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524A - 보트 - Google Patents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524A
KR20090117524A KR1020080043615A KR20080043615A KR20090117524A KR 20090117524 A KR20090117524 A KR 20090117524A KR 1020080043615 A KR1020080043615 A KR 1020080043615A KR 20080043615 A KR20080043615 A KR 20080043615A KR 20090117524 A KR20090117524 A KR 20090117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power transmission
propulsion
frame
transmiss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0800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524A/ko
Priority to PCT/KR2009/002433 priority patent/WO2009136761A2/ko
Publication of KR2009011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5Accessories, e.g. sticks for water wal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H25/381Rudders with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운반 이동성이 우수하며 추진시 물살이 적고 보다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는 보트가 개시된다.
상기한 보트는 좌우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어느 일영역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물과의 저항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재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트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구동부와 추진부재를 통해 육상에서 운반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넓은 판 형상의 추진부재가 물속에 잠긴 상태로 상하운동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므로 추진시 물살이 적고 보다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트, 추진부재, 승강 운동, 조립식

Description

보트{boat}
본 발명은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위에서 동력원 없이 운전될 수 있는 물놀이용 또는 낚시용 무동력 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저인구가 증가하면서 물놀이, 낚시 등과 같이 수상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많은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레저용 보트의 이용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레저용 보트는 동력식 모터 또는 수동식 노를 이용하여 보트를 구동시키는 방식, 또는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얻어진 동력에 의한 추진력으로 수면위를 부상한 채 주행되는 방식이 있다.
모터를 동력수단으로 사용하는 보트의 경우 소정의 속도를 필요로 하므로, 이용자 측면에서는 스릴이나 쾌감 등을 최대한 느낄 수 있으나, 이에 비례하여 위험부담도 큰 것이 사실이다.
또한, 수동식 노를 이용하여 보트를 구동시키는 방식은 추진력을 얻는 수단이 팔로서, 탑승자의 팔로 노를 저어야만 보트가 구동되므로, 탑승자의 팔에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얻어진 동력에 의한 추진력으로 수면위를 부상한 채 주행되는, 소위 오리배는 발로 페달을 밟아 물레방아 또는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체에 의해 얻어진 추진력으로 주행한다.
그런데, 소위 오리배는 구동시 물 위에 떠다니는 수초나 그물이 구동축 등에 감겨지는 경우 수초나 그물 등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물 위에서 수초나 그물에 의해 구동이 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한, 수동식 노를 이용하는 보트나 오리배가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동식 노와 물레방아 또는 프로펠러에 의해 인위적인 물살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낚시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운반 이동성이 우수하며 추진시 물살이 적고 보다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는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는 좌우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어느 일영역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물과의 저항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재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탑승자의 발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전환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환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도르레, 및 상기 도르레에 권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시 일부분이 수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부재는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도록 오리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부재는 서로 엇갈려서 승강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진부재는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승강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추진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조정바, 및 상기 조정바에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추진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향타는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구동부와 추진부재를 통해 육상에서 운반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넓은 판 형상의 추진부재가 물속에 잠긴 상태로 상하운동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므로 추진시 물살이 적고 보다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트(100)는 부력체(120), 프레임부(140), 구동부(160), 및 방향조정부(190)를 포함한다.
부력체(120)는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양끝이 뾰족한 길다란 일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120)는 공기 주입식 튜브일 수 있다.
또한, 부력체(120)의 상면과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체결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122)에 프레임부(140)가 끼워져서 일체식으로 나란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구(122)는 프레임부(140)가 삽입되는 체결홀(122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부력체(120)는 프레임부(14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140)는 부력체(120)에 결합되어 승선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부(140)는 제1 프레임(142), 제2 프레임(144), 제3 프레임(146), 및 탑승유닛(148)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42)는 부력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앞쪽에 배치되도록 부력 체(120)에 결합되어 부력체(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프레임(142)은 'ㅠ'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42)의 상부측 끝단은 부력체(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체결구(122)에 결합되고,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의 끝단은 부력체(1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체결구(12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42)의 각 단부는 부력체(120)에 구비되는 체결구(122)의 체결홀(122a)에 결합된다. 제1 프레임(142)을 부력체(120)에 결합시킬 때, 부력체(1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이후 부력체(12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제1 프레임(142)은 부력체(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부력체(120)에 결합된다.
제2 프레임(144)은 부력체(120)의 길이방향으로 가운데에 배치되도록 부력체(120)에 결합된다. 또한, 제2 프레임(144)도 부력체(120)에 결합되어 부력체(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144)도 'ㅠ'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4)의 부력체(120)에의 결합방식은 제1 프레임(142)이 부력체(12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프레임(144)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단부가 수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42)과 제3 프레임(144)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보다 제2 프레임(144)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44)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단부에는 구동부(160)가 장착되는 회동축(144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144)이 부력체(120)에 결합되어 보트(100)가 물위에 떠 있는 경우 회동축(144a)은 수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44)의 상부측에는 브라켓(144b)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46)은 부력체(120)의 길이방향으로 뒤쪽에 배치되도록 부력체(120)에 결합되어 부력체(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3 프레임(146)은 'ㅠ'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46)의 부력체(120)에의 결합방식은 제1 프레임(142)이 부력체(12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144)과 제3 프레임(146)의 상면에는 탑승유닛(148)이 장착되는 결합구(144c,146c)가 형성될 수 있다.
탑승유닛(148)은 제2 프레임(144)과 제3 프레임(146)에 장착되어 승선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탑승유닛(148)은 안내부재(150)와, 의자(152)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부재(150)는 부력체(1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2 프레임(144)과 제3 프레임(146)에 장착되어, 의자(15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즉, 안내부재(150)는 제2 프레임(144)과 제3 프레임(146)의 결합구(144c,146c)에 장착된다. 또한, 안내부재(150)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의자(152)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홈(150a)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안내부재(150)가 두 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자(152)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안내부재(150)는 세 개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의자(152)는 탑승자가 앉아서 구동부(16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부재(15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의자(152)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150)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의자(152)는 안내대응부(15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의자(152)는 안내대응부(152a)가 안내부재(15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의자(152)를 고정시키기 위해 안내대응부(152a)에는 안내부재(150)의 고정홈(150)에 결합되는 체결구(152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의자(152)에 앉은 후 체결구(152b)를 고정홈(150a)으로부터 분리시켜 의자(152)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탑승자에 알맞은 위치에 의자(152)가 이동되면 체결구(152b)를 고정홈(150a)에 결합시켜 의자(152)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동부(160)는 프레임부(140)에 설치되고 탑승자의 발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구동부(160)는 어느 일영역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물과의 저항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60)는 제1 동력전달부재(162), 제2 동력전달부재(164), 동력전환부재(165) 및, 추진부재(1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제2 프레임(14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되어 탑승자의 발에 의해 회동된다.
한편,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제2 프레임(144)에 장착되는 경우 일부분이 물속에 잠기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제2 프레임(144)에 장착되어 일부분은 물속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은 수면 위에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절곡된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를 수면 위에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의 절곡된 부분은 제2 프레임(144)에 구비되는 회동축(144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절곡되는 부분에 결합홀(162a,164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회동축(144a)이 결합홀(162a,164a)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회동축(144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144a)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발에 의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가압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회동축(144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다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한편, 다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결합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환부재(165)는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환부재(165)는 도르레(166)와 연결부재(168)를 구비할 수 있다.
도르레(166)는 제2 프레임(144)에 형성되는 브라켓(144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재(168)는 도르레(166)에 권취되고,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를 상호 연결시켜,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도록 한다.
즉, 탑승자가 제1 동력전달부재(162)를 발로 가압하는 경우 제1 동력전달부재(162)는 회동된다. 즉, 수면 위에 배치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2)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동력전달부재(16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68)는 수면 위에 배치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4)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168)는 제2 동력전달부재(164)를 제1 동력전달부재(162)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가 회동하는 경우, 절곡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 재(162,164) 부분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후, 탑승자가 제2 동력전달부재(164)를 발로 가압하는 경우 제2 동력전달부재(164)는 회동된다. 즉, 수면 위에 배치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4)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동력전달부재(164)에 연결되는 동력전환부재(165)는 수면 위에 배치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2)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168)는 제1 동력전달부재(162)를 제2 동력전달부재(164)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 부분은 서로 엇갈려서 회동된다. 즉, 탑승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를 교대로 가압하는 경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는 서로 엇갈려서 회동되어 추진부재(18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토록 한다.
또한, 연결부재(168)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를 구동시킬 때 발생되는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동력전환부재(165)가 도르레(166)와 연결부재(168)인 경우를 도시하여 도르레(166)와 연결부재(168)를 통해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를 서로 엇갈리게 회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동력전환부재(165)는 기어, 즉 베벨기어를 통해 제1 및 제2 동력 전달부재(162,164)를 서로 엇갈리게 회동시킬 수 있다.
추진부재(180)는 물속에 잠긴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에 장착되고, 서로 엇갈려서 승강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2 프레임부(144)에 장착시 절곡되어 수면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의 끝단에 추진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진부재(180)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의 회동에 따라 서로 엇갈리게 승강된다. 즉,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162,164)에 장착된 추진부재(180)는 교대로 승강되고 이에 따라 추진력이 발생된다.
한편, 추진부재(180)는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도록 오리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추진부재(180)는 승강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도록 넓은 판 형상을 가진 오리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추진부재(180)는 오리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승강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방향조정부(190)는 프레임부(140)에 설치되어 추진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방향조정부(190)는 조정바(192), 종속조정부재(194), 스프라켓 휠(196), 및 방향타(198)를 구비할 수 있다.
조정바(192)는 제2 프레임(144)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정바(192)는 하단부에 코일스프링(192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144) 에 설치된 조정바(192)는 사용자가 조정바(192)를 회동시키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종속조정부재(194)는 조정바(192)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조정바(192)를 회동시키는 경우 조정바(192)를 따라 구동된다. 또한, 종속조정부재(194)는 중심부는 체인(194a)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 단부에는 강선(19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인(194a)은 스프라켓 휠(196)에 연결되고, 양 단부에 구비되는 강선(194b)은 조정바(19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종속조정부재(194)의 양 단부에는 조정바(192)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고리(194c)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결합고리(194c)가 조정바(192)에 삽입 결합되어 조정바(192)에 의해 종속조정부재(194)는 이동될 수 있다.
스프라켓 휠(196)에는 종속조정부재(194)가 권취되고, 탑승자가 조정바(192)를 회동시키는 경우 무한궤도 형태로 운동되는 종속조정부재(194)에 의해 스프라켓 휠(196)은 회전될 수 있다.
방향타(198)는 제3 프레임(1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방향타(198)의 끝단은 스프라켓 휠(196)에 결합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조정바(192)를 회동시키는 경우, 방향타(198)는 스프라켓 휠(196)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추진시 추진방향을 안내한다.
즉, 탑승자가 추진부재(180)를 구동시켜 보트(100)가 추진되는 경우 탑승자는 조정바(192)를 회동시켜 추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정바(192)를 회동시키면, 방향타(198)가 수면 아래에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보트(100)는 방향 타(198)에 의해 추진방향이 안내된다.
한편, 탑승자가 보트(100)의 후진을 하고자 하는 경우, 종속조정부재(194)에 구비되는 결합고리(194a) 중 추진방향을 안내하는 경우에 조정바(192)에 삽입되어 결합되지 않은 결합고리(194a)를 조정바(192)에 결합하면, 방향타(198)는 180도 회전된다.
이후 탑승자가 의자(152)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정바(192)를 번갈아 회동시키면 방향타(198)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보트(100)는 후진된다.
도면에는 방향타(198)가 종속조정부재(194)와 스프라켓 휠(196)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타(198)를 회동시키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탑승자는 어깨끈을 구비하는 보조기구(미도시)를 종속조정부재(194)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는 자신의 몸을 회동시켜 방향타(198)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탑승자의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보트(100)가 운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진부재(180)가 오리발 형상, 즉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육상에서 보트(100)를 운반하는 경우 추진부재(18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손상될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추진부재(180)가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트(100)의 운반 이동성이 우수하다.
또한, 구동부(160)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경량화된 보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보트(100)가 수심이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탑승자는 의자(146)에서 내려와 경량인 보트(100)를 들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보트(100)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용이하게 분해하여 운반할 수 있고, 분해시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추진부재(180)가 승강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므로, 추진시 발생되는 물살이 적고 자연현상에서 발생되는 물살과 유사하여 낚시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트
120 : 부력체
140 : 프레임부
160 : 구동부
180 : 추진부재
190 : 방향조정부

Claims (11)

  1. 좌우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에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어느 일영역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물과의 저항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재가 구비된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탑승자의 발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전환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도르레; 및
    상기 도르레에 권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회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는
    서로 엇갈려서 승강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시 일부분이 수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는
    자연스러운 물살을 발생시키도록 오리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재는
    물살의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승강 구동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보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추진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추진방향을 조정하는 조정바; 및
    상기 조정바에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추진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1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는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후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KR1020080043615A 2008-05-09 2008-05-09 보트 KR20090117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15A KR20090117524A (ko) 2008-05-09 2008-05-09 보트
PCT/KR2009/002433 WO2009136761A2 (ko) 2008-05-09 2009-05-08 수상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15A KR20090117524A (ko) 2008-05-09 2008-05-09 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79U Division KR200458592Y1 (ko) 2011-01-05 2011-01-05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24A true KR20090117524A (ko) 2009-11-12

Family

ID=4126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15A KR20090117524A (ko) 2008-05-09 2008-05-09 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17524A (ko)
WO (1) WO200913676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744B1 (ko) * 2011-12-02 2013-06-27 이승훈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보트
KR101378513B1 (ko) * 2012-03-09 2014-03-27 전진명 조립식 보트
US10807678B2 (en) 2017-11-15 2020-10-20 Designer Direct, Inc.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KR102471769B1 (ko) * 2021-06-24 2022-11-28 심상롱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309A (zh) * 2017-10-25 2018-03-13 德清海德游艇有限公司 一种安全钓鱼游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392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Cable Syst Inc モータボートなどの可動式フィン装置
KR200427841Y1 (ko) * 2006-07-21 2006-09-29 이정락 수상용 스텝머신
KR100761517B1 (ko) * 2006-09-07 2007-09-27 최석길 수상 스포츠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744B1 (ko) * 2011-12-02 2013-06-27 이승훈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보트
KR101378513B1 (ko) * 2012-03-09 2014-03-27 전진명 조립식 보트
US10807678B2 (en) 2017-11-15 2020-10-20 Designer Direct, Inc.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US11731737B2 (en) 2017-11-15 2023-08-22 Designer Direct, Inc.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KR102471769B1 (ko) * 2021-06-24 2022-11-28 심상롱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6761A2 (ko) 2009-11-12
WO2009136761A3 (ko)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667B2 (en) Watercraft for transportation and exercise
US9403585B2 (en) Elliptical human-powered watercraft
KR20090117524A (ko) 보트
CA2476013C (en) Feet-propelled water vehicle
EP0194359A2 (en) A vessel and driving means
KR100632353B1 (ko) 육상 카누
KR200458592Y1 (ko) 보트
US9180949B2 (en) Human-powered watercraft
US20150314847A1 (en) Paddleboard with reciprocating direct drive and rudder controls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US56697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elling a water vehicle
US6857922B2 (en) Front facing rowing apparatus
RU2629164C1 (ru) Самоходная подводная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Скикевича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KR20100123953A (ko) 수상이동기구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GB2539876A (en) Water Walker
JPH11291984A (ja) 足漕ぎボート
US4781630A (en) Muscular force actuated vehicle
JP2019077234A (ja) 人力推進ボート
US1890970A (en) Mechanical floating device
DE3521771A1 (de) Schwimmhilfsgeraet mit fahrradsystemaehnlichem muskelkraftantrieb
SU3494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ГРЕБЦОВ НА ЛЬДУ
WO2003035186A1 (en) Muscle powered propulsion devices for swimmer
RU2620176C2 (ru) Катамаран спортивно-прогулочный системы да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