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796A - Bumper sta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stay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2796A KR20090112796A KR1020080038504A KR20080038504A KR20090112796A KR 20090112796 A KR20090112796 A KR 20090112796A KR 1020080038504 A KR1020080038504 A KR 1020080038504A KR 20080038504 A KR20080038504 A KR 20080038504A KR 20090112796 A KR20090112796 A KR 200901127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y
- stay beam
- bumper
- impact absorption
- absorption ste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테이 빔에 여러개의 충격흡수용 단턱을 형성하여 완충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stay for automobiles having improved shock resistance by forming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steps in the stay beam.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범퍼가 제공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 사고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시켜 차체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In general, bumpers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driver or the occupant by absorbing or mitigating a sho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범퍼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커버(10)와, 충돌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11)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막아 차체를 보호하는 범퍼 백빔(12)과,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범퍼 백빔(12)에 고정되는 범퍼 스테이(100)로 구성되어 있다.Such a bumper, as shown in Fig. 7 and 8, the
상기 범퍼 스테이(100)는 좌우 각각 한개씩 장착되어 차체의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연결되어 범퍼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bumper stays 100 are mounted one by on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o be connected to the floor side members of the vehicle body to support the entire bumper, and to absorb shocks transmitted to the floor side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종래의 범퍼 스테이(100)는 범퍼 백빔의 이면에서 돌출형성된 스테이 빔으로 구성되어 있고, 항복 강도 40kg/㎟이상의 고장력강으로 되어 있으며, 후방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스테이 빔의 변형을 이용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The
그러나, 상기 후방 추돌 시 충돌에너지가 범퍼 자체의 기본적인 에너지를 초과했을 때 범퍼 스테이에서 충격 흡수를 못하게 되면 충돌에너지가 그대로 차체에 전달되어 승객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초래하게 되고, 차체 손상으로 인한 수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llision energy exceeds the basic energy of the bumper itself during the rear collision, if the shock absorber is not absorbed in the bumper stay, the collision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s it is, causing fatal injury to the passenger, and the repair cost due to the damage of the vehicl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테이 빔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충격흡수용 단턱을 형성하고,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용 단턱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it is to form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step in the stay beam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impact energy can be sequentially absorbed by the shock absorbing step in the vehicle crash. The object is to provide a bumper stay for an automobi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bumper stay for automobiles,
범퍼 백빔 내면 양측에 돌출형성된 제1스테이 빔;A first stay beam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an inner surface of the bumper back beam;
상기 제1스테이 빔과 마주보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스테이 빔이 끼워지는 제2스테이 빔; 및A second stay beam protruding to face the first stay beam, to which the first stay beam is fitted; And
상기 제2스테이 빔에 제1스테이 빔의 전진을 방해하는 구조로 형성된 하나이상의 충격흡수용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tay bea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impact absorption step formed in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advance of the first stay beam.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플로워 사이드 멤버와 연결된 스테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테이 빔은 스테이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제1스테이 빔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t comprises a stay plate connected to a floor side member, wherein the second stay beam extends from the stay plate and is formed to face the first stay beam.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충격흡수용 단턱은 제2스테이 빔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 빔이 제2스테이 빔의 내측면에 접하게 끼워지며, 차량 충돌에 의해 제1스테이 빔이 전진할 때 충격흡수용 단턱이 제1스테이 빔의 충돌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impact absorption step is formed concav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second stay beam, the first stay beam is fit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ay beam. When the first stay beam is advanced by the vehicle crash, the impact absorption step gradually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first stay beam.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단턱은 제2스테이 빔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 빔이 제2스테이 빔의 외측면에 접하게 끼워지며, 차량 충돌에 의해 제1스테이 빔이 전진할 때 충격흡수용 단턱이 제1스테이 빔의 충돌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pact absorption step is formed convexly spaced in the out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second stay beam, the first stay beam is fit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ay beam, and the vehicle collision As a result, when the first stay beam moves forward, the impact absorption step gradually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first stay beam.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단턱은 제1스테이 빔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 빔이 제2스테이 빔의 외측면에 접하게 끼워지며, 차량 충돌에 의해 제1스테이 빔이 전진할 때 충격흡수용 단턱이 제1스테이 빔의 충돌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pact absorption step is formed concav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first stay beam, the first stay beam is fit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ay beam, the vehicle collision As a result, when the first stay beam moves forward, the impact absorption step gradually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first stay beam.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단턱은 제1스테이 빔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테이 빔이 제2스테이 빔의 내측면에 접하게 끼워지며, 차량 충돌에 의해 제1스테이 빔이 전진할 때 충격흡수용 단턱이 제1스테이 빔의 충돌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pact absorption step is formed convexl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uter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first stay beam, the first stay beam is fit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ay beam, the vehicle crash As a result, when the first stay beam moves forward, the impact absorption step gradually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first stay beam.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의하면, 스테이 빔의 3군데에 충격흡수용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충돌시 제1스테이 빔이 전진하면서 제2스테이 빔의 충격흡수용 단턱을 눌러 충격흡수용 단턱에 의해 충돌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여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mper stay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shock absorbing step in three places of the stay beam, the first stay beam is advanc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the step of absorbing the shock absorbing step of the second stay beam. By pressing the shock absorbing step to gradually absorb the collision energy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driver and passenger of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을 앞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범퍼 백빔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범퍼 스테이와 범퍼 백빔의 충돌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3의 충돌 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스테이의 충돌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ac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bumper stay attached to a bumper bac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bumper stay and the bumper back beam, Figure 4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ollision of Figure 3, Figure 5 is a collision of the bumper st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front-back stat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는 범퍼 커버(10)와, 충돌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11)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막아 차체를 보호하는 범퍼 백빔(12)과,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범퍼 백빔(200)에 고정되는 범퍼 스테이(13)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n automobile bumper includes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테이(13)는 한쌍의 스테이 빔(14,15)이 서로 마주보면서 끼워지고, 차량 충돌시 스테이 빔(14)에 형성된 충격흡수용 단턱(16)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범퍼 백빔(12)과 연결된 제1스테이 빔(14)과, 플로워 사이드 멤버와 연결된 스테이 플레이트(17) 및 제2스테이 빔(15)으로 구성된다. In the bumper stay 13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이때, 스테이 플레이트(17)는 제2스테이 빔(15)을 플로워 사이드 멤버와 연 결하기 위한 판이고, 제2스테이 빔(15)의 축방향에 수직한 면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범퍼 스테이(13)는 범퍼 백빔(12)과 플로워 멤버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를 위해, 범퍼 스테이(13)는 파이프 형태의 제1스테이 빔(14)과 제2스테이 빔(15)이 서로 일정부분 겹치게 끼워지고, 충돌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나이상의 충격흡수용 단턱(16)이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단턱(16)은 제2스테이 빔(15)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1스테이 빔(14)의 전단부가 제2스테이 빔(15)의 내측면에 접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스테이 빔(14)의 전단부는 충격흡수용 단턱(16) 중 첫번째에 위치하도록 끼워진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용 단턱(16)이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에 의해 제1스테이 빔(14)이 제2스테이 빔(15)을 향해 전진할 것이고, 이때, 충격에 의한 제1스테이 빔(14)이 충격 흡수용 단턱(16)을 순차적으로 눌러 충격에너지가 감쇄되게 된다.For example, if three
여기서, 충격흡수용 단턱(16)의 갯수는 스테이 빔의 재질과 충격에너지의 크기에 대한 저항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단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테이 빔(14)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2스테이 빔(15)의 전단부가 제1스테이 빔(14)의 내측면에 접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스테이 빔(15)의 전단부는 충격흡수용 단턱 중 첫번째에 위치하도록 끼워진 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conca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경로는 동일하고, 제1스테이 빔(14)의 충격 흡수용 단턱이 제2스테이 빔(15)의 전단부에 의해 눌려지면서 충격에너지가 감쇄된다.Even in this case, the path of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the same, and the impact energy is attenuated while the step for absorbing the impact of the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단턱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스테이 빔(14) 또는 제2스테이 빔(15)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스테이 빔(14,15)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충격에 의한 제1스테이 빔의 전진을 방해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absorption step may be concave, but may be convex, formed in th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범퍼 백빔에 의한 흡수 에너지가 시간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단턱에 의한 차량의 범퍼 충돌에너지 흡수구조를 적용한 경우에 초기 충격에너지 흡수율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었고, 범퍼 백빔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가 거의 일정한 크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6, although the absorption energy of the conventional bumper back beam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time, the initial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is applied when the bumper collisio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is applied by the impact absorp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nergy absorbed by the bumper back beam is substantially constant.
또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단턱의 충격흡수 구조로 충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RCAR(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search)의 범퍼 저속 충돌 평가 강화 발표에 대응할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부품 손상 미비로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impact performance by the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ing step, and can respond to the announcement of the bumper low-speed collision evaluation reinforcement of the RCAR (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search), and repair costs due to incomplete parts damage during vehicle collision Can reduce the cos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백빔을 앞에서 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umper bac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범퍼 백빔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2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mper stay is attached to a bumper bac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서 범퍼 스테이와 범퍼 백빔의 충돌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3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bumper stay and the bumper backbeam in FIG. 1;
도 4은 도 3의 충돌 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4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collision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스테이의 충돌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a bumper st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차량 충돌시 본 발명과 종래의 충격에너지 흡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vehicle crash,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범퍼를 나타내는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bile bumper,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범퍼 커버 11 : 에너지 업소버10: bumper cover 11: energy absorber
12 : 범퍼 백빔 13,23 : 범퍼 스테이12:
14,24 : 제1스테이 빔 15,25 : 제2스테이 빔14,24:
16,26 : 충격흡수용 단턱 17 : 스테이 플레이트16, 26: shock absorbing step 17: stay plat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504A KR20090112796A (en) | 2008-04-25 | 2008-04-25 | Bumper stay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504A KR20090112796A (en) | 2008-04-25 | 2008-04-25 | Bumper stay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796A true KR20090112796A (en) | 2009-10-29 |
Family
ID=4155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504A KR20090112796A (en) | 2008-04-25 | 2008-04-25 | Bumper stay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1279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196B1 (en) * | 2012-11-26 | 2014-06-27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KR101510039B1 (en) * | 2014-02-06 | 2015-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rash box for vehicle |
-
2008
- 2008-04-25 KR KR1020080038504A patent/KR2009011279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196B1 (en) * | 2012-11-26 | 2014-06-27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KR101510039B1 (en) * | 2014-02-06 | 2015-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rash box for vehicle |
US9174594B2 (en) | 2014-02-06 | 2015-11-03 | Hyundai Motor Company | Crash box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0828B2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JP5382239B2 (en) | Automotive front structure | |
KR101416387B1 (en) |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691483B1 (en) | Front support for vehicle | |
KR102557313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JPWO2008105517A1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 | |
KR101458702B1 (en) | sub frame for automobile | |
KR100727713B1 (en) | Crash-box of automobile | |
US10710529B2 (en)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KR101624239B1 (en) | Structure of bumper-beam | |
KR101274470B1 (en) | Side crash box unit for electric vehicles | |
KR20090112796A (en) | Bumper stay for vehicle | |
WO2021091514A1 (en) | A supported crash box | |
EP2300273B1 (en) | Vehicle bumper assembly | |
KR101252206B1 (en) | Beam bracket for mounting impact beam in door | |
KR101057986B1 (en) | Bumper Unit for Vehicle | |
KR101523851B1 (en) |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438286B1 (en) | Bumper back beam assembly for vehicle | |
KR102350011B1 (en) | Bumper stay for shock absorption | |
KR101270938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
KR102002309B1 (en) | Rear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102456470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KR101700683B1 (en) | Excellent crash performance Crash box assembly is for testing RCAR | |
KR102104742B1 (en) | A device for absorbing shock of a rear end collision for a High Weight vehicle | |
KR102054508B1 (en) | Bumper stay for vehicles and bumper beam unit using th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