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20B1 -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20B1
KR102632220B1 KR1020210187310A KR20210187310A KR102632220B1 KR 102632220 B1 KR102632220 B1 KR 102632220B1 KR 1020210187310 A KR1020210187310 A KR 1020210187310A KR 20210187310 A KR20210187310 A KR 20210187310A KR 102632220 B1 KR102632220 B1 KR 10263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railing
window fram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614A (ko
Inventor
김힘찬
최영일
김준우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는 창틀, 창틀의 실외측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창짝 및 창틀의 실외 측에 마련되고, 창짝이 설치되지 않은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유리 난간대를 포함하고, 유리 난간대는, 창틀과 창짝의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대 프레임 및 난간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난간대 프레임의 하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설치되는 난간대 유리를 포함하며, 난간대 프레임의 하측 단부에는 창틀 또는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고인 우수를 실외로 배수되도록 배수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Description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WINDOW HAVING GLASS GUARDRAIL}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며, 유리 난간대의 상부 영역에 하프타입 롤 스크린이 마련된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창호는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한다.
창호에는 창호가 개방될 때 외부로부터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충망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창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창호에는 방충망이 창틀 프레임의 실내측에 롤 스크린 방식으로 설치되고, 미서기 창호에는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마련된 별도의 레일에 방충망이 내부에 설치된 방충망 프레임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롤 스크린 형태의 방충망은 유해곤충의 침입을 막는 방충망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창호에 설치되는 미서기형 방충망을 대신하여 시공된다.
특히,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의 경우, 창호의 외관 및 전망의 향상을 위하여 롤 스크린형 방충망을 적용하고 있다.
참고로, 창호에 설치되는 롤 스크린이 유리 난간대의 상단부인 손잡이까지 내려오는 형태를 하프타입 롤 스크린이라고 하고, 창호의 바닥 레일부까지 내려오는 형태를 풀타입 롤 스크린이라 한다.
풀 타입 롤 스크린은 하프타입 롤 스크린에 비하여 작동범위가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자가 많이 발생되고,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서기 창호는 배수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의 배수 방법은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창틀의 하부레일에 배수용 구멍을 뚫어서 레일 하부로 고여드는 우수를 배출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낙차배수형 배수방법을 갖는 창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창틀의 레일 중에서 최외곽부 레일을 없애서 창틀의 내부와 외부의 높이차이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낙차배수형 배수방법을 갖는 창호의 경우, 내부에서 발생한 물과 외부에서 일부 유입된 물은 하부 창틀 레일에 형성된 배수용 구멍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난간대는 계단, 다리, 마루, 발코니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난간대는 낙상을 방지하고, 건축물을 장식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대가 발코니에 설치되는 경우, 난간대는 창호와 별개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난간대는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난간대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금속 재질의 난간대의 경우에는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난간대는 건축물의 일부분을 폐쇄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저해시키고, 건축물의 내부에서의 조망권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유리 재질로 난간대를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리 난간대는 유리의 파손 및 파손 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2장의 유리를 접합필름으로 부착시킨 접합유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접합유리의 접합필름은 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접합필름에 직접적으로 수분이 닿는 경우 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 난간대의 유리 표면에 백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 접합유리가 뿌옇게 변화되어 미관을 해치고, 건출물의 내부에서의 조망권은 물론이고 건출물의 미관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접합유리에 물이 닿지 않는 유리 난간대를 많이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미서기 창호는 창틀의 하단부 레일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으로 물을 배수하기 때문에 접합유리의 보호를 위하여 창틀 최외부 레일 위에 유리 난간대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낙차배수형 창호는 창틀의 최외부 레일이 없기 때문에 유리 난간대를 공중에 띄운 형태로 시공한다. 이렇게 되면, 유리 난간대의 하단부에 유해 곤충 등이 드나들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풀타입의 롤 스크린을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하프타입 롤 스크린이 적용된 창호에 유리 난간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165호(등록일: 2019.12.2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하프타입 롤 스크린이 적용된 창호에 유리 난간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프타입 롤 스크린과 유리 난간대가 설치되더라도 물의 배수가 용이할 수 있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 창틀의 실외측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창짝 및 창틀의 실외 측에 마련되고, 창짝이 설치되지 않은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유리 난간대를 포함하고, 유리 난간대는, 창틀과 창짝의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대 프레임 및 난간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난간대 프레임의 하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설치되는 난간대 유리를 포함하며, 난간대 프레임의 하측 단부에는 창틀 또는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고인 우수를 실외로 배수되도록 배수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창틀은, 적어도 일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의 우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창틀의 내부 공간과 배수 구멍이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창틀은, 낙차 배수형 창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난간대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결합 브라켓이 마련되고, 결합 브라켓은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또는 난간대 프레임과 창짝을 결합시키며, 결합 브라켓은 배수 구멍을 막지 않는 상태에서 난간대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난간대 프레임은 창틀 및 창짝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결합 브라켓을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 및 난간대 프레임과 창짝을 결합시키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결합 브라켓 중에서 하나의 결합 브라켓은 창틀에 설치된 측부 프레임과 창틀 사이를 결합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결합 브라켓은 창짝에 설치된 측부 프레임과 창짝 사이를 각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의 일측 영역은 난간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 영역은 창틀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의 일측 영역은 난간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 영역은 창짝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브라켓은, 난간대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난간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창틀의 내측면 또는 창짝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난간대 프레임은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합 수단에 의해 창틀의 내측면 또는 창짝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유리 난간대가 설치된 창틀의 상단부에는 난간대 프레임의 상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마련된 롤 스크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롤 스크린 부재는, 창틀의 상단부에서부터 유리 난간대의 난간대 유리의 상단부까지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창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은 난간대 프레임이 창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의 실외측에 위치되며, 창짝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난간대 프레임 및 난간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난간대 프레임의 하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마련된 난간대 유리를 포함하고, 난간대 프레임의 하측 단부에는 창틀 또는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고인 우수를 실외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 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난간대 프레임의 적어도 일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난간대 프레임을 창틀 또는 창짝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는, 하프타입 롤 스크린이 적용된 창호에 유리 난간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창호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롤 스크린의 작동 성도 함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는, 하프타입 롤 스크린과 유리 난간대가 설치되더라도 유리 난간대에 관통 형성된 배수 구멍에 의해서 창틀의 내부에 존재하는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창호의 배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A'- 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창호를 내측면(창틀과 유리 난간대 사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창호의 내측면과 반대되는 내측면(창짝과 유리 난간대 사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결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B-B 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를 포함하는 창호(10, 이하 '창호'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는 창틀(12), 창짝(14,15) 및 유리 난간대(100)를 포함한다.
창틀(12)은 벽체(미도시)에 장착되며, 창호(10)의 뼈대가 되는 부분이다.
이때, 창틀(12)에는 창짝(14,15)이 설치된다.
창짝(14,15)은 미서기 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짝(14,15)은 창틀(12)의 실외측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짝(14)과, 창틀(12)의 실내측에 마련되어 창틀(1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창틀(12)을 개폐하는 한 쌍의 실내측 창짝(15)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창틀(12)의 실외측에 마련되는 창짝(14)은 창틀(12)의 실외측에 고정설치된 유리 난간대(100)에 의해 고정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창틀(12)의 실내측에 마련되는 창짝(15)은 창틀(1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 난간대(100)는 창틀(12)의 실외측에 마련되어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유리 난간대(100)에는 실내측에서 창호(10)를 통해 실외를 바라볼 때,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리 난간대(100)는 난간대 프레임(110) 및 난간대 유리(120)를 포함한다.
난간대 프레임(110)은 창틀(12)의 실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난간대 프레임(110)은 창틀(12)의 실외측과 고정형 창짝(14)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난간대 프레임(110)은 실외측 창틀(12)의 일측 및 고정형 창짝(14)의 일측과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 사이의 상측에는 상부 프레임(112)이 마련되고, 하측에는 하부 프레임(113)이 마련된다. 하부 프레임(113)은 실외측 창틀(12)의 하단부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13)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구멍(130)은 하부 프레임(113)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수 구멍(130)은 창틀(12) 내부 또는 난간대 프레임(110)과 창틀(12) 사이에 고인 우수를 실외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 구멍(130)은 하부 프레임(113)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창틀(12)은 낙차 배수형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창틀(12)은 적어도 일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창틀(12)의 내부 공간과 배수 구멍(130)이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난간대 프레임(110)과 창틀(12) 사이의 우수는 창틀(12)을 따라 흘러서 배수 구멍(130)을 통해서 창틀(12)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난간대 유리(120)는 난간대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난간대 유리(120)는 상부 프레임(112),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에 의해 지지되어 난간대 프레임(110)의 하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난간대 유리(120)가 난간대 프레임(110)에 설치될 때, 난간대 유리(120)에 의해 배수 구멍(130)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만약, 난간대 유리(120)에 의해 난간대 프레임(110)의 하부 프레임(113)에 형성된 배수 구멍(130)이 막히게 되면, 창틀(12) 및 창틀(12)과 난간대 프레임(110) 사이의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창틀(12)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그러면, 창틀(12) 및 창짝(14,15)은 물론 유리 난간대(100)에 부식 등의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창틀(12)의 내부에 고인 우수는 창틀(12) 내의 보강재(미도시)를 부식시켜서 결국 창틀(12)의 영구적인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참고로, 난간대 유리(120)에 난간대 프레임(110)에 형성된 배수 구멍(140)과 동일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난간대 유리(120)를 난간대 프레임(110)에 장착함으로써 난간대 유리(120)에 의해 난간대 프레임(110)의 배수 구멍(140)이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에는 롤 스크린 부재(20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롤 스크린 부재(200)는 유리 난간대(100)가 설치된 창호(10)의 외관 및 실내측에서 창호(10)를 통해 바라보는 전망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롤 스크린 부재(200)는 창호(10)를 통해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칩입하는 유해곤충이나 우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롤 스크린 부재(200)는 일종의 방충망(insect screen)으로써, 유리 난간대(1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롤 스크린 부재(200)는 유리 난간대(100)가 설치된 창틀(12)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난간대 프레임(110)의 난간대 유리(120)가 설치되지 않은 난간대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마련된다.
이때, 롤 스크린 부재(200)는 유리 난간대(100)가 설치된 창틀(12)의 상단부에서 유리 난간대(100)의 난간대 유리(120)의 상단부까지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롤 스크린 부재(200)의 확장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에는 하프 타입의 롤 스크린 부재(200)로 마련되어 롤 스크린 부재(200)가 유리 난간대(100)가 설치된 창틀(12)의 상단부에서 난간대 유리(120)의 최상단부까지만 확장되지만, 필요에 따라 풀 타입의 롤 스크린 부재(200)로 마련되어 난간대 유리(120)의 최상단부가 아닌 최 하단부까지 확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만약, 롤 스크린 부재(200)가 풀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롤 스크린 부재(200)가 유리 난간대(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롤 스크린 부재(200)는 유리 난간대(100)에 비하여 실내측으로 위치를 이동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유리 난간대(100)가 실외측 창틀(12) 및 고정형 창짝(14)에 고정결합되는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리 난간대(100)는 실외측 창틀(12)과 고정형 창짝(14)에 고정결합된다.
특히, 유리 난간대(100)의 난간대 프레임(110)의 하나의 측부 프레임(111)은 하나의 결합 브라켓(140)을 통해서 실외측 창틀(12)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난간대 프레임(110)의 다른 하나의 측부 프레임(111)은 하나의 결합 브라켓(140)을 통해서 고정형 창짝(14)에 고정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결합 브라켓(140)은 하나의 측부 프레임(111)과 실외측 창틀(12) 사이를 결합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의 결합 브라켓(140)은 다른 하나의 측부 프레임(111)과 고정형 창짝(14) 사이를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결합 브라켓(140)의 일측 영역은 난간대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4)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 영역은 창틀(12)의 내측면 또는 창짝(14)의 내측면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결합 브라켓(140)은 제1 부재(144) 및 제2 부재(14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44)는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144)는 적어도 일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삽입된다.
특히, 제1 부재(144)는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끼워맞춤 되도록 난간대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142)는 제1 부재(144)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부재(142)는 창틀(12)의 내측면 또는 창짝(14)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부재(1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43)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홀(143)에는 볼트(bolt) 등과 같은 결합수단(미도시)가 관통되어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제1 부재(14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부재(142)를 창틀(12)의 내측면 또는 창짝(14)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44)는 제2 부재(142)와는 다르게 난간대 프레임(110)과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삽입되어 위치되게 된다.
만약, 제1 부재(144)를 난간대 프레임(110)에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 결합 수단과 난간대 프레임(11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서 우수가 스며들어서 난간대 프레임(110)은 물론 창호(10) 전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제1 부재(144)가 난간대 프레임(110)의 중공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부재(144)와 연결된 제2 부재(142)가 창틀(12)의 내측면 또는 고정형 창짝(14)의 내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유리 난간대(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재(114)를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난간대 프레임(110)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결합 브라켓(140)은 난간대 프레임(110)의 하부 프레임(113)에 형성된 배수 구멍(140)을 막지 않은 상태에서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는, 결합 브라켓(40)이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의 양 끝 단부에 위치된 한 쌍의 측부 프레임(11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기 때문에 배수 구멍(140)과 떨어져서 위치되게 된다.
참고로, 결합 브라켓(140)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자형, T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결합 브라켓(140)은 유리 난간대(100)와 창틀(12) 또는 유리 난간대(100)와 창짝(14)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제1 부재(144)와 제2 부재(142) 사이가 90도의 각도를 갖는 수직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는 지지 프레임(12a,12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a,12b)은 창틀(12)로부터 유리 난간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12a,12b)은 창틀(12)로부터 유리 난간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유리 난간대(100)가 창틀(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튀어나오지 않도록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12a,12b)은 창틀(12)의 외측면에 마련되되, 창틀(12)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 지지 프레임(12a)과 창틀(12)의 측부에 마련되는 제2 지지 프레임(12b)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프레임(12a) 및 제2 지지 프레임(12b)에 의해 유리 난간대(100)가 창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유리 난간대(100)의 내측 방향에 대해 가해지는 외력은 결합 브라켓(140)에 의해 대응됨으로써 지지되고, 유리 난간대(140)의 외측 방향에 대해 가해지는 외력은 적어도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a,12b)에 의해 대응되어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를 구비하는 창호(10)는, 하프타입 롤 스크린 부재(200)가 적용된 창호에 유리 난간대(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창호(10)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롤 스크린 부재(200)의 작동 성도 함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난간대(100)를 구비하는 창호(200)는, 하프타입 롤 스크린 부재(200)와 유리 난간대(100)가 함께 설치되더라도 유리 난간대(100)에 형성된 배수 구멍(130)을 통해서 창틀(12)의 내부에 존재하는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창호(10)의 배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2: 창틀
12a,12b: 지지 프레임 14: 창짝(실외측)
15: 창짝(실내측) 100: 유리 난간대
110: 난간대 프레임 111: 측부 프레임
112: 상부 프레임 113: 하부 프레임
114: 중공부 120: 난간대 유리
130: 배수 구멍 140: 결합 브라켓
142: 제2 부재 143: 체결홀
144: 제1 부재
200: 롤 스크린 부재

Claims (14)

  1. 일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창틀;
    창틀의 실외측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창짝; 및
    창틀의 실외 측에 마련되고, 창짝이 설치되지 않은 창틀의 실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유리 난간대를 포함하고,
    유리 난간대는,
    창틀과 창짝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대 프레임; 및
    난간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난간대 프레임의 하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설치되는 난간대 유리를 포함하며,
    난간대 프레임은 창틀의 일측 및 창짝의 일측과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사이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사이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에는 창틀 또는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고인 우수가 실외로 배수되도록 창틀의 내부 공간 및 창틀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난간대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고인 우수는 창틀의 경사를 따라 흘러서 배수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며,
    배수 구멍을 막지 않는 상태에서 한 쌍의 측부 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측부 프레임과 창틀 사이를 결합시키고, 배수 구멍을 막지 않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측부 프레임과 창짝 사이를 각각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한 쌍의 결합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결합 브라켓은, 난간대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난간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창틀의 내측면 또는 창짝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의 제1 부재는 난간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고 제2 부재는 창틀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결합 브라켓의 제1 부재는 난간대 프레임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고 제2 부재는 창짝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창틀은,
    낙차 배수형 창틀로 마련된,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제2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난간대 프레임은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합 수단에 의해 창틀의 내측면 또는 창짝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유리 난간대가 설치된 창틀의 상단부에는 난간대 프레임의 상부 영역을 막아주도록 마련된 롤 스크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11. 제10항에 있어서,
    롤 스크린 부재는,
    창틀의 상단부에서부터 유리 난간대의 난간대 유리의 상단부까지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12. 제1항에 있어서,
    창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은 난간대 프레임이 창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87310A 2021-12-24 2021-12-24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KR10263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10A KR102632220B1 (ko) 2021-12-24 2021-12-24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10A KR102632220B1 (ko) 2021-12-24 2021-12-24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14A KR20230097614A (ko) 2023-07-03
KR102632220B1 true KR102632220B1 (ko) 2024-02-01

Family

ID=8715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10A KR102632220B1 (ko) 2021-12-24 2021-12-24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988B1 (ko) * 2018-02-01 2018-11-20 (주)디딤디앤씨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102060165B1 (ko) * 2018-09-28 2019-12-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28A (ko) * 2009-03-13 2010-09-27 이봉권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난간 구조
KR102054031B1 (ko) * 2015-11-19 2019-12-09 (주)엘지하우시스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988B1 (ko) * 2018-02-01 2018-11-20 (주)디딤디앤씨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102060165B1 (ko) * 2018-09-28 2019-12-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14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0828711B1 (ko) 발코니용 이중 창틀의 다중차단구조
KR102632220B1 (ko) 유리 난간대를 구비하는 창호
JP2003511590A (ja) 無レール型の窓及び戸装置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0419513Y1 (ko) 이중 창호
KR100935160B1 (ko)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KR101678346B1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구조
KR200417783Y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JP7483467B2 (ja) サッシ下枠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リフォーム方法
KR20030070196A (ko) 창 및 그 창틀구조
KR200449147Y1 (ko)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IT201800003481A1 (it) Serramento
KR20090116648A (ko)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50170A (ko) 창호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JP2009293258A (ja) 内外し引き違い窓
KR100759196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KR102489479B1 (ko) 일체형 안전망 난간대
JP6918034B2 (ja) 建具
KR200490700Y1 (ko) 창호
JP4056483B2 (ja) サッシ窓
JPH0116876Y2 (ko)
JP2002194955A (ja)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掃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