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571A -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571A
KR20090116571A KR1020080042590A KR20080042590A KR20090116571A KR 20090116571 A KR20090116571 A KR 20090116571A KR 1020080042590 A KR1020080042590 A KR 1020080042590A KR 20080042590 A KR20080042590 A KR 20080042590A KR 20090116571 A KR20090116571 A KR 2009011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le
sides
rotat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Original Assignee
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 filed Critical 유진
Priority to KR102008004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571A/ko
Publication of KR2009011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104623호를 출원하면서, 직선형 덕트(10)와 관이음구(1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출원의 연결장치에 대한 전제 구성으로서, 직선형 덕트(10)의 양측면에 덕트(10)와 동일한 길이로 리브(30)를 형성해야함으로써, 실제로 연결장치에 필요한 리브(30) 구성이 길지 않은 것임을 감안할 때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 특허출원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길이가 긴 리브(30) 대신 끼움식걸림구(31)를 장착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재료비가 절감되는데다 기밀(氣密)한 덕트(10)의 관이음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P1020080042590
덕트, 관이음구, 체결구

Description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of pipe coupler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실내공기의 정화 내지 외부공기와의 순환공급을 위해 가정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건물의 천장에 매립되는 것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 제품의 특성상 압출성형 공법을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다. 따라서 길이의 연장 및 방향전환 필요시에는 니플(Nipple), 엘보(Elbow) 또는 티(Tee)와 같은 관이음구를 통해 조합되면서 천장에 배치된다.
종래의 덕트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의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외부공기의 공급을 담당하는 덕트와 실내공기의 배출을 담당하는 덕트가 양분되어 설치되고 이 2개의 덕트는 외벽 근처에 설치된 열교환기에 접속되며,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기되어 설치된다.
분기되는 덕트는 니플(Nipple), 엘보(Elbow) 또는 티(Tee)와 같은 관이음구를 통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방향전환 하면서 배치되되, 종래에는 상기 덕트와 관이음구의 이음매 작업시 본드를 덕트의 외주면에 도포하여 관이음구와 접착하거나, 실링용 고무패킹을 관이음구 내부에 삽입한 후 덕트가 관이음구내로 고무패킹을 밀 착하면서 억지끼움되는 형태로 이음매 부분의 누기(漏氣)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본드를 통한 접착방법은 실내공기의 정화 목적으로 설치되는 덕트의 목적과는 본질적으로 합치되지 않는데다,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본드에서 발산되는 문제점이 있고, 고무패킹을 통한 억지끼움의 방법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억지끼움상태가 느슨해 지는 문제로 인해 누기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104623호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를 출원하면서, 직선형 덕트와 관이음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출원의 연결장치에 대한 전제 구성으로서, 직선형 덕트의 양측면에 덕트와 동일한 길이로 리브를 형성해야함으로써, 실제로 연결장치에 필요한 리브 구성이 길지 않은 것임을 감안할 때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 특허출원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길이가 긴 리브 대신 끼움식걸림구를 장착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재료비가 절감되는데다 기밀(氣密)한 덕트의 관이음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제1바닥판(5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2개의 제1걸림돌기(52)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제1바닥판(5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1탄성끼움구(53)가 형성된 제1끼움식걸림구(50)가 덕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장착되며,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ㄱ"자 형상의 꺾쇠고정구(23)가 형성되고, 2개로 분할된 걸림편(21)을 선단에 갖는 탄성체결구(20)가 탄성체결구(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 구멍(22)을 통해 꺾쇠고정구(23)에 조립된다.
또한, 제2바닥판(61)의 일측에는 1개의 제2걸림돌기(62)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바닥판(6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2탄성끼움구(63)가 형성된 제2끼움식걸림구(60)가 덕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장착되며,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회동식체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축고정구(47)가 형성되고, 위 회동식체결구(40)는 회동구(44) 및 덮개(41)로 구성되되, 회동구(44)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핀(46)은 덮개(41)의 회동핀홀(42)에 조립되고, 회동구(44)의 회동축(45)은 축고정구(47)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인체에 유해한 본드접착식 관이음구 연결방식이 원천 배제될 수 있어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에 일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4623호에서 실제사용 대비 재료가 많이 투입되는 리브의 구성을 배제하고 대신 간단한 구성의 끼움식걸림구 등을 이용함에 따라 원가절감의 부수적인 효과 또한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체결구(20)를 이용한 덕트(10)의 연결 사시도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직선형 덕트(10)의 양측면에는 리브(30)가 2단으로 형성된다. 이 리브(30)는 동일한 단면을 갖는 덕트(10)의 특성상 압출성형 공법을 통해 덕트(10)와 함께 동일한 길이로 성형된 후, 도 2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걸림구(31)와 리브(30) 사이를 절취하여 체결홈(33)으로 구성하고 이 체결홈(33) 부분에 탄성체결구(20)의 걸림편(21)이 개재(介在)되면서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가 체결되는 것이다.
도 2의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4623호로 기 제안한 것으로서, 단점으로는 덕트(10)의 양측면에 2단으로 구성된 리브(30)가 연결장치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필요한 길이보다 불필요하게 길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 4와 같은 기술구성을 새롭게 제안하는 바이다. 즉,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끼움식걸림구(50)를 이용한 덕트(10)의 연결 전.후 사시도로서, 먼저,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탄성체결구(20)를 장착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꺾쇠고정구(23)가 필수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보조고정구(24) 또는 분할형보조고정구(25)는 선택적으로 꺾쇠고정구(23)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꺾쇠고정구(23)에 장착되는 탄성체결구(20)의 안정된 고정을 보조한다.
상기 꺾쇠고정구(23)는 탄성체결구(20)와 함께 관이음구(11)에 일체로 사출성형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각각 성형될 수 있다. 탄성체결구(20)의 선단은 2개로 분할된 걸림편(21)으로 구성되되, 중앙부에는 꺾쇠고정구(23) 및 원통형보조고정구(24)(또는 분할형보조고정구(25))와 대응되는 구멍(22)이 형성된다.
도 3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원통형보조고정구(24)는 원기둥 형태이고, 분할형 보조고정구(25)는 선단이 3개로 분할된 탄성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분할형보조고정구(25)는 원통형보조고정구(24)와는 달리 탄성체결구(20)의 구멍(22)과 체결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탄성체결구(20)의 체결방식은 도 3에서와 같이 꺾쇠고정구(23)의 측면으로 사각 구멍(22)을 삽입한 후, 90°회전시키면 원형 구멍(22)이 원통형보조고정구(24)에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이후 덕트(10)를 관이음구(11)에 접속시키면 탄성체결구(20)의 걸림편(21)이 도 4에서와 같이 덕트(10)의 양측면에 끼움방식으로 장착된 제1끼움식걸림구(50)의 제1걸림돌기(52) 사이로 삽입되면서 결국 덕트(10)와 관이음구(11)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끼움식걸림구(50)는 직선형 덕트(10)의 양측면 양끝단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제1바닥판(5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2개의 제1걸림돌기(5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바닥판(5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1탄성끼움구(53)가 형성된다.
바로 이 제1탄성끼움구(53) 부분이 덕트(10)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삽입되면서 견고한 장착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길이가 긴 리브(30)가 필요없게 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발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4623호로 기 제안한 바있는 돌출편(32)이 형성된 걸림구(31)를 이용한 덕트(10)와 회동식체결구(40)의 분리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사용 하면서 도 5의 구성의 단점을 먼저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직선형 덕트(10)의 양측면에는 리브(30)가 형성된다. 이 리브(30)는 동일한 단면을 갖는 덕트(10)의 특성상 압출성형 공법을 통해 덕트(10)와 함께 동일한 길이로 성형된 후, 도 5에서와 같이 관이음구(11) 내부로 접속되는 부분과 회동식체결구(40)의 걸림부(43)가 위치되는 체결홈(33) 부분이 절취되어 준비된다. 결국, 체결홈(33)을 사이에 두고 리브(30)와 걸림구(31)가 이격된다. 한편, 걸림구(31)에는 도 5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회동식체결구(40)의 걸림부(43)가 걸리도록 돌출편(32)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회동식체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축고정구(47)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식체결구(40)는 회동구(44) 및 덮개(41)로 구성되며, 회동구(44)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핀(46)은 도 7의 원내도면에 도시된 덮개(41)의 회동핀홀(42)에 조립되고, 회동구(44)의 회동축(45)은 축고정구(47)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러나, 도 5의 기술구성의 단점은 누차 설명하듯, 덕트(10)의 양측면에 2단으로 구성된 리브(30)가 연결장치에서 실제로 필요한 길이보다 불필요하게 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6, 7을 참고하여 도 5의 기술구성중 리브(30)와 돌출편(32)이 형성된 걸림구(31)의 구성을 대체하기 위해 제안되는 제2끼움식걸림구(60)를 이용하여 덕트(10)와 회동식체결구(40)의 연결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의 회동식체결구(40)는 종래구성인 도 5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회동식체결구(40)가 제2끼움식걸림구(60)에 장착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즉, 제2끼움식걸림구(60)는 직선형 덕트(10)의 양측면 양끝단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6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제2바닥판(61)의 일측에는 1개의 제2걸림돌기(62)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바닥판(6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2탄성끼움구(63)가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끼움구(63)의 부분이 덕트(10)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삽입되면서 제2탄성끼움구(63)가 견고하게 덕트(10)에 장착된다. 이후, 제2끼움식걸림구(60)가 장착된 덕트(10)를 관이음구(11)에 접속시키고 회동식체결구(40)의 덮개(41)를 파지한 후, 축고정구(47)를 중심으로 회동식체결구(40)를 제2걸림돌기(62)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걸림부(43)가 제2걸림돌기(62)에 걸리도록 한 후, 다시 회동식체결구(40)를 관이음구(11)쪽으로 당기면서 눌러주면, 회동식체결구(40)를 매개로 덕트(10)와 관이음구(11)가 단단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제2끼움식걸림구(60)의 덕트(10)상의 장착방식은 변형될 수 있다. 즉, 제2탄성끼움구(63)는 결합판(64)을 통해 제2바닥판(61)과 별도의 분리된 상태로 구성된다. 제2바닥판(61)에는 분리된 제2탄성끼움구(63)가 삽입되는 제2장착공(65)이 형성되어, 덕트(10)의 제1장착공(12)을 사이에 두고 덕트(10)의 내측에는 제2탄성끼움구(63)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제2탄성끼움구(63)와 제2바닥판(61)이 결합되면서 제2끼움식걸림구(60)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봉(48)이 형성된 회동식체결구(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회동식체결구(40)의 구성은 도 6, 7에 도시된 회 동식체결구(40)에 도 8의 원내도면과 같이 덮개(41)의 내측으로 연질의 결합봉(48)이 추가된 구성이다. 이 결합봉(48)이 추가 구성됨에 따라, 도 6, 7에 도시된 제2끼움식걸림구(60)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된다.
즉, 제1장착공(12)이 형성된 덕트(10)를 관이음구(11)에 접속한 후, 상기 결합봉(48)을 제1장착공(12)에 삽입한 다음, 회동식체결구(40)를 관이음구(11)쪽으로 당기면서 눌러주면, 결합봉(48)을 매개로 덕트(10)와 관이음구(11)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단단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실내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설치된 가옥의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체결구를 이용한 덕트의 연결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끼움식걸림구를 이용한 덕트의 연결 전.후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돌출편이 형성된 걸림구를 이용한 덕트와 회동식체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끼움식걸림구를 이용한 덕트와 회동식체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봉이 형성된 회동식체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덕트
11 : 관이음구
12 : 제1장착공
20 : 탄성체결구
21 : 걸림편
22 : 구멍
23 : 꺾쇠고정구
24 : 원통형보조고정구
25 : 분할형보조고정구
30 : 리브
31 : 걸림구
32 : 돌출편
33 : 체결홈
40 : 회동식체결구
41 : 덮개
42 : 회동핀홀
43 : 걸림부
44 : 회동구
45 : 회동축
46 : 회동핀
47 : 축고정구
48 : 결합봉
50 : 제1끼움식걸림구
51 : 제1바닥판
52 : 제1걸림돌기
53 : 제1탄성끼움구
60 : 제2끼움식걸림구
61 : 제2바닥판
62 : 제2걸림돌기
63 : 제2탄성끼움구
64 : 결합판
65 : 제2장착공
70 : 열교환기

Claims (6)

  1. 제1바닥판(5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2개의 제1걸림돌기(52)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제1바닥판(5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1탄성끼움구(53)가 형성된 제1끼움식걸림구(50)가 덕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장착되며,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ㄱ"자 형상의 꺾쇠고정구(23)가 형성되고, 2개로 분할된 걸림편(21)을 선단에 갖는 탄성체결구(20)가 탄성체결구(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 구멍(22)을 통해 꺾쇠고정구(23)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결구(20)와 꺾쇠고정구(23)가 함께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꺾쇠고정구(23)의 일측으로 원통형보조고정구(24) 또는 분할형보조고정구(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4. 제2바닥판(61)의 일측에는 1개의 제2걸림돌기(62)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바닥판(61)의 후방에는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2탄성끼움구(63)가 형성된 제2끼움식걸림구(60)가 덕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장착되며,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회동식체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축고정구(47)가 형성되고, 위 회동식체결구(40)는 회동구(44) 및 덮개(41)로 구성되되, 회동구(44)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핀(46)은 덮개(41)의 회동핀홀(42)에 조립되고, 회동구(44)의 회동축(45)은 축고정구(47)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5. 선단이 분할되어 탄성기능을 갖는 제2탄성끼움구(63)는 결합판(64)을 통해 제2바닥판(61)과 별도의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제2바닥판(61)에는 제2장착공(65)이 형성되며, 제2바닥판(61)의 측방으로는 1개의 제2걸림돌기(62)가 돌출형성된 제2끼움식걸림구(60)가 덕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장착공(12)에 장착되고,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회동식체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축고정구(47)가 형성되며, 위 회동식체결구(40)는 회동구(44) 및 덮개(41)로 구성되되, 회동 구(44)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핀(46)은 덮개(41)의 회동핀홀(42)에 조립되고, 회동구(44)의 회동축(45)은 축고정구(47)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6. 덕트(10)의 양측면에는 제1장착공(12)이 형성되고, 관이음구(11)의 양측면에는 회동식체결구(40)를 장착하기 위한 축고정구(47)가 형성되며, 위 회동식체결구(40)는 회동구(44) 및 덮개(41)로 구성되되, 덮개(41)의 내측으로는 제1장착공(12)에 삽입되는 결합봉(48)이 형성되고, 회동구(44)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핀(46)은 덮개(41)의 회동핀홀(42)에 조립되며, 회동구(44)의 회동축(45)은 축고정구(47)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KR1020080042590A 2008-05-07 2008-05-07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KR20090116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90A KR20090116571A (ko) 2008-05-07 2008-05-07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90A KR20090116571A (ko) 2008-05-07 2008-05-07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571A true KR20090116571A (ko) 2009-11-11

Family

ID=4160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590A KR20090116571A (ko) 2008-05-07 2008-05-07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5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4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WO2009142123A1 (ja) 貫通ダクト部材とその部材を用いた中空壁のダクト構造
US9513022B2 (en) Ventilating fan
CN203516969U (zh) 卫生嵌装件、用于卫生配件的内部软管系统和卫生配件
KR100915851B1 (ko)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KR20090095401A (ko) 환경친화형 공조 덕트의 연결장치
KR20040067978A (ko) 공기 조화기
KR20090116571A (ko) 덕트용 관이음구 연결장치
FI115665B (fi) Liitoskappale
KR20200100235A (ko)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KR100803398B1 (ko) 에어컨 배수관 연결구
CN111779231B (zh) 一种建筑装饰材料石膏踢脚线
KR200485338Y1 (ko) 전열교환기의 흡배기관과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CN207394170U (zh) 一种方便安装的空调连接管
CN208349516U (zh) 一种新型新风机法兰接口
JP3147985U (ja) 配線用接続管
KR101642889B1 (ko) 분기파이프 연결용 연결장치
CN215000028U (zh) 一种暖通管道的连接结构
KR200443008Y1 (ko) 수전금구인 몸체와 연결리플과의 연결장치
CN216346966U (zh) 一种移动空调外壳的排风转接头安装结构
BE1029933B1 (nl) Verbeterde ventilatieluchtslangfitting
KR20070079640A (ko) 에어콘 설치용 배관조인트박스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CN219773220U (zh) 一种双重对接定位的装配式保温墙板
CN218763715U (zh) 一种空调连接管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