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289A -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289A
KR20090116289A KR1020080042145A KR20080042145A KR20090116289A KR 20090116289 A KR20090116289 A KR 20090116289A KR 1020080042145 A KR1020080042145 A KR 1020080042145A KR 20080042145 A KR20080042145 A KR 20080042145A KR 20090116289 A KR20090116289 A KR 2009011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lanar spring
coil
external forc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은
박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289A/ko
Publication of KR2009011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0Light-tight connections for mov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각각의 코일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 사이에 부착하여 큰 각도로 틸팅(tilting)하는 경우에도 항복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각 축에 대한 자유도가 비연성되는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의 사이에 부착된다.
평면형 스프링, 힌지, 연성, 항복 응력

Description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Planar type spring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각각의 코일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 사이에 부착하여 큰 각도로 틸팅(tilting)하는 경우에도 항복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각 축에 대한 자유도가 비연성되는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전기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은 기본적으로 반도체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도체는 상기 반도체 가공 기술, 예컨대 박막 증착 또는 식각 등을 이용하여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는 소자를 제작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이와 달리 MEMS는 움직이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가 있다. DLP는 머리카락의 1/3 정도 크기의 초소형 거울을 화소수(예컨대, 1024 * 768)만큼 제작하여 이들 을 각각 구동하여 프로젝터에 응용하는 것이다. 응용 분야는 마이크로 미러 외에도 RF 고주파에 사용되는 스위치, 가속도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바이오칩을 제작하기 위한 플랫폼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현재에는 구동기의 취약점, 예컨대 구동 시 기계적 마모, 점착, 균일성 등으로 발전이 지체되는 상황이지만, 구동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을 제작하여 기존의 MEMS 제품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MEMS 구조물에 주로 사용된 종래의 2축 틸팅(tilting) 자유도 구조물은 각 축에 대한 자유도가 비연성되어 각 축 방향으로 작용한 외력에 대해 해당 틸팅이 서로 독립적이었다. 그러나, MEMS 구조물과 달리 틸팅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특정 각도 이상에서는 2축 틸팅 자유도 구조물의 힌지부의 내부 응력이 항복 응력을 초과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방범용 카메라의 렌즈 틸팅 등 구동 대상 물체의 틸팅 각도가 큰 경우에는 상기 2축 틸팅 자유도 구조물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2축 틸팅 자유도 구조물은 강성(rigidity)이 커서 구조물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구동원의 필요 구동 전력량의 증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발열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큰 틸팅 각도에서도 항복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각 축에 대한 틸팅 자유도가 비연성되는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평면형 스프링의 강성을 감소시켜 구동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의 사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빛을 수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움직이는 구동부 및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와 연동하는 평면형 스프링으로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의 다른 부분에 변형을 전달하는 다수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평면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의 사이에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에 따르면, 큰 각도로 틸팅하는 경우에도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힌지부의 내부 응력은 항복 응력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에 따르면, 각 축에 대한 틸팅 자유도가 비연성되어 일 축에 작용한 외력이 다른 축에 대해 틸팅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형 스프링의 강성이 감소하여 구동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은 외력 또는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 또는 모멘트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111,112,113) 및 상기 코일부(111,112,113)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다른 부분 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121,122)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외력 또는 모멘트가 상기 평면형 스프링(1)에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 또는 모멘트에 대응하여 임의의 변위만큼 변형한다. 통상적인 스프링이 작용한 외력에 대해 스프링 상수의 역수에 비례한 변위(x = F/k)만큼 변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평면형 스프링(1)도 작용한 외력에 대해 임의의 변위만큼 변형한다.
해당 외력이 임의의 축, 예컨대 제 1축(131) 상에서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평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에는 모멘트가 작용하여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제 2축(132)에 대해 틸팅(tilting)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외력이 제 2축(132) 상에서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평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제 1축(131)에 대해 틸팅할 것이다. 또한, 외력이 제 1축(131) 및 제 2축(132) 상이 아닌 임의의 점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제 1축(131) 및 제 2축(132)의 틸팅이 연동되어 변형할 것이다. 외력이 상기 평면형 스프링(1)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해당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병진 변위를 가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사각형일 수 있고,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평면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모멘트에 대해 임의의 변위만큼 변형을 하고, 탄성 영역에서 변형한 경우 외력 또 는 모멘트가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한다.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코일부(111,112,113)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킨다. 즉,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일부분에 외력 또는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외력 또는 모멘트를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다른 코일부(111,112,113)로 전달하여 작용한 외력 또는 모멘트에 대해 임의의 변위만큼 변형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121,122)를 통해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다른 코일부에 전달된 외력 또는 모멘트는 상기 외력 또는 모멘트의 작용점에서의 외력 또는 모멘트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121,122)에 연결된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다른 부분은 외력 또는 모멘트의 작용점에서의 코일부(111,112,113) 부분보다 변위가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중심(15)과 상기 외력 또는 모멘트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131) 및 상기 제 1축(131)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1)과 평행한 제 2축(132)의 사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제 1축(131) 또는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된다.
상기 힌지부(121,122)가 상기 제 1축(131) 또는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는 경우,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각 축, 즉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에 대한 틸팅의 연성도(coupling)가 최소값을 가진다. 여기서 연성도는 상기 제 1축(131)에 대한 틸팅과 상기 제 2축(132)에 대한 틸팅이 동시에 발생하여 연동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상기 제 1축(131) 상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상기 제 2축(132)에 대해서만 틸팅된다. 이 경우, 틸팅의 연성도는 0일 것이다. 하지만, 실제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상기 제 1축(131) 상에서만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축(132)에 대한 틸팅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축(131)에 대해서도 틸팅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121,122)가 상기 제 1축(131) 또는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며, 이 경우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에 대한 틸팅의 연성도가 최소가 되어 각 축에 대한 독립적인 틸팅을 구현할 수 있다.
표 1은 제 1축(131)으로부터 제 2 힌지부(122)까지의 부착 각도 및 제 2축(132)으로부터 제 1 힌지부(121)까지의 부착 각도에 따른 제 1축(131)에 대한 연성 틸팅각 및 제 2축(132)에 대한 연성 틸팅각을 나타낸다.
부착 각도(deg) 0 15 30 45 60 75
제 1축 연성 틸팅각(deg) 5.18 4.15 2.35 0.18 -2.02 -3.91
제 2축 연성 틸팅각(deg) 5.09 5.03 3.33 0.27 -2.92 -4.8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21,122)의 부착 각도가 45°인 경우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연성도가 최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에 두 개의 힌지부(121,122)가 부착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이상의 힌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코일부(111,112,113)는 세 개이지만,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이 사용되는 제품 또는 모듈의 사이즈에 따라 코일부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상기 힌지부의 개수 역시 늘어날 것이다.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에 의해 구분되는 사분면을 각각 제 1 사분면, 제 2사분면, 제 3사분면 및 제 4사분면이라고 하면,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힌지부(121,122)가 제 1사분면 및 제 4 사분면에 부착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121,122)는 다양한 사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사분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도 틸팅의 연성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축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할 것이다.
상기 힌지부(121,122)의 폭(t)은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두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상기 힌지부(121,122)의 폭(t)은 커질 것이다. 상기 힌지부(121,122)의 폭(t)은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소성 응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121,122)의 폭(t)이 커질수록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이 소성 영역에 진입하는 소성 응력 값이 커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이 제 2축(132)에 대해 틸팅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제 1 코일부(113)에서 상기 제 1축(131) 상에 외력 F가 작용한 경우 모멘트 M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코일부(113)는 상기 제 2축(132)에 대해 임의의 제 1 각도(31)만큼 틸팅한다.
상기 제 1 힌지부(121)는 상기 제 1 코일부(113)과 상기 제 2 코일부(112)에 부착되어 서로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힌지부(121)는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된다. 상기 제 1 힌지부(121)는 상기 제 1 코일부(113)에 작용한 모멘트 M을 상기 제 2 코일부(112)에 전달하여 상기 제 2 코일부(112)도 변형시킨다. 상기 제 2 코일부(112)에도 모멘트가 작용하여 상기 제 2 코일부(112)는 상기 제 2축(132)에 대해 임의의 제 2 각도(32)만큼 틸팅한다.
상기 제 2 힌지부(122)는 상기 제 2 코일부(112)와 제 3 코일부(111)에 부착되어 서로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힌지부(122)는 상기 제 1축(131) 및 상기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이 제품 또는 모듈에 사용되는 경우, 최외각의 코일부, 도 3a에서는 제 3 코일부(111)는 고정되어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외력 F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 1 코일부(113) 및 상기 제 2 코일부(112)는 외력 F가 작용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 2 코일부(112)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상기 제 1 코일부(113)에 작용하는 모멘트 M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제 2 각도(32)는 제 1 각도(31)보다 작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축(132) 상에 작용한 외력에 대해서도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제 1축(131)에 대해 틸팅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을 사용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을 사용한 카메라 모듈은 빛을 수집하는 렌즈부(21), 상기 렌즈부(21)를 움직이는 구동부(2) 및 상기 렌즈부(21)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21)와 연동하는 평면형 스프링(1)으로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111,112,113) 및 상기 코일부(111,112,113)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111,112,113)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121,122)를 포함하는 평면형 스프링(1)으로서, 상기 힌지부(121,122)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중심(15)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131) 및 상기 제 1축(131)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1)과 평행한 제 2축(132)의 사이에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1)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21)는 빛을 수집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렌즈부(21)가 획득한 영상 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처리부로 전송되어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상기 구동부(2)는 상기 렌즈부(21)와 연결되며, 상기 렌즈부(21)를 움직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21)는 상기 구동부(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렌즈부(21)와 기어, 링키지 또는 캠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21)를 움직이거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2)는 VCM(Voice Coil Mo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에조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가 상기 렌즈부(21)의 이송에 VCM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2)는 제 1 코일(22), 제 1 자석(231) 및 제 2 자석(2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일(22), 제 1 자석(231) 및 제 2 자석(232)은 고정부(3)에 포함되는 제 3 자석(321), 제 4 자석(322) 및 제 2 코일(31)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자석(231), 제 2 자석(232), 제 3 자석(321) 및 제 4 자석(322)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2)가 상기 렌즈부(21)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 1 코일(22) 또는 상기 제 2 코일(31)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속이 발생하고 상기 제 1 자석(231), 제 2 자석(232), 제 3 자석(321) 또는 제 4 자석(322)이 발생하는 자속과 연계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한다. 상기 전자기력은 상기 렌즈부(21)에 작용하여 상기 렌즈부(21)를 움직이며, 이 움직임은 광축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광축에 수직일 수 있고, 제 1축(131) 또는 제 2축(132)에 대한 틸팅일 수 있다.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상기 구동부(2)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2)와 연동한다.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구동부(2)가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제 1 코일부(113)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3)가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제 3 코일부(111)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3)는 상기 제 3 코일부(111)와 함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술한 VCM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이 작용하여도 변형하거나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코일부(113)에 연결된 상기 구동부(2)가 전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 예컨대 제 2 축(132)에 대해 틸팅하는 경우 상기 제 1 코일부(113)도 제 2축(132)에 대해 틸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상기 코일부(111,112,113)에 외력이 작용하여 제 1축(131) 또는 제 2축(132)에 대해 틸팅하는 경우, 틸팅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각 축에 대한 틸팅 자유도의 연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력이 제 1축(131) 상에 작용하는 경우 해당 전자기력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는 상기 코일부(111,112,113)를 대부분 제 2축(132)에 대해서 틸팅시켜 상기 렌즈부(21)를 보다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성도는 상기 힌지부(121,122)가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변화하며, 연성도가 최소가 되는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축(131) 또는 제 2축(132)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이다. 또는, 제 1축(131) 또는 제 2축(132)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된 위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틸팅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예컨대 25°의 큰 각도인 경우에도 상기 힌지부(121,122)의 내부 응력이 항복 응력 또는 소성 응력을 초과하지 않아 외력이 제거되어도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의 상기 코일부(111,112,113)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평면형 스프링(1)은 강성이 작아 임의의 각도로 틸팅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이 제 2축(132)에 대해 틸팅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스프링(1)을 사용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9)

  1.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
    를 포함하는 평면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의 사이에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축 및 상기 제 2축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축 또는 상기 제 2축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두 개인 평면형 스프링.
  5. 빛을 수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움직이는 구동부; 및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와 연동하는 평면형 스프링으로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부분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의 다른 부분을 변형시키는 다수의 힌지부;
    를 포함하는 평면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평면형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외력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제 1축 및 상기 제 1축과 직교하며 상기 평면형 스프링과 평행한 제 2축의 사이에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VCM(Voice Coil Motor)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축 및 상기 제 2축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축 또는 상기 제 2축으로부터 45°만큼 이격되어 부 착되는 평면형 스프링.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두 개인 평면형 스프링.
KR1020080042145A 2008-05-07 2008-05-07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KR20090116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45A KR20090116289A (ko) 2008-05-07 2008-05-07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45A KR20090116289A (ko) 2008-05-07 2008-05-07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89A true KR20090116289A (ko) 2009-11-11

Family

ID=4160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45A KR20090116289A (ko) 2008-05-07 2008-05-07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2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96A (ko) * 2016-05-31 2019-02-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96A (ko) * 2016-05-31 2019-02-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4005B2 (ja) マルチ開口撮像装置、マルチ開口撮像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EP3245548B1 (en) Hybrid mems scanning module
JP5184839B2 (ja) 圧電モータおよびカメラ装置
US20080238249A1 (en) Piezoelectric motor and piezoelectric motor system
JP2020122969A (ja) 多開口撮像デバイス、撮像システム、および多開口撮像デバイスを提供する方法
US7782560B2 (en) Lens actuator and camera module with same
US20130208369A1 (en) Apparatus and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r rotation center of an optical system
JP2006209136A (ja) 可変焦点ミラー及びこれを応用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US8570637B2 (en) Micromechanical element
JP2020187355A (ja) 調整可能プリズム
TWI446690B (zh) 致動器
US8559115B2 (en) Fluidic stabilized focus device
US20130033732A1 (en) Rotating MEMS Scanner
US20120217844A1 (en) Piezoelectric actuator and piezoelectric actuator array
JP4897016B2 (ja) 圧電モータ
US8000590B2 (en) Driv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unit,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150000180A (ko) 카메라 모듈
KR20090116289A (ko) 평면형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GB2592002A (en) A shape memory alloy apparatus
CN115128798A (zh) 一种具有大偏摆角度、高抗振能力的二维快速控制反射镜
KR102052158B1 (ko) 카메라 모듈
JP2009071663A (ja) 移動機構および撮像装置
WO2009096205A1 (ja) アクチュエータ機構
KR20190020139A (ko) 광학 장치, 노광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CN115524845B (zh) 一种具备有源可调谐镜面的mems微镜扫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