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831A -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831A
KR20090107831A KR1020080033319A KR20080033319A KR20090107831A KR 20090107831 A KR20090107831 A KR 20090107831A KR 1020080033319 A KR1020080033319 A KR 1020080033319A KR 20080033319 A KR20080033319 A KR 20080033319A KR 20090107831 A KR20090107831 A KR 2009010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remote control
weight
piezoelectric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164B1 (ko
Inventor
백종후
이영진
정영훈
김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3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1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원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빈 공간에 압전 바이몰프 액추에이터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진동에 의해 압전 바이몰프 액추에이터가 변형되고 그 변형으로 인한 전기에너지를 정류하고 충전하여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무선키, 압전체, 바이몰프 액추에이터

Description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SELF POWER GENERATING APPARATUS FOR CAR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 중에 혹은 자동차 운행중에 케이스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하여 전기적인 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리모컨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들 전자기기에 요구된 전기적인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충전형의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배터리는 전자기기의 사용에 따라서 전압이 낮아지므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배터리전원의 레벨이 감소되면, 충분히 충전된 새로운 배터리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다음에는,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를 교환하여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서 배터리의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배터리 소진에 미처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한다.
아울러,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배터리가 내장된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 배터리 교환이 불가능하여 배터리 소진 시 불편함의 강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동차의 무선도어잠금장치(keyless entry system)는 배터리가 내장된 전자제품 중 대표적인 경우에 속한다.
자동차의 무선도어잠금장치는 차량의 문을 열쇠로 열고 닫는 것이 아니라, 원거리에서 리모컨 버튼을 눌러 열고 닫을 수 있는 장치로, 오늘날 거의 모든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도어잠금장치는 열쇠고리 형태의 리모컨 케이스 내부에 차량 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 송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므로 열쇠고리 형태의 리모컨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도어잠금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키(10)가 구비되고, 자동차 키(10)를 걸 수 있는 열쇠고리 형태의 무선도어잠금장치(20)가 구비된다.
여기서, 무선도어잠금장치(20)는 리모컨 송신기 역할을 하며 자동차 도어 잠금 스위치(30) 및 잠금 해제 스위치(40)를 포함하고, 케이스 내부에 전원을 담당하 는 배터리(50)가 내장된다. 이때, 무선도어잠금장치(20)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케이스가 밀폐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배터리 소진 시 배터리 교환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초창기에는 차량 문만 여닫을 수 있는 기능만 내장되어 있었을 뿐 다른 기능은 없었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이 어느 정도 보장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본적인 문 여닫이 기능 외에 트렁크 여닫이 기능, 차량도난방지를 위한 경보 기능, 원격 시동 및 차량 위치 확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첨단 무선도어잠금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 들을 포함하는 무선도어잠금장치를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라 할 경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증가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배터리의 교환 주기도 짧아지고 있다. 반면에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크기 및 내구성을 고려할 때 별도의 배터리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배터리 소진 시의 불편함은 더욱더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내에 교체형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중 또는 자동차 운행중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케이스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하여 무선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자가발전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배터리 교환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휴대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는 박스 형태의 전면부 및 후면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리모컨 케이스와, 상기 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휘어짐 또는 뒤틀림 변형이 가능한 시트 바(sheet bar) 형태로 구비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의 제 1 단부(端部)를 상기 후면부 내부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압전소자의 제 2 단부(端部)에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 케이스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에 변형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추와, 상기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통하여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하는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에서 전압을 인가받아 무선동작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무선동작회로부 및 상기 전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동작회로부에 자동차 기능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전소자는 시트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압전체와, 상기 제 1 압전체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압전체를 포함하는 바이몰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체는 크리스탈, 압전세라믹 및 압전복합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전복합소재는 Pb(Zr,Ti)O3+Pb(Zn,Nb)O3, Pb(Zr,Ti)O3+Pb(Ni,Nb)O3, Pb(Zr,Ti)O3+PVDF 폴리머, Pb(Zr,Ti)O3+실리콘 폴리머 및 Pb(Zr,Ti)O3+에폭시 폴리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1 ~ 10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전소자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무게추는 상기 압전소자 둘 이상을 한 번에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무게추가 상기 압전소자에 휘어짐 변형만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 가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인가받아 직류전류로 정류하는 전하량수집회로부와, 상기 전하량수집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전원공급용 전원을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하량수집회로부는 브리지 다이오드회로 구조로 형성되어 인가된 교류 입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으로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부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부는 충전용 2차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부는 캐패시터 및 충전용 2차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는 박스 형태의 전면부 및 후면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리모컨 케이스와, 상기 후면부의 내측에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휘어짐 또는 뒤틀림 변형이 가능한 시트 바(sheet bar)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압전소자 및 제 2 압전소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 소자의 제 1 단부(端部)를 상기 후면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의 제 2 단부(端部)에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 케이스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에 각각 변형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무게추 및 제 2 무게추와, 상기 제 1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3 전극 및 제 4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상기 제 1 전극 내지 상기 제 4 전극을 통하여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하는 전기회로부와, 상기 전기회로부에서 전압을 인가받아 무선동작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무선동작회로부 및 상기 전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동작회로부에 자동차 기능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 내에 상기 제 1 무게추 및 상기 제 2 무게추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무게추 가드 레일 및 제 2 무게추 가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에 교체형 배터리 대신 자가발전장치를 사용하고, 내부 여유 공간에 압전소자 및 이를 이용한 충전용 전기회로 장치를 내장하여 휴대중 또는 자동차 운행중 케이스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하여 무선동작기능이 가능한 전기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교환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휴대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내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교체형 배터리로 사용하는 경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 장치를 내장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100)의 옆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후면부(115) 상측에 고정부(120)가 구비되고, 고정부(120)부 하부에 압전소자(130)가 구비되고, 압전소자(130)의 하부에는 무게추(140)가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120)는 자동차 키(미도시)를 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 키를 운전석에 꽂을 경우 압전소자(130) 및 무게추(140) 가 자연스럽게 중력방향으로 놓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자동차 운행중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100)가 흔들리는 경우 무게추(140)에 의해서 압전소자(130)가 진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은 압전소자(130)에 의한 휘어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압전소자(13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가 발생하면 전기회로부(150)에서 전하량을 수집하고 이를 제어하여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고, 전기회로부(150)에 충전된 전압은 무선동작회로부(18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무선동작회로부(180)는 케이스 전면부(110)에 구비되는 도어잠금스위치(160) 또는 잠금해제스위치(170)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케이스 전면부(110)에는 트렁크 여닫이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차량도난방지를 위한 경보 기능 표시부, 원격 시동 스위치 및 차량 위치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 등 다양한 기능 들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소진의 문제가 없으므로 상술한 부가 기능들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기능 들을 부담 없이 추가하려면 자가발전기능을 수행하는 압전소자(130) 효율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장치 및 전기회로부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100)의 케이스 후면부(115) 내측을 도시한 것이다. 상측에 고정부(120)가 구비되고, 고정부(120)에 압전소자(130)의 제 1 단 부(端部)가 연결된다. 자가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압전소자(130)는 1 ~ 10개로 구비될 수 있고, 3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전소자(130)는 시트 바 형태로 종이처럼 휘어짐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한다. 도시된 압전소자(130)는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시트 바 형태의 앞면 및 뒷면에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각각 구비된다.
다음에는, 압전소자(130)의 하부인 제 2 단부(端部)에 무게추(140)가 구비된다. 이때, 압전소자(130)가 3개 형성되는 경우, 3개의 압전소자(130)에 동일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도록 무게추(140)를 일체형으로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무게추(140)가 좌/우로 진동하면서 압전소자(130)의 하부 가 휘어지고, 휘어짐에 대한 압력으로 압전소자(130)의 하부 모양이 압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무게추(140)는 경질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좌/우로 부드럽게 진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무게추 가드 레일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질 소재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금속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압전소자(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의 쇼트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절연판이 필요하다.
아울러, 본 발명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압전소자(130)들이 교차된 상태로 구비시킬 수 있다.
압전소자(130)들을 교차시킬 경우 케이스의 후면부 공간을 2 부분으로 나누고, 각 공간에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부, 제 1 및 제 2 압전소자를 형성하여 효율 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에도 무게추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모두 묶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130)를 교차시키면, 상/하 및 좌/우 모든 진동 방향에 대하여 발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및 전기회로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전소자(230)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압전체(200)와, 제 1 압전체(200)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판(220) 및 금속판(220)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압전체(205)를 포함하는 바이몰프 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압전체(200, 205)는 크리스탈, 압전세라믹 및 압전복합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복합소재는 Pb(Zr,Ti)O3+Pb(Zn,Nb)O3, Pb(Zr,Ti)O3+Pb(Ni,Nb)O3, Pb(Zr,Ti)O3+PVDF 폴리머, Pb(Zr,Ti)O3+실리콘 폴리머 및 Pb(Zr,Ti)O3+에폭시 폴리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는, 제 1 압전체(200)의 표면에는 제 1 전극(210)을 형성하고, 제 2 압전체(205)의 표면에는 제 2 전극(215)을 형성하여 압전소자(230)에서 발생한 전압이 전하량 수집회로(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전극(210, 215)은 제 1 연결부(240)와 접속되고 금속판(220)이 제 2 연결부(250)와 접속되어 전압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전하량은 제어부(320)를 통하여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형되고, 충전부(330)부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회로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압전소자의 양면에 구비되는 전극과 연결되는 전하량 수집회로(300)가 구비되고, 차례로 제어부(320)와 충전부(3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전하량 수집회로(300)는 통상적인 브리지 다이오드회로(D1-D4)로 구성되어 인가된 교류 입력을 직류로 정류한다.
다음에는, 전하량 수집회로(300)를 통하여 인가받은 전압을 제어부(320)에서 직류 전압의 크기를 소정의 전압 크기로 조절한다. 이때,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이용하는 조절장치(PWM Controller)를 이용하여 전압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에는, 제어부(320)에서 조절된 전압을 충전부(330)에서 저장하고, 충전부(330)에서 무선동작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충전부(33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될 수 있고, 충전용 2차전지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캐패시터 및 2차전지가 혼합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충전부(330)에 충전된 전압은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충전부(330)가 캐패시터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자동차의 도어를 잠그고 여는 기능만 하는 자동차무선도어잠금 장치는 사용전압이 작기 때문에 작은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만으로도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양방향으로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는 경우 전원공급 기능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슈퍼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의 전압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이몰프 구조의 압전 소자 및 무게추를 이용하여 얻은 공급전압을 나타낸 것으로, 최대 ± 4V 의 전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는 교체형 배터리 대신 자가발전장치를 사용하고, 내부 여유 공간에 압전소자 및 이를 이용한 충전용 전기회로 장치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장치를 내장하여 휴대중 또는 자동차 운행중 케이스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하여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전기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도어잠금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 및 전기회로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회로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의 전압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15)

  1. 박스 형태의 전면부 및 후면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리모컨 케이스;
    상기 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휘어짐 또는 뒤틀림 변형이 가능한 시트 바(sheet bar) 형태로 구비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의 제 1 단부(端部)를 상기 후면부 내부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압전소자의 제 2 단부(端部)에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 케이스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에 변형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추;
    상기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통하여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회로부에서 전압을 인가받아 무선동작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무선동작회로부; 및
    상기 전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동작회로부에 자동차 기능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시트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압전체;
    상기 제 1 압전체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압전체를 포함하는 바이몰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체는 크리스탈, 압전세라믹 및 압전복합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복합소재는 Pb(Zr,Ti)O3+Pb(Zn,Nb)O3, Pb(Zr,Ti)O3+Pb(Ni,Nb)O3, Pb(Zr,Ti)O3+PVDF 폴리머, Pb(Zr,Ti)O3+실리콘 폴리머 및 Pb(Zr,Ti)O3+에폭시 폴리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1 ~ 10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무게추는 상기 압전소자 둘 이상을 한 번에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상기 무게추가 상기 압전소자에 휘어짐 변형만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 가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부는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인가받아 직류전류로 정류하는 전하량수집회로부;
    상기 전하량수집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전원공급용 전원을 저장하는 충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량수집회로부는 브리지 다이오드회로 구조로 형성되어 인가된 교류 입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으로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충전용 2차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캐패시터 및 충전용 2차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4. 박스 형태의 전면부 및 후면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리모컨 케이스;
    상기 후면부의 내측에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휘어짐 또는 뒤틀림 변형이 가능한 시트 바(sheet bar)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압전소자 및 제 2 압전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의 제 1 단부(端部)를 상기 후면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의 제 2 단부(端部)에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 케이스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에 각각 변형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무게추 및 제 2 무게추;
    상기 제 1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2 압전소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3 전극 및 제 4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상기 제 1 전극 내지 상기 제 4 전극을 통하여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하는 전기회로부;
    상기 전기회로부에서 전압을 인가받아 무선동작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무선동작회로부; 및
    상기 전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동작회로부에 자동차 기능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 내에 상기 제 1 무게추 및 상기 제 2 무게추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무게추 가드 레일 및 제 2 무게추 가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KR1020080033319A 2008-04-10 2008-04-10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KR10096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319A KR100966164B1 (ko) 2008-04-10 2008-04-10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319A KR100966164B1 (ko) 2008-04-10 2008-04-10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831A true KR20090107831A (ko) 2009-10-14
KR100966164B1 KR100966164B1 (ko) 2010-06-25

Family

ID=4155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319A KR100966164B1 (ko) 2008-04-10 2008-04-10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925A (ko) * 2013-09-06 2015-03-1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 발전식 카드형 리모컨
WO2015053735A1 (en) * 2013-10-07 2015-04-1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404A (ja) * 1991-07-25 1993-02-12 Tokai Rika Co Ltd 発信装置
JP2005318774A (ja) * 2004-04-30 2005-11-10 Katsumi Ikeda 圧電デバイスを利用した発電機能付携帯電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925A (ko) * 2013-09-06 2015-03-1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 발전식 카드형 리모컨
WO2015053735A1 (en) * 2013-10-07 2015-04-1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US9735708B2 (en) 2013-10-07 2017-08-1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164B1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Towards real-time self-powered sensing with ample redundant charges by a piezostack-based frequency-converted generator from human motions
US7777396B2 (en) Impact powered devices
JP2004003161A5 (ko)
KR101388142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공급용 압전 발전기
KR10095159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자가발전장치
US20070176491A1 (en) Digital doorlock having ultra capacitor
KR20120071767A (ko) 응급 전력공급용 압전 발전기
JPH09233862A (ja) 圧電体を用いた発電方法、発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6558907B (zh) 一种终端充电装置和终端
US2015013773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KR101104229B1 (ko) 휴대 단말기용 전원 공급 장치
CN109360303A (zh) 一种电子锁的nfc供电开锁方法
CN103199603A (zh) 压电发电充电系统以及应用该系统的电子设备
KR100966164B1 (ko)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조종 장치
CN201381693Y (zh) 一种不自带电源的遥控锁
KR20180113310A (ko)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N201663492U (zh) 驱动结构的无线式操控装置
Kuma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using piezoelectric crystal
CN205321355U (zh) 便携式移动电源智能鞋
CN101629463A (zh) 一种不自带电源的遥控锁
Buric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CN206894642U (zh) 一种无线信号分析仪
US20110012569A1 (en) Power device of clean remocon
KR100639235B1 (ko) 자가발전형 디지털 도어락
KR102039923B1 (ko) 휴대용 자가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