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294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294A
KR20090118294A KR1020080043998A KR20080043998A KR20090118294A KR 20090118294 A KR20090118294 A KR 20090118294A KR 1020080043998 A KR1020080043998 A KR 1020080043998A KR 20080043998 A KR20080043998 A KR 20080043998A KR 20090118294 A KR20090118294 A KR 2009011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heater
purified wa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철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8294A/ko
Publication of KR2009011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 탱크의 정수를 가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히터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트랩; 상기 공기 트랩에 연결되고,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 트랩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를 판단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 및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언제나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취출할 수 있다.
정수기, 공기 트랩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된 물을 얻을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정수기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정수 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정수 탱크의 물이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에는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 탱크에는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수 탱크에는 일정한 수위의 정수가 채워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저수위 센서와 고수위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위 센서는 온수 탱크의 높이 중앙이나 그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수위 센서는 저수위 센서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정수기는 히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위 센서에서 정수가 감지될 때에만 히터가 가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저수위 센서에서 정수가 감지될 때부터 히터를 가동하므로, 상기 히터와 저수위 센서 사이에 정수가 채워졌을 때에는 히터가 가동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저수위 센서에서 정수가 감지된 후에는 많은 양의 정수를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온수 탱크의 정수가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되기 전까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취출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히터는 일정한 수위에서만 획일적으로 발열되므로, 일정한 발열량을 갖는 히터를 사용하여 온수를 가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정수기의 제조 단가가 증가하였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저수위 센서에 정수가 채워질 때까지 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정수의 수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기 곤란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언제나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취출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의 용량과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 탱크 내부에서 온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히터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트랩; 상기 공기 트랩에 연결되고,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 트랩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를 판단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 및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저장부는, 정수가 공급되고, 상기 공기 트랩이 배치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트랩은, 상기 히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수용부; 및 상기 공기 수용부와 감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의 공기압 변화 를 상기 감지부에 전달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용부와 튜브는 상기 정수탱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수용부는 상기 정수 탱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정수에 잠길 때부터 히터를 발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트랩을 통해 감지된 공기압이 커질수록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언제나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의 용량과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탱크 내부에서 온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는 물저장부(110), 히터(140), 공기 트랩(150), 감지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10)는 필터부(미도시)에서 여과된 정수가 공급되는 정수탱크(120)와, 상기 정수탱크(120)와 연결되는 온수탱크(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120)에는 냉수탱크(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정수탱크(120)에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관(12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21)에는 유입관(121)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1밸브(1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120)와 온수탱크(130)는 연결관(131)과 오우버 플로우관(1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31)은 정수탱크(120)와 온수탱크(130)의 하측을 연결하고, 상기 오우버 플로우관(135)은 정수 탱크와 온수탱크(130)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31)에는 연결관(131)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2밸브(1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1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130)는 물의 끓는 점인 대략 100℃ 정도의 온도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탱크(130)의 외측은 방열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부재(미도시)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히터(140)는 물저장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40)는 온수탱크(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트랩(150)은 상기 히터(140)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트랩(150)은 히터(140)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높은 위치(H)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가 정수에 의해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발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히터(140)가 손상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트랩(150)은 히터(140)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 수용부(151)와, 상기 공기 수용부(151)와 감지부(160)를 연결하는 튜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용부(151)와 튜브(153)는 상기 정수탱크(1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수용부(151)는 상기 정수탱크(12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수용부(151)와 튜브(153)에 의해 상기 정수탱크(120)의 내부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수용부와 튜브(151)는 정수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튜브(153)는 대략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120) 내부에 정수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상기 공기 수용부(151)의 공기가 정수에 의해 점차적으로 고압으로 압축될 것이다.
상기 공기 트랩(150)에는 공기 트랩(150)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16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60)는 튜브(153)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60)는 공기 트랩(150)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또는 압력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제1밸브(123), 제2밸브(133), 감지부(160) 및 히터 구 동부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구동부에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140)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에서 감지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110)의 수위를 판단하여 상기 물저장부(110)에 물을 공급 및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는 정수탱크(120)의 정수가 최대 수위일 경우의 상한치 압력과, 상기 정수탱크(120)에 정수 공급이 필요한 경우의 하한치 압력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한치 압력은 정수탱크(120)의 수위가 오우버 플로우관(135)보다 낮을 경우의 압력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한치 압력은 히터(140)의 정수에 의해 잠길 경우의 압력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한치 압력 및 하한치 압력은 상기 정수탱크(120)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에서 감지된 공기 트랩(150)의 공기압이 기 설정된 상한치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밸브(123)를 닫아 상기 정수탱크(120)에 공급되는 정수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공기 트랩(150)의 공기압이 기 설정된 하한치 압력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밸브(123)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탱크(120)에 정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1밸브(123)가 개방될 때에 상기 연결관(131)의 제2밸브(133)도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탱크(120)와 온수탱크(130)는 수위가 거의 동일해지므로, 상기 공기 트랩(150)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130)의 수위가 실 시간으로 인지 및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120)에 정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제2밸브(133)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탱크(120)의 물이 온수탱크(1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정수탱크(120)의 수위는 상기 온수탱크(130)의 수위와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공기 트랩(150)에 의해 실시간으로 온수탱크(130)의 수위가 인지 및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기 트랩(150)을 통해 감지된 압력에 의해 상기 히터(140)가 잠길 정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14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40)는 상대적으로 저온 발열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의 최초 발열 시간이 현저히 빨라지게 되므로 상기 온수탱크(130)의 정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상기 공기 트랩(150)에서 감지된 공기압이 커질수록 히터(140)의 발열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130)에 정수량이 많아지더라도 상기 온수탱크(130)의 정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탱크(130)에 정수가 공급되는 동안에도 거의 목표 온도로 가열된 정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130)에 히터(140)가 잠길 정도의 최소한의 정수가 채워지기만 하면 정수를 가열하므로, 상기 히터(140)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더라도 정수를 충분히 목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140)의 용량이 감소됨에 따라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언제나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취출할 수 있고, 히터의 용량과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온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물저장부 120: 정수탱크
130: 온수탱크 140: 히터
150: 공기 트랩 151: 공기 수용부
153: 튜브 160: 감지부
170: 제어부

Claims (6)

  1.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히터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트랩;
    상기 공기 트랩에 연결되고,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 트랩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를 판단하여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 및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정수가 공급되고, 상기 공기 트랩이 배치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트랩은:
    상기 히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수용부; 및
    상기 공기 수용부와 감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공기 수용부의 공기압 변화를 상기 감지부에 전달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용부와 튜브는 상기 정수탱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수용부는 상기 정수 탱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정수에 잠길 때부터 히터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트랩을 통해 감지된 공기압이 커질수록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80043998A 2008-05-13 2008-05-13 정수기 KR20090118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98A KR20090118294A (ko) 2008-05-13 2008-05-1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98A KR20090118294A (ko) 2008-05-13 2008-05-13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94A true KR20090118294A (ko) 2009-11-18

Family

ID=4160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998A KR20090118294A (ko) 2008-05-13 2008-05-1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8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4003B2 (en) 2015-10-21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4003B2 (en) 2015-10-21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8932B2 (ja) ボイラ内の液面を決定する方法
US11703254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electric water heater
NL1029676C2 (nl)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een verwarmd fluïdum en verwarminrichting daarvoor.
JP5705332B2 (ja) 瞬間湯沸器
CN208294634U (zh) 一种节温器及发动机总成
CN206656336U (zh) 一种智能蒸汽产生器
KR20090118294A (ko) 정수기
KR20090028825A (ko)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모스탯을 갖는 음료 제조장치
JP5422190B2 (ja) 熱媒注入方法
KR102066417B1 (ko)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CN104676728A (zh) 燃电互补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10080034A (ko) 온수탱크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CN207484136U (zh) 一种蒸气设备
KR102512617B1 (ko) 온수공급시스템.
CN207112763U (zh) 一种水位调节系统
JP4934646B2 (ja) 湯張り装置
CN107687631A (zh) 一种水位调节系统及方法
CN204478517U (zh) 一体式储水燃气热水器装置
KR101114764B1 (ko) 물 공급 장치
KR200344660Y1 (ko) 온수 공급 장치
KR102010888B1 (ko) 온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5187028B2 (ja) ウォータサーバ
KR101564264B1 (ko) 온수가열시스템, 온수가열시스템의 물의 유무 탐지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135819B1 (ko) 물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