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172A -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 Google Patents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172A
KR20090108172A KR1020080033463A KR20080033463A KR20090108172A KR 20090108172 A KR20090108172 A KR 20090108172A KR 1020080033463 A KR1020080033463 A KR 1020080033463A KR 20080033463 A KR20080033463 A KR 20080033463A KR 20090108172 A KR20090108172 A KR 2009010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ghting device
vibration
main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630B1 (ko
Inventor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주)도기산업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기산업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도기산업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3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3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조명장치 설치와 특별한 조작 없이도 화장실 내부의 시각 효과 및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은,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그 폭이 줄어드는 형상이며 트랙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양변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함몰된 끼움홈과, 상기 본체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지아암의 좌우로 대칭되게 다수개가 연결되는 높이조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양변기 내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별도의 장식품을 구매할 필요가 없고, 화장실 내부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훼손시키지 않아도 화장실 내부의 시각 효과 및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양변기, 바닥링, 조명장치, 발광다이오드, 센서

Description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A TOILET BOWL HAVING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시공시 지면이 기울어져 있음으로 정확한 설치에 애로점이 있는 경우라도 간단하게 수평을 맞추어 신속한 설치가 가능토록 제안된 양변기 바닥링에 조명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시각효과 및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바닥링은 종래의 양변기 시공시 발생하는 바닥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05-0048798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화장실의 시각효과 및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실 내부에 별도로 조명장치 또는 장식품을 별도로 설치하거나,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2-0026842와 같은 양변기용 좌판의 조명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별도의 조명장치 또는 장식품은 별도로 구매하기 위한 비용이 들고, 화장실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는 등의 작업으로 화장실 내부가 훼손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양변기용 좌판의 조명장치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수단이 좌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변시에는 발광수단이 엉덩이에 가려져 미적 시각효과가 전무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짧은 용무를 보는 동안에의 미적 시각효과를 위해 일일이 전원을 켜고 꺼야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원을 켜고 끄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상기 조명장치를 장기간 켜놓을 경우 화장실을 사용하는 시간에 반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내부의 시각 효과 및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고, 내부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훼손시킬 필요가 없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시에도 장애물에 의한 시야의 제한 없이 미적 시각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에서 용변 후 특별한 조작 없이도 조명장치의 빛이 자동으로 ON/OFF 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은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그 폭이 줄어드는 형상이며 트랙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양변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함몰된 끼움홈과, 상기 본체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지아암의 좌우로 대칭되게 다수개가 연결되는 높이조절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양변기 내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장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발 전기 및 상기 전동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장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폐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은 본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별도의 장식품을 구매할 필요가 없고, 화장실 내부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훼손시키지 않아도 화장실 내부의 시각 효과 및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가 양변기 바닥링의 본체에 구비되기 때문에 용변시에도 장애물에 의한 시야의 제한 없이 미적 시각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에는 진동발전기 또는 진동센서를 구비하여 화장실에서 용변 후 조명장치의 빛이 자동으로 ON/OFF 되어 발산하기 때문에 특별한 조작 없이도 미적 시각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록 다른 도면상에서 표시된 참조부호일지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과, 이와 결합하는 양변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의 조명의 빛이 발산하게 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그 폭이 줄어드는 형상이며 트랙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상부에는 양변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함몰된 끼움홈(140)과, 상기 본체(1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지아암(160)의 좌우로 대칭되게 다수개가 연결되는 높이조절편(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는 양변기 내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장치(110)를 제외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5년 6월 8일자에 출원한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05-004878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조명장치(110)에 대해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링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각각의 일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10)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116)와 상기 진동센서(116)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112)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112)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센서(116)는 극저주파 대역(20~200Hz)의 미세한 물리적인 진동을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 내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116)는 초소형의 저가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변기 바닥링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완성된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116)는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6-0000419에서 제안한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상세한 구성과 동작원리는 본 원에서는 생략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 없이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공보된 상기 실용신안을 참조하여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116)는 본 원에서의 일실시 예일 뿐이며, 상기 진동센서(116)와 다른 구성과 원리를 가지는 어떠한 종류의 진동센서(116)도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2)는 보통 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하는데,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전자 또는 양공이 재결합할 경우 과잉에 너지를 빛으로 발산하는 다이오드로, 내부에는 전류가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칩이 수납되어 있는 데, 상기 칩에 첨가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발광하는 빛의 색깔이 결정되므로 본 원에서 설명하는 조명장치(110)에 다양한 색의 발광다이오드를 적용시켜 미적 시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다이오드(112)는 본 발명의 양변기 바닥링에 구비되는 조명장치(110)로 사용하기에 많은 장점들이 있는 데, 초절전형으로 전력 소모량이 작아 연속 사용기간이 매우 길고, 필라멘트가 없어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며 광원이 아주 작으므로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직류 점등 방식으로 고반복 펄스동작이 가능하고 눈의 피로를 적으며, 열적 발광이 아니므로 화재위험이 없고 점등 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폐기물 발생이 적고 수은 및 나트륨 같은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소형이지만 전광판처럼 확장성이 무한한 장점이 있다.
전원부(118)는 전기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는 건전지(B) 등을 삽입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112)에 전기를 공급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하며, 상기 전원부(118)의 전기규격 및 크기에 따라 삽입되는 건전지(B)의 규격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118)에 삽입되는 건전지(B)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는 개폐커버(1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10)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발전기(114) 및 상기 전동발전기(114)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발전기(114)는 자석과 코일을 운동시키면 전기가 발생한다는 물리적인 이론과 진동을 운동 수단으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이며, 약한 진동에서 각종 저전력 전기제품의 전원부를 대체할 수 있는 진동발전기(114)이다.
상기 진동발전기(114)는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4-0021170에서 제안한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상세한 구성과 동작원리는 본 원에서는 생략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 없이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공보된 상기 실용신안을 참조하여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발전기(114)는 본 원에서의 일실시 예일 뿐이며, 상기 진동발전기(114)와 다른 구성과 원리를 가지는 어떠한 종류의 진동발전기(114)도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은 도 2를 참조하여 그 작동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양변기 자체에 아무런 진동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양변기 바닥링에 형성될 수 있는 진동발전기(114) 또는 진동센서(116)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112)에서 빛이 발산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양변기에 용변을 본 후에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하기 위해 물을 내릴 때에 양변기 바닥링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본 발 명의 양변기 바닥링에 형성될 수 있는 진동발전기(114) 또는 진동센서(116)가 작동하게 되어 이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112)에서 빛이 발산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만 상기 발광다이오드(112)가 빛을 발산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없고, 용변 후의 미적 시각효과로 인해 기분이 한층 더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의 몸체(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명장치(110)의 외측면에 제품의 상표나 로고 등을 새겨넣어 발광다이오드(112)가 빛을 발산할 시에 상기 상표나 로고가 눈에 띄게 함으로써 제품의 인지도와 광고 효과가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과, 이와 결합하는 양변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의 조명의 빛이 발산하게 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링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각각의 일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양변기 B: 건전지
100: 조명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바닥링 110: 조명장치
112: 발광다이오드 114: 진동발전기
116: 진동센서 118: 전원부
119: 개폐커버 120: 본체
140: 끼움홈 160: 분지아암
180: 높이조절편

Claims (4)

  1.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그 폭이 줄어드는 형상이며 트랙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상부에는 양변기의 하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함몰된 끼움홈(140)과, 상기 본체(12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지아암(160)의 좌우로 대칭되게 다수개가 연결되는 높이조절편(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바닥링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는 양변기 내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할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110)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116);
    상기 진동센서(116)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112);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112)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118)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B) 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폐커버(11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110)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발전기(114); 및
    상기 전동발전기(114)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KR1020080033463A 2008-04-11 2008-04-11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KR10100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63A KR101002630B1 (ko) 2008-04-11 2008-04-11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63A KR101002630B1 (ko) 2008-04-11 2008-04-11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72A true KR20090108172A (ko) 2009-10-15
KR101002630B1 KR101002630B1 (ko) 2010-12-21

Family

ID=4155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463A KR101002630B1 (ko) 2008-04-11 2008-04-11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4089S1 (en) 2016-11-09 2018-03-27 Ontel Products Corporation Toilet bowl light housing
JP2018079056A (ja) * 2016-11-16 2018-05-24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771Y1 (ko) 2004-07-20 2004-10-08 전상형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JP2006330952A (ja) 2005-05-25 2006-12-07 Keakomu:Kk 異常監視装置
KR100653202B1 (ko) 2005-06-08 2006-12-01 장재혁 양변기 시공방법 및 양변기 바닥링
KR200412624Y1 (ko) 2005-12-22 2006-03-29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진동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4089S1 (en) 2016-11-09 2018-03-27 Ontel Products Corporation Toilet bowl light housing
JP2018079056A (ja) * 2016-11-16 2018-05-24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630B1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3651A1 (en) Seat for a toilet including a target illuminating feature
US201302084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jecting light
KR101002630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바닥링
KR101237406B1 (ko) 엘이디 조명 벤치
US20090034244A1 (en) Lighting apparatus
JP2006218259A (ja) 照明杖
CN201870555U (zh) 一种可发光的座便器盖板
CN203106928U (zh) 水流发电发光音乐淋浴水龙头
KR20130006124A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eld 거울
CN104287590A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脚垫
CN204141319U (zh) 一种微波led感应灯
WO2022016047A1 (en) Light ring for plumbing fixtures
CN101974932A (zh) 一种具有漏水警示功能的便器
KR200345324Y1 (ko) 바닥형 조명장치
KR20100063203A (ko) 자체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파고라
CN216079508U (zh) 一种重力感应地砖灯
CN205100330U (zh) 一种带发光功能的洁身器
CN217540579U (zh) 一种智能地插灯
CN210687893U (zh) 一种智能家居床头灯
KR200480212Y1 (ko) 욕실 수납장용 센서등
US20050127199A1 (en) Ornamental fountain
CN202040721U (zh) 可漂浮于水面的太阳能灯
KR101212835B1 (ko) 비데
CN201062745Y (zh) Led发光管直流电控人体感应夜灯
CN204973083U (zh) 设有照明单元的舞台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