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749A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749A
KR20090080749A KR1020080006699A KR20080006699A KR20090080749A KR 20090080749 A KR20090080749 A KR 20090080749A KR 1020080006699 A KR1020080006699 A KR 1020080006699A KR 20080006699 A KR20080006699 A KR 20080006699A KR 20090080749 A KR20090080749 A KR 20090080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an
blowing fan
air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호
최동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749A/en
Publication of KR2009008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prevent the generation of abnormal noise when using two blower fans for discharging heat exchanged air and secure optimum path for the discharged air.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fixed to the ceiling, a base panel mounted to an opened bottom part of the case, a first blower fan(220a)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ase panel, a second blower fan(220b) disposed stra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one and concen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ne, and a fan mounting bracket(230)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 fans for supporting the concentric shaft(221) and defining spaces dispos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wer fans separately to avoid air discharg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wer fans from being mixed together.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시장 추세에 발맞추어 컴팩트화(소형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최적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satisfy the compactness (miniatur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rket trend of the produc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flow path of air discharged by heat excha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air conditioner that can be secured.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크게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performing a cooling function, an outdoor unit performing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function, and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each other.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다시 상기 실내 측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실내 측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air intake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in order to harmonize the air on the indoor side by sucking and exchanging air on the indoor side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to the indoor side again.

그런데,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킴에 있어서,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섞여 이상 소음을 일으키거나, 열교환된 공기 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의 구조적인 결함 때문에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d air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bnormal noise, or abnormal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structural defect of the blower fan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here is a problem.

특히, 일반적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천장의 상측에 배치되는 바, 자중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이 경우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상기 송풍팬이 하방으로 처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general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ba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and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its own weight. .

아울러,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천장 상측과 천장 마감재 사이의 거리를 이른 바 "속고"라고 하는데, 최근 제품이 상기 속고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의 길이는 커지되 상하 높이는 작아지는 컴팩트화를 추구하는 것이 시장 추세이다. 이에 대응하여 제품의 상하 높이를 축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한 이상 소음 발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 top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the so-called "speed",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ize of the product to correspond to the recent speed, but the upper and lower height to pursue the compactness That is the market trend. In response to this, whe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product are reduc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optimal design is required to minimize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and to simultaneously solve the above-described abnormal noise generation probl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최적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at prevents abnormal noise from occurring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ensures an optimal flow path of air that is discharged by heat exchange.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 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송풍팬과, 상기 제1송풍팬에 대하여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팬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송풍팬과,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축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에 의하여 각각 토출되는 토출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1송풍팬이 배치된 공간과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팬 설치브라켓을 포함한다.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eiling,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the air inlet and the air inle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 base panel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discharged after the air is heat-exchanged, a first blowing fan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base, and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blowing fan and coaxial with the first blowing fan And a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irst blower fan and the second blower fan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lower fan connected to the first blower fan and the first blower fan and the second blower fan to support the coaxial shaft. And a fan installation bracket for partitioning the space in which the first blowing fan is dispos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blowing fan is disposed so as not to be mix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송풍팬은, 원통 형상의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팬은, 원통 형상의 제2허브와, 상기 제2허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송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송풍부들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부들은, 상기 제2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제2블레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들 및 제2블레이드들은, 인접하는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blowing fan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hub and a plurality of first blowing parts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and the second blowing fan is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hub and a plurality of second blowers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wherein the first blowers comprise a plurality of first blade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The second blow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blade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and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and the second blades may include adjacent first blowers and The blade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with any one blade disposed in the second blowers.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은, 상기 제1블레이드들 및 제2블레이드들이 인접하는 상기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엇갈리는 형상이, 수평되게 배치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어느 기준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상차의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may have a shape that is alternated with any one blade disposed in the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adjacent to the first blades and the second blades. The plurality of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may be disposed to have a step shape having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a reference horizontal pla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b.

한편, 상기 팬 설치브라켓의 하단은 적어도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의 하단 수평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fan installation bracket may be formed to extend at least to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구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상기 송풍팬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팬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 exchanger disposed between the air intake port and the blower fan and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intake port,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base panel to collect water falling from the heat exchang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Further comprising a drain,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ing fan, the heat exchanger and the blowing fa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송풍팬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는, 0.15 내지 0.30 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owing fan and the drain to the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may be set to 0.15 to 0.30. .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작동 시 이상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during operation.

또한, 길이방향에 대하여 길게 형성된 제품(또는 그 제품을 이루는 개별 구성요소들)의 하방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ownward deflection phenomenon of the product (or individu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oduct)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와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to 7 illustrat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200 and the base panel 300 shown in Figure 1 is separ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1 and 2,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00 fixed in an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100 to suck air and discharge heat exchanged air. . The case 200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a bottom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long. The case 200 may be fix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not show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se 200 in FIG. 1 and FIG. 2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X,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200 (ie ,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ll be defined by reference numeral Y,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200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defined by reference numeral Z.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열교환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상면에는, 공기 안내부(210)가 밀착되어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 안내부(21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토출되기까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heat exchange parts disposed in the case 200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air guide part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e 200 and is dispos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air guide portion 210 serves to guide the flow until the discharge of the air sucked into the case 200.

상기 공기 안내부(210)의 하부에는 실내 측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 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회전 가동되는 송풍팬(22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부(2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송풍팬(220)의 좌우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팬 설치브라켓(230)이 배치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guide part 210, a blowing fan 220 is rotatably operated to suck the air from the indoor side into the case 200 and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back to the indoor sid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 guide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fan mounting bracket 23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formed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lowing fan 220.

상기 팬 설치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구동모터(235)가 배치된다. At least one side of the fan installation bracket is disposed with a fan driving motor 235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owing fan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blowing fan can be rotated.

그런데, 일반적으로 천장(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자중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경우와 같이, 제품이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 자중에 의한 각 구성요소의 하방 처짐 현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However, in general,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disposed above the ceiling 100 should be designed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its own weight. In particular, as in the case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duc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a design capable of sufficiently preventing the down sag of each component due to its own weight is required.

여기서, 상기 송풍팬(220)은 실내 측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상기 실내 측으로 가능한 한 신속하게 토출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바, 상기 케이스의 X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220)의 자중에 의한 하방 처짐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팬(220)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blower fan 220 has a main function of sucking the air on the indoor side and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back to the indoor side as quickly as possible,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ase in the X direction. Can be formed. 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fear of sag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blowing fan 22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blowing fans 220 may be provid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팬(220)이 2개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송풍팬(22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송 풍팬(220a,220b)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되 동축(221)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송풍팬(220a,220b) 사이에는 상기 동축(221)을 지지하는 팬 설치브라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축(221)은 후술하는 상기 송풍팬(220)을 이루는 구성요소와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각각의 상기 송풍팬(220a,220b)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송풍팬(220)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후술하는 허브(223)이어도 무방하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wing fan 220 showing a case in which two blowing fans 220 shown in FIG. 3 are provided. Referring to FIG.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lowing fans 220a and 220b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and connected to the coaxial 221, and between each of the blowing fans 220a and 220b. It may further include a fan installation bracket 230 for supporting the coaxial 221. The coaxial 221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lower fan 2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connect the blower fans 220a and 220b, respectively, to form the blower fan 220. The hub 223 described later among the components may be used.

상기 송풍팬(22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의 허브(223)와, 상기 허브(22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송풍부들(225)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들(225)은 상기 허브(223)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들(227)은 상기 허브(223)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lower fan 220 includes a cylindrical hub 223 long and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blowers 225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23. The blowers 225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227 disposed circumferent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23. The blades 227 may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23.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송풍팬들(220a,220b) 중 상기 팬 구동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송풍팬(220)을 제1송풍팬(220a), 상기 제1송풍팬(220a)과 상기 동축(221)에 의하여 연결되는 송풍팬(220)을 제2송풍팬(220b)이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제1송풍팬(220a)의 구성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제1"이라는 접두어를, 상기 제2송풍팬(220b)의 구성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제2"라는 접두어를 붙여 구별하기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의미가 전달되는 범위에서 상기 접두어들을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lower fan 220 directly connected to the fan driving motor among the blower fans 220a and 220b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220a, a first blower fan 220a, and the blower fan 220a. The blowing fan 220 connected by the coaxial 221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blowing fan 220b, and a prefix of "first" is given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blowing fan 220a.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econd blowing fan 220b will be identified by a prefix of “second”, and in some cases, the prefixes will be omitted in the range in which the same meaning is transmitted.

상기 송풍팬(220)이 상기 팬 구동모터(235)에 의하여 회전될 때, 상기 블레이드들(227)의 원심방향의 앞쪽에 해당되는 면은 공기와 직접적으로 마찰되면서 공 기를 원심방향으로 밀어내는 의미에서 "압력면"이라 칭할 수 있고, 상기 압력면의 뒤쪽에 해당되는 면은 주위에 비하여 낮은 압력을 형성하는 의미에서 "부압면"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들(227)은 상기 송풍팬(220)의 단위 회전당 효율적인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허브(223)의 외주면에서 원심방향 측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blower fan 220 is rotated by the fan driving motor 235,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blades 227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means to push the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while directly rubbing with the air. It may be referred to as a "pressure surface",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pressure su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negative pressure surface" in the sense of forming a lower pressure than the surrounding. In this case, the blades 227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23 to allow efficient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per unit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상기 송풍팬(220)은, 상기 팬 구동모터(2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의 압력면이 직접적으로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원심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면에 의하여 밀린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실내 측으로 토출되고, 상기 부압면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저압을 형성하여 실내 측의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하는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게 된다.The blowing fan 2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an driving motor 235, by pushing the pressur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ades 227 in a centrifugal direction while directly causing friction with air It will flow air. At this time, the air pushed by the pressure surface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ide toward the air discharge port, the low pressure is temporarily formed by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to form a flow of air to suck the air on the indoor side through the air inlet.

여기서, 상기 송풍팬(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물리적으로 공기와 마찰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바, 필연적으로 압력변화와 물리적인 공기의 충돌에 따른 이상소음을 발생시킨다.Here, the blower fan 220 generates a flow of air while at the same time changing the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physically rubbing with the air, inevitably generates an abnormal noise due to pressure changes and physical air collision. .

특히, 이상소음 중 하나의 원인이 되는 것은, 복수개의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블레이드들(227)이 인접하는 다른 송풍부(225)에 배치된 다른 블레이드들(227)과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도록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즉, 서로 인접하는 다른 송풍부(225)에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들(227)이 어느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 시 상기 압력면이 형성하는 고압부와 상기 부압 면이 형성하는 저압부가 어느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에 형성됨에 따라 이상소음이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one of the abnormal noises may be caused by the plurality of blades 227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blowers 225 and the other blades 227 disposed on the other blower 225 adjacent thereto. This is because the blowers 225 are disposed t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when the blades 227 disposed on the other blower 225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he pressure surface is form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As the low pressure portion formed by the high pressure portion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is formed in the same phase with respect to any horizontal plane, abnormal noise is generate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풍팬(220)의 이상소음 저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상소음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은 인접하는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27)와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도록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상기 송풍부들(225)은, 상기 블레이드들(227)이 인접하는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27)와 엇갈리는 형상이 수평되게 배치되는 상기 허브(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기준이 되는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된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bnormal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the blowing fan 220 illustrated in FIG. 4. Referring to FIG. 5, in one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abnormal noise generation problem, the plurality of blades 227 may be adjacent to the blowers. Any one blade 227 disposed at 225 and the horizontal plane may be arranged to have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That is, the plurality of blowers 225 may have the hub 223 horizontally arranged in a shape in which the blades 227 are alternately disposed with one of the blades 227 disposed in the adjacent blowers 225. The blowers 225 are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blowers 225 so as to have a step shape having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which becomes a refer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이 인접하는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27)와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압부와 상기 부압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압부의 위상이 어느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이상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게 된다.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blades 227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has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any one blade 227 disposed in the adjacent blowers 225 and the horizontal plane, the pressure plane Since the phases of the high pressure portion formed and the low pressure portion formed by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are formed differently with respect to any horizontal plane,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is reduced.

이상,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이 가지는 상기 위상차는 하나의 길게 형성된 송풍팬(220)(싱글 타입 : single type)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송풍팬(220)을 2개로 구비하고 각각의 송풍팬(220a,220b)이 동축(221)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상기 팬 구동모터(235)에 의하여 동일한 단위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경우(듀얼 타입 : dual type)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송풍팬(220)이 2개인 경우에 상기 위상차를 달리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송풍팬(220)이 구비된 경우(싱글 타입)처럼 각각의 송풍팬(상기 제1송풍팬(220a) 및 상기 제2송풍팬(220b))의 블레이드들(227a,227b)의 위상차가 서로 연속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송풍팬(220)이 듀얼 타입인 경우는 상기 싱글 타입인 경우처럼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동일한 토출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상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hase difference of the plurality of blades 227 is limited to the case of one long blower fan 220 (single type: single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nd two blowing fans 220a and 220b are connected to the coaxial 221 and rotated at the same unit rotational speed by one fan driving motor 235 (dual type: dual typ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the same cas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hase difference when the blower fan 220 is two, and each blower fan (the first blower fan 220a and the like) is provided when one blower fan 220 is provided (single typ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blades 227a and 227b of the second blowing fan 220b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blower fan 220 is of the dual type, the same discharge flow that discharges the heat-exchanged air may be formed as in the case of the single type, and abnormal nois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may be achieved. It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들(227)이 인접하는 상기 송풍부들(225)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27)와 수평면에 대하여 가지는 위상차는, 상기 송풍팬(2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 소정각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lades 227 with respect to any one blade 227 disposed in the adjacent blowers 225 and the horizontal plane is predetermined based on a center point of the blower fan 220. It can be form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the angle.

한편, 상기 듀얼 타입의 송풍팬(220)으로 구성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에서, 상술한 이상소음이 상기 송풍팬(220)의 블레이드들(227)이 동일 위상차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송풍팬(220)이 듀얼 타입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송풍팬(220a)에 의하여 유동되는 유동공기와 상기 제2송풍팬(220b)에 의하여 유동되는 유동공기가 서로 유동하는 동안 혼합되는 경우 이상소음의 발생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송풍팬(220a) 및 상기 제2송풍팬(220b)에 의하여 유동되는 유동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송풍팬(220a)과 상기 제2송풍팬(220b)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팬 설치브라 켓(230)의 하단은 적어도 상기 제1송풍팬(220a) 및 상기 제2송풍팬(220b)의 하단 수평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composed of the dual type blower fan 220, the above-described abnormal noise is generated only when the blades 227 of the blower fan 220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It is not. That is, when the blowing fan 220 is configured in a dual type, while the flow air flowing by the first blowing fan 220a and the flow air flowing by the second blowing fan 220b flow with each other. If mixed, there is a risk of abnormal noise. As such, the first blower fan 220a and the second blower fan 220b to prevent the flow air flowing by the first blower fan 220a and the second blower fan 220b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The lower end of the fan installation bracket 230 is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extending to the bottom horizontal plane of the first blowing fan 220a and the second blowing fan 220b.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일실시예는, 상기 송풍팬(220)의 일측에 상기 송풍팬(22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열교환기(240)를 더 포함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one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ked into the case 200 by the blowing fan 220 on one side of the blowing fan 220. It further includes a heat exchanger 240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se to heat exchange the air.

상기 열교환기(240)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기(240)로부터 생성되어 낙수되는 물방울을 집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250)(250)이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240)의 하단은 낙수되는 물방울의 집수가 용이하게 상기 드레인(25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Drains 250 and 250 are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240 and the base panel to collect water droplets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240 and to drain the water droplets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240 may be arrang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250 to easily collect the water droplets falling.

여기서,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상기 드레인(250)의 일측면은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흡입유로와 공기의 토출유로를 구획하여 안정화시키는 스태빌라이져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스태빌라이져(280)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레인(250)과 일체로 형성된다.Here, one side of the drain 250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discharge port serves as a stabilizer for partitioning and stabilizing the air inlet and air discharge channel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Do it. The stabilizer 28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bu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ain 250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태빌라이져(280)는 공기의 흡입유로와 토출유로를 구획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이로 인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abilizer 280 separates the suction and discharge passages of the air to stabilize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d air so that they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it occurs wh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d air mix with each other. It can reduce abnormal noise.

그런데, 상기 스태빌라이져(280)는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드시 상기 송풍팬(220)의 끝단과 소정거리 이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실내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져(280)와 상기 송풍팬(2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B"로 표시된 부분에 토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가 서로 섞이면서 이상소음을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stabilizer 280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lowing fan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220. Therefore, som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room 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220 may move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tabilizer 280 and the blowing fan 220.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to the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6 and the air sucked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bnormal noi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술한 이상소음 발생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최근 소위 천장의 "속고"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되, 제품의 상하 높이는 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품의 컴팩트화(소형화)되는 시장 추세에 발 맞추어 가장 컴팩트하면서도 이상소음의 저감 효과가 뛰어난 각 구성요소의 배치비율을 제안하고자 한다.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ducing the occurrence of the above-mentioned abnormal noise at the same time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high speed" of the recent ceiling, the height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product In line with the market trend of compact (miniaturized) products to be formed smaller, we propose the most compact and the placement ratio of each component with excellent effect of reducing abnormal noise.

즉,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25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배치된 상기 열교환기(240)의 하단은 상기 송풍팬(22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240)는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240)와 상기 송풍팬(220) 사이의 이격거리(C)는 상기 열교환기(2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흡입 공기와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압력면에 의하여 밀려나는 공기 사이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어도 10mm 이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240 dispos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250 is dispos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ing fan 220. 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r 2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220. The separation distance C between the heat exchanger 240 and the blower fan 220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surf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and the intake air introduc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240. It may be formed to maintain at least 10mm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air is pushed out.

한편, 도 6에 "B"로 표시된 부분 또한 상기 열교환기(2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흡입 공기와 상기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압력면에 의하여 밀려나는 공기 사이의 충돌에 의하여 이상소음 발생 우려가 있다. 그런데, 도 6에 "B"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송풍팬(220)의 크기에 따라 이상소음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발생한다. 특히, 상기 송풍팬(220)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220)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250)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소음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Meanwhile, a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6 is also abnormal due to a collision between intake air introduc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240 and air pushed by the pressure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220. It may cause noise. However, in the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6, the magnitude of abnormal noise occu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lowing fan 220.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owing fan 220 and the drain 250 to the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220) The magnitude of abnormal noise is differen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실적 근거를 토대로 상기 송풍팬(220)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220)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250)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를 0.15 내지 0.30 의 범위에서 설정한다.One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ual basis as described above of the blowing fan 220 for the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220 The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drain 250 is set in the range of 0.15 to 0.3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송풍팬(220)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220)의 하단과 드레인(250)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의 변화에 따른 이상소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0.5[dBA]를 측정자가 이상소음이라고 감지할 경우, 상기 상대비(d/D)는 0.15 내지 0.30 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상대비(d/D)로 설계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이상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이점이 있다.7 is a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bottom of the blowing fan 220 and the drain 250 with respect to the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220 shown in FIG. 6. This graph shows the magnitude of abnormal no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D).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easurer detects 0.5 [dBA] as abnormal noise, the relative ratio d / D is most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of 0.15 to 0.30.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 designed in the relative ratio (d / D) of this range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that fol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와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and the base panel shown in Figure 1 is separat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열교환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heat exchange parts disposed inside the cas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팬이 2개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송풍팬의 사시도이며,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fan showing a case in which two blowing fans shown in FIG. 3 are provide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풍팬의 이상소음 저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bnormal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the blowing fan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송풍팬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의 하단과 드레인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의 변화에 따른 이상소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llustrates the abnormal no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owing fan and the drain to the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shown in FIG. 6. It is a graph showing the size.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1: ceiling air conditioner 100: ceiling

200: 케이스 210: 공기 안내부200: case 210: air guide

220a,220b: 송풍팬 221: 동축220a, 220b: blower fan 221: coaxial

223a,223b: 허브(들) 225a,225b: 블레이드(들)223a, 223b: hub (s) 225a, 225b: blade (s)

230: 팬 설치브라켓 235: 구동모터 230: fan mounting bracket 235: drive motor

240: 열교환기 250: 드레인240: heat exchanger 250: drain

280: 스태빌라이져 280: Stabilizer

Claims (6)

천장에 고정되고, 저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A case fixed to the ceiling and having a bottom surface opened;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A base panel disposed on an open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ase and an air discharge port discharged after heat exchanged by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port;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송풍팬과; A first blowing fan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상기 제1송풍팬에 대하여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팬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송풍팬과; A second blowing fan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blowing fan and connected coaxially with the first blowing fan;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축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에 의하여 각각 토출되는 토출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1송풍팬이 배치된 공간과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팬 설치브라켓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The first blower fa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er fan and the second blower fan to support the coaxial and to prevent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irst blower fan and the second blower fan from mixing with each othe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an installation bracket for partitioning the disposed space and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blowing fan is dispos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송풍팬은, 원통 형상의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을 포함하고, The first blowing fan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hub and a plurality of first blowing parts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상기 제2송풍팬은, 원통 형상의 제2허브와, 상기 제2허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송풍부들을 포함하며, The second blowing fan includes a second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blowing parts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상기 제1송풍부들은,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The first blow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lade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상기 제2송풍부들은, 상기 제2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제2블레이드들을 포함하며, The second blow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blade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상기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들 및 제2블레이드들은, 인접하는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And the plurality of first blades and the second blades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any one blade disposed in the adjacent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은, The plurality of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상기 제1블레이드들 및 제2블레이드들이 인접하는 상기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엇갈리는 형상이, 수평되게 배치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어느 기준 수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상차의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송풍부들 및 제2송풍부들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With respect to any reference horizontal plane in which the first blades and the second blades alternate with one of the blades disposed in the adjacent first blowing parts and the second blowing part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b disposed horizontally.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first blowers and the second blowers to have a step shape having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팬 설치브라켓의 하단은 적어도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의 하단 수평면까지 연장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And a lower end of the fan installation bracket extends to at least a horizont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구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을 더 포함하고, A heat exchanger disposed between the air intake port and the blower fan and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intake port, and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base panel to collect water drained from the heat exchanger and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More,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상기 송풍팬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팬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to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ing fan, the heat exchanger and the blowing fan is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5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송풍팬의 횡단면을 가로지르는 외경(D)에 대한, 상기 송풍팬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 사이의 최단거리(d)의 상대비(d/D)는, 0.15 내지 0.30 인 천장형 공기조화기.And a relative ratio (d / D) o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owing fan and the drain to an outer diameter (D)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wing fan is 0.15 to 0.30.
KR1020080006699A 2008-01-22 2008-01-22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900807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99A KR20090080749A (en) 2008-01-22 2008-01-22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99A KR20090080749A (en) 2008-01-22 2008-01-22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49A true KR20090080749A (en) 2009-07-27

Family

ID=4129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99A KR20090080749A (en) 2008-01-22 2008-01-22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74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0790A (en) * 2015-07-28 2015-11-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Modular wind tube machine and air conditioner
WO2019174319A1 (en) * 2018-03-15 2019-09-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0790A (en) * 2015-07-28 2015-11-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Modular wind tube machine and air conditioner
WO2019174319A1 (en) * 2018-03-15 2019-09-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912B1 (en) Air Conditioner
JP648840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89090A1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717344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10060500A (en) Air-conditioner
CN107002708B (en) Centrifugal blower
JP2009270778A (en) Air conditioner
WO2018062540A1 (en) Cross-flow blower and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KR20190139054A (en)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KR101537589B1 (en) A Duct Type Air Conditioner
US20180195790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40104901A (en) Air-Conditioner
US11085654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352790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72867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109546B (en) Air conditioner
US20060254304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090080749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628002B1 (en) Air Conditioner
KR20190141479A (en)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KR102522048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467802Y1 (en) Airconditioner
KR102334042B1 (en) Air Conditioner
WO2012133392A1 (en) Heat source unit
KR100382522B1 (en)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