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275A -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275A
KR20090114275A KR1020080040129A KR20080040129A KR20090114275A KR 20090114275 A KR20090114275 A KR 20090114275A KR 1020080040129 A KR1020080040129 A KR 1020080040129A KR 20080040129 A KR20080040129 A KR 20080040129A KR 20090114275 A KR20090114275 A KR 2009011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touch panel
display devic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901B1 (ko
Inventor
김태훈
김형동
황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옵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옵솔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9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되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서로 대면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과, 상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하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된 상부전극과,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되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또는 하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에지부 영역의 단차를 개선하기 위한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 더미전극, ITO, 터치, 에지부

Description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량률을 줄일 수 있 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디지타이저는 특수하게 제작된 평판 상에 손가락이나 펜의 위치를 XY 좌표화하고, 출력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에 비해 문자나 그림을 보다 편하고 정교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저의 하나인 터치 패널(Touch Panel)은 전자수첩이나 개인용 정보처리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 흔하게 사용되어 왔다.
터치 패널의 기본 구조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과, 하부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에 펜 또는 손가락 같은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되면, 접촉된 지점의 상부 기판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하부 기판에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값 또는 커패시터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드린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좌표를 찾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표시장치의 표시면 상에 배치되어 신호입력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표시장치의 영상표시영역과 대응되는 표시 영역(ciewing area, 10)과, 상기 표시 영역(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dead space area, 50)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표시장치의 터치 패널은 PET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한 상부 기판(11) 및 하부 기판(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표시 영역(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11)의 내부 면에는 제1 투명 도전층(1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21)의 내부 면에는 제2 투명 도전층(22)이 형성된다.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50)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10)의 내부 면에는 상부전극(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21)의 내부 면에는 하부전극(2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전극(13)은 상기 제1 투명 도전층(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전극(23)은 상기 제2 투명 도전층(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 기판(11) 및 하부 기판(21)은 접착층(30)에 의해 서로 합착되며, 상기 상부전극(13) 및 하부전극(23)과 접착층(30) 사이에는 제1 및 제2 절연층(17, 2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반적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터치를 위한 손가락 또는 펜(80)이 터치 패널의 에지부로 갈수록 제1 및 제2 금속전극(13, 23)이 형성된 영역과 그 외의 영역 간의 큰 단차 때문에 에지부 영역(A)에서 제1 투명 도전층(12)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되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서로 대면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 상기 상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된 상부전극;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되는 하부전극; 및 상기 상부전극 또는 상기 하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에지부 영역의 단차를 개선하기 위한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에지부 영역을 터치하더라도 상부 더미전극과 하부 더미전극이 형성됨으로써,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하여 에지부 영역의 터치로 인해 투명 도전층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함으로써, 투명 도전층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률 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은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에지부 터치의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표시장치의 표시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 패널(100)의 하부면에는 표시장치가 배치된다.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PET 등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한 상부 기판(111) 및 하부 기판(121)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기판(111)과 하부 기판(121)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 140)가 상기 상부 기판(111)과 하부 기판(12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기판(111)과 하부 기판(121)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기 상부 기판(111)에 제1 투명 도전층(112)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기 하부 기판(121)에 제2 투명 도전층(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도전막(112, 122)은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및 ITZO(Indium- Tin-Zinc-Oxid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영역은 데드 스페이스 영역(dead space area)으로 정의되며,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상부 기판(111)에는 제1 내지 제4 상부전극(113a, 113b, 113c, 113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하부 기판(121)에는 제1 내지 제4 하부 전극(123a, 123b, 123c, 123d)이 형성된다.
상부 기판(111)의 제1 및 제2 상부전극(113a, 113b)은 제1 투명 도전층(112)에 X축 방향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투명 도전층(112) 양측부에 접속된다. 제1 상부전극(113a)은 X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고전위 전압이 공급되며, 제2 상부전극(113b)은 X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기저전압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및 제 4 상부전극(113c, 113d)은 제1 투명 도전층(112)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전극(113a, 113b)으로 고전위 전압 또는 기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전극(113a, 113b, 113c, 113d)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로부터 제1 연성회로기판(161)에 의해 구동전압을 공급받는다.
하부 기판(121)의 제1 및 제2 하부전극(123a, 123b)은 제2 투명 도전층(122)에 Y축 방향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2 투명 도전층(122) 양측부에 접속된다. 제1 하부전극(123a)은 Y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고전위 전압이 공급되며, 제2 하부전극(123b)은 Y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기저전압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및 제4 하부전극(123c, 123d)은 제2 투명 도전층(122)에 직접 접촉되지 않 으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전극(123a, 123b)으로 고전위 전압 또는 기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하부전극(123a, 123b, 123c, 123d)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로부터 제2 연성회로기판(163)에 의해 구동전압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기판(111) 및 하부 기판(12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161, 163)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연성회로기판으로 상기 상부 기판(111) 및 하부 기판(121)을 외부의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부 기판(111)과 하부 기판(121)은 접착층(130)에 의해 합착되고, 상기 접착층(130)과 제1 내지 제4 상부전극(113a, 113b, 113c, 113d) 사이에는 제1 절연층(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착층(130)과 상기 제1 내지 제4 하부전극(123a, 123b, 123c, 123d) 사이에는 제2 절연층(127)이 형성된다.
상부 기판(111)에는 제3 및 제4 상부전극(113c, 113d)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은 바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전극(113a, 113b, 113c, 113d) 패터닝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은 터치 패널(100)의 에지부 단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은 터치 패널(100)의 에지부에서 터치로 인한 제1 투명 도전층(112)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 을 한다.
하부 기판(121)에는 제1 및 제2 하부전극(123a, 123b)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하부전극(123a, 123b, 123c, 123d) 패터닝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은 에지부 영역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투명 도전층(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은 에지부 영역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2 투명 도전층(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모두 형성된 터치 패널(100)에 관해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이 삭제되거나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삭제된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 상에는 제1 절연층(117)이 도포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 상에는 제2 절연층(127)이 도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형성된 영역은 접착층(130)의 두께만큼의 갭(G)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제1 및 제2 상부 더미 전극(115a, 115b)과,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형성되어 에지부 영역에서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손가락 또는 펜(180)을 이용하여 에지부 영역을 터치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이 형성됨으로써, 에지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하여 에지부 영역의 터치로 인해 제1 투명 도전층(112)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그 형상과 위치는 더 많은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과,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의 형성이나 위치는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라면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제1 내지 제4 상부전극(113a, 113b, 113c, 113d) 형성 시에 제1 및 제2 상부 더미전극(115a, 115b)을 동시에 형성하고, 제1 내지 제4 하부전극(123a, 123b, 123c, 123d) 형성 시에 제1 및 제2 하부 더미전극(125a, 125b)을 동시에 형성하여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 를 개선함으로써, 에지부 영역의 터치시에 제1 투명 도전층(1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함으로써, 제1 투명 도전층(112)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100)은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에지부 영역의 급격한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의 에지부 터치의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6)

  1.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되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서로 대면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
    상기 상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된 상부전극;
    상기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판과 대면되는 면에 형성되는 하부전극; 및
    상기 상부전극 또는 상기 하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에지부 영역의 단차를 개선하기 위한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은 상기 상부전극 또는 상기 하부전극 형성시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및 상기 더미전극 상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은 상기 상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 더미전극과, 상기 하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부 더미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더미전극과 상기 하부 더미전극은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은 상기 제1 또는 제2 투명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20080040129A 2008-04-29 2008-04-29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145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29A KR101450901B1 (ko) 2008-04-29 2008-04-29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29A KR101450901B1 (ko) 2008-04-29 2008-04-29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75A true KR20090114275A (ko) 2009-11-03
KR101450901B1 KR101450901B1 (ko) 2014-10-23

Family

ID=415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129A KR101450901B1 (ko) 2008-04-29 2008-04-29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35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어레이 기판,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터치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KR100659048B1 (ko) * 2000-09-06 2006-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더미전극을 구비한 터치패널
KR100482321B1 (ko) * 2001-12-27 2005-04-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0721B1 (ko) * 2002-11-14 2005-08-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35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어레이 기판,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터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901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773B1 (ko) 디지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KR101354274B1 (ko)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2527962B1 (en) Integrated digitizer display
KR100469355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20150122625A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14081910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62545A1 (en) Sensing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KR20120035490A (ko)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GB2559575A (en) Touch sensor
KR20140023046A (ko) 터치패널
JP2010066952A (ja) 抵抗膜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12970B (zh) 觸控輸入裝置
KR20130104857A (ko)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US20140104221A1 (en) Capacitive touch panel sensor for mitigating effects of a floating condition
GB2456312A (en) Transparent Capacitive Touch Panel
TWI416924B (zh) 觸控顯示面板、顯示器及行動電話
KR101510888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JP201203828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
KR101450901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JP2010256999A (ja) タッチパネル
KR20110094999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KR20060114596A (ko) 터치패널이 포함된 발광표시장치
TW201351228A (zh) 觸控裝置及其靜電屏蔽方法
JP3174469U (ja) 引っ掻き防止層を具えた抵抗式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