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791A -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791A
KR20090114791A KR1020080040622A KR20080040622A KR20090114791A KR 20090114791 A KR20090114791 A KR 20090114791A KR 1020080040622 A KR1020080040622 A KR 1020080040622A KR 20080040622 A KR20080040622 A KR 20080040622A KR 20090114791 A KR20090114791 A KR 2009011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contact
human body
conductive fib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179B1 (ko
Inventor
심창현
김우정
최원철
Original Assignee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주)맨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주)맨 텍 filed Critical 한국봉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4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노트북컴퓨터, PDA, 이동 통신 단말 등, 전기·기계 장치의 입출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MMI(Man Machine Interface)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MMI(Man Machine Interface) 장치에서는, 패드(1)가 전도성 섬유로 된 전극(11)들을 어레이로 배열하여 형성되며, 접촉 센서부(21)가 상기 전극(1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MCU(22)에 제공하며, 근거리 통신부(23)는 근거리에 위치한 본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며, MCU(22)는 상기 접촉 센서부(21)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섬유, 전도사, 마우스, 키보드

Description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Wearable wireless MMI device using electroconductive fiber}
본 발명은 PC, 노트북, PDA 또는 이동 통신 단말 등, 전기·기계 장치의 입출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MMI(Man Machine Interface)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간이 생활중에 착용하는 의복과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부터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기술의 연구 개발이 시작되어, 2002년 세계 최초로 독일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사가 섬유 속에 컴퓨터 칩을 내장하는 기술의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미국의 듀폰은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자옷감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컴퓨터 칩과 전자 옷감의 개발로 인해, 의류처럼 세탁이 가능한 의복용 프로세서, 커넥터 등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의복의 섬유를 이용하여 의복 형태로 된 컴퓨터 마우스나 키패드를 개발한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다.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웨어러블 컴퓨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입력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장애 인구의 증가와 함께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 및 키보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장애인용으로 출시되고 있는 마우스 및 키보드는, 가격이 고가이며 기기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섬유를 이용하는 의복형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장애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 및 키보드에 대해, 예를 들어 살펴보면, 마우스의 움직임을 8개 방향에 위치한 버튼으로 조절하는 버튼형 마우스, 키보드의 글자를 크게 하여 시력이 약한 사람이나 손떨림이 있는 뇌성마비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킹키보드, 손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위해 발로 작동되는 발 마우스, 마우스가 머리의 움직임으로 작동되도록 한 헤드 포인팅 마우스 등이 있다. 이러한 마우스 및 키보드는 모두 별도의 기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의복의 섬유를 이용하는 의복형은 아니다.
또한 이동 환경에서 노트북, PDA, 또는 이동 통신 단말 등을 제어해야 하는 경우가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을 예로 들면, 이동 통신 단말의 성능은 급격히 향상되고 멀티미디어화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해서는 단순히 몇 가지의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면 되었으나, 멀티미디어화된 이동 통신 단말은 그에 대응되는 보다 고성능의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한다. 문자 메시지 사용의 보편화, 이동 통신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 등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도 현재 퍼스널 컴퓨터가 채용하고 있는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은 이동 특성으로 인해 그에 사용 될 입력 장치에 대해서도 이동성과 소형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저가의 입력 장치는 아직 부족한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기술에 바탕을 두고 상기한 배경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컴퓨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의복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복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환경에서 노트북, PDA, 또는 이동 통신 단말 등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의복형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상기한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는, 의복(3)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3)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직물에 형성되며, 전도성 섬유로 된 전극(11)들이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패드(1); (a) 상기 전극(1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전극(11)들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접촉 센서부(21), (b) 근 거리에 위치한 본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23), (c) 상기 접촉 센서부(21)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며 상기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3)에 제공하는 MCU(22)를 포함하는 MCU/무선통신 모듈(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는, 의복(3)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3)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직물에 형성되며, 전도성 섬유로 된 전극(11)들이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패드(1); (a) 상기 전극(1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전극(11)들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접촉 센서부(21), (b) 근거리에 위치한 본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23), (c) 상기 접촉 센서부(21)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며 상기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접촉 위치의 움직임 정보를 연산해내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3)에 제공하는 MCU(22)를 포함하는 MCU/무선통신 모듈(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복과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입력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웨어러블 컴퓨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복과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컴퓨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복과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동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성을 구비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는 의복(3)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패드(1)와 MCU/무선 통신 모듈(2)로 구성된다. 패드(1)는 의복(3)의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3)에 별도로 부착되는 직물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패드(1)는 직물 위에 자수를 놓는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직물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된다. 패드(1)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컴퓨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우스 패드나 키보드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MCU/무선통신 모듈(2)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는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패드(1)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공급하고 패드(1)로부터 접촉 위치와 관련된 전기 신호를 읽어서 그 접촉 위치를 판단하며, 판단된 접촉 위치를 근거리의 본체 장치(4)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5)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CU/무선통신 모듈(2)은 근거리의 본체 장치(4)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움직이는 경우, 그 상대적인 움직임 정보를 본체 장치(4)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 장치(4)는 PC, PDA, 노트북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 등을 포함하며, 여하한 기계 장치 또는 전기 장치일 수 있다. 본체 장치(4)는 MCU/무선통신 모듈(2)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하기만 하면 어떤 형태의 장치이어도 상관 없다. 본체 장치(4)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받아야 하는 여하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패드(1)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패드(1)는 의복(3)의 재료가 되는 직물과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의복(3)의 직물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패드(1)에서 전극(11) 및 배선(12)은 의복(3)의 재료가 되는 직물에 자수를 놓듯이 전도성 섬유를 전극(11)과 배선(12)이 될 부분에 박음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의복(3) 을 구성하게 될 직물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전도성 섬유와 일반 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직조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전도성 섬유 전체를 전도성 물질로 하지 않고 구간마다 전도성을 띤 부분과 전도성이 없는 부분을 달리하는 전도성 섬유를 준비하고, 전극(11) 및 배선(12)에 대해서만 전도성을 띤 부분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직물에 전극(11) 및 배선(1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자수 방법과 직조 방법을 병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의복(3)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의복(3)과는 별도의 직물에 상기한 방법대로 패드(1)를 형성하고 패드(1)를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의복(3)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11)들은 해당하는 각각의 배선(12)을 이용하여 MCU/무선통신 모듈(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11)과 마찬가지로 배선(12)도 전도성 섬유로 형성된다. 각각의 전극(11)에서 네모로 도시된 것은 전극(11)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11)의 영역안에 있는 전도성 섬유의 부분들이 해당하는 각각의 배선(12)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 족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MCU/무선통신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MCU/무선통신 모듈(2)은 접촉 센서부(21), MCU(22), 근거리 통신부(23) 및 안테나(24)를 포함한다. 접촉 센서부(21)는 패드(1)의 전극(11)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MCU(22)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접촉 센서부(21)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은 다양하게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 중 일 실시 양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접촉 센서부(21)를 구현하는 일 실시 양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센서부(21)는 탐지신호 발생부(210), 수동소자 네트워크(212), 및 접촉 위치 판단부(214)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DEMUX(211) 또는 MUX(2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센서부(21)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은 인체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패드(1)의 전극(11)에 접촉시키면, 전극(11)에 새로운 커패시터가 결합되는 것과 같다. 접촉 센서부(21)는 상기한 커패시턴스 성분의 추가 또는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탐지신호 발생부(210)은 정현파 신호 또는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패드(1)의 각 전극(11)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패드(1)의 각 전극(11)에 정현파 신호 또는 펄스 신호가 공급될 때는 입력측 수동소자(215)를 통해 공급되며, 입력측 수동소자(215)는 예를 들면 저항일 수 있다. 발생된 정현파 신호 또는 펄스 신호는 입력측 수동소자(215)를 통하여 패드(1)의 모든 전극(11)에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DEMUX(211)을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순차적으로 각 전극(11)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패드(1)의 각 전극(11)은 또한 접촉 위치 판단부(214)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패드(1)의 각 전극(11)은 MUX(213)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접촉위치 판단부(214)와 전기적으로 결 합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측 수동소자(215)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는 접지측 수동소자(216)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탐지신호 발생부(2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입력측 수동소자 및 인체의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탐지신호 발생부(210)의 출력 전압(Vin)과 전극(11)의 전압(Vout)에 대해 예를 들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는 탐지신호 발생부(210)가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어느 한 전극(11)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커패시턴스 성분이 상기 전극(11)에 부가된 경우, 그 전극(11)의 출력 전압(Vout)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커패시턴스 성분이 상기 특정한 전극(11)에 부가된 경우에는 그 전극(11)의 출력 전압(Vout)이 도시된 바와 같이 찌그러진다.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해 정확한 펄스 파형을 갖지 못하고 시간 지연을 가지고 충방전하는 모양이 된다. 따라서 접촉 위치 판단부(214)가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회로이기만 하면 접촉 위치 판단부(214)의 특정한 전극(11)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접촉 위치 판단부(214)는 예들 들면, D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약간 시간 지연되고 인버팅된 탐지신호 발생부(210)의 출력 전압(Vin)이 D 플립플롭의 클록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전극(11)의 출력 전압(Vout)이 D 플립플롭의 데이터 단자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Vin 신호의 하강에지보다 약간 지연된 시각에 Vout 신호를 샘플해서 홀드하게 된다. 접촉 위치 판단부(214)의 상기한 예시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반 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근거리 통신부(23)는 안테나(24)를 개재하여 본체 장치(4)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23)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지그비(Zegbee) 모듈이거나 기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여하한 무선 통신 모듈도 가능하다. MCU(22)는 접촉 센서부(21) 및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고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며, 내부에 메모리를 구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MUC(22)는 접촉 센서부(21)를 제어하고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고 있는 전극(1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MCU(22)는 근거리 통신부(23) 및 안테나(24)를 개재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리의 본체 장치(4)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MCU(22)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고 있는 전극(11)의 위치 정보를 그대로 본체 장치(4)에 전송되도록 제허할 수도 있으나, 전극(11)의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움직임 정보를 본체 장치(4)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간격이전에 손가락 등이 접촉된 전극의 위치가 A22이었고, 현재 접촉된 전극의 위치가 A33으로 이동한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CU(22)는 우측 아래 45˚ 방향으로 접촉 위치가 일정거리(즉, 전극 A22와 전극 A33 사이의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MCU(22)는 패드(1)에서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위치를 전극(11)의 위치와 정확히 맞추어서 판단할 수도 있으나, 보간법에 의해서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전극(11)과 전극(11)의 사이 또는 패드(1)에서 임의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 등이 전극 A22와 전극 A23 사이에 위치하고 있거나, 상기 전극들 모두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극들 모두에 결합되는 커패시턴스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전극들 모두에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기초로 보간법으로 보다 정확한 위치를 연산하여 찾아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패드(1)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MCU/무선통신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복형 무선 MMI 장치에서 접촉 센서부(21)를 구현하는 일 실시 양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탐지신호 발생부(210)의 출력 전압(Vin)과 전극(11)의 전압(Vout)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7)

  1. 의복(3)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3)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직물에 형성되며, 전도성 섬유로 된 전극(11)들이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패드(1);
    (a) 상기 전극(1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전극(11)들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접촉 센서부(21), (b) 근거리에 위치한 본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23), (c) 상기 접촉 센서부(21)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며 상기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3)에 제공하는 MCU(22)를 포함하는 MCU/무선통신 모듈(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2. 의복(3)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3)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직물에 형성되며, 전도성 섬유로 된 전극(11)들이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패드(1);
    (a) 상기 전극(11)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전극(11)들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접촉 센서부(21), (b) 근거리에 위치한 본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근거 리 통신부(23), (c) 상기 접촉 센서부(21)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23)를 제어하며 상기 접촉 센서부(21)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접촉 위치의 움직임 정보를 연산해내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3)에 제공하는 MCU(22)를 포함하는 MCU/무선통신 모듈(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11)들은,
    상기 전도성 섬유를 자수 방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11)들은,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띠도록 한 상기 전도성 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부(21)는,
    정현파 신호 또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탐지신호 발생부(210);
    상기 탐지신호 발생부(210)와 각각의 상기 전극(11)들 사이에 결합되는 입력측 수동소자(215);
    상기 전극(1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11)들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그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접촉 위치 판단부(2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탐지신호 발생부(210)와 상기 입력측 수동소자(215)의 사이에 결합되는 DEMUX(211)와;
    상기 입력측 수동소자(215)와 접촉위치 판단부(214) 사이에 결합되는 MUX(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극(11)들 사이에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거나 복수의 전극(11)들에 걸쳐서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 위치 판단부(214)는 보간법으로 상기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MMI 장치.
KR1020080040622A 2008-04-30 2008-04-30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KR10094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622A KR100949179B1 (ko) 2008-04-30 2008-04-30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622A KR100949179B1 (ko) 2008-04-30 2008-04-30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91A true KR20090114791A (ko) 2009-11-04
KR100949179B1 KR100949179B1 (ko) 2010-03-23

Family

ID=4155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622A KR100949179B1 (ko) 2008-04-30 2008-04-30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11B1 (ko) * 2010-12-24 2013-02-27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직물형 압력센서 패키지 제조방법
KR101288824B1 (ko) * 2011-09-21 2013-07-23 (주)맨 텍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전자 타악 시스템
KR20160069623A (ko) * 2014-12-08 2016-06-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KR102071230B1 (ko) * 2019-09-18 2020-01-31 주식회사 지벤에프앤씨 안전 작업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906A (ko) * 2005-01-25 2006-07-28 조명호 일정 대상 또는 도구의 위치, 자세 또는 상태의 변화를전해주는 도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11B1 (ko) * 2010-12-24 2013-02-27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직물형 압력센서 패키지 제조방법
KR101288824B1 (ko) * 2011-09-21 2013-07-23 (주)맨 텍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전자 타악 시스템
KR20160069623A (ko) * 2014-12-08 2016-06-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KR102071230B1 (ko) * 2019-09-18 2020-01-31 주식회사 지벤에프앤씨 안전 작업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79B1 (ko)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672B2 (en)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Zhang et al. Skintrack: Using the body as an electrical waveguide for continuous finger tracking on the skin
Rekimoto Gesturewrist and gesturepad: Unobtrusive wearable interaction devices
KR100806029B1 (ko) 접촉 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
CN109375784A (zh) 具有多功能人机接口的电子设备
JP6472196B2 (ja) センサ信号処理回路及びセンサ信号処理方法
KR20160128994A (ko) 제스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643176A (zh) 触控笔、触摸感测系统、触摸感测控制器及触摸感测方法
KR100949179B1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US12045393B2 (en) Hand-worn data-input device
TWI497384B (zh) 觸控感應電路、裝置、及系統與其操作方法
CN103605433B (zh) 一种多功能人体学输入设备
US11460919B1 (en) Wearable gesture detector
KR20110138743A (ko) 측면 및 후면 터치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장치
JP2003029899A (ja) ユーザ入力装置
Yu et al. uKnit: A Position-Aware Reconfigurable Machine-Knitted Wearable for Gestural Interaction and Passive Sensing using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CN106716304B (zh) 控制单元以及与图形用户界面进行交互的方法
KR100666699B1 (ko) 전기적 접촉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KR20100064302A (ko) 직물형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접촉 감지방법
KR2016009711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139912B1 (ko) 플렉서블 터치센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터치 디바이스
KR102604259B1 (ko) 정전용량식 장갑형 입력장치
KR20110072724A (ko)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Cheng et al. On body capacitive sensing for a simple touchless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