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520A -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520A
KR20090116520A KR1020080042510A KR20080042510A KR20090116520A KR 20090116520 A KR20090116520 A KR 20090116520A KR 1020080042510 A KR1020080042510 A KR 1020080042510A KR 20080042510 A KR20080042510 A KR 20080042510A KR 20090116520 A KR20090116520 A KR 2009011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wave shape
methacrylate
shape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김연수
조덕재
배중석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520A/ko
Publication of KR2009011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필름에 있어서, 렌즈형 기능층이 형성되되,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길이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포함하며,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y)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OPTICAL FILM IMPROVED MOIRE}
본 발명은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 내부에 공기를 함유하는 불연속적층이 형성된 광학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표시기술에서 표시장치는 지난 반세기 이상 브라운관(CRT)이 독보적인 위치를 점했다. 그러나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시대를 맞아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미 소형 계측기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컴퓨터가 대중화되며 각종 모니터와 TV에 이르기까지 기존 CRT방식이 평판화로 대처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기술은 TV 분야에서 이미 시장을 확보한 액정디스플레이(LCD),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또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와 전계발광디스플레이(ELD) 등이 관련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 LCD는 유리판 두 장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에 설치된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서 액정 분자배열이 변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다. 이러한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 LCD 패널부, 구동부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된다. LCD 패널은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는 구조로서 단순히 후면의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만을 가진다. 따라서 빛이 없는 상태 즉 야간에서나 실내에서는 후면광의 도움이 없이는 화상을 보여줄 수 없는 구조이다. 백라이트 유닛은 이러한 LCD의 후면광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뜻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램프, 시트류, 기구부 그리고 구동회로로 구성이 된다. 램프만으로는 전면적에 걸친 균일한 빛을 만들어 낼 수 없으므로 도광판이나 확산판, 반사판, 프리즘, 프레임 등의 시트류와 기구부를 구비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현재 가장 널리 상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측광(side light) 방식으로가운데에 반사패턴이 인쇄된 도광판 (LGP: light guiding panel) 을 두고 냉음극형광램프 (CCFT: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방식이다. 이 때 도광판에 인쇄된 반사패턴은 램프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패널내의 위치에 따라 밝기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여주기 위한 구조로 인쇄된다. 도광판에 반사패턴을 인쇄한 방식은 생산성이 높으나 인쇄패턴 물질 자체에 의한 광 손실이 발생하므로 효율이 떨어지며 LCD가 대형화되면 될수록 전체적인 휘도의 균일도(uniformity)가 나빠지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 도광판 방식으로는 충분한 밝기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램프를 확산판 아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직하형 (direct)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확산시트의 후면에 수 개의 형광램프를 일렬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측광형 보 다 휘도를 높이고 균일성을 개선한 방식이다. 밝은 화면을 나타내기 위해, 백라이트 광원은 매우 밝아야만 한다. 이것은 왜냐하면,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LCD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단계를 거치며, 이러한 과정 중에서 그 본래 밝기를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분산 효과 때문에 화면에 전체에 걸쳐 빛의 균일성이 손실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광원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것은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전력소비가 많고, 또한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투과과정 동안 될 수 있는 대로, 손실이 없이 광원 밝기를 향상시키는 다른 시도가 있어 왔다.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LCD 및 프로젝션 TV에서, 빛이 광원에서부터 시청자의 눈까지 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광학 요소로 확산판이 있다. 확산판은 광원으로부터 들어온 빛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으로 LCD의 경우 측광형보다 직하형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조상 측광형은 도광관에 의해 인도된 빛이 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지만, 직하형의 경우, 여러 개의 광원이 화면 아래에 분포되어서, 광원 바로 위 지점과 광원과 광원사이의 지점과는 빛의 세기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를 상쇄시켜줘야 하기 때문이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광학필름의 가장 중요한 광학 특성은 투광도 및 흐림도(haze)로서, 가시광선에 대해서 90% 이상의 총 투광량과 85% 이상의 흐림도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2장의 휘도강화필름을 사 용하는데 이로서 상기 필름 표면의 프리즘 구조의 패턴 간섭으로 인한 무아레 무늬가 나타나는 것이다. 종래 휘도강화필름은 무아레 무늬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구조를 개량하였는데 상기 휘도강화필름을 역시 문제가 되는 것은 휘도강화필름의 주기적 패턴과, 상기 필름의 구조와 LC 모듈의 화소배열 역시 무아레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6,091,547호에서는 프리즘의 피치가 30㎛ 이하인 휘도 제어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즘의 피치가 30㎛ 이하일 경우, 상대적으로 휘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열적,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제2필름으로 렌티큘라 형상 특히 실린더 형상의 필름이 위치하는 경우 모아레 현상이 일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광학필름으로서 무아레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필름에 있어서, 렌즈형 기능층이 형성되되,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길이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y)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Vy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 형상의 계곡을 기준으로 최좌측에 위치한 피크까지의 거리, B는 프리즘 형상의 계곡을 기준으로 최우측에 위치한 피크까지의 거리.
또한 본 발명은 광학필름에 있어서, 렌즈형 기능층이 형성되되,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축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x)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2)
Vx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의 형상이 시작되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저인 지점까지의 거리, b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고인 지점까지의 거리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축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더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x)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2)
Vx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의 형상이 시작되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저인 지점까지의 거리, b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고인 지점까지의 거리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상의 변화가 불규칙적으로 발현되는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이 코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랜드 또는 조성물로서 코폴리에스테르 10 내지 9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10 내지 90중량%를 포함된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로 만든 비드 및 실리콘계 구형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된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을 1 이상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 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필름"이라 함은 일정한 폭과 두께가 있는 막, 시트, 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또 "렌즈형 기능층"이라 함은 프리즘 형상의 기능층, 렌티큘라(Lenticular), 반구형 렌즈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다만 이하 프리즘 형상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을 나타낸 개념사시도이며, 도 2는 A-A',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5는 광학필름에서 프리즘 블록을 임의적으로 분리하여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은 계곡(101)과 피크(103)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면 방향이며, y축은 x축에 직각이고 필름(100)의 길이방향이다. 형상이 불규칙적이 프리즘 형상에서 y축이 평면을 기준으로 반드시 피크(103)와 같은 길이방향일 필요는 없다. z축은 x-y축과 직각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은 프리즘의 형상이 길이방향(y축)에 있어서 웨이브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웨이브형이라 함은 길이방향, 즉 도 3과 같이 y축을 기준으로 좌우의 변화가 있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반드시 곡선형태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y)은 3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변화율이라 함은 상기 필름의 프리즘 형상에 있어서, 프리즘의 계곡(101)을 기준으로 최좌측에 위치한 피크(103)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프리즘의 계곡(101)을 기준으로 최우측에 위치한 피크(103')까지의 거리를 B라 할 때 하기 수학식 1로 정의 될 수 있다.
Vy = (B-A)/A * 100
상기 범위는 무아레 현상이 개선되면서 형상제어가 용이한 범위이다.
상기 프리즘 형상 변화는 상기 변화율(Vy)의 범위내에서 불규칙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도 6 및 7은 x-z 방향으로 웨이브 형상이 발현된 프리즘 필름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은 프리즘의 형상에 있어서 프리즘 블록의 피크에 진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7과 같이 z축을 기준으로 높낮이의 변화가 있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반드시 곡선형태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진폭의 변화율(Vx)는 3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변화율이라 함은 상기 필름의 프리즘 형상에 있어서, 프리즘의 형상이 시작되는 기준점(201)으로부터 진폭이 최저인 지점(203)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상기 기준점(201)으로부터 진폭이 최고인 지점(205)까지의 거리를 b라 할 때 하기 수학식 2로 정의될 수 있다.
Vx = (b-a)/a * 100
상기 범위는 무아레 현상이 개선되면서 형상제어가 용이한 범위이다.
상기 프리즘 형상의 변화는 상기 변화율(Vx)의 범위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필름은 상기 Vy와 Vx의 변화율을 모두 포함하거나 Vy만 또는 Vx만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광학필름의 소재는 코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랜드 또는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폴리에스테르 10 내지 9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10 내지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는 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코폴리에스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PCN),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PCC)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계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A[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통상 광학필름의 소재로 사용되는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특히 PMMA, Poly Methyl Meta Acrylate)등이 다수 사용된다. 일반적인 PC나 PMMA계열의 물성은 뻣뻣함(강성도, stiffness)의 정도가 크고 깨지기 쉬운(brittle) 성질이 있어 홈이나 홀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펀칭가공이 어렵고 절삭가공으로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홀가공에 있어서는 상기 절삭가공으로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광학필름의 소재만이 가공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재는 공정수분율도 상대적으로 낮아 고습도에서도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광학필름은 광확산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광확산 입자는 입자를 포함하는 바인더(수지)와 상용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소재와 굴절률이 유사한 유기 입자 및 굴절율이 낮은 구형태의 실리콘 입자를 검토하여 사용하 였으며, 소재 굴절률이 1.50-1.80사이 무기입자도 사용가능하다. 특히, 사용되어지는 입자선정은 소재와의 굴절율 차가 0.1에서 0.2정도가 되어지는 구형태의 입자가 차폐성을 높여 휘선보임 등의 문제 해결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입자량으로 확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사용되는 확산제 입자의 굴절률은 소재와 굴절률과 차이가 클수록 광확산 효과를 증진시키지만, 굴절률차가 너무 크게 되면, 휘도를 높이는 측면에서는 불리하기 때문에 적절한 굴절률 차를 확보하고 때로는 소재와 유사한 굴절률 입자와 굴절률차가 큰 입자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될 수 있는 광확산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로 만든 비드 및 실리콘계 구형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재중에 굴절율차가 0.1에서 0.2정도인 1마이크론에서 10마이크론 사이의 구형입자이다. 이러한 굴절율차를 가지는 구형 유기 입자들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의 밀도 (약 1.10 내지 1.30 g/cm3)와 유사한 밀도들 가지기 때문에 수지내에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확산 입자는 종류 및/또는 크기에서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종류보다는 굴절률의 차이가 있는 2 종 이상의 입자를 혼합 사용하여 광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면서 크기가 다른 입자를 사용하여 광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다공성(Hollow) 입자를 적용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 조립후 광확산 효율을 극대화 하면서 휘도를 높일 수 있다.
균일한 입도의 입자를 사용하면, 소정의 광확산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입자가 필요하고 이는 경제적 비효율 뿐만 아니라, 전체 투광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의 한 구체 예에 따라서, 광확산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30 미크론과 1-15 미크론 두 종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입자의 함량을 줄이면서 광확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광확산 입자는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5 중량% 이하일 때는, 소정의 광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으로, 30 중량%를 넘을 때는 광투과율이 저하되며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균일 입자 분산을 얻을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휘도를 개선하면서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필름은 무아레 현상을 개선하면서 휘도개선을 위한 일체형 광학필름인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력사용을 주릴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비스페놀-A[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1:1 비율로 배합하고 포스페이트계 열안정제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3 wt%가 되도록 블렌딩하였다. 이 후, 상기 수지를 270℃에서 스크루 공압출 설비를 통해 1.0 mm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프리즘 형상으로 압출인각하되, Vy의 변화율을 3%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Vy의 변화율을 5%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Vy의 변화율을 10%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4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비스페놀-A[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1:1 비율로 배합하고 포스페이트계 열안정제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3 wt%가 되도록 블렌딩하였다. 이 후, 상기 수지를 270℃에서 스크루 공압출 설비를 통해 1.0 mm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프리즘 형상으로 압출인각하되, Vx의 변화율을 3%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5%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10%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3%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5%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10%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실시예 2와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각각 3, 5, 10%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15
실시예 3과 동일하되, Vx의 변화율을 각각 3, 5, 10%로 유지하고 그 형상은 불규칙하게 발현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여 Vy 및 Vx를 모두 발현하지 않았다.
* 시험방법
무아레 개선정도
패널 전문가 10명을 선정하여 무아레 개선도를 1 ~ 5점 사이도 평가하였다. (5가 개선도가 가장 높음을 의미)
하기 표 1은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조건 및 무아레 개선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변화율 무아레 개선정도
Vy Vx
실시예 1 3 0 3
실시예 2 5 0 3
실시예 3 10 0 3
실시예 4 0 3 4
실시예 5 0 5 4
실시예 6 0 10 4
실시예 7 3 3 5
실시예 8 3 5 5
실시예 9 3 10 5
실시예 10 5 3 5
실시예 11 5 5 5
실시예 12 5 10 5
실시예 13 10 3 5
실시예 14 10 5 5
실시예 15 10 10 5
비교예 1 0 0 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을 나타낸 개념사시도.
도 2는 A-A', B-B'선의 단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5는 광학필름에서 프리즘 블록을 임의적으로 분리하여 표현한 사시도.
도 6 및 7은 x-z 방향으로 웨이브 형상이 발현된 프리즘 필름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웨이브 형상이 불규칙하게 발현된 필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광학필름 101 : 계곡
103 : 피크 201 : 기준점
203 : 최저진폭 205 : 최고진폭

Claims (8)

  1. 광학필름에 있어서,
    렌즈형 기능층이 형성되되,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길이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y)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수학식 1)
    Vy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 형상의 계곡을 기준으로 최좌측에 위치한 피크까지의 거리, B는 프리즘 형상의 계곡을 기준으로 최우측에 위치한 피크까지의 거리.
  2. 광학필름에 있어서,
    렌즈형 기능층이 형성되되,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축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x)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수학식 2)
    Vx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의 형상이 시작되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저인 지점까 지의 거리, b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고인 지점까지의 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형 기능층은 축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더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웨이브 형상의 변화율(Vx)이 3 내지 10%인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수학식 2)
    Vx = (b-a)/a * 100
    여기서 a는 프리즘의 형상이 시작되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저인 지점까지의 거리, b는 기준점으로부터 진폭이 최고인 지점까지의 거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변화는 불규칙적으로 발현되는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코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랜드 또는 조성물로서 코폴리에스테르 10 내지 90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10 내지 90중량%를 포함된 무아 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로 만든 비드 및 실리콘계 구형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된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광학필름을 1 이상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80042510A 2008-05-07 2008-05-07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KR20090116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10A KR20090116520A (ko) 2008-05-07 2008-05-07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10A KR20090116520A (ko) 2008-05-07 2008-05-07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520A true KR20090116520A (ko) 2009-11-11

Family

ID=4160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510A KR20090116520A (ko) 2008-05-07 2008-05-07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5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6A (ko) * 2014-07-28 2016-02-05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90010306A (ko) * 2017-07-21 2019-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6A (ko) * 2014-07-28 2016-02-05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90010306A (ko) * 2017-07-21 2019-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81B1 (ko) 광학특성 및 내열성과 내흡습성이 우수한 광확산판
KR101077993B1 (ko) 압출인각 방식에 의한 도광판 제조방법
KR100940363B1 (ko) 프리즘 형상의 제어방법 및 제어된 광학필름
KR101249880B1 (ko)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20090116520A (ko) 무아레 현상이 개선된 광학필름
KR101068635B1 (ko) 인각율이 향상된 고휘도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8273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광학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
KR100813738B1 (ko) 내스크래치성과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확산판 제조방법
KR101158313B1 (ko) 시인성이 향상된 광학필름
KR101175749B1 (ko)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8B1 (ko) 확산 및 차폐기능을 갖는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4091B1 (ko) 프리즘 형상이 제어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7B1 (ko) 확산성이 개선된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3289B1 (ko) 고휘도 특성을 갖는 도광판
KR100973599B1 (ko) 보호필름이 제거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0854B1 (ko) 고휘도 광학필름
KR101175750B1 (ko)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101113214B1 (ko) 고휘도 광학필름
KR101151437B1 (ko) 고휘도 확산필름
KR20080065341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판
KR101128078B1 (ko)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20110072348A (ko) 고휘도 광학필름
KR20120012449A (ko) 내스크래치성 휘도향상 광학필름
KR101292653B1 (ko) 확산성이 개선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