는 다운링크를 통해 사용자 장 비(UE)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및/또는 업링크를 통해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노드 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노드 B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노드 B는 또한 UE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제어 정보(예컨대, 시스템 자원들의 할당들)를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는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하여 노드 B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UE 및 노드 B사이에서 교환되는 한 타입의 제어 정보는 UE의 비-정적 능력들(non-static capability)이다. 통상적으로, 장치 능력들은 UE가 활성 상태로 진입할때마다 교환된다. UE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될때 여러번 유휴 상태로 진입하기 때문에, UE의 비-정적 능력들은 접속동안 여러번 전송될 수 있다. 장치 능력들의 이러한 전송은 상태 전이(state transition)시에 시그널링 부하(signaling load)을 추가하며 따라서 전이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느리게 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본 요약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주요하거나 또는 핵심적인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일부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일부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은 초기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요청은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장치 능력들을 포함한다. 장치 능력들은 반-정적(semi-static) 능력들 및 동적(dynamic) 능력들을 포함한다. 반-정적 능력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무선 노드를 통해 전송된 다음에, 이동국은 유휴 상태로 전이한다.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할때, 접속 요청은 무선 노드에 반-정적 이동국 능력들을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 장비의 동적 능력들과 함께 전송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의 초기 접속시에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은 적어도 지시된 사용자 장비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de-register)할때까지 저장된다. 그 다음에, 지시된 사용자 장비가 활성 상태로 리턴(return)할때,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은 지시된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노드 B에 지시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은 활성 접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속 요청은 지시된 이동국의 적어도 일부 장치 능력들을 지시한다.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된 이동국 능력들이 결정된다.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되지 않을때,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요청된다. 그 다음에,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완전하게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임의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의 일부를 나타내며, 제시된 실시예들은 이러한 양상들 및 이러한 양상들의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여기에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장비의 동적 능력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른, UE가 유휴 상태로 전환될때 무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 및 접속 해제동안 저장된 신호 흐름 및 능력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른,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저장된 신호 흐름 및 능력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른, UE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de-register)할때 해제된 신호 흐름 및 능력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른, UE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하는 경우에 반-정적(semi-static) 능력들이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되지 않을때 신호 흐름 에러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여기에서 제시된, 무선 네트워킹 환경과 관련한 UE의 방법을 기술한 도면이다.
도 9는 여기에서 제시된, 무선 네트워킹 환경과 관련한 노드 B/무선 네트워크의 방법을 기술한 도면이다.
도 10은 여기에서 제시된, 무선 네트워킹 환경과 관련한 코어 네트워크의 방법을 기술한 도면이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유휴 상태로부터의 고속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유휴 상태로부터의 고속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과 관련한 사용자 장비의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과 관련한 무선 네트워크/노드 B의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과 관련한 코어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양상들은 동일한 도면부호가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금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를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정 설명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들 특정 설명들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도로 도시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이하에 기술된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이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여기에서 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및/또는 기능이 단순히 대표적이라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들 양상들중 2개 이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장치 및/또는 방법은 여기에서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장치 및/또는 방법은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중 하나 이상 양상들외의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중 하나 이상의 양상과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다. 예로서, 여기에서 제시된 많은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및 기구들은 ad-hoc 또는 무계획(unplanned)/반계획(semi-planned) 구축 무선 통신 환경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당업자는 유사한 기술들이 다른 통신 환경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즉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의 실행, 펌웨어, 미들 웨어, 마이크로코드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중 하나를 지칭한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프로 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및/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컨대,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당업자에 의하여 인식되는 바와같이, 여기에 기술된 시스템들의 컴포넌트들은 그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 목적들, 장점들 등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가 컴포넌트들에 의하여 보충되고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으며, 주어진 도면에 도시된 정밀한 구성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사용자 장비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는 또한 가입자 시스템, 가입자 유닛,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핼드 장치, 또는 처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모뎀 또는 유사한 메커니즘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컨대,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예컨대,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실례로서의 사용을 의미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 여기에서 제시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양상들 또는 설계들에 비하여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용어 "예시적인"의 사용은 구체적인 형식으로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 보다 오히려 총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다른 방식으로 특정하지 않거나 또는 문장에서 명확하게 기재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사용한다" 함은 X가 A 또는 B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즉, 만일 X가 A를 사용하거나 X가 B를 사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둘다를 사용하면, "X가 A 또는 B를 사용한다"라는 것은 전술한 예들의 일부하에서 만족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는 다른 방식으로 특별하게 언급하거나 또는 문장이 단수를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접속(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접속(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단일-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종종 상호 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LCR(Low Chip Rate)를 포함한다. cdma2000는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이다.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차세대 기술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명칭의 기구의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cdma2000은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라 는 명칭의 기구의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공지되어 있다. 명확화를 위하여, 기술들중 일부 양상들은 LTE에서의 업링크 전송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며, 3GPP 용어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영역 등화(equalization)를 이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이 하나의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의 성능과 유사한 성능 및 OFDMA 시스템의 복잡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성을 가진다. SC-FDMA 신호는 그것의 고유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낮은 피크-대-평균 전력 비(PAPR)를 가진다. SC-FDMA는 특히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성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에 매우 유리한 업링크 통신들에서 크게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현재 3GPP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또는 Evolved UTRA에서 업링크 다중접속 방식에 대한 잠정표준(Working Assumption)이다.
LTE는 다운링크에 대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이용하고 업링크에 대하여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SC-FDM)를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며, 이러한 서브캐리어들은 보통 톤들(tone), 빈들(bin)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전송되며 SC-FDM을 사용하여 시간영역으로 전송된다. LTE에 대하여, 인접 서브캐리어들간의 간격은 고정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들의 전체 수(N)는 시스템 대역폭에 좌우될 수 있다. 일 설계에서, 5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하여 N=512이며, 10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하여 N=1024이며, 20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하여 N=2048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N은 임의의 정수값일 수 있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110) 및 다수의 단말들(120)을 가진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10)은 102a, 102b 및 102c로 분류된 지리적 영역들로서 기술된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용어 "셀"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작은 영역들(예컨대, 도 1의 셀(102a)을 기준으로 할때 3개의 작은 영역들)(104a, 104b, 104c)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작은 영역은 각각의 베이스 트랜시버 서브시스템(BTS)에 의하여 서빙될 수 있다. 용어 "섹터"는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BTS 및/또는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섹터화된 셀에 대하여, 그 셀의 모든 섹터들에 대한 BTS들은 전형적으로 셀에 대한 기지국내에 공동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시된 전송 기술들은 섹터화된 셀들(sectorized cell)을 가진 시스템 및 비섹터화된 셀들(un-sectorized cell)을 가진 시스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용어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섹터를 서빙하는 고정국 뿐만아니라 셀을 서빙하는 고정국 대신에 사용된다.
단말들(120)은 전형적으로 시스템 전반에 걸쳐 분산되며, 각각의 단말은 고 정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사용자 장비, 이동국, 사용자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장치, 셀룰라 전화, 개인휴대단말(PDA), 무선 모뎀 카드 등일 수 있다. 각각의 단말(120)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를 통해 1 또는 다수개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어떠한 기지국과도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단말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동안 다양한 상태들로 전이(transition)한다. 상태들은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상태(detached state); 단말이 접속되나 데이터를 활성적으로 통신하지 않는 유휴 상태(idle state); 및 데이터가 단말로/로부터 전송되는 활성 상태(active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들은 비활성화의 결과로서 (예컨대, 활성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이되거나,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필요성의 결과로서 (예컨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이되거나 또는 이벤트(event)(예컨대, 사용자가 온/오프 버튼(on/off button)을 누르거나 또는 비행 모드로 진입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전이될 수 있다. 상태들에 부가하여, 각각의 단말은 정적(static), 반-정적(semi-static) 및 동적(dynamic) 능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능력들을 가진다. 정적 능력들은 변경되지 않는다. 반-정적 능력들은 액세서리(예컨대, GPS 액세서리)가 단말에 결합되고 단말로부터 분리될때 또한 단말에 대하여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수행될때 변경될 수 있다. 동적 능력들은 활성 접속시마다 자주 변경된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210) 및 무선 네트워크(202)를 가진다. 무선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노드 B들(206a, 206b)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RNC)을 가진다. 노드 B는 RNC 기능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통합한 eNB(evolved Node B)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 단말들(204a-204b)은 노드 B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무선 네트워크내의 다양한 흐름을 제어하며,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는 통신회사의 백앤드 네트워크(backend network)일 수 있으며, 과금, 인증 및 액세스-제어 목적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기반 네트워크에 의하여 무선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210)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들과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능력들은 UE가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전이할때 해제(release)된다. 그 다음에, 활성 상태로 리턴(return)할때, 능력들은 다시 한번 무선 네트워크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후로부터 변경될 가능성이 없는 반-정적 능력들을 다시 적용할때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더욱이, 시그널링이 수행되는 동안,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이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연장된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라, UE에 대한 반-정적 능력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되고,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분리(detachment)때까지 해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적 능력들은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때 해제된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라, UE가 다른 능력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능력을 차용(borrowing)하도록 함으로서 동적 UE 능력이 달성되는 한 타입의 동적 능력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LTE의 UMTS의 능력들과 유사한 UE 능력들이 사용된다. 특히, 도 3은 3가지 타입의 능력들, 즉 DL-SCH상의 다운링크 능력(HSDPA에서와 같이 다운링크의 UE 카테고리(category)); UL-SCH상의 업링크 능력(HSUPA에서와 같이 업링크의 UE 카테고리); 및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수신 능력을 도시한다.
MBMS 수신 능력은 비록 최소 능력이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질지라도 네트워크에 알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능력들의 세트는 UE의 설계에 의하여 결정되며, UE가 지원하도록 설계된 서비스들을 보장할 수 있다. 차용(borrowing)이 비-GBR(Non-Guaranteed Bit Rate)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능력을 증대(boost)시키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초기에, 기술된 UE의 능력들은 도면부호 300으로 도시된다. 도면부호 305에서, 다운로드가 초기화될때, UE는 어느 MBMS 서비스도 수신하지 않으며, 그 결과 UE는 UE에 대한 최소 MBMS 능력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레벨을 초과하지 않게 MBMS 능력의 부분(315)을 차용한다. 차용된 능력은 다운링크 능력에 할당된다. 이러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의 초기 셋업시에 E-UTRAN에 통신될 수 있다. 결과적인 능력들은 챠트(320)로 도시된다. 도면부호 310에서, UE는 전체 MBMS 능력이 MBMS 수신동안 필요하다는 것을 검출한다. 능력 변경은 E-UTRAN에 보고되며, 능력들은 도면부호 300으로 도시된 챠트에 리턴된다. 도면부호 325에서, 높은 업 링크 데이터 레이트가 필요하며, 그 결과 UE는 보장된 다운링크 비트 레이트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양을 초과하지 않게 다운링크 능력의 부분(335)을 차용한다. 결과적은 능력 챠트는 도면부호 340으로 도시된다.
도 4는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초기 액세스의 예를 도시한다. 특히, 시그널링 흐름(400)이 도시된다. 초기에, 무선 네트워크(노드 B/무선 네트워크(415) 및 코어 네트워크(425))는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UE(405)의 비-정적 능력들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 능력의 동적 부분(435a) 및 반-정적 부분(435b)(435로 총칭함) 모두는 접속 요청 메시지(440)로 시그널링되며, 서빙 노드 B(415)에 저장된다. 노드 B(415)는 접속 요청(445)으로 코어 네트워크(425)에 양 능력들을 전달한다. 일 양상에 따라 동적 능력들이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없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노드 B(415)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기능들을 통합한 eNB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노드 B로 또는 노드 B로부터의 흐르는 것으로 기술된 신호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대안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또는 이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의 흐름일 수 있다.
활성 접속 해제(450, 455)에서는 능력들의 동적 부분만이 코어 네트워크(425)에서 해제된다.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 둘다를 포함하는 노드 B(415)의 임의의 UE 콘텍스트(context)는 서빙 노드 B(415)에서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다음 액세스들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UE 능력의 반-정적 부분이 이미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고 그렇치 않 은 경우에 에러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가정된다. 또한, UE의 현재의 반-정적 능력들(535b)이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된 반-정적 능력들(550)과 동일하다는 것이 가정된다. 특히, 도 5는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전이동안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UE(505)는 단지 접속 요청 메시지(540)에 동적 능력들(535a)만을 포함하여 메시지에서 정보 엘리먼트들을 감소시키고 활성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킨다. 노드 B(515)는 접속 요청 메시지(545)의 부분으로서 코어 네트워크에 동적 능력을 전송하며,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525)는 동적 능력들(535a) 및 반-정적 능력들(550) 둘다를 가진다. 반-정적 능력들(550)은 접속 셋업 메시지(555)에 의하여 노드 B(515)에 다시 패스(pass)된다.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에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될때 새로운 반-정적 능력들의 에러들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의 반-정적 능력들(550)은 UE의 현재의 반-정적 능력들(535b)과 매칭되지 않는다. 이들 능력들이 반-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들은 드물게 발생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르면, UE는 반-정적 능력들이 초기 네트워크 접속 이후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변경되었다면 유휴 상태로 리턴할때 현재의 반-정적 능력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UE는 네트워크로 전송된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고,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상태 전이시에 이들을 현재의 반-정적 능력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것이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전이는 대부분의 시간에 더욱 더 빠를 것이다.
도 6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UE 등록해제(de-registration)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특히, 네트워크로부터의 UE 등록해제시에 신호 흐름(600)이 도시된다. UE가 활성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노드 B/무선 네트워크(615) 및 코어 네트워크(625)가 UE에 대한 동적 및 반-정적 능력들(620)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등록해제 메시지(630)는 UE(605)로부터 전송된다. 노드 B는 코어 네트워크(625)에 등록해제 요청(635)을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는 UE의 능력들(640)을 해제할 수 있으며, 노드 B에 등록해제 긍정응답(ACK) 메시지(645)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노드 B는 또한 UE의 능력들을 해제하고 등록해제 긍정응답 메시지(650)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에러가 발생할때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에러들(예컨대, 반-정적 능력들이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전이시에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되지 않음)이 매우 드문 경우이어야 하는 반면에, 이러한 에러들은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은 일 양상에 따른 신호 흐름(700)을 도시한다. 특히, 도 7은 코어 네트워크가 반-정적 능력들을 가지지 않고 반-정적 능력들이 UE에 의하여 제공되지 않을때 에러 흐름을 도시한다. UE(705)는 접속 요청 메시지(740)로 반-정적 능력(735b)을 노드 B(715)에 전송한다. 반-정적 능력들이 공급되지 않을때, 노드 B는 반-정적 능력들을 검색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725)에 접속 요청 메시지(745)를 전송한다. 그러나, 코어 네트워크는 어떤 반-정적 능력들도 가지지 않으며, 그 결과 이러한 상황을 지시하는 에러 메시지(750)는 노드 B에 전송되며 메시지(755)로 UE에 전송된다. 그 다음에, 반-정적 능력은 에러 응답 메시지(760)로 노드 B에 전송된다. 그 다음에, 반-정적 능력은 저장을 위하여 에러 응답 메시지(765)로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에러 응답 메시지(765) 대신에 접속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다른 에러들이 다른 양상들에서 유사한 방식들로 핸들링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8-10을 참조하면,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고속 전이에 관한 방법들이 여기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기술된다.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 도시 및 기술되는 반면에, 방법들은 일부 동작들이 청구된 요지에 따라 여기에서 제시된 동작들과 다른 순서로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동작들의 순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당업자는 방법이 대안적으로 예컨대 상태도에서 일련의 서로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청구된 요지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든 기술된 동작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당업자는 비록 방법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일 UE에 대하여 기술될지라도 노드/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코어 네트워크에 의하여 수행된 방법들이 다수의 UE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다양한 에러 흐름들이 명확화 및 간략화를 위하여 기술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라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고속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800)이 기술된다. 방법(800)은 무선 통신 네 트워크에서 UE에 의하여 수행됨으로서 고속 전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방법은 블록(802)에서 시작하며, 블록(802)에서 방법은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가진 초기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블록(804)에서, 방법은 UE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데이터를 전송한다. 블록(806)에서, 방법은 유휴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접속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 블록(808)에서, 방법은 반-정적 능력들이 유휴 상태로 전환한 이후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방법은 블록(810, 812)을 실행한다. 만일 그렇치 않으면, 방법은 블록(814, 816)을 실행하며, 블록(814)에서 방법은 동적 능력들을 가진 접속 요청을 전송하며, 그 다음에 적어도 변경된 반-정적 능력들은 블록(816)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블록(810)에서, 방법은 이전에 저장된 반-정적 능력들을 재전송하지 않고 동적 능력들을 가진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블록(812)에서, 방법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데이터를 전송한다. 블록(812) 또는 블록(816) 이후에, 방법은 블록(818)으로 진행한다. 블록(818)에서, 방법은 UE가 다시 유휴 상태를 원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방법은 블록(806)으로 리턴하며, 만일 그렇치 않다면 추가 처리(도시안됨)가 수행된다. 예컨대, UE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분리(detach)될 수 있다.
더 단순한 양상들에서는 UE는 반-정적 능력들이 네트워크 접속 이후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추적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특히, 반-정적 능력들이 매우 드물게 변경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에 블록들(810, 812)이 실행되고 블록들(814, 816)은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은 상당히 해로운 현상들없이 블록(806)으로부터 블록(8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게다가, 비록 UE가 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블록들(804, 812, 816)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지라도 데이터 전송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전이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예시적인 방법(900)이 기술된다. 방법(900)은 노드(예컨대, 확장 노드 기지국(eNB), 액세스 포인트(AP), 기지국 또는 유사한 메커니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양상들을 수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블록(902)에서, 방법은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접속 요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 또는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다시 진입하기 위한 접속 요청중 하나일 수 있다. 블록(904)에서, 방법은 요청과 함께 전송된 UE 능력들을 결정한다. 블록(906)에서, 방법은 반-정적 능력들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반-정적 능력들이 포함되었다고 결정되면, 방법은 블록(908, 910)을 실행한다. 만일 그렇치 않으면, 방법은 블록(912)을 실행한다. 블록(912)에서,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반-정적 능력들을 요청한다. 그 다음에, 블록(610)에서,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반-정적 능력들을 수신한다. 에러 처리(도시안됨)는 코어 네트워크가 UE로부터 정보를 요청하는 것과 같이, UE의 반-정적 능력들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블록(612)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반-정적 능력들 및 동적 능력들을 포함하는 UE 능력들을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코어 네트워 크는 UE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반-정적 능력들이 저장되는 동안 UE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때까지 동적 능력들을 저장할 것이다. 블록(910) 또는 블록(912) 이후에, 본 발명은 블록(914)으로 진행한다. 블록(914)에서, 본 방법은 UE와의 활성 접속을 수립(establish)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 및 활성 상태간의 고속 전이들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1000)이 기술된다. 본 방법(100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서 유휴 상태 및 활성 상태간의 고속 전이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블록(1002)에서는 접속 요청이 수신된다. 블록(1004)에서, 본 방법은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된 UE 능력들을 결정한다. 블록(1006)에서, 본 방법은 반-정적 능력들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반-정적 능력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결정되면, 본 방법은 블록(1008, 1010)을 실행한다. 만일 그렇치 않으면, 본 방법은 블록(1012)을 실행한다. 블록(1008)에서, 본 방법은 UE 전이들이 활성 상태로부터 벗어날때까지 동적 능력들을 저장한다. 그 다음에, 블록(1010)에서, 본 방법은 이전에 저장된 정적 능력들을 검색하고 노드 B에 이 능력들을 공급하여 접속 요청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블록(1012)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동적 능력들 및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한다. 반-정적 능력들은 UE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때 해제될 동적 능력들과 대조적으로 UE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저장된다. 블록(1012) 또는 블록(1010) 이후에, 본 방법은 블록(1014)으로 진행한다. 블록(1014)에서, 본 방법은 접속을 수립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접속 요청에 포함된 UE 능력들을 결정하는 대신에, 본 방법은 UE의 이전 상태를 결정하고, 유휴 상태로부터의 전이가 수행되는 경우에 블록들(1008, 1010)을 수행하는 반면에 이전에 분리된 상태로부터의 전이가 수행되는 경우에 블록(1012)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예컨대 반-정적 능력들이 코어 네트워크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고 UE가 부정확하게 예상하는 경우에 에러를 처리하는 에러 처리를 위하여 유용할 수 있다. 게다가,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본 방법이 여기에서 기술된 시간들에서 동적 능력들 및 반-정적 능력들을 해제하기 위하여 수행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들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1100)를 도시한다. 액세스 단말(1100)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전형적인 동작들(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downconvert) 등)을 수행하는 수신기(1102)(예컨대, 안테나)를 포함한다. 특히, 수신기(1102)는 또한 전송 할당 기간의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할당된 서비스들을 정의하는 서비스 스케줄, 여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업링크 자원들의 블록과 다운링크 자원들의 블록을 상관시키는 스케줄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1102)는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고 평가를 위하여 이들을 프로세서(1106)에 제공하는 복조기(1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6)는 수신기(110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및/또는 송신기(1116)에 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전용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로세 서(1106)는 액세스 단말(1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110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1116)에 의하여 전송하는 정보를 생성하며 액세스 단말(1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서(1106)는, 여기에서 제시된 바와같이, 수신기(1102)에 의하여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들의 상관을 해석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은 다운링크 블록을 식별하거나 또는 이러한 수신되지 않은 블록 또는 블록들을 시그널링하기에 적합한 비트맵과 같은 피드백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다수의 업링크 자원들의 적절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기 위하여 해시 함수를 분석하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0)은 프로세서(1106)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전송 및 수신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108)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8)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 앞의 것을 평가하는 프로토콜들, 전송중 수신되지 않은 부분들을 식별하고 판독할 수 없는 전송을 결정하며 피드백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프로토콜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데이터 저장장치(예컨대, 메모리(1108))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확장 SDRAM(ESDRAM), Synchlink DRAM(SLDRAM) 및 디렉트 램버스(Direct Rambus)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식들로 이용가능하지만 이러한 것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1108)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으로 의도된다.
수신기(1102)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들의 하나 이상의 부가 블록들과 업링크 전송 자원들의 블록사이의 스케줄링된 상관관계를 수신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안테나(1110)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멀티플렉스 프로세서(1106)는 제 1 다운링크 블록 및 하나 이상의 부가 다운링크 블록들의 각각이 수신되었는지 또는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지시하는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단일 업링크 자원을 통해 제공하는 피드백 메시지내의 멀티-디지트(multi-digit)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1112)는 여기에서 제시된 다양한 기능들 뿐만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0)은 변조기(1114), 및 예컨대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다른 액세스 단말, 원격 에이전트 등에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1116)를 더 포함한다. 비록 프로세서(1106)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신호 생성기(1110) 및 지시자 평가기(1112)가 다수의 프로세서들(도시안됨) 또는 프로세서(1106)의 부분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12는 LTE 네트워크에 대한 손실된 전송 데이터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1200)을 도시한다. 시스템(1200)은 하나 이상의 이동장치들(1204)로부터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1206)을 통해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1210) 및 전송 안테나(12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이동 장치들(1204)에 전송하는 송신기(1222)를 가진 기지국(1202)(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을 포함한다. 수신기(1210)는 수신 안테나들(12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판독할 수 없는 데이터 패킷에 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자(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신기(1210)는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12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들을 상관시키고 네트워크로부터 동적 및/또는 정적 상관들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정보 뿐만아니라 이동장치(들)(1204)(또는 다른 기지국(도시안됨))에 전송되거나 또는 이 이동장치(들)로부터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여기에서 제시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16)에 접속된 프로세서(1212)에 의하여 분석된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일 수 있는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채널 추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들(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들(DSPD),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여기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프로시저들(procedure), 함수들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들(DSPD),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때,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class),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상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argument),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들을 패싱(passing)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패싱(passing), 토큰 패싱,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 하여 패싱되거나 또는 회송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여기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메모리 유닛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도 13을 지금 참조하면, 무선 통신시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고속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300)이 기술된다. 시스템(1300)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때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포함하는 UE 능력들을 전송하는 모듈(1302), 반-정적 능력들을 전송하지 않고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UE의 동적 능력들을 전송하는 모듈(1304), 및 선택적으로 반-정적 능력들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후로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변경되었다면 새로운 반-정적 능력들을 전송하는 모듈(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1302-1306)은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1308)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4를 지금 참조하면, 무선 통신시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고속 전이들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400)이 기술된다. 시스템(1400)은 초기 네트워크 접속시 코어 네트워크에 UE 능력들을 전송하는 모듈(1402),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모듈(1404), 활성 상태로부터 UE의 상태 변경시 UE 장치 능력들을 해제하는 모듈(1406), 및 UE의 동적 능력들을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UE가 유휴 상태로부 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저장된 반-정적 능력들을 검색하는 모듈(140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1402-1108)은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메모리 모듈(141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5를 지금 참조하면, 무선 통신시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의 고속 전이들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500)이 기술된다. 시스템(1500)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시 반-정적 UE 능력들을 저장하는 모듈(1502), 네트워크 등록해제시 반-정적 UE 능력들을 해제하는 모듈(1504), UE와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노드 B에 반-정적 UE 능력들을 지시하는 모듈(1506), 및 활성 상태로부터의 UE 상태 변경시 동적 능력들을 해제하는 모듈(150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1502-1508)은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1510)에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양상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인식가능한 조합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다양한 양상들의 많은 다른 조합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술된 양상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게다가, "포함하는"이라는 용어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범위내에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되는" 및 "구비하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Claims (41)

  1.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으로서,
    지시된(indicated) 사용자 장비의 장치 능력들(capability)을 포함하는 초기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장치 능력들은 반-정적(semi-static) 능력들 및 동적(dynamic) 능력들을 포함하며, 상기 반-정적 능력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됨―; 및
    무선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유휴 상태로 전이(transition)하는 단계; 및
    상기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할때, 상기 무선 노드에 상기 반-정적 장치 능력들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장비의 동적 능력들을 가진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 요청에 포함된 상기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할때,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변경된 반-정적 능력들 및 상기 동적 능력들을 가진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능력들중 하나 이상은 다른 능력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능력을 차용(borrowing)함으로써 획득되는,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 2시간동안 상기 유휴 상태로 전이하는 단계; 및
    상기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제 2 유휴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할때, 상기 무선 노드에 상기 반-정적 장치 능력들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동적 능력을 가진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이동국의 초기 접속시에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반-정적(semi-static) 및 동적(dynamic) 능력들을 지시(indicate)하는 수단; 및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 치의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이동국의 초기 접속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상기 수단은 접속 요청의 부분으로서 상기 장치의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된 경우에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변경된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상기 수단은 유휴 상태로부터 리턴할때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이동국의 초기 접속시에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의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코드; 및
    상기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의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만족될때 유휴 상태로 전이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시에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반-정적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고, 그리고
    상기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return)할때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UMTS-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반-정적 능력들이 변경된 경우에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변경된 반-정적 능력들 및 동적 능력들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지시할때,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장치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으로서,
    활성 접속을 수립(establish)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요청은 지시된 이동국의 적어도 일부 장치 능력들을 지시함 ―;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된 이동국 능력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되지 않을때,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요청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포함될때, 상기 이동국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상기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되도록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장치 능력들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능력들에 따라 상기 지시된 이동국과의 활성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활성 접속을 수립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유휴 상태로부터 리턴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21.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활성 접속을 수립(establish)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접속 요청은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일부 장치 능력들을 지시함 ―; 및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되지 않을때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요청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에 따라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와의 접속 수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될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저장을 위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때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능력들을 해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국들로부터 다수의 접속 요청들을 수신하는 수단 ― 상기 각각의 접속 요청은 활성 접속을 수립하고 지시된 이동국의 적어도 일부 장치 능력들을 지시함 ―;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되지 않을때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요청하는 수단;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 록해제할때까지 저장을 위하여 상기 코너 네트워크에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가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알지 못한다는 지시자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된 이동국에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이동국이 유휴 상태로 진입할때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능력들을 해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활성 접속을 수립(establish)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 상기 접속 요청은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일부 장치 능력들을 지시함 ―; 그리고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될때,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가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 지 저장을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전송되지 않을때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요청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은 초기 접속 요청 또는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의 접속 요청중 하나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의 초기 접속시에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가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상기 노드 B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상기 노드 B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활성 접속 요청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가능한 방법.
  3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이동국의 초기 접속시에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지시된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국이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지시된 이동국과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시에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는 수단;
    적어도 상기 지시된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이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지시된 이동국과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해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39.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시에 지시된 이동국의 능력들에 대한 지시자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능력들은 동적 능력들 및 반-정적 능력들을 포함함 ―;
    적어도 상기 지시된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까지 상기 지시된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저장하기 위한 코드; 및
    이동국이 활성 상태로 리턴할때, 상기 지시된 이동국과 연관된 노드 B에 상기 지시된 사용자 장비의 반-정적 능력들을 지시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이동국이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때 상기 이동국의 동적 능력들을 해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할때 상기 이동국의 반-정적 능력들을 해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97009254A 2007-10-04 2007-10-05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93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7,649 2007-10-04
US11/867,649 US9137844B2 (en) 2007-10-04 2007-10-04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PCT/US2007/080606 WO2008043078A2 (en) 2006-10-03 2007-10-05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174A true KR20090122174A (ko) 2009-11-26
KR101093416B1 KR101093416B1 (ko) 2011-12-14

Family

ID=4052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254A KR101093416B1 (ko) 2007-10-04 2007-10-05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7844B2 (ko)
JP (1) JP5139436B2 (ko)
KR (1) KR101093416B1 (ko)
CN (1) CN101523939B (ko)
CA (1) CA2808709C (ko)
TW (1) TWI39087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73A3 (en) * 2011-02-15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user equipment catego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86528A1 (en) 2011-05-03 2016-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99044B2 (en) 2011-04-05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098076B2 (en) 2011-02-15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of UE
US10158989B2 (en) 2011-01-18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E capability report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660108B2 (en) 2011-04-1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US11284391B2 (en) 2011-04-05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RE49815E1 (en) 2011-04-11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in user equipment of sup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0369B2 (en) * 2007-05-01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handling in long-term evolution systems
US8891458B2 (en) 2007-12-05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380214B2 (en) 2008-03-31 2013-02-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identifiers for enhanced dedicated channels in cell forward access channel states
EP2286616A2 (en) * 2008-04-25 2011-0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8588151B2 (en) * 2008-08-08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capability update
US8670376B2 (en) 2008-08-12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grant design
US9232441B2 (en) 2009-08-31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rate selection
MX2013011811A (es) * 2011-04-13 2014-01-23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gestion del bufer del soft con base de las categorias de los equipos del usuario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US20120296817A1 (en) * 2011-05-20 2012-11-22 Powell Ken R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products and services
CN104205903A (zh) * 2012-03-14 2014-12-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确定终端在其空闲状态和其连接状态之间的转换
CN109963355B (zh) 2012-05-29 2023-03-28 富士通互联科技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无线站以及基站
CN104737610B (zh) * 2012-10-26 2019-06-1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管理多个通信信道的方法和装置
CN104396304B (zh) * 2013-05-31 2018-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708920B2 (en) * 2015-03-03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evice capability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90034147A (ko) * 2016-07-28 2019-04-0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N108810876A (zh) * 2017-05-05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1182524B (zh) * 2018-11-09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能力、能力标识的指示方法、获取方法和通信设备
WO2020191767A1 (zh) * 2019-03-28 2020-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配能力标识的方法和设备
CN117062050A (zh) * 2022-05-06 2023-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画像信息获取、发送方法、设备、管理单元及网元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412A (en) 1994-06-15 1997-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nd rate negoti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006091A (en) 1996-12-12 1999-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informing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oper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terminal located therein
FI105986B (fi) * 1997-11-26 2000-10-31 Nokia Networks Oy Tilaajan palveluprofiilit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7092696B1 (en) * 1998-10-13 2006-08-15 Nortel Networks Limited Accou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network
US6658254B1 (en) * 1998-12-31 2003-12-02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ation of a public multimedia communications terminal
US6449479B1 (en) * 1999-04-30 2002-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ubscriber service modification
US6920455B1 (en) * 1999-05-19 2005-07-19 Sun Microsystems,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managing service-specified data in a profile service
US7130807B1 (en) * 1999-11-22 2006-10-31 Accenture Llp Technology sharing during demand and supply planning in a network-based supply chain environment
US6829696B1 (en) * 1999-12-30 2004-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ata processing system with register store/load utilizing data packing/unpacking
US6785889B1 (en) * 2000-06-15 2004-08-31 Aurema,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andwidth resources using a Kalman estimator with active feedback
US7239607B1 (en) * 2000-06-30 2007-07-03 Broadband Royalty Corp.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in an asynchronous metro packet transport ring
WO2002044892A2 (en) * 2000-11-28 2002-06-06 4Thpas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nd distributing wireless applications
US7801783B2 (en) * 2000-12-01 2010-09-21 Michael Kend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of rate information
US7180855B1 (en) * 2001-04-19 2007-02-20 At&T Corp. Service interface for QoS-driven HPNA networks
US7027408B2 (en) * 2001-03-05 2006-04-1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ervice profile integration by a service controller
US7363374B2 (en) * 2001-04-27 2008-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ult-tolerant remote boot in the presence of boot server overload/failure with self-throttling boot servers
US7844055B2 (en) 2001-06-26 2010-11-30 Link Us All, Llc Detecting and transporting dynamic presence information over a wireless and wireline communications network
US7266839B2 (en) * 2001-07-12 2007-09-04 J P Morgan Chase Ban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scriminated content to network users
US7227865B2 (en) 2001-08-16 2007-06-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Utiliz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dentifying user equipment resource reservation setup protocol capabilities
US7158792B1 (en) * 2001-09-20 2007-01-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electing a wireless link in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882029B2 (en) * 2001-10-16 2011-0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entralized billing credit system utilizing a predetermined unit of usage
KR100837351B1 (ko)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US7324447B1 (en) * 2002-09-30 2008-01-29 Packeteer,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concurrent classification and control of tunneled and non-tunneled network traffic
US7574731B2 (en) * 2002-10-08 2009-08-11 Koolspan, Inc. Self-managed network access using localized access management
CN100370729C (zh) * 2002-10-15 2008-02-20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分组交换网络中的计费系统和其中的服务单元
US8249615B2 (en) 2002-10-25 2012-08-21 At&T Mobility Ii Llc Delivery of network services
US20040103193A1 (en) * 2002-11-08 2004-05-27 Pandya Suketu J. Response time and resource consumption management in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US7280818B2 (en) * 2004-05-28 2007-10-09 At&T Mobility Ii Llc Mobile device notification with opinions
EP1437912B1 (en) * 2003-01-04 201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US6998985B2 (en) * 2003-03-05 2006-02-14 Dmatek, Ltd. Monitoring and tracking network
US7668903B2 (en) * 2003-07-07 2010-02-2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elivering service profiles to clients
JP4194091B2 (ja) 2003-09-02 2008-12-1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526978B2 (en) 2003-10-29 2013-09-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delivering supplementary services to multi-technology capabl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20050254435A1 (en) * 2003-12-23 2005-11-17 Moakley George 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network connections in a multi-network environment
US20050183143A1 (en) * 2004-02-13 2005-08-18 Anderholm Eric J.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user, application or device activity
US7580857B2 (en) * 2004-04-16 2009-08-25 First Dat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US7130667B2 (en) * 2004-05-14 2006-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peditiously releasing network resources for a mobile station based on low battery and lost signal conditions
US7292159B2 (en) * 2004-07-14 2007-11-06 Spectrum Tracking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cking services to locate an asset
CN1278519C (zh) * 2004-07-30 2006-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将终端能力变化通知给网络的方法
US7421004B2 (en) * 2004-10-05 2008-09-02 Kamilo Feher Broadband, ultra wideband and ultra narrowband reconfigurable interoperable systems
US8015234B2 (en) * 2004-10-08 2011-09-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ministering imaging device notification access control
US8196199B2 (en) * 2004-10-19 2012-06-05 Airdefense, Inc. Personal wireless monitoring agent
US7848768B2 (en) * 2004-12-08 2010-12-07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99608A1 (en) * 2005-03-01 2006-09-07 Kyocera Wireles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otion sensitive roam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713206A1 (en) * 2005-04-11 2006-10-18 Last Mile Communications/Tivis Limited A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wirelessly linked base stations
US7620065B2 (en) * 2005-07-22 2009-11-17 Trellia Networks, Inc. Mobile connectivity solution
US8010080B1 (en) * 2005-07-25 2011-08-30 Sprint Spectrum L.P. Predictive payment sugges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0454949C (zh) * 2005-08-23 2009-01-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获知移动终端业务能力信息的方法
US8156128B2 (en) * 2005-09-14 2012-04-10 Jumptap, Inc. Contextual mobile content place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WO2007035115A1 (en) * 2005-09-20 2007-03-29 David Norris Kenwr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responsive display materials
JP2007105685A (ja) 2005-10-17 2007-04-26 Japan Vilene Co Ltd 生分解性エアクリーナー用濾材
US20070093243A1 (en) * 2005-10-25 2007-04-26 Vivek Kapadekar Device management system
US8005459B2 (en) * 2005-12-16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login credenti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2048B2 (en) * 2005-12-29 2014-09-09 Nextlabs, Inc. Techniques and system to monitor and log access of information based on system and user context using policies
US7720505B2 (en) * 2006-03-07 2010-05-18 Marvell World Trade Ltd. Personal lifestyle device
JP4933531B2 (ja) 2006-03-14 2012-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GB2436417B (en) * 2006-03-22 2008-02-20 Nec Technologies Radio access bearer transfer
US8126468B2 (en) * 2006-03-24 2012-02-28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y call management
US20070224988A1 (en) * 2006-03-24 2007-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between a 3gpp lte network and an alternative wireless network
US7975184B2 (en) * 2006-04-03 2011-07-05 Donald Goff Diagnostic access system
US7680478B2 (en) * 2006-05-04 2010-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activity monitoring for different traffic or service classifications
US7792526B2 (en) * 2006-05-15 2010-09-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djustment of background scanning interval based on network usage
US8300529B2 (en) * 2006-06-14 2012-10-30 Alcatel Lucent Service-centric communication network monitoring
US20080010677A1 (en) * 2006-06-26 2008-01-1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mproved sequence number handling in networks
US8010081B1 (en) * 2006-07-14 2011-08-30 Carrier Iq, Inc. Auditing system for wireless networks
US8064391B2 (en) * 2006-08-22 2011-11-22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optimizing network performance to a wireless device
US9288276B2 (en) * 2006-11-03 2016-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lication services infrastructure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including a notification capability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941184B2 (en) * 2006-11-10 2011-05-10 Dell Products L.P.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nd/or tracking use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mponents
US20080167033A1 (en) * 2007-01-04 2008-07-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Based Network Selection
US8966383B2 (en) * 2007-01-07 2015-02-24 Patrice Gautier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ctivation
KR101430442B1 (ko) * 2007-01-08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능력 관리를 통한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단말
US20080180391A1 (en) * 2007-01-11 2008-07-31 Joseph Auciello Configurable electronic interface
US8015133B1 (en) * 2007-02-20 2011-09-06 Sas Institute Inc. Computer-implemented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computer network intrusions
US8243597B2 (en) * 2007-03-01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layer synchronous traffic shaping
US7986935B1 (en) * 2007-10-26 2011-07-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ervice plan optimizer
US8108522B2 (en) * 2007-11-14 2012-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definition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application information
US8000688B2 (en) * 2008-02-01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Quality of service for grouped cellular devices
US8265017B2 (en) * 2008-04-11 2012-09-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apac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coexistence
US8209744B2 (en) * 2008-05-16 2012-06-2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assisted secure computer network communication
US20100192207A1 (en) * 2009-01-28 2010-07-29 Gregory G. Raleigh Virtual service provider systems
US7673705B2 (en) * 2008-06-06 2010-03-09 The Gearhart Companies, Inc. Compartmentalized MWD tool with isolated pressure compensator
US7617616B1 (en) * 2008-09-29 2009-11-17 Berg Roger M Dimensional weight box measuring devi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989B2 (en) 2011-01-18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E capability report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204289B2 (en) 2011-02-15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user equipment catego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75265B2 (en) 2011-02-15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of UE
WO2012111973A3 (en) * 2011-02-15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user equipment catego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98076B2 (en) 2011-02-15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of UE
US20180310259A1 (en) 2011-02-15 2018-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of ue
US9999044B2 (en) 2011-04-05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645691B2 (en) 2011-04-05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1284391B2 (en) 2011-04-05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660108B2 (en) 2011-04-1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USRE49815E1 (en) 2011-04-11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in user equipment of sup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10334560B2 (en) 2011-05-03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86528A1 (en) 2011-05-03 2016-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8709C (en) 2016-03-15
JP5139436B2 (ja) 2013-02-06
CA2808709A1 (en) 2008-04-10
TW200917705A (en) 2009-04-16
TWI390879B (zh) 2013-03-21
US20090093280A1 (en) 2009-04-09
KR101093416B1 (ko) 2011-12-14
CN101523939B (zh) 2016-11-09
JP2010510694A (ja) 2010-04-02
CN101523939A (zh) 2009-09-02
US9137844B2 (en)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416B1 (ko) 사용자 장비 능력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26630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US11317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ased on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34559B2 (en) PICH-HS timing and operation
RU24262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зма выбора между ofdm-mimo и lfdm-simo
CN103069735B (zh) 多点高速下行链路分组接入网络中的时序控制
KR101588196B1 (ko) Fdd 캐리어 집합화를 위한 dai 설계들
KR10116076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둘 이상의 캐리어들의 세트가 할당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캐리어 관리
JP5301027B2 (ja) デュアルセル高速アップリンクパケットアクセス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00032912A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507843A (ja) 効率的な復号のための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
JP2011239388A (ja) ワイヤレ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適用する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cc)失活タイマーの方法と装置
KR20160039237A (ko)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전력 스캐일링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809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based on the ACK channel
TW201215206A (en) Alternate transmission scheme for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CN102791027B (zh)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的调度方法及系统
TW201136367A (en) Common channel configuration to facilitate measurement for handover in TD-SCDMA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