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648A -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648A
KR20090116648A KR1020090039351A KR20090039351A KR20090116648A KR 20090116648 A KR20090116648 A KR 20090116648A KR 1020090039351 A KR1020090039351 A KR 1020090039351A KR 20090039351 A KR20090039351 A KR 20090039351A KR 20090116648 A KR20090116648 A KR 2009011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frame
fireproof glass
fire
fire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777B1 (ko
Inventor
손성채
박찬우
Original Assignee
이래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산업(주) filed Critical 이래산업(주)
Publication of KR2009011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3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유리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유리와; 상기 방화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방화유리삽입홈이 형성되는 상측방화유리틀, 하측방화유리틀,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및 상기 하측방화유리틀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상기 하측방화유리틀,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을 개시한다.
발코니 난간, 방화유리

Description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Fireproof window, balcony rail having fireproof window,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유리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코니는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정부의 규제완화로 방화유리, 방화판 등의 설치를 조건으로 발코니의 확장이 허용되고 있다.
이때 발코니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는 샤시와 함께 나사에 의하여 발코니 난간에 결합되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나사에 의하여 방화유리가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경우 우수 등에 노출되어 나사에 녹이 발생하여 결합상태가 노후화됨과 아울러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방화유리창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녹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화유리와; 상기 방화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방화유리삽입홈이 형성되는 상측방화유리틀, 하측방화유리틀,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및 상기 하측방화유리틀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상기 하측방화유리틀,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을 개시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상기 하측방화유리틀,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 중 발코니 난간과 접하는 면과 반대인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나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나사로 상기 방화유리창을 고정시킨 후에 상기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캡부재에 의하여 밀봉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상기 하측방화유리틀,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과 접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가 끼워질 수 있는 나사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상기 하측방화유리틀,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에서 발코니 난간과 접하는 면 중 상기 나사공 주변에는 발코니 난간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방화유리틀에는 화염차단 및 배수가 가능한 화염차단부재가 추가로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화유리창의 상기 상측방화유리틀과; 상기 하측방화유리틀과; 상기 상측방화유리틀 및 상기 하측방화유리틀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을 포함하는 방화유리틀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방화유리창이 설치되는 발코니는 좌우로 슬라이드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한 복수개의 창문을 구비한 창호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측을 개방하여 발코니 난간에서 상기 창문이 개방된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방화유리창을 설치하고, 상기 발코니 난간에서 상기 창문의 일부가 겹치는 부분에서 상기 방화유리창(200)을 상 기 창문(510) 및 발코니 난간(100)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상기 관통공(310)들 중 나사(250)에 의하여 방화유리창(200)의 일부분을 상기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하고, 상기 창문을 좌측 및 우측 중 타측을 개방하여 상기 일부분이 고정된 부분의 나머지를 고정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 및 발코니 난간은 발코니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캡부재에 의하여 복개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 및 발코니 난간은 방화유리창이 발코니 난간에 설치될 때 나사가 캡에 의하여 복개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나사에 녹이 형성되더라도 외부로 관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난간(100)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코니를 통하여 화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코니 난간(100)은 아파트 등 집합건물에서 발코니의 측면 및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로난간살(110) 및 가로난간살(110)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세로난간살(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화유리창(200)가 발코니 난간(100)에 설치될 때 발코니의 양 측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유리창(200)과 좌, 우 측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방화유리창(200)은 방화유리(20)와, 방화유리(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화유리틀로 구성되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유리틀은 방화유리(20)를 고정하기 위한 방화유리삽입홈(210)이 형성되는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상측방화유리틀(211) 및 하측방화유리틀(212)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화유리(20)는 건축 및 소방과 관련된 법률, 규정 등에 의하여 요구하고 있는 요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유리(20)는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에 각각 형성된 방화유리삽입홈(210)에 삽입되며, 방화용 실란트와 같은 실링재(220)를 사용하여 방화유리삽입홈(210)에 고정된다.
상기 방화유리삽입홈(210)에는 방화유리(20)가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업재(2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측면방화유리틀(210)은 방화유리(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방화유리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다양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화염차단을 목적으로 하는바 내열성 재질의 부재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은 'U'자형 단면을 가지게 되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방화유리창(200)은 발코니 난간(100)의 가로난간살(110) 및 세로난간살(120)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나사(250)에 의하여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250)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0)은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과 반대인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10)은 나사(2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나사(250)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유리틀들에 형성되는 관통공(310)은 설치되는 발코니 난간(100)의 구조가 다양함을 고려하여 가로난간살(110) 및 세로난간살(120)과 적절 한 위치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방화유리틀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3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310)은 나사(250)로 방화유리창(200)을 고정시킨 후에 나사(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캡부재(320)에 의하여 밀봉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10)은 방화유리(20)가 유리인 점을 고려하여 방화유리(20)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방화유리(20)의 가장자리 바깥쪽에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방화유리(20)에 나사가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에는 관통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250)가 끼워질 수 있는 나사공(3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 중 나사공(330) 주변에는 발코니 난간(100)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3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어 녹이 발생될 수 있는바, 상기 실링부재(340) 이외에 상기 방화유리틀이 발코니 난간(100)에 결합 전 또는 후에 나사(250) 주위에는 녹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특히 투명폴리우레탄 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코니 난간(100)에 방화유리창(200)을 설치하는 경우 화염차단을 하는 동시에 우수, 또는 결로수 등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발코니 난간(100)의 저면 및 상기 방화유리창(200) 사이에는 화염차단 및 배수가 가능한 화염차단부재(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배수구를 형성하고 그 배수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화염차단커버로 구성 등 배수가 가능하면서도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화염차단부재(400)의 또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와 같이, 화염차단부재(400)는 발코니 난간(10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배수공(411)과; 발코니 난간(100)을 향하는 면과 반대면에 형성되고 제1배수공(411)과 엇갈리게 위치되며 제1배수공(411)과 유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배수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제1배수공(411)이 형성된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결합되고 제2배수공(421)이 형성된 제2화염차단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수공(421) 및 제2배수공(411)은 배수를 위한 구성을 의미하며 그 형상은 구멍은 물론 절개된 홈 등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제2화염차단부재(420)는 화염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바 내열성 및 불연성 부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서로 일체로 결합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제2화염차단부재(420)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에 방화유리창(200)이 발코니 난간(100)에 설치될 때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제2화염차단부재(420) 중 적어도 하나는 방화유리창(200)의 하측방화유리틀(212)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는 발코니 저면 및 발코니 난간(100) 모두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L'자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방화유리틀(212)와 동시에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나사(41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배수공(411)은 제1화염차단부재(410)에서 굽어진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28은 방화유리(20)와 방화유리틀의 조립시 방화유리(20)를 지지하기 위한 세팅블록을 가리킨다.
상기 제2화염차단부재(420)는 하측방화유리틀(212)의 끝단 및 발코니 저면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은 하측방화유리틀(212)와 면접촉을 이루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은 발코니 저면에 지지되거나, 제1화염차단부재(4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화염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바 발코니 바닥면과 최대한 밀접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방화유리창(200)이 설치되는 발코니는 아파트의 종류, 시공상태에 따라서 바닥면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느데, 이로 인하여 상기 화염차단부재(400)가 바닥면과 밀접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발코니 바닥면에 보다 밀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의 적어도 일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끝단승하강부재(4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염차단부재(4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제2화염차단부재(420)로 구성되는 경우 끝단하강부재(430)은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제2화염차단부재(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발코니 저면 또는 제1화염차단부재(4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화염차단부재(4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끝단하강부재(4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화염차단부재(420)와 면접촉을 이루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플레이트부재(431)와, 플레이트부재(431)와 고정결합됨과 아울러 제2화염차단부재(420)에 상하로 형성된 슬롯(423)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어 플레이트부재(431)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4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32)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슬롯(423)의 폭보다 큰 머리를 가지며 플레이트부재(431)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배수공(421)은 제2화염차단부재(420) 및 플레이트부재(4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방화유리창의 시공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유리(20)와, 방화유리(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화유리틀로 방화유리창(200)을 조립한다. 여기서 방화유리창(200)의 조립은 공장 등에서 미리 수행되거나, 방화유리창(200)의 시공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조립된 방화유리창(200)은 발코니 확장 조건에 맞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난간(100)에 설치한다.
한편 방화유리창(200)이 설치되는 발코니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유리창(200)과 별도로 좌우로 슬라이드 등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한 복수개의 창문(510)을 구비한 발코니 창호(500)가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발코니 창호(500)는 발코니 난간(100)과 매우 가까이 설치되어 방화유리창(200)의 시공에 방해가 되어 발코니 창호(500)에서 창문(510)을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 방화유리창(200)의 시공을 지연시키거나 시공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유리창(200)의 시공을 위하여 창문(5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우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방화유리창(200)의 시공이 가능하지만, 중앙부에서 방화유리창(200)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부득이하게 창문(510)을 분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중앙부에서 방화유리창(200)의 시공시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200)은 창문(510)을 분리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을 개방하고 발코니 난간(100)에서 상기 창문(510)이 개방된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방화유리창(200)을 설치하고, 상기 발코니 난간(100)에서 상기 창문(510)의 일부가 겹치는 부분에서 상기 방화유리창(200)을 상기 창문(510) 및 발코니 난간(100)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상기 관통공(310)들 중 적절한 위치에 나사(250)에 의하여 방화유리창(200)의 일부분을 상기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하고, 상기 창문(510)을 좌측 및 우측 중 타측을 개방하여 상기 일부분이 고정된 부분의 나머지를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도 9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창문(520)을 좌측 및 우측 중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으로 이동시켜 개방한 후 나머지 부분에서 미리 형성된 관통공(310)들 중 적절한 위치에 나사(250)에 의하여 방화유리창(200)의 일부분을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310)은 미리 형성하지 않고, 방화유리창(200)을 창문(510) 및 발코니 난간(100) 사이에 끼워 넣은 후 발코니 난간(100)과의 결합을 위한 적절한 위치를 선정한 다음 방화유리창(200)을 다시 꺼낸 후에 방화유리창(200)의 시공현장에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200)은 미리 또는 현장에서 형성된 관통공(310)들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발코니 난간(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창고(500)가 설치된 경우 창문(510)을 분리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시간 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화유리창에 발코니 난간에 설치될 때 상측방화유리틀이 가로난간살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3은 발코니 난간에 설치될 때 도 1의 방화유리창의 측면 쪽 끝단이 세로난간살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화유리창에 발코니 난간에 설치될 때 하측방화유리틀이 가로난간살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화유리창 및 화염차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방화유리창에서 화염차단부재에 끝단승하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화유리창 및 화염차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발코니 난간에 도 1의 방화유리창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발코니 바닥 부근의 창호 및 방화유리창의 단면 일부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코니 난간
200 : 방화유리창
211 : 상측방화유리틀 212 : 하측방화유리틀
213 : 측면방화유리틀
310 : 관통공 320 : 캡부재
400 : 화염차단부재

Claims (12)

  1. 방화유리(20)와; 상기 방화유리(20)를 고정하기 위한 방화유리삽입홈(210)이 각각 형성되는 상측방화유리틀(211), 하측방화유리틀(212),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및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방화유리틀(213)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250)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310)이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과 반대인 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0)은 상기 나사(2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250)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방화유리창이 설치되는 발코니는 좌우로 슬라이드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한 복수개의 창문을 구비한 창호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측을 개방하여 발코니 난간에서 상기 창문이 개방된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방화유리창을 설치하고,
    상기 발코니 난간에서 상기 창문의 일부가 겹치는 부분에서 상기 방화유리창(200)을 상기 창문(510) 및 발코니 난간(100)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상기 관통공(310)들 중 나사(250)에 의하여 방화유리창(200)의 일부분을 상기 발코니 난간(100)에 고정하고,
    상기 창문을 좌측 및 우측 중 타측을 개방하여 상기 일부분이 고정된 부분의 나머지를 고정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에는 화염차단 및 배수가 가능한 화염차단부재(400)가 일체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10)은 상기 나사(250)로 상기 방화유리창(200)을 고정시킨 후에 상기 나사(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캡부재(320)에 의하여 밀봉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250)가 끼워질 수 있는 나사공(33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에서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 중 상기 나사공(330) 주변에는 발코니 난간(100)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34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에서 발코니 난간(100)과 접하는 면 중 상기 나사(25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투명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상측방화유리틀(211),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 및 한 쌍의 상기 측면방화유리틀(213)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상기 제1배수공(411)이 형성된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결합되고 상기 제2배수공(421)이 형성된 제2화염차단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는 발코니 저면 및 발코니 난간(100) 모두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L'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화염차단부재(420)는 상기 하측방화유리틀(212)의 끝단 및 발코니 저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발코니 바닥면에 밀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 끝단의 적어도 일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끝단승하강부재(430)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화염차단부재(400)는 상기 제1배수공(411)이 형성된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와 결합되고 상기 제2배수공(421)이 형성된 제2화염차단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끝단하강부재(430)는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 및 상기 제2화염차단부재(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발코니 저면 또는 상기 제1화염차단부재(4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화염차단부재(42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끝단하강부재(430)는 상기 제2화염차단부재(420)와 면접촉을 이루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플레이트부재(431)와, 상기 플레이트부재(431)와 고정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화염차단부재(420)에 상하로 형성된 슬롯(423)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어 플레이트부재(431)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창의 시공방법.
KR1020090039351A 2008-05-06 2009-05-06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1267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20 2008-05-06
KR1020080041920 2008-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648A true KR20090116648A (ko) 2009-11-11
KR101267777B1 KR101267777B1 (ko) 2013-05-31

Family

ID=4160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51A KR101267777B1 (ko) 2008-05-06 2009-05-06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9664A (zh) * 2020-01-13 2020-05-08 绿城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带护栏的门窗
KR102483054B1 (ko) 2021-07-19 2022-12-30 (주)알루코 화염 및 연기 차단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화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7B1 (ko) 2006-02-13 2007-06-12 김기현 방화난간의 구조
KR200425124Y1 (ko) * 2006-06-14 2006-08-29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9664A (zh) * 2020-01-13 2020-05-08 绿城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带护栏的门窗
KR102483054B1 (ko) 2021-07-19 2022-12-30 (주)알루코 화염 및 연기 차단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화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777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US10676924B2 (en)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of curtain wall building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CA2344071A1 (en) Fire wall
EA010558B1 (ru) Рама для двери, окна или иной аналоги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668264B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101127422B1 (ko)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
KR102132396B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가진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1267777B1 (ko)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200449147Y1 (ko)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KR200425124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100935160B1 (ko)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CN111173208A (zh) 内置排水构造的天窗系统
KR200420000Y1 (ko) 방화유리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발코니 난간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707747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417783Y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KR101685608B1 (ko) 건물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이질재의 바를 개선한 커튼 월 시스템
KR102449318B1 (ko) 분리형 이중창호
KR102275554B1 (ko) 프레임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JP4721991B2 (ja) フレームレスデザインの玄関ドア
KR102025879B1 (ko) 난간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102632220B1 (ko)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