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448A -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448A
KR20090115448A KR1020080041318A KR20080041318A KR20090115448A KR 20090115448 A KR20090115448 A KR 20090115448A KR 1020080041318 A KR1020080041318 A KR 1020080041318A KR 20080041318 A KR20080041318 A KR 20080041318A KR 20090115448 A KR20090115448 A KR 2009011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emergency
portable terminal
emergency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142B1 (ko
Inventor
서동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14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14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등록된 휴대단말기가 비상센터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면, 호제어서버가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비상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미등록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할 수 있다.
비상센터, 비상전화번호, 장난전화, 비상전화번호

Description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Handling of Nuisance Call to Emergency Center}
본 발명은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전화번호로 걸려온 발신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휴대단말기인지 분실, 도난, 해지 등으로 인한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할 수 있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12, 119 등의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 즉, 경찰서, 소방서 등에서 접수되는 장난전화의 횟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방송에서 미등록 상태인 휴대단말기를 통해서도 비상센터와 통화가 가능하다는 기사가 보도된 이후로 장난전화의 횟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비상센터에서는 장난전화가 접수된 경우, 기록된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이하, 고유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고유번호를 사용하던 사용자의 정보를 역추적하여 추적된 사용자에게 비상센터로의 장난전화 자제요청 및 회유를 하게 된 다. 이때, 장난전화를 건 휴대단말기가 분실, 도난, 해지 등의 이유로 미등록된 단말기라 하더라도 비상센터에서는 등록상태에서 사용되던 고유번호가 기록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변경한 후 상기 고유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상기 고유번호를 사용했던 사용자는 고스란히 피해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휴대단말기 사용자와 관공서간에 오해가 시비로 비화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비상센터로 전화를 한 사용자가 상기 고유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상기고유번호를 사용했던 사용자가 아니라면 비상센터로 장난전화를 건 휴대단말기는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로 볼 수 있다. 즉, 기존의 사용자가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휴대단말기 및 등록이 해지된 상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해서 누군가가 장난전화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서 사용자 또는 관공서에서는 해당 이동통신사로 복제단말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고, 감청 등을 의뢰하는 등의 불필요한 일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비상센터에서는 장난전화로 인해 긴급하게 출동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로부터 접수되는 전화 중에서 미등록 상태인 휴대단말기에서 접수되는 전화를 감별하여 비상센터로의 장난전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로 전화를 할 때,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구분하도록 하여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로 전화를 할 때, 분실, 도난, 해지 등으로 이동통신사에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구분하도록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112, 119를 포함하는 비상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비상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착신번호로 갖는 복수개의 비상센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미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고,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호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제어서버는 휴대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위 치등록기,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기, 상기 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처리기에서 전송되는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상기 비상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센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호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기는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상기 호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센터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임을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화로가 생성된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서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기,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 상 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기, 상기 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처리기에서 전송되는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상기 비상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센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호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방법은 휴대단말기가 112, 119를 포함하는 비상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 호제어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비상센터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제어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상센터가 상기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센터와 통화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로 전화를 할 때,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장난전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를 전화를 할 때,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구분함으로써 장난전화로 인한 불필요한 긴급출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에서 비상센터로 전화를 할 때, 비상센터로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제공하여 비상센터에서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센터와 사용자 사이의 오해를 최소화하고, 오해로 인한 사용자불만 접수의 횟수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비상센터와의 전화통화가 가능한 휴대단말기로서, 이동통신단말기, 이동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과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CDMA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WCDMA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GSM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및 All-IP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 등 통신방식에 구애받지 않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호제어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등록 휴대단말기에서 걸려오는장난전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10)은 휴대단말기(110), 기지국(120), 통신망(130), 호제어서버(140), G/W(150) 및 비상센터(16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10)는 비상센터(160)와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휴대단말기(110)는 통화하고자 하는 비상센터(160)의 전화번호(이하, 비상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휴대단말기(110)는 비상센터(160)와 통화로가 연결되기 이전에 기지 국(120)을 통해 호제어서버(140)로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상태이면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는 휴대단말기(110)에 할당되어있던 전화번호(이하, 고유번호), 휴대단말기(110)의 시리얼넘버, 휴대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및 휴대단말기(110) 사용자의 신상정보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미등록된 상태이면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는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할 때 할당된 고유번호, 휴대단말기(110)의 시리얼넘버, 휴대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110)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휴대단말기(110)는 기지국(120)을 통해 호제어서버(140)로부터 전송된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메시지(Lock_Order_MSG)를 표시한다.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120)은 휴대단말기(110)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망의 BST, WCDMA망의 Node-B, 와이브로망의 RAS(Radio Access Station) 등 육상 이동국과의 통신 또는 이동 중계국의 중계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을 의미한다.
통신망(130)은 휴대단말기(110)와 비상센터(160)와의 통신로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통신망(130)은 호제어서버(140)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망(130)는 IP를 중심으로 구성된 IP망을 의미하며, IP망은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끊김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또한, IP망은 All-IP망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ll-IP망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이 통합된 구조를 갖는 망을 의미한다.
호제어서버(140)는 데이터처리기(141), 위치등록기(142) 및 호제어기(143)를 포함한다.
데이터처리기(141)는 MRF(Media Resources Function)로써, 데이터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한다. 데이터처리기(141)는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관리, 논리적 링크관리, 멀티미디어 세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처리기(141)는 위치등록기(142)로부터 휴대단말기(110)가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신호(Lock_Order_SIG)가 전송되면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위치등록기(142)로 전송한다.
아울러, 데이터처리기(141)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Lock_Order_MSG)를 생성하여 기지국(120)을 통해 휴대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가 000-111-3333이고, A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777, B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888, C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999라고 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10)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가 A, B, C 중 A이동통신사이면, 데이터처리기(141)는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에 A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위치등록기(142)로 전송한다. 위치등록기(142)로 전송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의 형태는 000-111-3333+777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등록기(142)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써, 일반적인 HLR(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에 인증 기능을 결합하여 All-IP망에서의 가입자 정보관리를 수행한다. 위치등록기(142)는 휴대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위치등록기(142)는 데이터처리기(141)에서 전송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 시리얼 넘버로 휴대단말기(110)의 인증을 수행한다. 고유번호로 인증을 수행한 결과,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휴대단말기(110)의 정보와 다이얼링된 비상센터의 비상전화번호를 호제어기(143)로 제공한다.
반대로, 휴대단말기(110)가 미등록된 단말기이면, 위치등록기(142)는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신호(Lock_Order_SIG)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기(141)로 전송한다. 그리고 위치등록기(142)는 휴대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처리기(141)로부터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 및 휴대단말기(110)에서 다이얼링된 비상센터의 비상전화번호를 호제어기(143)로 제공한다.
호제어기(143)는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로써, 호 및 세션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한다. 호제어기(143)는 인입되는 신호에 대한 호 제어기능, SPD(Serving Profile Database)기능, 주소처리기능 등을 수행한다. 호제어기(143)는 위치등록기(142)로부터 전송된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를 호출하여, 휴대단말기(110)와 비상센터(160)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G/W(GateWay)(150)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로써, 통신망(130)과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해 다른 통신망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거나, 다른 통신망과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한다.
비상센터(160)는 112(경찰서), 119(소방서) 등의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를 의미한다. 비상센터(160)는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휴대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하고, 비상센터(160)로 전화를 건 휴대단말기(110)의 사용자 정보를 접수한다.
반대로, 비상센터(160)는 통신망(130)을 통해 휴대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상태이면, 미등록된 휴대단말기(110)로 간주하여 휴대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하고, 신상명세 등 전화를 처리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전화를 건 사람으로부터 획득한다. 즉, 비상센터(160)에서 미등록된 휴대단말기(110)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은 착신자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110)로 전화를 한 발신자에게 발신자의 이름, 발신자의 주소 등에 대한 신상명세를 물어봄으로써 이에 대한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상센터(160)에서는 미등록된 휴대단말기(110)로 접수된 신고전화에 대한 장난전화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센터(160)는 확인된 장난전화 유무에 따라 불필요한 긴급출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비상센터(160)에서 음성인식이 가능한 경우, 착신자가 발신자에게 신상 정보를 직접적으로 요청하지 않고, 비상센터(160)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로 기저장된 신상명세 요청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비상센터(160)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텍스트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S201단계에서 휴대단말기(110)가 비상센터에 해당하는 비상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S202단계에서 휴대단말기(110)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와 다이얼링된 비상전화번호를 기지국(120)을 통해 호제어서버(140)의 데이터처리기(141)로 전송한다. S203단계에서 데이터처리기(141)는 S202단계에서 전송된 휴대단말기(110)의 정보와 다이얼링된 비상전화번호를 위치등록기(142)로 전송한다.
S204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데이터처리기(141)로부터 전송된 휴대단말기(110)의 정보 중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 및 시리얼 넘버로 휴대단말기(110)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10)의 인증은 휴대단말기(110)가 통신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상태인지 인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S205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인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S206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가 아니면 S210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206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와 다이얼링된 비상전화번호를 호제어기(143)로 전송한다. S207단계에서 호제어기(143)는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160)를 호출하고,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를 비상센터(160)로 전송한다. 이후, S208단계에서 비상센터(160)는 호제어기(143)로부터 전송된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로 인해, 비상센터(160)는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임을 인지할 수 있다.
S209단계에서 호제어기(143)는 휴대단말기(110)와 비상센터(160)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일 경우에 비상센터(160)는 휴대단말기(110)의 정보로부터 가입정보,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 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S210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신호(Lock_Order_SIG)를 생성하고 S211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생성된 Lock_Order_SIG을 데이터처리기(141)로 전송한다. S212단계에서 데이터처리기(141)는 S202단계에서 전송된 휴대단말기(110)의 정보에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이어서, S213단계에서 데이터처리기(141)는 S212단계에서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와 S201단계에서 다이얼링된 비상전화번호를 위치등록기(142)로 전송하고, S214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와 휴대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및 비상전화번호를 호제어기(143)로 전송한다.
이어서, S215단계에서 데이터처리기(141)는 S211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로부터 전송된 Lock_Order_SIG에 대응되는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메시지(Lock_Order_MSG)를 휴대단말기(110)로 전송한다. S216단계에서 휴대단말기(110)는 데이터처리기(141)로부터 전송된 Lock_Order_MSG를 표시한다. 이때, Lock_Order_MSG는 "본 휴대단말기는 미등록 휴대단말기입니다." 라는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S217단계에서 호제어기(143)는 S214단계에서 위치등록기(142)로부터 전송된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160)를 호출하고, 휴대단말기(110)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비상센터(160)로 전송한다. S218단계에서 비상센터(160)는 S217단계에서 전송된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를 표시하고, S219단계에서 호제어기(143)는 휴대단말기(110)와 비상센터(160)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이어서, S220단계에서 비상센터(160)는 S218단계에서 표시된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110)의 고유번호로부터 휴대단말기(110)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임을 판단하여, 휴대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통화를 요청한 통화자에게 필요한 추가정보를 요청하고, 통화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로 인해, 비상센터(160)는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를 통해 전화한 통화자에게 보다 구체적인 신상명세를 요구하여, 요구에 맞는 답변을 통화자에게 수신함으로써, 비상센터(160)로의 전화가 장난전화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긴급출동 등으로 인한 불필요한 세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상센터(160)에서 음성인식이 가능할 경우,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로 기저장된 신상명세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면,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하여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후, 비상센터(160)는 변환된 텍스트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제어서버에서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휴대단말기(110)로부터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비상전화번호를 수신하고, S302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로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인증을 수행한다.
이어서, S303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S302단계의 인증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호제어서버(140)는 S304단계로 진행하여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160)로 전송하고, S309단계에서 비상센터(160)와 휴대단말기(110)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반대로, S303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S302단계의 인증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110)가 이동통신사에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호제어서버(140)는 S305단계로 진행한다. S305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휴대단말기(110)가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신호(Lock_Order_SIG)를 생성한다.
이후, S306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S301단계에서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이어서, S307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S301단계에서 수신된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160)로 전송한다. S308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Lock_Order_SIG에 대응되는 미등록 휴대단말기임을 알리는 메시지(Lock_Order_MSG)를 생성하여 휴대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S307단계와 S308단계의 진행순서가 변경되어도 본 발명의 실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어서, S309단계에서 호제어서버(140)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한 비상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상센터(160)와 휴대단말기(110)와의 통화로를 연결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와 비상센터로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되, 비상센터에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임을 알려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에서 접수된 장난전화로 긴급출동 등을 수행함으로써 낭비되는 세금을 축소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호제어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제어서버에서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9)

112, 119를 포함하는 비상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비상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착신번호로 갖는 복수개의 비상센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미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고,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호제어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제어서버는
휴대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기;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기;
상기 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처리기에서 전송되는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상기 비상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센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호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기는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상기 호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센터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임을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화로가 생성된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기;
상기 위치등록기의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기;
상기 위치등록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처리기에서 전송되는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상기 비상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센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호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호제어서버.
휴대단말기가 112, 119를 포함하는 비상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
호제어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시리얼넘버로 상기 휴대단말기의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에 이동통신사의 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비상센터로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제어서버가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비상센터와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결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화번호로 호를 호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상센터가 상기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식별번호가 부여된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 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센터와 통화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등록된 휴대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080041318A 2008-05-02 2008-05-02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KR10118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18A KR10118814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18A KR10118814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448A true KR20090115448A (ko) 2009-11-05
KR101188142B1 KR101188142B1 (ko) 2012-10-05

Family

ID=4155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318A KR10118814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1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142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637B2 (en) Providing rou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604211C (en) Temporary enum gateway
KR101422886B1 (ko) 인터넷 기반형 텍스트 및 비디오 통신 서비스에 대한 개인 식별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
US20150201086A1 (en) VoIP BASED TELEPHONY METHOD AND SYSTEM
US20060153172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emergency call method
US20070121598A1 (en) Emergency call methodology for VoIP communications
CA2767742A1 (en) Text to 9-1-1 emergency communication
CN100493124C (zh) 将专用通信网提供的服务动态地应用于连接在公共通信网上终端的方法
US2006023313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address and locating a correspondent node in a wlan
KR101188142B1 (ko) 비상센터로 걸려오는 장난전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KR980007063A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US80366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call restrictions between domains
US2007020286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irecting Data To be Transferred To A Mobile Station
KR101083089B1 (ko) 차세대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8770A (ko) 미등록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 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1675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 위치정보 제공 방법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026933A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JP2004056429A (ja) 地名情報通知機能付き交換機及びプログラム
JP2008048020A (ja) 発信者認証方法および発信者認証システム
KR20040052256A (ko)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가입자(또는 수신 단말기)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수신가입자(또는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7020A (ko)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내부 사설망 착신호 거부방법
KR20070122439A (ko)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