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155A -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155A
KR20090111155A KR1020080036773A KR20080036773A KR20090111155A KR 20090111155 A KR20090111155 A KR 20090111155A KR 1020080036773 A KR1020080036773 A KR 1020080036773A KR 20080036773 A KR20080036773 A KR 20080036773A KR 20090111155 A KR20090111155 A KR 2009011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layou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3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155A/ko
Publication of KR2009011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28Services making use of subscriber schedule information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은 일정 기간을 선택 받아 선택된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여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HTML 형태로 변환되므로 다른 외부 장치에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별도의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스케줄, 일정 관리, 월간스케줄, 주간스케줄, HTML 변환

Description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schedule information to confirm the schedule information by regular term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부가적인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문자메시지 서비스, 게임, mp3 청취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중 종래에 수첩에 다이어리에 사용자의 일정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기능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예를 들면 LCD)는 임의의 달(month)의 달력을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꽉 차 여유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표시부의 공간이 부족하여 사용자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입력 받아 추후에 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매우 작은 글씨 형태 또는 스케줄이 있는 날짜에 음영처리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스케줄이 있는 날짜를 선택하면 화면을 전환하여 선택된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이동통신단말기가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의 크기도 작아지고 있어서, 특정한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열람은 가능하지만, 주간 스케줄 또는 월간 스케줄과 같이 복수의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LCD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스케줄 정보를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및 운영체제(OS : Operate system)과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및 운영체제가 달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반 PC로 옮겨 확인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일반 PC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면 PC)에서 보다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케 줄 정보가 저장된 스케줄 저장부;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스케줄 정보 독출부;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레이아웃 처리부;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schedule)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schedule)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을 구 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여 일정 구간 단위 별로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HTML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케줄 정보를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므로 다른 외부 장치에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별도의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스케줄 저장부(210), 입력부(220),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 레이아웃 처리부(240),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 송신부(260), 표시부(270) 및 제어부(280) 등을 포함한다.
스케줄 저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케줄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스케줄 정보는 날짜 정보, 시각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케줄 저장부(210)에 스케줄 정보가 저장되는 형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케줄 저장부(210)에 스케줄 정보는 테이블(table) 형태로 저장 되어 날짜 별로 시각 및 일정을 저장할 수 있으며, 2차원 배열(array)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정 기간은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임의의 구간으로, 예를 들어 1주일 또는 1개월과 같이 고정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시작일과 종료일을 선택하여 선택된 범위의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간 스케줄 정보 확인 또는 월간 스케줄 정보 확인과 같이 디폴트(default)로 미리 일정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이들 중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스케줄 정보의 구간을 임의로 선택하기 위해 시작일 및 종료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220)에서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며, 달력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하여 선택 받도록 할 수 있다.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는 스케줄 저장부(210)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든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부(220)에서 선택된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저장부(210)로부터 독출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220)의 선택에 의해 2008년 4월 7일부터 2008년 4월 13일까지의 일정 기간을 선택 받은 경우,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는 해당 기간의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저장부(210)로부터 독출한다.
레이아웃 처리부(240)는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 과정을 수행한다.
레이아웃(layout)이란 문자, 그림, 기호 및 사진 등의 각 구성요소를 제한된 공간 안에 효과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다.
레이아웃의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가능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는 레이아웃 처리부(240)에서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케줄 정보의 형식 변환은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외부장치(예를 들면 PC)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이나 운영체제 등이 다름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는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HTML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TML은 테이블 형식을 지원하고, 윈도우(windows)환경의 브라우저에서 지원이 되므로 외부 장치에서 다른 변환 작업 없이 효율적으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송신부(260)는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 또는 HTML 형태로 변환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장치는 PC의 모니터와 같이 표시부의 공간이 충분하여 복수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와 연결된 장치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고, 또한 프린터와 연결되어 종이에 출력되는 형태로 복수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송신부(270)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 스케줄 정보를 전달하는 안테나 모듈이 될 수 있으며, 유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USB 단자와 같은 직접 접촉 단자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표시부(270)는 일정 기간을 선택 받기 위한 달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20)에서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것의 일 실시예로 표시부(270)에 표시된 달력 정보 중 일정 기간을 선택 받을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즉 표시부(270)는 사용자로부터 보다 편리하게 일정 기간을 선택 받기 위해 달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출력한다.
제어부(28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스케줄 저장부(210), 입력부(220),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 레이아웃 처리부(240),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 송신부(260) 및 표시부(270) 등)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입력부(220)에서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저장부(210)로부터 독출하도록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 처리하도록 레이아웃 처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 처리된 스 케줄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도록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에서 변환되는 스케줄 정보는 HTML 형태일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일정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부(2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부(27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통해 일정 기간을 선택 받도록 입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 레이아웃 처리부(240),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 및 제어부(280)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하나의 회로에 구현되어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별로 확인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계 S210 이전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미리 스케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임은 자명하다.
단계 S310에서 입력부(220)에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구간인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다.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방법은 달력 정보를 포함한 인터페이스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 받을 수도 있으며, 주간 또는 월간의 일정 기 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이를 선택함으로써 주간 스케줄 또는 월간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20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저장부(210)로부터 독출한다. 스케줄 정보의 독출은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수행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330에서는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독출된 스케줄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효율적인 스케줄 정보의 제공을 위해 레이아웃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레이아웃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월간 스케줄의 경우에는 달력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독출된 스케줄 정보에 특정 이미지 또는 사운드를 첨가하여 레이아웃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S340에서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40는 외부 장치에서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으로, 예를 들면 HTML 형식으로 스케줄 정보를 변환하는 것이 윈도우 체제의 브라우저 환경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에서 쉽게 확인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장치가 종이에 출력을 통해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이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 형식 및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에는 단계 S340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단계 S350으로 진행하여 스케줄 정보는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데, 외부 장치의 전송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의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면 특정 구간의 복수의 스케줄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에서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도 스케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가 주간단위로 가공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레이아웃 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 기간(즉,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기간)이 3월 10일 월요일부터 3월 16일 일요일이라고 가정하고, 레이아웃은 테이블(table) 형태로 처리하는 것을 가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스케줄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고,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일정 기간(상기 예에서는 3월 10일부터 3월 16일)을 입력 받는 경우, 스케줄 정보 독출부(230)에서 이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한다.
레이아웃 처리부(240)는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세로축은 날짜 가로축은 시각 및 일정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 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250)에서 HTML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테이블 형태로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PC)로 전송되어 외부 장치의 모니터에 복수의 스케줄 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프린터를 통해 종이에 복수의 스케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의 레이아웃 처리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날짜, 시각 및 일정 정보에 관한 배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며, 이미지나 사운드를 추가하여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가 주간단위로 가공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

Claims (10)

  1. 스케줄(schedule)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정보가 저장된 스케줄 저장부;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스케줄 정보 독출부;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레이아웃 처리부;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기 위한 달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태로 변환하는 스케줄 정보 형식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정보는,
    날짜 정보, 시각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schedule)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간단위 및 월간단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는,
    상기 일정 기간의 선택을 위한 달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일정 기간의 시작일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일정 기간의 종료일을 선택 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태로 변환하여 레이아웃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정보는,
    날짜 정보, 시각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
  10.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schedule)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 받은 일정 기간에 상응하는 스케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스케줄 정보를 레이아웃(layout)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아웃 처리된 스케줄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가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80036773A 2008-04-21 2008-04-21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11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73A KR20090111155A (ko) 2008-04-21 2008-04-21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73A KR20090111155A (ko) 2008-04-21 2008-04-21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55A true KR20090111155A (ko) 2009-10-26

Family

ID=4153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773A KR20090111155A (ko) 2008-04-21 2008-04-21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55A1 (ko) * 2012-11-13 2014-05-22 Park Won Il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55A1 (ko) * 2012-11-13 2014-05-22 Park Won Il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920B2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voice mail using SVM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282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응용프로그램 제공 방법
JP4791541B2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の即時送信
US20070101296A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s in a portable terminal
US8611889B2 (en) Remote handset diagnostics
JP2009532935A (ja) 移動端末イベント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0506248A (ja) データを記憶及びアクセスする方法
KR102156824B1 (ko) 통화 요청 시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20170366661A1 (en) Add text and audio to a selfie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JP2007299276A (ja) 情報提供方法、サーバ及び移動体通信端末
KR20090111155A (ko) 스케줄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 별로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정보를 가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43325B1 (ko) 휴대 단말기의 텍스트 표시방법
CN103095897A (zh) 提示通信设备的状态信息的方法和设备
JP2007504519A (ja) テキスト音声変換システムを含む半導体チップ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可能な装置
JP2005182234A (ja) 入力支援装置、メッセージ送信装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入力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5688B2 (ja) シンジケーテッドデータフィード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92319B1 (ko) 파일 트랜스포밍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4967795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6751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KR101099998B1 (ko)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개선된 데이터 교환 시스템및 방법
JP5045748B2 (ja) 携帯端末装置間における情報交換方法
KR1005397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EP1906633A1 (en) Remote handset diagnostics
JP2010022443A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端末のゲーム情報保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