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777A -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777A
KR20090107777A KR1020080033217A KR20080033217A KR20090107777A KR 20090107777 A KR20090107777 A KR 20090107777A KR 1020080033217 A KR1020080033217 A KR 1020080033217A KR 20080033217 A KR20080033217 A KR 20080033217A KR 20090107777 A KR20090107777 A KR 2009010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generation motor
storage battery
battery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박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규 filed Critical 박현규
Priority to KR102008003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7777A/ko
Publication of KR2009010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큰 잇수의 기어를 가진 발전모터와, 작은 잇수의 기어를 가진 다수개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모터와 발전기 및 축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발전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발전모터와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로 충전된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변속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에 따라 기어의 잇수 차에 의하여 자가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축전을 하면 발전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운행을 하게 되므로 연료나 인위적인 전기 충전이 필요없이 자가 전기 발전으로 반영구적으로 차량 운행을 할 수 있으므로 발전이 용이하고 연료를 절감하며 충전할 필요가 없어서 차량운영비 절감 및 시간절약, 위생적인 환경, 공해방지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게 된다.
발전모터, 기어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Independent power apparatus fo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로 운행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주행 중 주행가속도에 의한 자가 발전장치에 의하여 발전된 전기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자가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automobile)란 전기로 동력을 공급받는 자동차이다. 1880년대 말에 등장해서 승용차ㅇ트럭ㅇ버스 운송 등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속력과 전지의 재충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각종 차량들은 대부분 연료의 연소되는 폭발력에 의하여 차량을 운행하여 왔고, 최근에는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그 충전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을 운행하였다. 이 경우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력양은 일정시간 사용 후에는 소진되어 더 이상의 동력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모두 소진되기 전에 항상 미리 충전해 두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충전에 의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은 원거리 주행시에는 배터리 충전량이 적거나 없어지게 되면 차량운행이 불가능해 지므로, 차량의 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 할뿐 아니라 한번 배터리를 충전하기위해서는 차량용 배터리의 경우 대용량이어서 충전하는 시간만 5∼8시간 이상의 장시간을 요하므로, 충전기간으로 인하여 운행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하는 방법 및 다양한 자가발전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계통도 및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1984-0000711호로서, 통상의 축전지식 자동차에 있어서, 바퀴의 회전력으로부터 얻은 전기에너지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얻게 됨으로써 발전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의 증가 및 제조 공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모터와 발전기에 장착된 기어의 잇수 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조를 단순화 시켰으며, 이로 인해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큰 잇수의 기어를 가진 발전모터와, 작은 잇수의 기어를 가진 다수개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모터와 발전기 및 축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발전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발전모터와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로 충전된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변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는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에 따라 기어의 잇수 차에 의하여 자가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축전을 하면 발전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운행을 하게 되므로 연료나 인위적인 전기 충전이 필요없이 자가 전기 발전으로 반영구적으로 차량 운행을 할 수 있으므로 발전이 용이하고 연료를 절감하며 충전할 필요가 없어서 차량운영비 절감 및 시간절약, 위생적인 환경, 공해방지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큰 잇수의 기어를 가진 발전모터(10)와, 작은 잇수의 기어를 가진 다수개의 발전기(20)와, 상기 발전모터(10)와 발전기(20) 및 축전지(40)에서 생성된 전기를 분배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발전모터(10)의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2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60)와, 상기 발전모터(10)와 발전기(20)에서 생성된 전기로 충전된 축전지(40)와, 상기 축전지(40)에 충전된 전기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변속기(50)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모터(10)는 회전축에 큰 잇수의 기어를 장착하고, 발전된 전기를 분배기(30)와 축전지(40)로 상호 유동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2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회전축에 상기 발전모터(10)에 장착된 기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잇수의 기어를 장착하고, 상기 발전모터(10)와 벨트(60)로 연결되며, 발전모터(10)에 장착된 큰 기어와 작은 기어의 잇수차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분배기(30)를 통해 축전지(40)로 보낸다.
상기 축전지(40)는 상기 발전모터(10)와 분배기(30)를 통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는 역할과 충전된 전기를 변속기(50)로 보내어 구동부로 보내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는 초기 상태에서나 장기간 운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충전이 전혀 되지 않은 상태에서나 저속으로 계속 운행되어 자가 발전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않된 상태에도 인위적으로 전기 충전을 한 후 일정시간 일정속도이상으로 운행하게되면, 예컨데 차량은 일반적으로 약 60Km/h의 속도로 주행하게되면, 자체 추진력(관성)에 의한 주행가속도가 발생하여 가속기를 밟지 않더라도 일정시간 동안은 주행가속도에 의한 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개의 발전기를 작동시키게 되고, 그 발전된 전력은 지속적으로 축전지로 충전됨과 동시에 발전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움직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계통도 및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전모터 20 : 발전기
30 : 분배기 40 : 축전지
50 : 변속기 60 : 벨트

Claims (1)

  1.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큰 잇수의 기어를 가진 발전모터(10)와,
    작은 잇수의 기어를 가진 다수개의 발전기(20)와,
    상기 발전모터(10)와 발전기(20) 및 축전지(40)에서 생성된 전기를 분배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발전모터(10)의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2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60)와,
    상기 발전모터(10)와 발전기(20)에서 생성된 전기로 충전된 축전지(40)와,
    상기 축전지(40)에 충전된 전기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변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KR1020080033217A 2008-04-10 2008-04-10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KR20090107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17A KR20090107777A (ko) 2008-04-10 2008-04-10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17A KR20090107777A (ko) 2008-04-10 2008-04-10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777A true KR20090107777A (ko) 2009-10-14

Family

ID=4155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217A KR20090107777A (ko) 2008-04-10 2008-04-10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7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4837A1 (es) * 2009-12-23 2012-07-13 Lucio Pérez Fernández Central para producción de energía eléctric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4837A1 (es) * 2009-12-23 2012-07-13 Lucio Pérez Fernández Central para producción de energía eléctric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3635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hybrid vehicle
US8627914B2 (en) Energy recovery drive system and vehicle with energy recovery drive system
US6082476A (en) Self-renewing electrically driven automobile
US20100304920A1 (en) Hybrid Assembly , A Hybrid Power-Train ,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electively Movable Assembly
CN103328292B (zh) 车辆及车辆用控制方法
CN103338999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驱动控制装置和驱动控制方法及混合动力车辆
CN102555769A (zh) 一种混联式双电机多工作模式混合动力驱动总成
CN104175859A (zh) 用于驱动插电式混合动力车的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527413A (zh) 一种具有飞轮储能的增程式电动汽车传动装置
JP3170663U (ja) 電気自動車用発電装置
CN102806904A (zh) 用于混合动力车燃油切断的方法和系统
US906758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10722972B (zh) 一种混合动力系统及其驱动方法
CN101966810B (zh) 一种用于汽车的基于轮毂电机混联驱动系统
CN101817305A (zh) 混合动力驱动装置
CN102328573A (zh) 一种混合动力汽车驱动装置
CN204383180U (zh) 一种具有飞轮储能的增程式电动汽车传动装置
KR20090107777A (ko) 전기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RU2380240C1 (ru) Привод гибридн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2014007159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전 제어 방법
JP2013154681A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3347758B (zh) 混合动力车辆
CN110722973B (zh) 一种混合动力系统及其驱动方法
KR100447754B1 (ko) 전기모터에 의한 차량 구동 및 제동 시스템
CN103391857A (zh) 混合动力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