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278A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 Duct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5278A KR20090115278A KR1020080041033A KR20080041033A KR20090115278A KR 20090115278 A KR20090115278 A KR 20090115278A KR 1020080041033 A KR1020080041033 A KR 1020080041033A KR 20080041033 A KR20080041033 A KR 20080041033A KR 20090115278 A KR20090115278 A KR 20090115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air conditioner
- fan housing
- discharge
-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 유닛과 케이싱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천장 등에 케이싱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install a casing firmly and easily by improv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lowing fan unit and a casing.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의 원리에 따라서 압축, 응축, 팽창, 증발 과정을 거치면서 실내의 공기를 냉난방 시키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and cools indoor air while undergoing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 refrigeration cycle.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스탠딩형, 천장설치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divided into an integrated type and a separate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can be classified into wall-mounted, standing, ceiling-moun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indoor unit.
도 1에는 천장 설치형 공기조화기의 한 분류로서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s a class of ceiling mounted air conditioner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15)와, 케이싱(10) 내부에서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유닛(2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1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여기서 송풍팬 유닛(20)은 실내열교환기(15)로부터 열교환된 케이싱(1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1)와 흡입된 공기를 케이싱(10)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33)가 형성된 팬하우징(30)과, 상기 팬하우징(30)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대류시키기 위한 팬(60)을 구비한다.Here, the
상기 팬하우징(30)에는 흡입구(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시작점을 이루는 컷오프(37)가 형성된다. 컷오프(37)는 팬하우징(3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동압을 정압으로 회복시켜 주므로 급격한 압력의 변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부분이기도 하다.The
그리고 팬하우징(30)의 흡입구(31)의 가장자리에는 쉬라우드(35)가 설치되며, 쉬라우드(35)는 외부로부터 팬(60)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흡입되는 공기를 팬(6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상기 팬(60)은 이러한 팬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 61)와, 다수의 블레이드(61)를 연결하는 림(rim, 63)으로 이루어진다.The fan 60 is installed inside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1)는 송풍팬 유닛(20)의 팬(60)이 회전하면서 케이싱(10) 내부에는 공기유동이 발생한다. 이때, 송풍팬 유닛(20)의 흡입구(31)를 통해 실내열교환기(15)를 통한 공기가 X 방향처럼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팬하우징(3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컷오프(37)를 지나 Y 방향처럼 토출구(33)를 통해 케이싱(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작동한다.In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한편, 이러한 송풍팬 유닛(20)은 적정한 송풍량을 갖도록 팬하우징(30)이 일 정한 높이(H)를 가지며, 토출구(33)가 상기 팬하우징(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팬하우징(30)의 폭(미도시)은 높이(H)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렇게 제작된 송풍팬 유닛(20)은 토출구(33)가 케이싱(10)의 측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데, 전술한 송풍팬 유닛(20)의 형상으로 인해 송풍팬 유닛(20)의 토출구(33)가 결합된 케이싱(10)은 측부 상면 영역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The
즉, 케이싱(10)의 상부와 토출구(33)사이가 이루는 케이싱(10)의 측부 상면영역이 협소함에 따라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10)는 설치시 별도의 브라켓(16)과 볼트(17)를 케이싱(10)의 상면에 부착한 후 케이싱(10)을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That is, as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side of the
그런데 이러한 설치구조의 덕트형 공기조화기(10)에서는 브라켓(16)을 케이싱(10)의 상면에 결합시킨 후 볼트(17)를 브라켓(16)과 천장 면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브라켓(16)이 케이싱(1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16)은 중력방향의 힘을 받아 케이싱(10)을 천장에 견고하게 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duct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송풍팬 유닛(20)의 높이(H)를 임의로 줄여 토출구(33)가 돌출된 케이싱(10)의 측부 상면영역을 확보하여 확보된 공간에 브라켓(16)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송풍팬 유닛의 높이(H)를 줄이게 되면, 원하는 송풍량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height H of the
또한, 송풍팬 유닛(20)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토출구(33)가 돌출된 케이 싱(10)의 상부 영역만을 높이도록 하여 브라켓(16)과의 결합을 할 경우, 케이싱(10)의 높이가 그만큼 높아져서 필요 이상으로 제품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송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 유닛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blowing fan unit installed in the casing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blowing amou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케이싱과 송풍팬 유닛과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be firmly fixed to the ceiling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sing and the blowing fan unit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casing consta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 상기 토출구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팬하우징이 수용되는 케이싱;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을 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부재 설치부를 포함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n housing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A casing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and the fan housing is accommodated; And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ing provides a duct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ixing membe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asing to the outer wall.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는 상기 연통공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installation unit may be provided above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영역에 결합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천장에 결합되는 천장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side plate coupled to the side region of the casing and a ceiling coupling plate bent from the side plate and coupled to the ceiling.
상기 팬하우징은, 공기의 흡입과 유동이 이루어지는 흡입유동부와, 상기 흡입유동부에서 연장되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와, 내부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팬하우징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폭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의 내부면적이 상기 흡입유동부에서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도록 상기 폭연 장부의 폭은 상기 흡입유동부에서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The fan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flow pa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flowed, a discharge part extending from the suction flow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nd a width extension part which reduces the height of the fan housing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volume. And the width of the deflagration sheet may be widened from the suction flow part toward the discharge hole so that an inner area of the discharge part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suction flow part to the discharge hole.
상기 폭연장부는 상기 토출부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art.
상기 팬하우징에 수용되는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그 시작점이 상기 팬하우징의 최상부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소정각도 만큼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an may further include a fan accommodated in the fan housing, and the discharge port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such that a starting point thereof is positioned below the top of the fan housing.
한편, 상기 토출부와 흡입유동부의 경계에 마련된 컷오프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유동부의 내벽과 상기 팬과의 간격은 상기 컷오프에서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 cut-off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suction flow por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flow portion and the fan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in the cut off.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며 팬을 수용하고,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부를 포함하는 팬하우징; 상기 토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는 연통공; 상기 케이싱을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배치를 위한 고정부재 설치부가 상기 연통공 상부에 마련되도록 상기 토출구가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aspect, the casing; A fan housing provided in the casing and accommodating a fan, the fan housing including a discharge part having a discharge port; A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casing to seat the discharge part;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asing to a ceiling; It provides a duct-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ixing member installation portion for arranging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duct-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종래보다 송풍팬 유닛의 팬하우징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송풍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height of the fan housing of the blower fan unit can be reduced than before, the heigh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and the same blower performance can be achieved.
둘째, 토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의 상부가 팬하우징의 최고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케이싱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케이싱과 송풍팬 유닛과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Second, since the upper part of the fan housing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may be low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fan housing, the size of the casing and the fan fan unit can be improved and fixed to the ceiling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casing.
셋째, 컷오프부와 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송풍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mooth blowing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t-off portion and the fan.
넷째, 송풍팬 유닛의 팬하우징의 형상을 변화시켜 종래에 비해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noi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an housing of the blowing fan uni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송풍팬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 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팬의 도시를 생략)이고, 도 5는 도 3의 II 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송풍팬 유닛이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blowing fan unit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as seen from the I direction of Figure 3 (of the fan 5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I of FIG. 3,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blowing fan unit of FIG. 3 installed in the casing.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115)와,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유닛(120)과, 상기 송풍팬 유닛(120)의 높이(H)를 감소시킴에 따른 토출면적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마련된 폭연장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o 5, the duct
케이싱(110)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전술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케이싱(110)의 일측에는 케이싱(110)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일측에는 실내열교환기(115)가 설치된다. 실내열교환기(115)는 공기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을 열교환된 공기로 채우게 된다.The
실내열교환기로(117)부터 열교환된 공기는 케이싱(10) 내부의 송풍팬 유닛(120)에 의해 케이싱(110)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송풍팬 유닛(120)은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케이싱(110)에는 송풍팬 유닛(120)의 토출구(133)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10)에는 연통공(111)을 감싸면서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송풍팬 유닛(120)의 토출부(150)와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토출부가이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air heat-exchanged from the
송풍팬 유닛(120)은 본 실시예처럼 실내열교환기(115)와 인접 배치되며 토출구(133)가 상기 한 쌍의 연통공(111)에 각각 연통되도록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양흡입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wing
여기서 송풍팬 유닛(120)은 흡입구(131)와 토출구(133)가 형성된 팬하우징(130)과, 상기 팬하우징(13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160)과, 상기 팬하우징(130)의 높이(H) 감소에 따른 송풍량을 보상하는 폭연장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하우징(130)은 팬(160)이 수용되며 공기의 흡입과 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유동부(140)와, 상기 흡입유동부(140)로부터 연장되며 유동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된 토출부(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130)에는 흡입구(1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면서 토출되는 시작점을 이루는 컷오프(137)가 형성된다. 컷오프(137)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흡입유동부(140)와 토출부(150)의 경계를 형성하기도 하며, 팬하우징(13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동압을 정압으로 회복시켜 주므로 급격한 압력의 변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The
흡입유동부(140)에는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160)이 수용되며, 흡입유동부(140)에 형성된 흡입구(131)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팬(160)으로 안내되기 용이하도록 팬(160)의 형상에 대응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토출부(150)는 상기 흡입유동부(140)로부터 연장되며 흡입유동부(140)로부터 안내되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된다. 여기서, 토출구(133)는 흡입구(131)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팬하우징(130)의 흡입구(131)의 가장자리에는 외부로부터 팬(120)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쉬라우드(135)가 설치되며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공기를 팬(120)으로 안내한다.And a
이러한 팬하우징(130)에 수용되는 팬(160)은 다수의 블레이드(161)와 상기 블레이드(161)를 연결하는 림(1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블레이드(161)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블레이드(161)들의 측부 상면영역이 림(163)에 의 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림(163)은 다수의 블레이드(161)들의 상부영역을 모두 연결하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팬하우징(130)의 토출부(150)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체적을 가지고 흡입유동부(140)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토출구(133)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처럼 송풍팬 유닛(120)에서 흡입유동부(140)와 토출부(150)를 포함하는 팬하우징(130)의 내부체적은 송풍량을 결정하는 인자로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폭연장부(170)로 상기 토출부(150)의 내부체적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상기 토출구(133)의 폭(L)을 연장시켜 팬하우징(130)의 높이(H)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폭연장부(170)에 의해 송풍팬 유닛(120)의 높이(H)가 감소되더라도 팬하우징(130)의 내부체적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동일한 송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width (L) of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폭연장부(17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여기서 앞으로 설명하면서 자주 등장하게 될 용어로, 내부면적은 토출부(150)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단면에 대한 면적을 지칭할 때 사용하였으며, 내부체적은 상기 내부면적의 총합을 의미한다.Herein, the term that will appear frequent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ternal area was used when referring to the area of one end surface at any position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연장부(170)는 토출부(150)의 양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토출부(150)의 내부면적을 상기 흡입유동부(140)에서 상기 토출구(133)로 갈수록 점점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토출부(150)의 내부면적이 점점 증가하더라도 토출부(150)의 내부체적이 종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려면 토출부(150) 형상의 변화가 수반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따라서, 토출부(150)의 폭은 흡입유동부(140)로부터 토출구(133)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며 토출구(133)의 폭은 종래 길이(L)보다 큰 길이(L+α)를 가질 수 있다. 즉, 토출부(150)는 흡입유동부(140)에 인접한 가장 작은 폭(L)과, 상기 작은 폭(L)으로부터 점점 증가하여 토출구(133)에 이르는 가장 큰 폭(L+α)을 갖는다.Accordingly, the width of the
이에 따라, 토출부(150)의 높이를 종래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토출부(150)는 종래의 팬하우징(30)의 높이(H)에서 일정 높이만큼 높이가 낮아지도록(H-β)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이러한 폭연장부(170)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부(150)의 내부체적은 종래의 토출부(150)의 내부체적과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형상을 갖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처럼 동일한 송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따라서, 폭연장부(170)는 송풍량의 변화를 주지 않고 토출부(150)의 형상을 변형시켜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폭연장부(170)는 토출부(150)의 폭을 연장시켜 종래의 팬하우징(30)의 높이(H)에서 일정한 높이만큼 높이가 낮아진(H-β) 팬하우징(130)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팬 유닛(120)은 팬하우징(130)의 높이(H)를 폭연장부(170)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H-β), 상기 폭연장부(170)에 의해 감소된 토출부(150)의 높이만큼 케이싱(11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As such, the blowing
따라서, 종래보다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 동일한 송풍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produc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hile maintaining the same blowing performance.
한편, 상기 송풍팻 유닛(120)은 케이싱(1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10)이 천장에 고정되면서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천장에 케이싱(1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싱(110)과 천장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싱(110)에는 이러한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fix the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케이싱(110)의 높이를 줄이지 않고, 상기 폭연장부(170)에 의해 송풍팬 유닛(120)의 팬하우징(130)의 높이(H)가 감소된(β)만큼 케이싱(110)에 고정부재 설치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In view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duce the height of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고정부재 설치부(180)에 대해 좀 더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 설치부(180)는 케이싱(110)의 상부로부터 연통공(111)까지 확장된 측면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 유닛(120)의 토출구(133)가 연통되도록 케이싱(110)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공(111)은 상기 케이싱(110)의 최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아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공(111)의 이격거리는 상기 팬하우징(130)의 감소된 높이(β)크기의 범위 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xing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고정부재 설치부(180)는 케이싱(110)의 좌 우측에 각각 2개 형성된 연통공(111)들의 상면에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이와 같이 케이싱(110)에 고정부재 설치부(180)가 형성되면, 고정부재 설치부(180)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when the fixing
이러한 고정부재 설치부(18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는 브라켓(117)이 사용 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17)은 케이싱(110)의 고정부재 설치부(180)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측면판(117a)과, 상기 측면판(117a)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천장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천장결합판(117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수 있다. And the
상기 측면판(117a)과 천장결합판(117b)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여러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 설치부(180)와 천장에도 상기 볼트공에 대응되는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이에, 측면판(117a)과 고정부재 설치부(180)에 볼트(119a)가 수직으로 끼워져 케이싱(110)과 상기 고정부재 설치부(180)가 서로 결합되며, 천장결합판(117b)에는 볼트(117b)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브라켓(117)은 천장에 케이싱(11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물론, 상기 브라켓(117)은 볼트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용접이나 다른 접착재 등 다른 결합매체를 통해 케이싱(110)과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전술한 브라켓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종래 케이싱(10)의 높이를 높이지 않으면서 케이싱(10)의 측부 상면에 고정부재 설치부(180)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10)을 천장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ixing
즉,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101)에서는, 브라켓(161)이 케이싱(110)의 측면과 상면을 상호 지지하면서 케이싱(1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므로 천장에 설치된 케이싱(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브라켓(16) 을 케이싱(10)의 상면에 결합시킴에 따라 브라켓(16)이 케이싱(1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하게 되어 천장에 견고하게 부착시키지 못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uct
이상, 본 발명의 고정부재 설치부(180)가 폭연장부(170)에 의해 케이싱(110)에 마련되는 것을 상술하였으나 고정부재 설치부(180)는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의 송풍팬 유닛(12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송풍팬 유닛(12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low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송풍팬 유닛(120)은, 상기 토출구(133)의 그 시작점이 상기 팬하우징(130)의 최상부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팬(160)의 회전축(Axis)에서 소정각도 만큼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Blowing
즉,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와 실선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송풍팬 유닛(1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풍팬 유닛(120)은 회전축에 대해 종래에 비해 임의의 각(θ)만큼 좌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duct-typ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3 and the
그런데, 임의의 각만큼 토출구(133)가 하향 경사지게 송풍팬 유닛(120)이 배치되면 송풍 성능에 있어서 동일성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유동부(140)의 내벽과 상기 팬(160)과의 간격은 상기 컷오프(137)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if the blowing
이처럼 흡입유동부(140)의 내벽과 상기 팬(160)의 간격이 컷오프(137)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갖게 되면, 흡입유동부(140)로부터 토출구(133)를 향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송풍이 원활해질 수 있다.As such,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이와 같이 다른 형태를 갖는 송풍팬 유닛(120)이 케이싱(110)에 설치될 때, 토출구(133)가 형성된 팬하우징(130)의 상부가 팬하우징(130)의 최고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케이싱(110)의 연통공(111) 역시, 그 낮아진 토출구(133)의 높이만큼 케이싱(110)의 측부 상면에서 아래로 위치될 수 있다.Thus, when the blowing
이로 인해, 케이싱(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 설치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징을 모두 조합해서 송풍팬 유닛의 높이와 토출구의 경사가 하향 배치되도록 하여 상술한 고정부재 설치부(180)를 케이싱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fix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종래 팬하우징과 케이싱의 구조를 개선하여 천장 등에 케이싱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an housing and the casing so that the casing can be firmly and easily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size of the existing product can be reduced.
참고로, 전술한 본 실시예의 송풍팬 유닛(120)과 종래 덕트형 공기조화기(1)에 대해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For reference, the present applicant performed the experiment as described above for the blowing
도 7은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보여주는 실험도이다.7 is an experimental view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X축은 외부정압(External Static Pressure)을 나타내고, Y축은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을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덕트형 공기조화기(A)에 비해 본 실시예의 덕트형 공기조화기(B)은 동일한 외부정압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음압레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Here, the X axis represents an external static pressure, and the Y axis represents a sound pressure level.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seen that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ound pressure level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A even when the same external static pressure is referenced.
따라서, 본 실시예처럼 팬하우징의 형상이 변화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종래 에 비해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hape of the fan housing is chang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of improving nois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송풍팬 유닛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blowing fan unit of FIG. 2;
도 4는 도 3의 I 방향에서 바라본 전면도(팬의 도시를 생략);4 is a front view as seen from the direction I in FIG. 3 (not shown fan);
도 5는 도 3의 II 방향에서 바라본 후면도;FIG. 5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II direction of FIG. 3; FIG.
도 6은 도 3의 송풍팬 유닛이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FIG. 6 is a side view of the blower fan unit of FIG. 3 installed in a casing; FIG.
도 7은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보여주는 실험도이다.7 is an experimental view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덕트형 공기조화기 110 : 케이싱 101: duct type air conditioner 110: casing
111 : 고정부재 설치부 115 : 실내열교환기 111: fixing member installation section 115: indoor heat exchanger
117 : 브라켓 119 : 볼트 117: bracket 119: bolt
120 : 송풍팬 유닛 130 : 팬하우징 120: blower fan unit 130: fan housing
131 : 흡입구 133 : 토출구 131: suction port 133: discharge port
135 : 쉬라우드 137 : 컷오프 135: shroud 137: cutoff
140 : 흡입유동부 150 : 토출부 140: suction flow portion 150: discharge portion
160 : 팬 161 : 블레이드 160: fan 161: blade
163 : 림 170 : 폭연장부 163: rim 170: width extens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1033A KR101537589B1 (en) | 2008-05-01 | 2008-05-01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1033A KR101537589B1 (en) | 2008-05-01 | 2008-05-01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278A true KR20090115278A (en) | 2009-11-05 |
KR101537589B1 KR101537589B1 (en) | 2015-07-17 |
Family
ID=4155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1033A KR101537589B1 (en) | 2008-05-01 | 2008-05-01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7589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95225A (en) * | 2009-12-11 | 2011-06-15 |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20110138844A1 (en) * | 2009-12-11 | 2011-06-16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20110138845A1 (en) * | 2009-12-11 | 2011-06-16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CN105074343A (en) * | 2013-03-26 | 2015-11-18 | 东芝开利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WO2016043467A1 (en) * | 2014-09-15 | 2016-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ull front blowing type air conditioner |
WO2019117544A1 (en) * | 2017-12-14 | 2019-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220061613A (en) | 2020-11-06 | 2022-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uct type air-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3702B1 (en) * | 2001-06-22 | 2007-07-30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n duct type air-condition |
KR100743701B1 (en) * | 2001-06-22 | 2007-07-30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 duct type air-condition |
KR20030012492A (en) * | 2001-08-01 | 2003-02-1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 duct type air-condition |
KR20050039975A (en) * | 2003-10-27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binet structure in indoor unit of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
2008
- 2008-05-01 KR KR1020080041033A patent/KR10153758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95225B (en) * | 2009-12-11 | 2015-04-01 |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20110138846A1 (en) * | 2009-12-11 | 2011-06-16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20110138844A1 (en) * | 2009-12-11 | 2011-06-16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20110138845A1 (en) * | 2009-12-11 | 2011-06-16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8881543B2 (en) * | 2009-12-11 | 2014-11-11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8973388B2 (en) * | 2009-12-11 | 2015-03-10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CN102095225A (en) * | 2009-12-11 | 2011-06-15 |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 Duct type air conditioner |
US9506661B2 (en) * | 2009-12-11 | 2016-11-29 | Fujitsu General Limited | Duct type air conditioner |
CN105074343A (en) * | 2013-03-26 | 2015-11-18 | 东芝开利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WO2016043467A1 (en) * | 2014-09-15 | 2016-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ull front blowing type air conditioner |
WO2019117544A1 (en) * | 2017-12-14 | 2019-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US11536485B2 (en) | 2017-12-14 | 2022-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KR20220061613A (en) | 2020-11-06 | 2022-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uct type air-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7589B1 (en) | 2015-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05305B2 (en) |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
JP6248486B2 (en) | Air conditioner duct type indoor unit | |
KR20090115278A (en)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
KR10148560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6304441B1 (en) | Cross flow type blow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blower | |
EP3855023A1 (en) | Centrifugal fan, air duct system, and air conditioner | |
CN102313318A (en) |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 |
JP5744209B2 (en) | Air conditioner | |
JP2014016084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978202B1 (en) | Housing for blowing fan | |
JP5206365B2 (en) | Blower | |
JP2002156135A (en) | Room air conditioner | |
JP5434559B2 (en) | Blower with silencer box | |
JP5860752B2 (en) | Air conditioner | |
JP2013249994A (en) | Ceiling-embedded duct type indoor unit | |
JP2016161159A (en) | Air conditioner | |
JP2008267637A (en) | Refrigerating air-conditioning device | |
KR102203437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JP2010261613A (en) | Ceiling-embedded ventilation fan | |
JP2004156872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JP5641125B2 (en) | Blower with silencer box | |
CN109425022B (en) | Air conditioner all-in-one machine | |
KR20130075384A (en) | Housing for blowing fan | |
JP6455225B2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80749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