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222A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222A
KR20090116222A KR1020080042032A KR20080042032A KR20090116222A KR 20090116222 A KR20090116222 A KR 20090116222A KR 1020080042032 A KR1020080042032 A KR 1020080042032A KR 20080042032 A KR20080042032 A KR 20080042032A KR 20090116222 A KR20090116222 A KR 2009011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main body
receiving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368B1 (ko
Inventor
천도철
Original Assignee
천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도철 filed Critical 천도철
Priority to KR102008004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36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의 혼합액으로부터 물과 기름을 서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유수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본체(10), 회전체(30) 및, 포집장치(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한다. 회전체(30)는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수용공간(11)을 채운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와류유동하도록 한다. 포집장치(50)는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고,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는 것으로 와류유동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본체(1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이 펌핑기구(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유수분리기, 임펠러, 포집장치, 원심력, 와류

Description

유수분리기{A oil separator}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유수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현장이나, 선박의 엔진실과 같이 기름의 사용이 빈번한 공간에서는 사용된 기름이 물과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름은 외부에 유출되면 환경 및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사용된 기름은 별도로 모아서 제거되거나 재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물과 기름이 혼합된 혼합액은 유수분리기에 의해 물과 기름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수분리기는 종래 흡착식 필터를 사용하여 물에 혼합된 기름을 흡수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흡착식 필터의 설치, 제거, 및 교체가 빈번하여 유 수분리기의 사용이 번거로워지고, 유수분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작업효율이 낮았고, 작업인원과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서로 분리시키는 구성의 유수분리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40호 공고번호 제72-201호 "유수분리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17337호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73299호 "유수 분리장치", 공개번호 특2001-0107247호 "유수 분리 장치 및 방법",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8949호 "비중차를 이용한 유수분리기"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를 이용한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일정시간이 지난 후 비중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이 상하로 분리되도록 한 단순한 구성이어서 물과 기름의 분리에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효율이 낮았다.
이에 따라, 물과 기름이 보다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물질들의 원심력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물질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들도 개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2-2181호 "원심분리 및 이중분리공 다층판을 사용한 무필터 유수분리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6261호 "사이클론의 보텍스 관 구조", 등록번호 제20-0284275호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7470호 "편심댐 조절장치가 부착된 3상 원심분리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13471호 "유수분 리 방법 및 그 장치" 등이 현재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심력의 차이를 이용한 종래 유수분리기는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서로 분리된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단순한 구성으로도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는 기름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유수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체(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고,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는 포집장치(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10)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하고,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운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와류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포집장치(50)는 와류유동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이 상기 펌핑기구(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덮개(13)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고, 내외부가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와 연통되는 포집공간(5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기름을 포집하게 되는 포집함(51)과; 상기 포집함(51)의 포집공간(512)으로 일단이 돌출되고, 상기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공간(512)으로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관(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도체 감지센서(53)와; 상기 펌핑기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54)로 물 감지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54)는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펌핑기구(60)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펌핑기구(60)가 온상태가 되어 상기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 상기 회전체는 다수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본체를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키게 되는 임펠러와;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수평한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중앙에 상 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임펠러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하고, 상부는 덮개(13)가 고정되어 폐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상하방향으로 배관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하부와 연결되며, 상단은 배수관(23)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를 확인하여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수두조절기(20)와; 상기 본체(10)에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다수개의 날개(312)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본체(10)를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키게 되는 임펠러(31)와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수평한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중앙에 상기 임펠러(31)가 위치되는 임펠러 가이드(32)로 이루어지는 회전체(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고,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며, 와류유동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이 상기 펌핑기구(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집장치(50)를 포함하되,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덮개(13)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고, 내외부가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와 연통되는 포집공간(512)이 형성되어 상기 수 용공간(11)의 기름을 포집하게 되는 포집함(51)과; 상기 포집함(51)의 포집공간(512)으로 일단이 돌출되고, 상기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공간(512)으로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관(52)과;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도체 감지센서(53)와; 상기 펌핑기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를 포함하여,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54)로 물 감지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54)는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펌핑기구(60)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펌핑기구(60)가 온상태가 되어 상기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수분리기에 의하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강제로 와류유동시켜 물과 기름을 서로 분리함에 따라 신속한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유수분리기의 작동사이클이 줄어들어 시간당 유수분리기의 작동회수를 늘일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유수작업효율이 높은 작은 용량의 소형 유수분리기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의 혼합액으로부터 물과 기름을 서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도 1과 같이 본체(10), 회전체(30) 및, 포집장치(50)를 포함한 단순한 구성으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는 기름을 포집하여 배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유수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과 기름이 혼합된 일정량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수용탱크로서 정해진 용량의 수용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일측에는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한다.
회전체(30)는 본체(10)의 수용공간(11)을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30)는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공간(11)을 채운 물과 기름의 혼합액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10)의 수용공간(11)을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와류유동하게 되면, 물보다 작은 비중의 기름은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게 된다.
포집장치(50)는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이동한 기름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포집장치(50)는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포집장치(50)는 본체(10)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한 기름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회전체(30)가 구비되어 본체(10)로 유입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짧은 시간 내에 강제로 와류유동시킬 수 있게 되고,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에 포집장치(50)가 설치되어 와류유동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되어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을 곧바로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수분리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와류유동을 생성시키는 회전체(30)와,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위치되어 기름을 배출하는 포집장치(50)를 구비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높은 유수분리효율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유수분리기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 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의 (a), (b),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외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루는 회전체의 조립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루는 포집장치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도 2와 도3에서와 같이 본체(10), 수두조절기(20), 회전체(30), 포집장치(50)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일정용량의 수용공간(11)이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를 이루며 내부에 형성된 수용탱크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의 외벽에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유입관(14)과 연결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는데, 유입구(12)는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본체(10)의 수용공간(11)을 폐쇄시키기 위한 덮개(13)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덮개(13)에 포집장치(50)가 설치되어 물로부터 분리된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본체(10)를 역원뿔형상의 수용공간(11)을 가진 사이클론(cyclone)으로 형성하고,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2)를 본체(10)의 상측에 형성시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수용공간(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선회이동하면서 자연적으로 와류유동이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회전체(30)에 의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와류유동과 더불어,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진 본체(10)에 의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와류유동이 서로 중첩됨에 따라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와류유동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생성되어 유수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하부에 침전물 배출구(16)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수용공간(11) 바닥면에 침전되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에 섞여 있는 각종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체(10)의 외벽에는 개폐가 가능한 점검맨홀(15)이 설치되어 필요시 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1)을 점검하고,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수두조절기(20)는 본체(10)의 외부에 상하방향으로 배관되어 수용공간(11)을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수두)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두조절기(20)는 점검관(21)과, 조절구(22) 및 배수관(23)으로 이루어진다.
점검관(21)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 하부와 연결되어 본체(10)의 상단 높이만큼 배관되는 관으로,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은 수용공 간(11)과 동일한 높이로 점검관(21)에 유입된다.
조절구(22)는 점검관(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관(21)의 상단 높이를 조절하여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배수관(23)은 조절구(22)를 사이에 두고 점검관(21)과 연결되는 관으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정해진 수두높이 이상으로 본체(10)의 수용공간(11)으로 유입되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1)에 유입되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은 정해진 표면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회전체(30)는 본체(10)에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수용공간(11)을 채우게 되면 물과 기름의 혼합액 내부에서 회전하여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와류유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체(30)는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구동모터(40)는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어 구동축(41)이 본체(10)의 저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정높이에서 회전체(30)와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30)는 도 4와 같이 임펠러(impeller)(31)와, 임펠러 가이드(impeller guide)(32)로 이루어진다.
임펠러(31)는 다수개의 날개(312)를 가진 것으로 구동모터(40)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본체(10)를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강제로 와류유동시키게 된다.
임펠러 가이드(32)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수평한 접시형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임펠러 가이드(32)의 내측 중앙에 임펠러(31)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임펠러 가이드(32)는 (임펠러 가이드의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필요)
포집장치(50)는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회전체(30)에 의해 와류유동하면서 물로부터 분리되어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을 포집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포집장치(50)는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집장치(50)는 도 3과 도 5와 같이 포집함(51), 배출관(52), 전도체 감지센서(53) 및, 컨트롤러(54)로 이루어진다.
포집함(51)은 본체(10)의 덮개(13) 저면에 고정되어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포집함(51)은 내외부가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외부로 개방된 포집공간(512)이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10)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됨에 따라 수용공간(11)의 기름을 포집하게 된다.
배출관(52)은 포집함(51)의 포집공간(512)으로 일단이 돌출되는 관으로,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된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포집함(51)에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펌핑기구(60)로는 수동식 펌프, 공유압식 펌프, 전기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전도체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집장치(50)에서는 전도체인 물과 부도체인 기름을 구별하여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도체 감지센서(53)는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에 위치한 액체에 물이 포함되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물이 감지되면 컨트롤러(54)로 물 감지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에 위치한 액체에 물이 포함되면 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에 위치한 액체가 기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물 감지신호 발생을 멈추게 된다.
컨트롤러(54)는 전도체 감지센서(53)와 펌핑기구(60)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펌핑기구(6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54)는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펌핑기구(60)가 오프상태가 되어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펌핑기구(60)가 온상태가 되어 작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54)의 펌핑기구(60) 제어동작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집장치(50)는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는 경우에만 펌핑기구(60)를 작동시켜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과 기름의 분리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면 곧바로 펌핑기구(60)가 작동되어 기름이 배출되므로 기름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유수분리의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의 (a), (b),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외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루는 회전체의 조립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루는 포집장치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용공간
12 : 유입구 13 : 덮개
14 : 유입관 15 : 점검맨홀
16 : 침전물 배출구 20 : 수두조절기
21 : 점검관 22 : 조절구
23 : 배수관 30 : 회전체
31 : 임펠러 312 : 날개
32 : 임펠러 가이드 40 : 구동모터
41 : 구동축 50 : 포집장치
51 : 포집함 512 : 포집공간
52 : 배출관 53 : 전도체 감지센서
54 : 컨트롤러 60 : 펌핑기구
100 : 유수분리기

Claims (5)

  1.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체(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고,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는 포집장치(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10)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하고,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운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와류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포집장치(50)는 와류유동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이 상기 펌핑기구(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덮개(13)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고, 내외부가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와 연통되는 포집공간(5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기름을 포집하게 되는 포집함(51)과;
    상기 포집함(51)의 포집공간(512)으로 일단이 돌출되고, 상기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공간(512)으로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관(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도체 감지센서(53)와;
    상기 펌핑기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54)로 물 감지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54)는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펌핑기구(60)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펌핑기구(60)가 온상태가 되어 상기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다수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본체를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키게 되는 임펠러와;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수평한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중앙에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임펠러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5. 내부의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어 물과 기름의 혼합액이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도록 하고, 상부는 덮개(13)가 고정되어 폐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상하방향으로 배관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하부와 연결되며, 상단은 배수관(23)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를 확인하여 물과 기름의 혼합액의 표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수두조절기(20)와;
    상기 본체(10)에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다수개의 날개(312)를 가지고 있어 상기 본체(10)를 채우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을 와류유동시키게 되는 임펠러(31)와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수평한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중앙에 상기 임펠러(31)가 위치되는 임펠러 가이드(32)로 이루어지는 회전체(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와 연통되고, 외부의 펌핑기구(60)와 연결되며, 와류유동시 물과 다른 원심력 차이에 의해 물과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부로 이동하는 기름이 상기 펌핑기구(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집장치(50)를 포함하되,
    상기 포집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덮개(13)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고, 내외부가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에 상기 수용공간(11)와 연통되는 포집공간(5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기름을 포집하게 되는 포집함(51)과;
    상기 포집함(51)의 포집공간(512)으로 일단이 돌출되고, 상기 펌핑기구(60)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공간(512)으로 포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관(52)과;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부 중앙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도체 감지센서(53)와;
    상기 펌핑기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를 포함하여,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54)로 물 감지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54)는 상기 전도체 감지센서(53)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펌핑기구(60)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 중앙부에 기름이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펌핑기구(60)가 온상태가 되어 상기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KR1020080042032A 2008-05-06 2008-05-06 유수분리기 KR10102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32A KR101027368B1 (ko) 2008-05-06 2008-05-06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32A KR101027368B1 (ko) 2008-05-06 2008-05-06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22A true KR20090116222A (ko) 2009-11-11
KR101027368B1 KR101027368B1 (ko) 2011-04-11

Family

ID=4160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032A KR101027368B1 (ko) 2008-05-06 2008-05-06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697A (ko) *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20160014911A (ko) 2014-07-30 2016-02-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름분리장치
KR20210045249A (ko) *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유수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7657A (zh) * 2016-08-29 2016-12-21 刘政 泵送式离心油水分离器
KR101724085B1 (ko) 2016-10-19 2017-04-06 주식회사 정원랜드 에어 세정시스템용 압축공기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787A (en) * 1979-05-21 1980-12-04 Murakami Masako Recovery device of oil floating on water
JPS6121704A (ja) 1984-07-11 1986-01-30 Nakayama Kankyo Enji Kk 油水分離装置
DE19852557C2 (de) 1998-11-13 2002-11-07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Verschlußelement
US7635328B2 (en) * 2005-12-09 2009-12-22 Pacific Centrifuge, Llc Biofuel centrifu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697A (ko) *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20160014911A (ko) 2014-07-30 2016-02-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름분리장치
KR20210045249A (ko) *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유수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368B1 (ko) 201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68B1 (ko) 유수분리기
CN102701323A (zh) 高粘度自清洗浮油收集器
CN105692838B (zh) 一种油水泥分离装置
CN1970130A (zh) 液、液分离装置
KR101465624B1 (ko) 세척이 가능한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세척방법
CN110713226B (zh) 一种油气水分离装置
CN114455730A (zh) 一种气浮池的除渣装置
JP2010036143A (ja) 固液分離装置
CN209102491U (zh) 一种固液分离系统和pH检测装置
KR20140025875A (ko) 유수 분리기능의 선박
KR101889663B1 (ko) 슬러지 채널링 방지가 가능한 원형슬러지 농축조
CN105214345A (zh) 一种油水分离器
CN204552725U (zh) 一种油气田用高效油气水砂四相分离器
KR10155512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CN211536671U (zh) 旋流分离器
CN206996877U (zh) 结晶反冲洗离心机
KR101564972B1 (ko) 수선비중 차이를 이용한 천연석채 추출장치
CN205199043U (zh) 一种油水分离器
CN104107563A (zh) 双筒螺旋板式油水分离器
CN205500876U (zh) 一种油水泥分离装置
CN105130134A (zh) 水过滤除砂器
CA3024237A1 (en) The nepturne universal separator system and method
EP4094818A1 (en) Separator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well fluid, method therefor and system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well fluid
CN220834450U (zh) 一种三相分离器的在线排污装置
CN215365293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油水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