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050A -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050A
KR20090112050A KR1020080037724A KR20080037724A KR20090112050A KR 20090112050 A KR20090112050 A KR 20090112050A KR 1020080037724 A KR1020080037724 A KR 1020080037724A KR 20080037724 A KR20080037724 A KR 20080037724A KR 20090112050 A KR20090112050 A KR 2009011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erration correction
aberration
optical disc
j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633B1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633B1/ko
Priority to US12/202,493 priority patent/US20090268574A1/en
Priority to CNA2008101842158A priority patent/CN101567197A/zh
Priority to EP08017430A priority patent/EP2112656A1/en
Publication of KR2009011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1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gain or phase compensation during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레이어 점프 시 높은 정확도로 목표 레이어를 포커싱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은,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킨다.
레이어 점프, 기록층 전환, 콜리메이터 렌즈, BD, 블루레이

Description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높은 개구수의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D(Blu-Ray Disc)는 CD(Compact)와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잇는 대용량 광 기록 매체이다. 광 디스크를 대용량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기록 밀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짧은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를 증대시켜야 한다. 광 디스크의 대용량화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나의 광 디스크가 다수의 기록 층(Recording Layers, 이하 레이어라 칭함)을 갖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를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라 한다.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기록/재생 시에는 목적하는 레이어에 레이저 빔을 포커싱하고 수차 보정을 한 상태에서 그 레이어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그 레이어에서 신호를 재생한다. 기록/재생 시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포커싱 위치를 해당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로 전환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레이어에서 다른 레 이어로 레이저 빔의 포커싱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레이어 점프라고 한다.
이와 같은 멀티레이어 광 디스크는 각 레이어에서 얻어지는 포커스 에러 신호의 크기 차이가 매우 크고 점프하고자 하는 레이어의 S-커브의 선형 구간이 비교적 짧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원의 짧은 파장과 대물렌즈의 큰 개구수에 의한 것이다.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에서 레이어 점프 시에는 목표 레이어에 대한 포커싱과 수차 보정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여서 목표 레이어의 포커스 에러 신호의 크기가 작고 S-커브의 선형 구간이 매우 짧다. 이 때문에 레이어 점프 도중에 포커스를 놓칠 확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레이어 점프의 실패율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레이어 점프 시 높은 정확도로 목표 레이어를 포커싱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은,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킨다.
또한, 상술한 수차 보정부를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기에 앞서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포커스 서보 이득의 감소에 앞서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커브의 크기 증가는 S-커브의 선형 구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수차 보정부는 콜리메이터 렌즈이다.
또한, 상술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구동이 가능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은,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제 1 레이어에서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기 위해 광 디스크의 목표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시키고;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며;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목표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상술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포커스 서보 이득의 감소에 앞서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커브의 크기 증가는 S-커브의 선형 구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수차 보정부는 콜리메이터 렌즈이다.
또한, 상술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구동이 가능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에 반사되는 레이저 빔의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차 보정부와;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수차 보정부가 위치하도록 수차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는, 수차 보정부를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기에 앞서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이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수차 보정부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콜리메이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레이어 점프 시 높은 정확도로 목표 레이어를 포커싱 함으로써 레이어 점프 시의 안정성을 높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100)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두 개의 기록 층(L0, L1)을 갖는다. 두 개의 레이어를 가진 광 디스크(일명 듀얼 레이어 광 디스크(Dual Layer Optical Disc))의 경우, 하위에 위치한 레이어를 ‘레이어 1(Layer 1)’로, 상위에 위치한 기록 층을 ‘레이어 0(Layer 0)’으로 표기한다. 하위에 위치한 레이어 1(L1)의 표면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레이어 1(L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층(112)이 형성되며, 이 보호 층의 표면이 곧 디스크 표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100)의 두 개의 레이어(L0, L1) 각각에는 정보가 기록되는 나선형의 연속된 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픽업 모듈(118)은 정보의 기록/재생/소거를 위해 광 디스크(100)의 내주(120a)에서 외주(120b) 방향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면서 레이저 빔(116)을 목적하는 레이어의 트랙에 조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202로 지정된 블록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이며, 버퍼(222)와 ATAPI 인터페이스(224), 엠펙 코덱(MPEG CODEC)(226)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에 연결되는 다른 기기(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나 컴퓨터 본체 등)의 구성 요소들이다. 필요한 경우 버퍼(222)와 ATAPI 인터페이스(224), 엠펙 코덱(226)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 내에 통합 구성할 수도 있다.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와 코덱 칩 사이의 대표적인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가운데 하나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스크(100)는 스핀들 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스핀들 모터(210)는 제어부(218)에서 발생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광 디스크(100)를 회전시킨다.
픽업 모듈(118)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가 구비되며, 이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기록 파워에 준하는 파워의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100)의 기록 면에 조사함으로써 광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 파워에 준하는 파워의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100)에 조사함으로써 광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판독)한다. 정보의 소거 시에도 그에 준하는 소거 파워가 사용된다.
광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록 할 때, 기록 정보는 인코더(228)에서 인코딩된 다음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14)에 제공되며, 제어부(218)는 인코딩된 정보가 광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면에 기록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14)에 제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록 파워를 변화시킨다.
광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할 때, 제어부(218)는 픽업 모듈(118)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재생 파워에 준하는 파워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이 레이저가 광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면에 조사되도록 한다. 광 디스크(100)에 조사된 레이저 빔은 정보 기록 층 표면에서 반사된 후 픽업 모듈(118) 내의 수광부(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다. 수광부는 수신된 빛의 양에 대응되는 RF 신호를 발생시킨다. RF 증폭기(204)는, 이 RF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이진(Binary) 신호로 변환한다. RF 증폭기(204)에서 변환된 이진 신호는 신호 처리부(206)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된다.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는 암호화된(encoded) 상태여서, 디코더(208)를 거치면서 암호화 이전의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decoding)된다. 신호 처리부(206)는 RF 신호로부터 베타(β), 감마(γ), 피크 값, 버텀 값, 평균 값 등을 산출하여 제어부(218)에 제공한다. 선속도 검출부(212)는 회전하는 광 디스크(100)의 선속도를 검출하여 그 값을 제어부(218)에 제공한다.
RF 증폭기(204)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트래킹 에러 신호(TE)와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추출하여 서보 제어부(216)에 제공한다. 서보 제어부(216)는 이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근간으로 하여 포커스 구동 신호(FOD)를 발생시켜 픽업 모듈(118)의 포커스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이 포커스 구동 신호(FOD)는 픽업 모듈(118) 내의 대물렌즈를 움직이는 포커스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이다. 포커스 액추에이터는 대물렌즈가 진동하면서 기록 층(202, 204)의 표면을 그 법선 방향을 따라 추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포커스 구동 신호(FOD)는 대물렌즈를 디스크 표면(212)에 대해 법선 방향인 광축 방향을 따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이기도 하다. 이 ‘기계적 이동’은, 포커스 액추에이터가 기록 층(202, 204)의 표면을 추종하는 것과 달리, 대물렌즈와 광 디스크(100) 사이의 거리를 보다 근본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서보 제어부(216)는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근간으로 하여 트래킹 구동 신호(TRD)를 발생시켜 픽업 모듈(118)의 트래킹 제어를 수행한다.
도 2에서, 제어부(218)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의 동작 전반의 제어에 관여하는데,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 또는 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외부 메모리(220)가 제어부(218)에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레이어 점프를 위한 픽업 모듈의 제어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업 모듈(118)은 레이저 다이오드(302)와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304), 대물렌즈(Object Lens)(308)를 포함한다. 콜리메이터 렌즈(304)는 수차 보정부로서, 콜리메이터 렌즈 액추에이터(306)에 의해 구동되어 수차 보정(aberration correction)에 관여한다. 대물렌즈(308)는 포커스 제어에 관여한다.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또는 BD)나 HD-DVD와 같은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 수차로 인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데, 블루레이 디스크나 HD-DVD를 구동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이 수차를 줄이기 위해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사용된다. 콜리메이터 렌즈(304)는 콜리메이터 렌즈 액추에이터(306)에 의해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레이저 빔(116)의 특성을 변화시켜 수차가 보정되도록 한다.
도 3에서, 대물렌즈(308)의 구동에 따라 광 디스크(100)의 각 레이어(L0, L1)에 조사되는 빔의 형태를 원 안에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확대된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대물렌즈(308)가 레이어 0(L0)의 포커싱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이어 0(L0)의 표면에 레이저 빔의 초점(116a)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대물렌즈(308)가 레이어 1(L1)의 포커싱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이어 1(L1)의 표면에 레이저 빔의 초점(116b)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포커스 에러 신호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커브는 레이저 빔(116)이 현재 어느 레이어에 포커스되어 있는지에 따라 각 레이어에 대응되는 S-커브의 크기가 다르다.
도 4(A)는 레이저 빔(116)이 레이어 0(L0)에 포커스되어 있을 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레이어 0(L0)의 S-커브(402a)가 더 크고 레이어 1(L1)의 S-커브가 상대적으로 더 작다. 선형 구간 역시 레이어 1(L1)의 S-커브(402b)의 선형 구간이 더 짧다.
도 4(B)는 레이저 빔(116)이 레이어 1(L1)에 포커스되어 있을 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레이어 1(L1)의 S-커브(404b)가 더 크고 레이어 0(L0)의 S-커브가 상대적으로 더 작다. 선형 구간 역시 레이어 0(L0)의 S-커브(404a)의 선형 구간이 더 짧다. 따라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할 때 더 작은 S-커브(402b, 404a)에 대응되는 레이어를 목표 레이어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 S-커브의 짧은 선형 구간 때문에 포커스 제어가 불안정해져서 레이어 점프의 안정성을 떨어 뜨리는 원인이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중간 지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이다. 여기서 “중간 지점”은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레이어 0(L0)의 수차 보정 위치와 레이어 1(L1)의 수차 보정 위치의 “중간 지점”을 의미한다. 레이어 0(L0)의 수차 보정 위치는 현재의 포커스 제어가 레이어 0(L0)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수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레이어 1(L1)의 수차 보정 위치는 현재의 포커스 제어가 레이어 1(L1)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수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 “중간 지점”은 필요에 따라 레이어 0(L0)의 수차 보정 위치에 좀 더 치우치거나 또는 레이어 1(L1)의 수차 보정 위치에 좀 더 치우칠 수도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이 “중간 지점”에 있을 때에는 레이어 0(L0)의 S-커브(406a)와 레이어 1(L1)의 S-커브(406b)의 크기는 중간 크기로 서로 비슷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레이어 점프를 수행 시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앞서 설명한 “중간 지점”에 위치시켜서 포커스 에러 신호의 두 S-커브(406a, 406b) 모두에서 비교적 큰 선형 구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목표 레이어에 대한 정확한 포커싱에 따른 안정적인 레이어 점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이 “중간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수차 보정 위치는 단순히 계산된 값이나 추정된 값이 아니라,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획득하는 실제의 위치이다. 만약,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수차 보정 위치를 계산이나 추정 을 통해 구하면 그 값이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중간 지점”의 위치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즉, 계산이나 추정을 통해 구한 수차 보정 위치는 광 디스크(100)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의 편차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 레이어나 목표 레이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가 구해질 가능성이 매우 크고, 따라서 레이어 점프의 실패율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중간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수차 보정 위치를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실제의 최적의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레이어 점프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적어도 두 개의 레이어를 가진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레이어 점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스크 드라이브(202)에 광 디스크(100)가 로딩되면 스핀들 모터(210)를 구동하여 광 디스크(100)를 회전시킨다(502). 광 디스크(100)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이 광 디스크(100)에 대해 포커스 서보 제어와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시하여 광 디스크(100)의 레이어 1(L1)에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따라 레이저(116)가 포커스 되도록 한다(503). “중간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수차 보정 위치를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실제의 최적의 위치를 획득한다(504). 이와 같이 획득한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는 메모리(220)에 저장한다(505).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는 향후 레이어 점프를 수행할 때 “중간 지점”을 결정하는 기 초가 된다. 포커스 서보 제어와 트래킹 서보 제어가 안정되면 레이어 1(L1)에 대해 정보의 기록/재생/소거를 실시한다(506).
레이어 1(L1)에 대한 정보의 기록/재생/소거를 완료하였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의해 레이어 0(L0)으로의 레이어 점프가 요구되면, 제어부(218)는 레이어 점프 명령을 발생시켜서 서보 제어부(216)로 출력한다(508). 서보 제어부(216)는 레이어 점프 명령이 발생하면 트래킹 서보 제어를 오프(중단)시키고 포커스 서보 제어만을 수행한다(510). 제어부(218)는 레이어 점프를 위해 목표 레이어인 레이어 0(L0)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로 변경한다(512). 이 때 변경되는 파라미터는, 포커스 서보 제어 신호와 트래킹 서보 제어 신호의 이득이나 오프셋 등의 서보 계통의 파라미터와, RF 신호의 이득이나 오프셋 등의 회복 계통(Recovery System)의 파라미터가 있다.
제어부(218)는, 파라미터의 변경이 완료된 다음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기에 앞서, 서보 제어부(216)를 제어하여 포커스 서보 이득을 더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중간 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S-커브의 크기의 차이를 줄이고 더 큰 선형 구간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레이어 점프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콜리메이터 렌즈 액추에이터(306)의 편차 또는 광 디스크(100)의 편차 때문에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이동하는 도중에 포커스를 놓칠 수 있다(focus drop). 따라서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앞서 포커스 서보 이득을 더 증가시켜서 안정적인 포커스 제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포커스 서보 이득이 증가된 상태에서, “중간 지점”으로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이동시킨다(516). 여기서 “중간 지점”은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레이어 0(L0)과 레이어 1(L1)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 “중간 지점”과,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앞서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중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현재의 레이어 1(L1)에서 목표 레이어 0(L0)으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다(518). 즉, 픽업 모듈(118)의 포커스 제어를 레이어 1(L1)에서 레이어 0(L0)으로 이동한다. 레이어 점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콜리메이터 렌즈(304)를 목표 레이어 0(L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520). 이 때 콜리메이터 렌즈(304)가 이동하는 위치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레이어 0(L0)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이다.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이동이 완료되면 포커스 서보 이득을 정상화한다(522). 여기서 포커스 서보 이득의 정상화는, 포커스 서보 이득을 블록 514에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시키기 이전의 기본 파라미터로 설정된 포커스 서보 이득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레이어 점프를 위해 오프시켰던 트래킹 서보 제어를 활성화시킨다(524). 이와 같이 콜리메이터 렌즈(304)의 위치와 포커스 서보 이득을 목표 레이어 0(L0)에 대응하도록 제어하고 트래킹 서보 제어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레이어 0(L0)에 대해 기록/재생/소거를 수행한다(526).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레이어 점프를 위한 픽업 모듈의 제어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포커스 에러 신호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 디스크
116 : 레이저 빔
118 : 픽업 모듈
L0 : 레이어 0
L1 : 레이어 1
302 : 레이저 다이오드
304 : 콜리메이터 렌즈
306 : 콜리메이터 렌즈 액추에이터
308 : 대물 렌즈
402a, 404a, 406a : 레이어 0의 S-커브
402b, 404b, 406b : 레이어 1의 S-커브

Claims (15)

  1.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상기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상기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 보정부를 상기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기에 앞서 상기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상기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상기 포커스 서보 이득의 감소에 앞서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상기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커브의 크기 증가는 상기 S-커브의 선형 구간을 증가시키는 것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 보정부가 콜리메이터 렌즈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구동이 가능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8.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레이어에서 상기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기 위해 상 기 광 디스크의 목표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며;
    상기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상기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상기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목표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을 상기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상기 포커스 서보 이득의 감소에 앞서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상기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커브의 크기 증가는 상기 S-커브의 선형 구간을 증가시키는 것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 보정부가 콜리메이터 렌즈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구동이 가능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 방법.
  13. 멀티 레이어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에 반사되는 레이저 빔의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수차 보정부와;
    상기 수차 보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2 레이어 각각의 실제의 최적의 수차 보정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와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수차 보정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광 디스크의 제 1 레이어에서 상기 제 2 레이어로 레이어 점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레이어의 수차 보정 위치에 상기 수차 보정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수차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차 보정부를 상기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기에 앞서 상기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이어 점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제 2 레이어에 대한 포커스 서보 이득이 상기 증가 이전의 값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 보정부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80037724A 2008-04-23 2008-04-23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KR10093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24A KR100933633B1 (ko) 2008-04-23 2008-04-23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US12/202,493 US20090268574A1 (en) 2008-04-23 2008-09-02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A2008101842158A CN101567197A (zh) 2008-04-23 2008-09-19 光盘驱动器以及控制其的方法
EP08017430A EP2112656A1 (en) 2008-04-23 2008-10-03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24A KR100933633B1 (ko) 2008-04-23 2008-04-23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50A true KR20090112050A (ko) 2009-10-28
KR100933633B1 KR100933633B1 (ko) 2009-12-23

Family

ID=3996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24A KR100933633B1 (ko) 2008-04-23 2008-04-23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68574A1 (ko)
EP (1) EP2112656A1 (ko)
KR (1) KR100933633B1 (ko)
CN (1) CN1015671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868A (ja) * 2009-08-26 2011-03-10 Hitachi-Lg Data Storage Inc フォーカスジャンプ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5587247B2 (ja) * 2010-06-08 2014-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層光ディスクにおける層間ジャンプ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4404B (en) * 2000-09-06 2003-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k unit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4392193B2 (ja) * 2003-05-15 2009-1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ビームのフォーカシング制御装置
KR20070100296A (ko) * 2004-12-20 2007-10-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정보 재생방법
JP4420920B2 (ja) * 2006-11-08 2010-02-24 ソニーオプティアーク株式会社 光記録媒体駆動装置、フォーカスオン方法
US7859967B2 (en) * 2007-08-30 2010-12-28 Lite-On It Corporation Optical disk drive with spherical aberration measurement and method of measuring spherical aberration in an optical disk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7197A (zh) 2009-10-28
EP2112656A1 (en) 2009-10-28
KR100933633B1 (ko) 2009-12-23
US20090268574A1 (en)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8136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and focusing method
US7031233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focal point control method
US7843788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and spherical aberration adjustment method
US7522485B2 (en) Method for adjusting focus or tracking detection unit, and optical disc device
JP2007141369A (ja) 再生装置、球面収差補正値及び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
US20110242948A1 (en) Optical disc device and optical disc
KR100933633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JP4450420B2 (ja) 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168616A1 (en)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method of optical storage device
US7889606B2 (en) 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64653B2 (ja) 光ディスク装置、フォーカスバイアス及び球面収差補正値調整方法
US8395979B2 (en) Recording device and APC correction method
US20080025165A1 (en) Optical disc dri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11539B2 (en) Optical disc recording device
JP406810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9116937A (ja) ピックアップ装置等
US20080056079A1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583568B2 (en) Focus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focus gain prior to focus-servo operation
JP416453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1379464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기록 제어방법
KR20130079761A (ko) 광 디스크의 구면수차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123213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対物レンズの駆動制御方法
JP2009064492A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非点収差補正方法
JP201117093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305478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液晶静定時間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