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197A - 석판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석판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197A
KR20090110197A KR1020080070036A KR20080070036A KR20090110197A KR 20090110197 A KR20090110197 A KR 20090110197A KR 1020080070036 A KR1020080070036 A KR 1020080070036A KR 20080070036 A KR20080070036 A KR 20080070036A KR 20090110197 A KR20090110197 A KR 20090110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dimension
processing apparatus
rail
dimens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302B1 (ko
Inventor
오영규
오선택
Original Assignee
오영규
오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규, 오재옥 filed Critical 오영규
Publication of KR2009011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측정부, 상기 몸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 몸체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날과 누름쇠가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와, 상기 치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석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를 구비하며, 상기 치수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와 탈착되는 분리형의 석판 가공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치수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에서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치수부의 훼손시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구성 부품의 일부를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치수부의 상단에 보호판이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치수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석판절단 이후에 자연스럽게 회전날이 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석판의 거치가 편리해 지며, 작업자로 인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석판 가공장치, 치수부, 규준대, 클램프, 레일, 절단부, 석판, 탄성체

Description

석판 가공장치{A Slab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석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판과의 마찰로 인해 치수부가 마모시, 치수부를 몸체에서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으며, 석판과의 마찰로 인해 치수부가 편 마모 시, 절단된 석판의 면이 예각 및 둔각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수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절단되는 석판의 면이 항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판절단 이우에 자연스럽게 회전날이 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는 구비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서 건축양식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이의건축양식에 부합되도록 내, 외장 마감재로 석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석판 시공시에는 석판이 부착되는 위치의 단부 및 모서리 부분에 깔끔한 마무리를 위하여 부착되는 타일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석판 가공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석판 가공장치는 몸체에 석판의 치수를 측정하는 치수부가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과 장기간 사용 시, 석판과의 마찰에 인해 치수부가 마모되며, 마모 시, 마찰면적이 넓은 일부분만이 마모되는 편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석판을 절단 시, 치수부의 마모로 인해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며, 치수부가 편 마모된 상태로 석판을 절단 시, 석판의 절단면과 타면이 예각 및 둔각을 이루게 된다. 절단된 석판이 예각 및 둔각을 이룰 시,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석판은 시공된 석판과의 일관성이 상실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깔끔하지 않은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마감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치수부는 외부의 충격과 석판과의 마찰로 인해 더 이상 정밀한 측정 및 정밀한 석판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석판 가공장치를 교체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한 사용자에게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판과의 마찰로 인해 치수부가 마모 시, 치수부가 몸체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석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판과의 마찰로 인해 치수부가 편 마모 시, 석판의 절단면이 예각 및 둔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축을 중심으로 치수부의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석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치수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이 부착된 석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석판절단 이후, 회전날이 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석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측정부, 상기 몸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 몸체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날과 누름쇠가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와, 상기 치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석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를 구비하며, 상기 치수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와 탈착되는 분리형의 석판 가공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측정부, 상기 몸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 몸체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날과 누름쇠가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와, 상기 치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석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를 구비하며, 상기 치수부는, 상기 몸체와 분리형으로 상기 몸체와 접하는 밑면의 양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몸체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의 대응 위치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공홀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치수부를 고정하며,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 해제를 통해 상기 치수부를 분리하거나 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치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석판 가공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치수부의 미세한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체결홀이 마련된 후면부에 각도 조절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준대가 이동 시, 상기 규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 밑면에 마련되어 상기 석판의 절단될 부위를 표시하는 레이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수부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와, 누름쇠와 회전날이 체결되는 핸들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일 측이 핸들에 지지되고, 타 측은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석판절단 이후에 자연스럽게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몸체로부터 회전날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치수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에서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치수부의 훼손시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구성 부품의 일부를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치수부의 상단에 보호판이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치수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본 발명은 치수부의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석판의 가공시 규격과 치수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석판절단 이후에 자연스럽게 회전날이 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석판의 거치가 편리해 지며, 작업자로 인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판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판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석판 가공장치(10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석판(17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20)와, 몸체(110)에 평행하게 지지된 레일(144)로 구성된다. 또한, 레일(144)을 따라 "A"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156)와 가이드(165)에 힌지(158) 결합된 핸들(160) 그리고 핸들(160)에 마련된 회전날(152)과 누름쇠(154)를 구비한 절단부(150)로 구성된다.
측정부(120)는 몸체(110)의 단부에 마련되고,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122), 치수부(122)의 상면에 마련되어 치수부(12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124), 치수부(122)의 후면을 가압하여 치수부(12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138), 치수부(1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치수부(122)와 나란하게 마련되고, 치수부(122)에 표기된 치수에 맞추어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130), 치수에 맞추어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하는 위치에 규준대(13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32), 및 레일(144)의 밑단에 마련되어 석판(170)이 절단될 위치에 빛을 방출하여 절단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146)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판 가공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치수부(122)는 몸체(110)와 분리형으로 마련되며, 또한, 중심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몸체(110)와 접하는 밑면에 회동축(126)과 체결홀(128)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는 몸체(110)에는 회동축(126)이 삽입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된 삽입홀(116)과 스크루가 마련된 체결부재(114)를 이용하여 치수부(122)의 체결홀(128)과 체결되는 장공홀(11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치수부(122)의 상면에 보호판(124)이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치수부(122)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판(124)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훼손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치수부(122)와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판(124)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테이프가 될 수도 있고, 투명 플라스틱재질이 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114)는 몸체(110)의 밑면에서 장공홀(112)을 관통하여 체결홀(128)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편 마모시의 경우에는 치수부(122)가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 시, 체결부재(114)를 치수부(122)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만을 해제하여 각도 조절부(138)를 이용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조절부(138)는 체결홀의 후면에 마련되어 치수부(122)가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 시, 치수부(122)의 후면을 가압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138)가 마련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38)는 몸체(110)의 일부를 관통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마련된 조절홀(142)과, 조절홀(142)에 스크루 결합되어 치수부(122)의 후면부를 가압하기 위한 조절나사(140)를 구비한다.
한편, 치수부(122)의 각도를 조절하고, 절단부(150)로 석판(170)을 절단 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수부(122)에 표기된 치수에 맞추어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130)와,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한 규준대(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규준대(130)의 상면을 가압하여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32)가 더 마련된다. 또한, 석판(170)을 절단 시, 절단되는 부위로 빛을 방출하여 절단되는 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일(144)의 밑면에 레이저(146)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판 가공장치는 석판을 절단에 한정되지 않고, 타일 등과 같은 판형의 석재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에 의한 치수부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석판(17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치수부(122)를 장기간 사용하면, 석판(170)과 마주하는 치수부(122)의 일면이 잦은 마찰로 인해 도 3의 상세도인 "C"와 같이 편 마모된다. 이 경우 석판(170)을 절단 시, 절단된 면과 타면이 예각 및 둔각을 이루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치수부(122)의 각도 조절이 필요하며, 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10)와 체결부재(114)에 의해 체결된 치수부(12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치수부가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스크루가 마련된 체결부재를 해제하고, 해제 시, 체결부재(114)가 치수부(122)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회동이 가능한 치수부(122)의 후면을 조절나사(140)의 종단이 가압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140)를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나사(140)가 조절홀(142)을 지지하며, 치수부(122)의 후면을 가압한다. 조절나사(140)가 "B" 방향으로 치수부(122)를 가압 시, 압력에 의해 치수부(122)는 "D" 방향으로 이동되며, 도 4의 상 세도인 "E" 와 같이 석판(170)과 마주하는 치수부(122)의 면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후 수평을 이룬 치수부(122)의 위치를 몸체(110)와 함께 체결부재(114)로 체결하여 치수부(122)를 고정한다. 이러한 각도조절 후에 석판(170)을 절단 시, 절단된 면과 타면이 항시 직각을 이루며,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치수부가 마모되어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할 때,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 치부수(122)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규준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수부(122)와 나란하게 마련되고, 치수부(122)에 표기된 치수에 맞추어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130)를 가변 되는 석판(170)의 길이에 따라 "F"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32)가 마련된다.
클램프(132)는 규준대(130)의 후면 몸체(110)에 고정된 것으로, 규준대(1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규준대(130)의 상면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고정하는 가압부(134)와, 레버(136)로 구성된다. 이에 따른 작동 상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클램프(132)는 복수의 관철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G" 방향으로 가압 시, 가압부가 "H"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프(132)를 이용하여 치수부(122)에 표기된 치수에 맞추어 석판(170)의 단부를 지지 하는 규준대(1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석판(170)의 정밀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고정된 규준대(130)에 지지된 석판(170)을 절단 시, 석판(170)이 절단되는 위치에 빛을 방출하여 위치를 표시해주는 레이저(146)가 레일(144)의 밑면에 마련되어 석판(170)을 절단하기 전에 절단위치를 재확인하여 더욱 정밀하게 석판(170)을 절단하여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일례를 도시한 석판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절단부(150)는 레일(144)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156)와 가이드(156)에 힌지(158) 결합되고, 누름쇠(154)과 회전날(152)을 구비한 핸들(160)로 구성되며, 가이드(156)와 핸들(160)의 사이에는 탄성체(164)가 더 마련되어 있다.
탄성체(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가이드(156)에 고정되며, 타단은 핸들(160)의 단부에 마련된 지지부(162)를 지지하여 회전날(152)이 몸체(110)로부터 "I" 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석판(170)을 절단하기 위해 몸체(110)에 거치 시마다 회전날(152)을 석판(170)의 두께만큼 올려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에 탄성체(164)를 이용하여 회전날(152)을 "I" 만큼 이격시켜 주는 것이다.
따라서, 석판(170)을 절단하기 위해 몸체(110)에 거치 시, 도시된 "J" 방향은 물론 몸체(1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서도 거치가 용이하다.
이러한 탄성체(16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될 수 있으며, 이는 도 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탄성체(164)는 판재를 이용한 판 스프링을 이용한 것이며, (b)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되, 힌지(158)가 가이드(156)를 관통하여 결합 시, 탄성체(164)를 함께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c)에 도시된 탄성체(164)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가이드(156)와 핸들(160)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판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판 가공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에 의한 치수부의 작동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규준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일례를 도시한 석판 가공장치의 측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석판 가공장치 110 : 몸체
112 : 장공홀 114 : 체결부재
116 : 삽입홀 120 : 측정부
122 : 치수부 124 : 보호판
126 : 회동축 128 : 체결홀
130 : 규준대 132 : 클램프
134 : 가압부 136 : 레버
138 : 각도 조절부 140 : 조절나사
142 : 조절홀 144 : 레일
146 : 레이저 150 : 절단부
152 : 회전날 154 : 누름쇠
156 : 가이드 158 : 힌지
160 : 핸들 162 : 지지부
164 : 탄성체 170 : 석판

Claims (8)

  1.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측정부, 상기 몸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 몸체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날과 누름쇠가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와, 상기 치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석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를 구비하며,
    상기 치수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와 탈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2.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측정부, 상기 몸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 몸체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날과 누름쇠가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석판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면에 치수가 표기된 치수부와, 상기 치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석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규준대를 구비하며,
    상기 치수부는,
    상기 몸체와 분리형으로 상기 몸체와 접하는 밑면의 양단부에 돌출되어 형성 된 회전축과 상기 몸체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의 대응 위치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공홀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치수부를 고정하며,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 해제를 통해 상기 치수부를 분리하거나 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치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부의 미세한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체결홀이 마련된 후면부에 각도 조절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준대가 이동 시, 상기 규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밑면에 마련되어 상기 석판의 절단될 부위를 표시하는 레이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부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와, 누름쇠와 회전날이 체결되는 핸들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일 측이 핸들에 지지되고, 타 측은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석판절단 이후,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몸체로부터 회전날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석판 가공장치.
KR1020080070036A 2008-04-17 2008-07-18 석판 가공장치 KR10105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37 2008-04-17
KR20080035437 2008-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97A true KR20090110197A (ko) 2009-10-21
KR101055302B1 KR101055302B1 (ko) 2011-08-09

Family

ID=4153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36A KR101055302B1 (ko) 2008-04-17 2008-07-18 석판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38B1 (ko) * 2017-10-31 2018-06-29 박원노 금형 사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 가공방법
KR101938131B1 (ko) 2018-08-28 2019-01-14 (주)상지금속 연마석 클램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578B2 (ja) 2000-04-07 2004-03-08 産経物産株式会社 タイルカッター
GB0419430D0 (en) * 2004-09-02 2004-10-06 Ibm Data communications apparatus
ES1062584Y (es) * 2006-03-27 2006-10-01 Boada Germans Sa Cortadora manual de ceram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302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9322C (zh) 导向器及其所装备的便携式切割工具
CA2619376A1 (en) Tile saw with laser guide
US20080295821A1 (en) Tile cutting machine
CN101668607B (zh) 刀片可移动的移动式手动切割机
GB2418740A (en) A marking device with a laser
KR102211833B1 (ko) 판재절단 작업대의 각도조절장치
KR101055302B1 (ko) 석판 가공장치
EP2946897A1 (en) Tile cutting machine
GB2353756A (en) A tool including a blade and protecting means
CN109201417B (zh) 陶瓷逗号刮刀及刀具
SE0600292L (sv) Verktygsinställare för en slipmaskin
BRPI0404174A (pt) Dispositivo de gabarito para o controle dos movimentos de fresas de diamante ou similar, a ser montado em máquinas de polimento de borda de lousa de mármore ou pedra
CA2625566A1 (en) Tool, method and marking system
ES2550676T3 (es) Dispositivo de rayado para un dispositivo de producción de placas de yeso
KR20040078668A (ko) 유리 절단 장치
CN205414794U (zh) 钢板切割装置
JP4637530B2 (ja) 切断機の平行定規
KR20070001092U (ko) 타일 절단장치
CN211466697U (zh) 电圆锯倒装靠山
AU2014287504B2 (en) Tool rest with angle indicator for use with bench grinder
KR100563645B1 (ko) 유리상자용 프레임 절단기
KR20080072487A (ko) 광섬유 절단기
JP2014161994A (ja) 削り節製造装置
DK2907630T3 (en) Detachable stop block for cutting plate and cutting device comprising this
JP2016161565A (ja) 滑走式ミクロトームのスライド上にナイフまたはブレードを正確な位置に保持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滑走式ミクロト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