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738A -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738A
KR20090118738A KR1020080044705A KR20080044705A KR20090118738A KR 20090118738 A KR20090118738 A KR 20090118738A KR 1020080044705 A KR1020080044705 A KR 1020080044705A KR 20080044705 A KR20080044705 A KR 20080044705A KR 20090118738 A KR20090118738 A KR 2009011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show
service
character
cli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버츄얼삼디아시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츄얼삼디아시아(주) filed Critical 버츄얼삼디아시아(주)
Priority to KR102008004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8738A/ko
Publication of KR2009011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게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동영상 패션쇼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때 패션쇼 서비스의 진행에 따라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제공되는 상품의 구매를 선택할 때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며, 구매 프로세스의 실행이 종료될 때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활성화, 서비스 경쟁력의 증진 및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 충족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BY USING 3D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캐릭터를 이용하여 패션쇼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터넷 및 통신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달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각종 제품 또는 서비스 등을 온라인으로 판매 또는 구매하는 온라인 비즈니스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패션 의류, 패션 소품(예컨대, 신발, 액세서리 등) 등과 관련된 온라인 비즈니스의 경우 폭발적인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패션 의류, 패션 소품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판매하고자 하는 의류들의 영상 정보, 각 의류의 상세(예컨대, 재질, 색상, 기능, 사이즈 등) 정보, 패션 소품의 영상 정보, 각 패션 소품의 제원 정보 등을 온라인 쇼핑 몰 샵에 제공하며, 이용자(클라이언트)들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소품 등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이용자의 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아바타 등을 이용하는 온라인 서핑을 통해 패션 의류, 패션 소품 등을 온라인 구매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패션 의류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고, 이용자(클라이언트)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패션 의류 또는 패션 소품 등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이 기술분야에서 아주 일반화된 모델인 것으로,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은 서비스 경쟁력 관점에서 볼 때 각별한 차별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온라인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와는 다른 차별화된 서비스, 즉 이용자들의 감성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의 차별성을 갖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비즈니스의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혁신적인 제안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의 일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션쇼 동영상 DB와,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DB와,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션쇼 동영상 DB에 저장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고,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상품 정보 DB에 저장된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캐릭터에 착용된 각 상품들에 대한 판매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의 제공에 응답하여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대응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게 링크시킨 후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간에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대응하는 상품 판매 서버와 링크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가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의 제공에 응답하여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션쇼 동영상 DB와,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션쇼 동영상 DB에 저장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고,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구매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각 판매 사이트별 가격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가격 비교 정보에 의거하여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판매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를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 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쇼핑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선택 상품의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중의 하나를 선택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된 상품 가격을 제시한 대응 상품 판매 서버로 링크시키는 과정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대응 상품 판매 서버간에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대응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동영상 패션쇼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때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패션 의류, 패션 소품 등)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예컨대, 우측, 좌측, 상측, 하측 등)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구매 프 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패션과 관련된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 비즈니스의 서비스 경쟁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동영상 패션쇼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거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클라이언트에게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동영상 패션쇼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때 패션쇼 서비스의 진행에 따라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패션 의류, 패션 소품 등)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예컨대, 우측, 좌측, 상측, 하측 등)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제공되는 상품의 구매를 선택할 때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며, 구매 프로세스의 실행이 종료될 때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온라인 쇼핑 서비스의 활성화, 서비스 경쟁력의 증진 및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 충족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원 정보는, 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가격 등이 될 수 있으며, 상품의 판매사명 또는 제조사명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복합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다수의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로 된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102), 다수의 무선 클라이언트(104/1 - 104/n)로 된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104), 무선 통신망(106), 네트워크(108),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 회원 정보 DB(112), 패션쇼 동영상 DB(114), 상품 정보 DB(116), 상품 판매 서버(118) 및 상품 DB(120)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102) 내 각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들은, 예컨대 전용선, ADSL, 모뎀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 가능한 유선 단말(예컨대, PC 시스템, 유선 통신 단말 등)인 것으로, 이러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의 사용자들은,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예컨대,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이를 통한 상품 구매 서비스 등) 등을 온라인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104) 내 각 무선 클라이언트(104/1 - 104/n)들은, 예컨대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106)과 네트워크(1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 가능한 무선 단말(예컨대, PCS, 셀룰러폰, PDA, IMT-2000 단말, DMB폰, PMP(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인 것으로, 이러한 각 무선 클라이언 트(104/1 - 104/n)의 사용자들은,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예컨대,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이를 통한 상품 구매 서비스 등) 등을 온라인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각 무선 클라이언트 사용자들은 네트워크(108) 또는 무선 통신망(106)과 네트워크(1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로 접속하여 회원 정보(예컨대, 성명, 성별, 나이, 이메일 주소, 집 주소, 휴대폰번호 등)를 제공함으로써 쇼핑 서비스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다음에,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는 네트워크(108) 또는 무선 통신망(106)과 네트워크(108)를 통해 접속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각 무선 클라이언트에게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패션쇼 동영상의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즉, 겉옷, 속옷, 신발, 액세서리 등)들에 대한 판매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가 각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각 무선 클라이언트에게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서비스와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회원 정보 DB(112)에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쇼핑 서비스 회원으로 등록한 각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회원 정보(예컨대, 성명, 성별, 나이, 이메일 주소, 집 주소, 휴대폰번호 등)들이 저장되고, 패션쇼 동영상 DB(114)에는 다수의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상품 정보 DB(116)에는 패션쇼 동영상에 있는 각 3D 캐릭터들이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예컨대, 상품의 정지영 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재질, 색상, 기능, 사이즈, 가격 등)들이 저장된다.
다음에, 상품 판매 서버(118)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에 대한 비즈니스, 예컨대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신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하여 판매 등록을 요청하는 등의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사업자 단말 또는 사업자 서버(즉,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사업자 회원으로 등록된 사업자 단말 또는 사업자 서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품 DB(120)에는 해당 사업자가 온라인 쇼핑을 통해 판매하고자하는 각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지 하나의 상품 판매 서버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상품 판매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들에게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의의 클라이언트(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 트)가 네트워크(108) 또는 무선 통신망(106)과 네트워크(108)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면(단계 202),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패션쇼 동영상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패션쇼 선택 항목 등을 메인 화면 데이터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다음에,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화면상의 패션쇼 선택 항목을 클릭(패션쇼 동영상 서비스 선택)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패션쇼 선택 항목을 클릭하면,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패션쇼 동영상 DB(114)로부터 다수의 패션쇼 동영상 목록(또는 제목) 등을 포함하는 패션쇼 리스트 정보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며(단계 206), 그 결과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 상에는 패션쇼 리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패션쇼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패션쇼 동영상들 중의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하나의 패션쇼 동영상을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대상 선택신호가 발생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된다(단계 208).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패션쇼 동영상 DB(114)로부터 서비스 선택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한다(단계 210).
여기에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에는 3D 캐릭터들이 착용한 상품(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에 대한 제원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원 정보들은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가 진행(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디스플레이)될 때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예컨대, 우측, 좌측, 상측, 하측 등)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상품의 제원 정보는, 예컨대 해당 상품의 정지 영상, 상품명, 가격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우측)에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12).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패션쇼 동영상 화면상의 제원 정보를 보고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선택할 수 있는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단계 214),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 정지시킨 후 상품 정보 DB(116)로부터 구매 선택한 상품의 상세 정보(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재질, 색상, 기능, 사이즈, 가격 등)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단계 216, 218). 이와 동시에,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구매 관련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요구한다(단계 220). 여기에서, 구매 관련 정보는, 예컨대 배송지 주소, 수령자, 전화번호, 결제(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온라인 입금 등)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이어서,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한 후 최종적으로 구매를 신청하면(단계 222, 224),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판매 서비스 등)를 실행한다(단계 226).
여기에서, 구매 프로세스는 비용 결제를 승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회원 정보 DB(112)에 저장하며, 구매 신청한 상품의 구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2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한다(단계 2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변형 예의 쇼핑 서비스 방법은, 구매 프로세스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가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 서버(118)가 실행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가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련의 과정들, 즉 도 2에 도시된 단계 202에서부터 단계 222까지의 과정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3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신청하는 단계부터 도시하였 다.
즉,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를 신청하면(단계 302),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받은 구매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108)를 통해 상품 판매 서버(118)로 전송한다(단계 304).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와 상품 판매 서버(118)간을 링크시키며(단계 306), 그 결과 상품 판매 서버(118)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판매 서비스 등)를 실행한다(단계 308). 여기에서, 구매 프로세스는 비용 결제를 승인하고, 구매 신청한 상품의 구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310)에서는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상품 판매 서버(118)와 해당 클라이언트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한다(단계 312, 314).
즉, 본 변형 예에 따르면, 패션쇼 서비스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구매 선택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등의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상품 판매 서버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가 제공해 준 구매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와의 구매 프로세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다른 변형 예의 쇼핑 서비스 방법은, 구매 프로세스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가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 서버(118)가 실행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가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련의 과정들, 즉 도 2에 도시된 단계 202에서부터 단계 212까지의 과정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4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는 단계부터 도시하였다.
즉,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단계 402),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 정지시킨 후(단계 404), 해당 클라이언트와 상품 판매 서버(118)간을 링크시킨다(단계 406).
다음에, 상품 판매 서버(118)에서는 후 상품 DB(120)로부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상세 정보(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재질, 색상, 기능, 사이즈, 가격 등)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 언트에게 전송한다(단계 408). 이와 동시에, 상품 판매 서버(118)에서는 구매 관련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요구한다(단계 410). 여기에서, 구매 관련 정보는, 예컨대 배송지 주소, 수령자, 전화번호, 결제(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온라인 입금 등)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이어서,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관련 정보를 상품 판매 서버(118)로 제공한 후 최종적으로 구매를 신청하면(단계 412, 414), 상품 판매 서버(118)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판매 서비스 등)를 실행한다(단계 416).
여기에서, 구매 프로세스는 비용 결제를 승인하고, 구매 신청한 상품의 구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상품 판매 서버(118)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를 회원 정보 DB(112)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418)에서는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품 판매 서버(118)에서는 이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로 통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110)에서는 상품 판매 서버(118)와 해당 클라이언트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한다(단계 420, 422).
즉, 본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패션쇼 서비스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상품 판매 서버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해당 클라이언트와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다수의 유선 클라이언트(502/1 - 502/n)로 된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502), 다수의 무선 클라이언트(504/1 - 504/n)로 된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504), 무선 통신망(506), 네트워크(508),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 회원 정보 DB(512), 패션쇼 동영상 DB(514), 가격 비교 서버(516), 가격 비교 정보 DB(518), 상품 판매 서버(520) 및 상품 DB(522) 등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5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 접속 가능한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502) 내의 각 유선 클라이언트(502/1 - 502/n)들과 무선 통신망(506)과 네트워크(5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 접속 가능한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504)내의 각 무선 클라이언트(504/1 - 504/n)들은, 도 1에 도시된 서로 대응하는 각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재들이고, 상품 판매 서버(520)와 상품 DB(522) 또한 도 1에 도시된 대응하는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재들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부 재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는, 전술한 실시 예1과는 달리, 패션쇼 동영상에서 3D 캐릭터들이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DB를 구비하지 않는데, 이것은 구매 서비스의 실행시에 상품 판매 서버(510)가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구매 선택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는,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진행하는 중에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로부터 구매 선택신호가 제공되면, 구매 선택한 상품의 제원 정보를 인출하여 네트워크(508)를 통해 가격 비교 서버(516)로 전송함으로써 구매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정보를 요청하고, 가격 비교 서버(516)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리스트가 수신될 때 이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원 정보는, 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등이 될 수 있다.
즉, 가격 비교 서버(516)는 온라인 판매를 목적으로 준비된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각 사이트(즉, 상품 판매 서버)별 가격 정보를 수집하여 각 상품별 가격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되는 가격 비교 정보를 가격 비교 정보 DB(518)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 가격 비교 정보 DB(518)로부터 해당 상품의 각 사이트별 가격 비교 정보를 인출하여 가격 비교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되는 가격 비교 리스트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각 사이트(상품 판매 서버)별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가격 비교 리스트에는 각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가격 비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 가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선택된 상품 가격에 대응하는 상품 판매 서버(예컨대, 520)와 해당 클라이언트간을 링크시키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다음에, 상품 판매 서버(520)는 해당 클라이언트와의 링크를 통해 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품 구매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과정들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지 하나의 상품 판매 서버(상품 판매 사이트)만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상품 판매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들에게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클라이언트(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 가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 접속하여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련의 과정들, 즉 단계 602에서부터 단계 616에서의 각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202에서부터 단계 216까지의 대응 과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구매를 선택한 이후(즉,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시정지 이후)부터의 단계(618)부터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선택하면,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서는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정지 시킨 후, 구매 선택된 상품의 제원 정보(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등)를 인출하여 네트워크(508)를 통해 가격 비교 서버(516)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618).
이에 응답하여, 가격 비교 서버(516)에서는 가격 비교 정보 DB(518)를 탐색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각 사이트(각 상품 판매 서버)별 가격 정보를 인출하여 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리스트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가격 비교 리스트는 네트워크(508)를 통해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로 전송된다(단계 620). 이때, 가격 비교 리스트에는 각 사이트들에 대한 링크 정보(사이트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어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는 가격 비교 서버(516)로부터 제공받은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 자로부터의 상품 가격 선택을 대기한다(단계 622, 624).
다음에,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구매 신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서는 선택된 상품 가격을 제시한 대응 상품 판매 서버(예컨대, 도 5의 520)와 해당 클라이언트간을 링크시킨다(단계 626).
이후, 상품 판매 서버(520)에서는 후 상품 DB(120)로부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상세 정보(예컨대, 상품의 정지영상, 상품명, 판매사명(또는 제조사명), 재질, 색상, 기능, 사이즈, 가격 등)를 인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단계 628). 이때, 상품 판매 서버(520)는 구매 관련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요구하는데(단계 630), 이러한 구매 관련 정보는, 예컨대 배송지 주소, 수령자, 전화번호, 결제(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온라인 입금 등)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구매 관련 정보를 상품 판매 서버(520)로 제공한 후 최종적으로 구매를 신청하면(단계 632), 상품 판매 서버(520)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판매 서비스 등)를 실행한다(단계 634).
여기에서, 구매 프로세스는 비용 결제를 승인하고, 구매 신청한 상품의 구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로 전송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패션쇼 서비스 서 버(510)에서는 상품 판매 서버(52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를 회원 정보 DB(512)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636)에서는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품 판매 서버(520)에서는 이를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로 온라인 통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패션쇼 서비스 서버(510)에서는 상품 판매 서버(520)와 해당 클라이언트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한다(단계 638, 640).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패션쇼 서비스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패션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가격 비교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 판매 서버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해당 클라이언트와의 구매 프로세스(판매 서비스)를 수행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클라이언트가 구매 선택한 상품의 가격 비교 정보를 가격 비교 서버(가격 비교 사이트)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격 비교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패션쇼 서비스 서버가 직접 각 상품의 가격 비교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여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복합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한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와 더불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동영상 패션쇼 서비스를 제공할 때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602 :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
102/1 -102/n, 602/1 -602/n : 유선 클라이언트
104, 604 :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
104/1 -104/n, 604/1 -604/n : 무선 클라이언트
106, 606 : 무선 통신망
108, 608 : 네트워크
110, 610 : 패션쇼 서비스 서버
112, 612 : 회원 정보 DB
114, 614 : 패션쇼 동영상 DB
116 : 상품 정보 DB
118, 620 : 상품 판매 서버
120, 622 : 상품 DB
616 : 가격 비교 서버
618 : 가격 비교 정보 DB

Claims (27)

  1.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션쇼 동영상 DB와,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DB와,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션쇼 동영상 DB에 저장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고,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상품 정보 DB에 저장된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캐릭터에 착용된 각 상품들에 대한 판매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4.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의 제공에 응답하여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상기 패션쇼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포함하는 패션쇼 리스트를 인출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리스트에서 특정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선택할 때,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8.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 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대응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게 링크시킨 후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간에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상기 패션쇼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포함하는 패션쇼 리스트를 인출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리스트에서 특정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선택할 때,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방법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가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 이력 정보를 상기 패션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 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3.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대응하는 상품 판매 서버와 링크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가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구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관련 정보의 제공에 응답하여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상기 패션쇼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포함하는 패션쇼 리스트를 인출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리스트에서 특정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선택할 때,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방법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가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 이력 정보를 상기 패션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18.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션쇼 동영상 DB와,
    클라이언트의 패션쇼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션쇼 동영상 DB에 저장된 패션쇼 동영상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고,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구매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각 판매 사이트별 가격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패션쇼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가격 비교 정보에 의거하여 구매 신청한 상품에 대한 판매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
    를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상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비교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가격 비교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22.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패션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특정 클라이언트의 쇼핑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3D 캐릭터를 이용한 패션쇼 동영상을 인출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서비스 진행에 따라 상기 3D 캐릭터가 착용한 상품들의 제원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패션쇼 동영상 화면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동영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중의 하나를 구매 선택할 때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시킨 후 선택 상품의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중의 하나를 선택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를 선택된 상품 가격을 제시한 대응 상품 판매 서버로 링크시키는 과정과,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대응 상품 판매 서버간에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와 대응 상품 판매 서버간의 링크를 해제시킨 후 상기 패션쇼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상기 패션쇼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포함하는 패션쇼 리스트를 인출하여 상기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패션쇼 리스트에서 특정 패션쇼 동영상 목록을 선택할 때,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비교 리스트 정보는, 상기 선택 상품의 가격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가격 비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방법은,
    상기 상품 판매 서버가 상기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 이력 정보를 상기 패션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원 정보는, 상품의 정지영상과 상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방법.
KR1020080044705A 2008-05-14 2008-05-14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8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05A KR20090118738A (ko) 2008-05-14 2008-05-14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05A KR20090118738A (ko) 2008-05-14 2008-05-14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738A true KR20090118738A (ko) 2009-11-18

Family

ID=4160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05A KR20090118738A (ko) 2008-05-14 2008-05-14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8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135A1 (de) 2009-12-02 2011-06-09 Hyundai Motor Company Motor mit Benzindirekteinspritzung
WO2017082476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디지워크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행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135A1 (de) 2009-12-02 2011-06-09 Hyundai Motor Company Motor mit Benzindirekteinspritzung
WO2017082476A1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디지워크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행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042B2 (en) Geo location questing
US201400952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and Sale Promotion
US20140344038A1 (en) Sales promotion device, sales promotion system, and sales promotion method
CN108520453A (zh) 一种基于实体商业的线上全景购物方法及系统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JP2020530934A (ja) 生地固有識別子を利用したオフライン店舗連携の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サービスの提供方法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20170125619A (k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연동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KR20060083034A (ko) 온라인 게임 및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방법
JP2011150570A (ja) サーバ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用のプログラム
US2015004623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and sale promotion
KR20120076618A (ko)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37792B1 (ko) 온라인 상의 상품판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20090118738A (ko) 3d 캐릭터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8631A (ko) 전자 카탈로그를 이용한 의류 비즈니스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952371B1 (ko) 원클릭 쇼핑몰 상품 등록 관리에 의한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8803A (ko) 전자적 상품 판매 시스템 및 전자적 상품 판매 서비스 방법
KR20150077577A (ko) 의류 상품 관리 및 구매 시스템
KR20130101383A (ko) 판매 정보 제공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US9898751B1 (en) Direct purchase of merchandise
KR101964320B1 (ko) 브랜드 클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브랜드 클럽 관리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단말 장치
KR20090039962A (ko) 아바타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06857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4101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